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A Study on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used for Korean Speech Audiometer : 청력검사기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음의 기준음압에 대한 고찰

        韓希京 翰林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청력검사기(audiometer)는 영어권 국가에서 만들어진 dBSPL과 dBHL의 차이를 교정 값으로 하여 만들어진 측정장비이다. 순음청력역치검사는 자극제시강도를 제외한 순음이 갖는 모든 변수가 같기 때문에 국가적 특색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어음청취역치검사는 순음이 아닌 어음을 이용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어음은 국가마다 주파수 스펙트럼의 결과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측정되는 어음역치에 해당하는 dBSPL 값은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ANSI, 1996)에 따르면, TDH 49/50 Headphone의 경우 청력 검사기의 어음 보정(calibration)은 0 dBHL이 20 dBSPL로 설정되어 있으나, 최근 일본의 연구에서 영어권 국가와는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어 어음의 구조적인 차이를 정확히 밝히는 연구가 시급하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측정된 보정값을 청력검사기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들의 평균 순음청력역치(Pure-tone threshold average, PTA)와 한국어 이음절 단어를 이용한 어음청취역치(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간의 차이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청력검사기의 어음 기준음압의 보정에 대한 고찰을 해 보고, 나아가 청력검사기의 어음 기준값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상 청력을 가진 20대 성인 42명 45귀를 대상으로 순음청력역치와 어음청취역치검사를 실시하였다. 순음청력역치는 주파수250, 500, 1000, 2000, 4000, 8000 Hz에서 자극제시강도를 -10 dBHL로 하여 검사를 시작하였다. 2 dB 간격의 수정상승법에 근거하여 5회 반응한 지점의 평균치를 역치로 하였다. 어음청취역치는 심리음향기능곡선(Psychometric function)띄 50% 정반응한 지점으로 정의하였다. 피검자가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레벨에서 총 70개의 이음절 어음을 들려주고 따라 말하게 한 후 6 dBHL에서 검사를 시작하였다. 제시강도를 2 dB 간격으로 내려가며 검사하였을 때 5% 정반응할 때까지 측정한 후 다시 2 dB 간격으로 올려가며 검사하였을 때 95% 이상 또는 24 dBHL까지 측정하였다. 그 결과, RSPL은 25~26 dBSPL로 나타났다. 현재 사용되고있는 청력검사기의 어음 기준값인 0 dBHL은 영어음 기준인 20 dBSPL로 설정되어있으므로 이를 재보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한국 어음청취역치검사에 적합하다고 본다.

      • Liver receptor homolog-1에 의한 베테인호모시스테인 메틸전이효소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

        한희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 수용체 동족체–1(Liver receptor homolog-1, LRH-1)은 장, 간 및 췌장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세포 내 전사인자이며, 대사 항상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고아 핵 수용체이다. 주로 지질과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하며, 금식 시 간에서 LRH-1 발현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LRH-1의 표적인자들이 일부 규명되었으나 아직도 표적인자에 대한 발굴이 부족한 실정이다. 베테인 호모시스테인 S-메틸 전이효소(Betaine-homocysteine S-methyltransferase, BHMT)는 간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단백질 중 하나로써 호모시스테인 대사 조절에 관여한다. 또한 BHMT의 발현이 감소하였을 때 간에서 축적된 호모시스테인은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간에서 BHMT 기능 연구는 되어 있으나, BHMT 발현 조절 기전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LRH-1에 의한 BHMT의 발현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 BHMT의 유전자 발현 감소에 의한 간 대사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LRH-1 정상 및 LRH-1 결핍 마우스에서 간 조직 및 혈청을 분리하였고 QPCR, Western Blot 및 조직염색분석을 통하여 LRH-1 표적인자를 규명하였다. 금식한 정상 마우스의 간에서 LRH-1과 함께 BHMT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LRH-1 결핍 마우스에서는 BHMT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해 금식한 LRH-1 결핍 마우스의 간에서 중성지방이 더 축적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활성산소종에 의해 증가되는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금식 상태의 LRH-1 결핍 마우스에서 많이 증가된 것을 보았다. BHMT가 LRH-1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HepG2 세포에 LRH-1을 과발현한 결과 BHMT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추가적으로 LRH-1에 의해 BHMT의 발현이 직접적으로 조절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모터 활성도 분석을 한 결과, BHMT 프로모터의 +131∼+137 bp 사이에 LRH-1이 결합하는 부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식 시 간에서 LRH-1의 활성으로 인한 BHMT의 발현 증가가 활성산소종을 억제하고 소포체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중성지방 축적을 개선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Liver receptor homolog-1 (LRH-1) is an orphan nuclear receptor. It is primarily involved in lipid and cholesterol metabolism, and previous study confirmed that LRH-1 expression was increased in the liver during fasting. Betaine-homocysteine S-methyltransferase (BHMT), one of the most abundant proteins in the liver, is involved inn the regulation of homocysteine metabolism. Furthermore, it is known that decreased BHMT gene expression leads to homocysteine accumulation in the liver, which can induce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n this study, the mechanism of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BHMT by LRH-1 was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BHMT deficiency on metabolic function was revealed in the liver. During fasting, both BHMT and LRH-1 gene expression increasedin the liver of normal mice, but BHMT gene expression was decreased in LRH-1 deficient mice. In addition, the lipid peroxide content in the liver tissues of LRH-1 deficient mice was increased. Promoter activity analysis confirmed the binding of LRH-1 to a specific site at +131 ∼ +137 bp of the BHMT promoter.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LRH-1-mediated increase in BHMT gene expression alleviates triglyceride accumulation by suppressing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and reducing ER stress.

      • 수학과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한희경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등학교 수학 교사들의 인식과 일선 학교 수학과 수행평가의 실시 실태 및 그 문제점을 조사·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중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문제들을 연구하였다. 1. 일선 중등학교 수학 교사들은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2. 현재 일선 중등학교에서는 수학과 수행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일선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위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제주도 제외)의 중등학교 수학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수행평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항들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선 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대부분의 수학 교사들은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든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구별기준은 평가의 방법에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또한 수학과 수행평가 유형으로는 주관식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 관찰법, 포트폴리오법, 연구 보고서법 등이 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시하게 되면, 개념에 대한 이해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교사도 상당수 있었다. 수행평가에 대한 관심의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면의 변화에 대한 기대가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수행평가에 관심이 있는 교사들은 정의적인 면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수행평가에 대하여 무관심한 교사들은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수학과 수행평가가 정량화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 수행평가의 성적 반영은 1년 2회(1학기 1회) 30%를 반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일선 학교에서는 그 실시 유형으로 주관식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성적에는 1년 4회(1학기 2회) 30%를 반영하는 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교사들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해 문제가 있다고 응답하여, 현재 일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수학과 수행평가는 그 근본목적에 맞게 실시되고 있다기보다는 수행평가라는 것을 하고 있다는 형식에만 치우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대다수의 교사들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해, 그 본질과 실시의 근본취지에는 공감하나 아직 우리 나라의 교육여건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수학과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문제가 되는 요인으로는 과다한 학생수로 인한 평가와 채점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대다수의 교사들이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 및 교육 여건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지적하였다. 수학과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 연수는 다양한 수행평가 유형과 실시 방법에 관한 연수를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수행평가의 현장 정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교사의 잡무와 수업시수를 단계적으로 경감하여 교사 본연의 임무인 교수와 평가에 전념할 수 있는 교육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2. 성취기준을 정하여 그에 따른 평가기준을 세우고, 수행평가를 위한 다양한 문항이 개발되어야 한다. 3. 수행평가 실시에 적합한 교과서가 개발(집필)되어야 한다. 4. 학생들이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 사회 공공시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5. 수행평가의 정의와 그 실시방법에 대한 전반적이고도 체계적인 교사연수(교사 재교육)가 선행되어야 한다. 6. 수행평가는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에 의한 평가이므로, 교사를 평가에 대한 전문가로 인정하고 평가의 결과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7. 수행평가의 실시를 제7차 교육과정의 시작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그 이전까지는 수행평가를 하기 위한 준비기간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performance assessment in school.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thought on performance assessment in mathematics 2. performance assessment in school 3. Problem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is purpose, surveying teachers and studying performance assessment we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teachers are concerned with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think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choice item format and performance assessment lies in the way to evaluate. They recommend the written test, observation, portfolio and project as its type. They also hope that performance assessment will help students work hard in class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mathematics. They demand 30 percent of total grades should be alloted to performance assessment twice a year. 2. Most schools have performance assessment four times a year in written test type. Most mathematics teachers find the problems in performance assessment. 3. One of the problems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that too much time is needed for evaluating and grading too many students. A solution is to lessen the teachers' working time for unnecessary job and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Teacher training on its various types and its method should be includ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here are some suggestions. 1. Teachers' working time for unnecessary job should be reduced. 2. The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should be developed. 3. The textbooks for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published. 4. The social atmosphere for the students to use public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and museums should be created. 5. The training on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preceeded. 6. Students and their parents should change their attitudes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7. The performance assessmen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reform. There be a preparation period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before that.

      • 지역사회 노인의 자본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대처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희경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노인 고령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강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자본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노인의 자본과 성공적 노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주도적 대처능력이 노인의 자본과 성공적 노후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65세 이상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노인에게 2019년 7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7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18부를 제외한 457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수의 기술통계를 위해 SPSS,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경제자본과 건강자본은 성공적 노후에 정(+)의 영향력을 가졌으나,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둘째, 인적자본, 문화자본, 건강자본은 사회활동참여에 정(+)의 영향력이 있었으나, 경제자본은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에 영향력이 없었다. 셋째, 노인의 사회활동참여는 성공적 노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활동참여를 매개로 노인의 자본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는 노인의 자본 모든 하위변수 즉, 인적자본, 경제자본, 문화자본, 건강자본이 성공적 노후에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자본과 건강자본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자본과 건강자본은 성공적 노후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사회활동참여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적자본과 문화자본은 성공적 노후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지만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할 경우에는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주도적 대처능력의 조절효과는 경제자본이 성공적 노후에 이르는 경로와 인적자본 및 건강자본이 사회활동참여에 이르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자본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주도적 대처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영향력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주도적 대처능력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인적자본이 사회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반면, 건강자본은 주도적 대처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공적인 노후를 마련하기 위해 노인의 자본과 사회활동참여 그리고 주도적 대처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전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cope with the aging of the elderly faced by Korean society. For thi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apital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on the successful aging. Furthermore, we tried to verify whether social particip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and whether proactive coping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capital and successful retir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tributed 475 questionnaires to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457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2019. For statistical processing, SPSS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AMOS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and healthy capital of the elderly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ccessful retirement, but the human and cultural capital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successful aging of the aged. Second, human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healthy capital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and economic capital was found to have no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ir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retirement. Fourth, soci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elderly's capital and successful retirement, and this effect was confirmed in all sub-categories of old capital, human capital,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healthy capital. In detail,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economic and health capital, and a full mediating effect on human and cultural capital. In other words, economic and health capital were found not only to have a direct impact on successful aging but also indirectl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On the other hand, human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successful retirement, but had an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Fifth, the proactive coping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proactive to successful aging of economic capital and the participation of social and social capital in social activitie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ital and successful retirement, the group with high proactive coping can face more successful aging than the low group. In addition, the group with high proactive coping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f human capital on social participation than the low group. In addition, health capital was found to have a lower impact on successful aging in the group with high coping than the low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through elderly capital,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initiative coping skills to prepare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과학개념을 일상용어로 설명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학년 「식물의 잎이 하는 일」단원을 중심으로

        한희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중학생들의 과학 흥미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30.3%가 어려운 수업 내용으로 인해 과학 학습에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또한 중학교 학생들은 과학 수업에서 겪는 가장 어려운 점으로 ‘어려운 단어’와 ‘복잡한 과학 용어‘를 들고 있다. 따라서 과학 교육에서는 과학 개념의 효과적인 설명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 개념을 일상용어로 설명하는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교수·학습법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체계적인 과학개념 학습에 효과적이면서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과학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방법을 사용하였다. 통제집단에서는 과학용어로 과학 개념을 설명한 수업을, 실험집단에서는 일상용어로 과학 개념을 설명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식물의 잎이 하는 일」단원 중 ‘광합성’ 부분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문항은 객관식과 주관식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15.0 프로그램으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의 분석 결과, 광합성의 내용을 일상용어로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과학용어로 학습한 통제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광합성 개념의 이해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01). 광합성의 내용을 일상용어로 설명하는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문항 형식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객관식 문항과 주관식 문항에서 모두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객관식 문항에서 더욱 뚜렷한 향상을 보였다(p< .01). 일상용어를 사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 분석해 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점수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또한 일상용어를 사용한 수업의 효과를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평균 점수 차이는 상위집단보다는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크게 향상되어 과학 내용을 일상용어로 설명한 수업이 중·하위집단에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공변량 분석 결과 집단 간의 이러한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 .05).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 a scientific concept with everyday language and how this teaching approach affects prim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and linguistic understanding of a scientific concept. Also, gender and preexistence grade level were considered as factors affect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student's conceptual and linguistic understanding of a scientific concept and to develop a useful teaching approach that can be used in science classroom.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6 students in primary school 5th grader, an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Control group were taught a scientific concept with scientific language while treatment group were taught a scientific concept with everyday language. Unit 「photosynthesis」 was selected from 5th grade science and for assessment,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examination paper was developed. Questions were composed of both multiple choice and open ended. The result was processed with SPSS 15.0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 proposed that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ore of the treatment group had a significant improv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 .01). The effect of teaching photosynthesis with everyday language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researched by question type. Both groups achievement has increased in multiple choice question and open ended question. This result was outstanding in students' multiple choice score(p< .01). The effect of teaching photosynthesis with everyday language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researched by students' gender. However, the result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differ of gender(p> .05). Also, whether preexistence grade level affects treatment group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analyzed. The improvement of middle group and low group twice high groups' improvement. However, statistical analyz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no effective size between preexistence grade level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level(p> .05). Although statistical result was not effective, the average of middle group and low group has shown a huge increasement and therefore teaching scientific concepts with everyday language could be more effective for middle and low group. So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conducted on this part of study. This study has shown that teaching science concept in everyday language is more effective than teaching with scientific language. Therefore selecting the most simple and friendly word in teaching a scientific concept is a useful way in science teaching and to understand both conceptual and linguistic concepts. This teaching approach could be used in lots of classes and has little difficulties processing. However, by teaching scientific concepts, there could be misunderstanding in such concepts. Therefore when teaching with everyday language, extra and plenty explanation is required. Also, when translating scientific language to everyday language the teacher might have difficulties in translating every scientific word and this could influence students learning. So, a long and plenty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지리 교실 읽기 : 제3공간으로의 국면 전환 가능성 탐색

        한희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Classroom' is a space in which all pedagogical abilities are called out as well as a locale of pedagogical communication. Recently, there have actively been researches on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belief that the substantial subject who could improve learning are teachers and students under such circumstances as the so-called 'collapse of schooling'. This study examines recent trend on classroom researches and makes classroom itself the object. Particularly,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various pedagogic situations in a classroom from discursive standpoint centering around relation and context, not from prescriptive viewpoint. The first concerns the spatiality of classroom by means of spatial metaphors to manifest that classroom is a spatial entity. Through this approach, the author inquires that how we recognizes classroom is deeply involved in communicative natur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a classroom.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e author tries to bring to light the pedagogic significances of the metaphor 'classroom as a lived space' in connection with the matter of the 'Third space', and from this viewpoint, thinks of classroom as a dialogical space. But all dialogues are dialogical? This study classifies dialogues into dialogues as relations and those as forms. It is concluded that the authentic dialogue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re made up discursively, not guaranteed by the forms of dialogues. This thesis identifies tha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classroom as a discursive community is intrinsically accomplished through the ongoing practices depending on contexts, and ascertains that the communication is inter-linked to linguistic interaction, texts and media, and other discursive practices together. By means of some case readings, the author observes that every discursive practice in a classroom includes meaning differences happening when language is transmitted to dialogic counterpart, differences in interests, those in positions related to other person's positions, difference in identities. Under these discussions, it is proposed that the contexts of pedagogica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re involved in the issue of 'difference' in diverse dimensions such as viewpoints, backgrounds, positions, beliefs, experiences of every teacher and every student. This thesis is not concerned to classification of dialogical types which would be solution to moments of tension, conflict, and paradox which have their origin in 'differences', but recognizes that those differences are stimulations which produce dialogues and the heterogeneity cased by differences is a energy source to convert classroom activities to creative practices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of communication in dialogical space and the dialectics on the multi-layers of spatiality that accumulated in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and some case studies, the author could prepare theoretical prism for reading classroom.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ies of phase-shifting into third space that found in some geography classrooms as dialogical spaces from two sets of pedagogical discourse. One is discourse on meaning, another is discourse on the spatiality of classroom. From the discourse on meaning, the author discusses the matters of teacher's public scripts and student's counter scripts, the juxtaposition of teacher's discourse and student's discourse by way of case studies. From the discourse on the spatiality of classroom, the author discusses the relations between the pedagogical practices of teacher and the placeness of the classroom by inquiring tensions between formal space and informal space in terms of 'body-ballet'.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 the following points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what purpose pedagogy should aim for?' and 'how pursuit one that purpose?' inclining to discursive turn not from prescriptive position. First, there are tensions between the premise that teacher in classroom dynamics is a commander, a informant, a appraiser and the recognition that discourses in classroom is a arena in which diverse voices make up inter-subjective meanings. Second, the hegemonic discourse in classroom has partial nature. For example, we could find rules which control participant's inclusion or exclusion in teacher's public languages. Third, it is need to overcome the ideas on the object of education such as 'infusion of valuable norms or belief' or 'respect for diverse thinking'. This study propose that authentic dialogue itself is most pedagogical. 교실은 교육의 실천 현장이자 이론과 실제를 아우른 교육적 역량이 총동원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교육학과 모든 교과교육학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는 관계의 공간, 맥락의 공간으로서의 교실을 상정한 다음,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관계의 본질이 곧 대화적 관계에 있음을 논의하면서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을 이론적으로 조망하는 한편, 지리 교실을 대상으로 그것의 실제를 읽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서론에서 교실 연구가 교실 공간 그 자체의 이해를 목적으로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관계의 본질’을 탐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교육적 상호소통 공간으로서의 교실’을 주제로 교실 연구의 최근 동향과 교실의 공간성 문제를 다루었다. 제Ⅲ장에서는 교육적 상호작용의 본질이 대화에 있음을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을 이론적으로 조망하였다. 그리고 말미에서는 교실 읽기를 위한 개념 틀을 구상하였다. 제Ⅳ장은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지리 교실 읽기’를 제목으로 교실 읽기의 실제를 다루었다. 각 장별 주요 내용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제Ⅱ장에서는 교실 연구의 최근 동향을 검토하면서 ‘교실론’의 설정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실에 접근하는 많은 연구들에서 다분히 간과하고 있지만 중요한 주제의 하나가 ‘교실의 공간성’에 대한 문제임을 제기하고, 소위 ‘교실 공간 메타포’를 매개로 이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교실 공간에 대한 전통적 인식을 크게 ‘작업 공간으로서의 교실’과 ‘연극 무대로서의 교실’로 나누어 비유하면서 이들 각각에서 전제하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 학습의 의미 등에 대해 논의할 수 있었고, 연구자의 교실 경험과 최근의 교실 논의를 토대로 ‘삶의 공간으로서의 교실’이라는 새로운 메타포를 제안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삶의 공간으로서의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소통의 본질을 대화로 보고, 무엇이 진정한 대화인가를 물음으로 하여 대화의 개념을 검토하고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을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끝부분에서는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읽기를 위한 개념 틀을 구상하고 읽기의 맥락과 주안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대화는 형식의 측면에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관계로서 규정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대화는 형식적 차원보다는 대화가 어떤 쟁점이나 주제를 놓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호주관적으로 계속 진행되고 있는가의 여부가 대화를 정의함에 중요하다고 보았다. ‘관계’로서의 대화에서는 대화를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 처한 다양한 개성의 주체들에 의해 수행되는 담론적 실천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이것은 다시 교실을 담론적 실천들로 충전된 일종의 담론 공동체로 인식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이해하였다. 그리고 담론 공동체로서의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담론 실천을 ‘언어적 상호작용’, ‘텍스트와 매체’, ‘그 밖의 담론 실천’이라는 세 축으로 나누어 실제 교실 관찰 사례와 함께 논의하였다.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편에서는, 교실 대화 양상이 대화 참여자의 ‘사회적 언어’와 ‘사회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전개됨을 설명하였다. 교사의 독특한 말투가 ‘사회적 언어’로 읽혀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교실 내 청자와 화자의 입장을 유형화하여 교실 내 언어적 상호 작용의 의례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교실에서 화자와 청자를 연결하는 방식은 복합적인 방식으로 교환되고 있음을 이야기 하였다. 둘째, ‘텍스트와 매체’ 편에서는, 교실에는 발설된 언어 이외에 다양한 재현적 도구들이 실제 지리 교실에서 어떻게 읽혀지는지를 최근의 소통 이론에서 제기되고 있는 ‘독자와 반응’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여기서 지리 교실은 텍스트의 내용을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 교과의 교실에 비해 중요하다는 점을 사례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그 밖의 담론 실천’ 편에서는, 교실에서 매우 사소하게 보이는 제도와 규범들이 교실 담론 실천으로 읽혀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공간이 내부자에게 상호작용의 장소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교실 실천이 공간 속성의 세 차원, 즉 물리적·정신적·사회적 차원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교실 읽기에서 ‘몸의 발레’와 ‘장소 발레’의 측면을 주목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이 어떤 방식을 통하여 자신들의 교실에 대해 강한 장소감을 성취해 나가는가’를 파악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 외에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에 관한 논의에서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정체성 개념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교실에서의 ‘대화적 정체성과 대화적 입장’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주요 논점을 정리하였다. 그 다음, 대화적 공간에서의 의미 소통 과정을 의미 차이, 의미 갈등, 의미 협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토대로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읽기를 위한 개념 틀을 구상하고 읽기의 맥락과 주안점을 제시하였다. 제Ⅳ장은 지리 교실을 대상으로 한 대화적 공간으로서의 교실 읽기의 실제를 보여준 것이다. 이 장에서는 일상의 교실 안에서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차이와 갈등과 긴장들을 들춰내어, 이를 ‘관계로서의 대화’와 ‘제3공간’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그것의 생산적 국면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3월 9일부터 2009년 4월 14일까지 3개 학교 46 시간의 교실 관찰을 기초로 모두 네 개의 에피소드를 추출하였고, 각각에 대한 교실 대화를 제시하고 인상 비평과 논의를 수행하였다. 전체 내용은 크게 ‘교수 내용 측면’과 ‘교실 실천의 공간적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2개씩의 에피소드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 에피소드(‘지하 vs. 지표학문이야!’)에서는 학생의 ‘지하’라는 발언을 교사가 ‘우리는 지표 학문이야’로 대응한 발설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는 이것을 ‘학생의 대응 각본에 대응하는 교사의 공적 각본’이라는 논의 주제로 부각시켜 보았다. 여기서 교사가 자신의 공적 각본에 머물러 있을 때 학생이 발설하는 의외의 발설을 교과의 언어로 재조율하거나 소홀히 넘기는 경향이 나타남을 밝혔다. 그리고 교실 대화에서 오고가는 발설에 내포된 혼성성이 교수 학습을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 에피소드(‘영토, 영토성, 영토화’)는 영토 학습에 관한 교사의 수업 중 이야기들을 소개한 것이다. 교사의 수업 중 이야기들 속에 나타나는 복합적인 영토 개념을 분석하였고, 이것을 ‘한 공간을 다른 공간과의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병치시키는 사고’라는 논의 주제로 검토하였다. 세 번째 에피소드(‘교사의 동선과 함박웃음의 의미’)에서는 교사에게 보이는 규칙적인 행동 특성을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작용하는 암묵적 규칙과 같은 것으로 보고 이를 몸의 발레 개념을 동원하여 해석하였다. 그리고 교실에서 규칙적인 리듬감을 가지고 행동하는 교사는 균형 잡힌 존재로서 교실 내의 물리적 차원, 정신적 차원, 사회적 차원을 원활하게 연계하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고 이해하였다. 네 번째 에피소드(‘정 뿔테가 뿔난 이유는?’)에서는 교실이라는 공식 공간이 교실 내외부의 비공식 공간과 맥락적으로 연계된 혼성 공간임을 논의하고 ‘갈등과 차이’가 ‘누군가의 존재를 느낄 수 있는 촉발제’가 될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