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 성공적인 국내 電子貨幣 모형 開發에 관한 硏究 : AHP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

        한양희 漢陽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자화폐의 국내 도입에 대비하여 바람직한 전자화폐 시스템 모형을 개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공적인 전자화폐 시스템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영국의 Mondex로 대표되는 개방형, 벨기에의 Proton 으로 대표되는 폐쇄형, 그리고 Ecash로 대표되는 네트워크형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비교 평가를 위해서 우선 프로세스 관점, 연관산업 관점,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상대적 평가에 적용하였다. 이들 모형에 의한 연구자의 분석적 시각 이외에도,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자화폐의 개발이나 도입에 관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대상 전문가는 전자화폐를 연구하는 연구기관, 금융기관, 단말기 제조업체, 정보통신업체, CHIP/COS 개발 반도체업체로부터 선정하였고, 평가방법으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이론을 사용하였다. 평가항목은 크게 세가지 관점하에서 다시 세부적으로 도출하였고, AHP에 기초한 면접조사로부터 세부평가항목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세가지 전자화폐 모형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병행 실시하여 연구자의 분석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프로세스 관점에서는 보안성과 사용 편리성이 부각되었고 연관산업 관점에서는 전자화폐 제조/공급기반, 가맹점 공급기반, 금융기관의 도입 추진력이 높이 평가되었다. ● 이해관계자 관점에서는 추진주체간의 갈등정도가 크게 영향을 미치고 그중에서도 정부추진기관의 갈등정도가 전자화폐의 성공적 도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외에도 금융기관, 단말기업체, 연구기관에서는 민간사업자간 갈등정도의 중요성을 지적하였고 금융기관, 정보통신사업자, 그리고 연구기관에서는 정부와 민간간의 인식차이를 지적하였다. 이는 이들 세 집단간 또는 집단 내부의 이해관계가 전자화폐의 성공적 도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 전자화폐의 국내도입 및 확산정도를 평가한 결과 국내거래에는 Proton과 같은 폐쇄형의 수용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국제거래에서는 Ecash 시스템의 선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자화폐의 성공 요인 및 활성화 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전자화폐 모형으로서 폐쇄형 전자화폐와 네트웨크형 전자화폐를 결합한 새로운 전자화폐 모형을 제시하였다. 

      •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에 대한 교원의 인식 연구

        한양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운영실태 즉, 우리 나라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동향을 고찰하고,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기본원리-지방분권의 원리, 민중통제의 원리, 자주성 존중의 원리, 전문적 관리의 원리-에 대한 교원의 인식도 조사를 통해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각각 2곳의 500명의 교사들을 표본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version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분권의 원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2.35로 민중통제의 원리, 자주성 존중의 원리, 전문적 관리의 원리보다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중앙-지방의 권한의 배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중앙집권의 정도가 심하고 지방분권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특수성 반영, 교육의 민주화, 자율화, 주민의 공동체 의식과 건전한 교육열,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간 업무연락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지방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이 강조되고 있다. 둘째, 민중통제의 원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2.47로 부정적으로 나타나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에 대한 인식과 교육위원회의 주민대표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교육자치제도에 대한 관심, 교육위원회의 의결기능, 지역별 의견의 수렴·반영, 교육행정기관 시책의 견제·감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지역 주민에게 교육위원회의 시책과 활동을 홍보하고 건전한 교육정책의 수립과 민의의 충분한 수렴·반영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자주성 존중의 원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2.37로 민중통제의 원리나 전문적 관리의 원리보다 부정적 반응이 높게 나타나 아직도 중앙정부의 통제가 많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의 자율적 통제, 교육전문기관의 기능배분, 시·도의회와의 관계, 단위학교의 자주성·자율성 보장, 학교 교육비 지원 및 재량권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단위학교의 자율성 보장이 강조되고 있다. 넷째, 전문적 관리의 원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2.76으로 지방분권의 원리, 민중통제의 원리, 자주성 존중의 원리보다는 부정적 반응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위원 정수를 제외한 교육감의 지도력, 교육전문직 요원의 자격요건, 교육인사행정의 공정성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특히 교육전문직 요원의 양성을 위한 직전교육 및 현직연수 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은 단기적인 안목에서보다 현대사회의 전반적인 추세로 볼 수 있는 다양화, 개방화, 민주화 등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장기적인 구도를 먼저 설정한 뒤에 실현가능성을 고려해 시간적인 문제 등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장기적인 과제로 교육행정의 자주성, 전문적, 정치적 중립성 등 지방교육자치의 확고한 보장을 위한 제도의 확립, 기초지역단위에서의 교육자치추진, 교육위원의 주민직선 등으로 제기할 수 있겠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problems of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and providing possible solutions after observing managerial conditions of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through studying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 fundamental principles of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public control, respecting independency, and professional management. The content of study to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of study was as follows. 500 teach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junior 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samples of the study. Then through the survey, final data from 300 teachers were colle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SPSS for Windows version 8.0 was us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study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questions of study. First, in reference to teachers perception on the principle of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among local government, the figure, 2.35, was turned out to he the most negative comparing with the figures of principles of public control, respecting independency, and professional management. In particular, in terms of reallocation of power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power in the central government was still high and the allocation of power to local government is not at satisfactory level yet. Therefore, it is necessary and required to reflect the particularities of provinces, democratization and autonomy of education, sense of association of residents, and sound enthusiasm toward education. Especially, neutralization between local education and politics was emphasized the most. Second, toward the principle of public control, teachers perceptions were 2.47 and negative. It implies that it still lacks of perception on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and resident representatives in education committee. Therefore, it was essential and demanded to have the interest in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education system, role of decision of education committee, collection and reflection of local areas, and checking and observing the policies of educati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particular, promotion of policies and activities of education committee, establishment of education policy, and collection and reflection of public opinion were emphasized the most. Third,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n principle of respecting independency. the figure (2.37) was turned out to be more negative than principles of public control or professional management. And it indicates there are still a lot of controls and interferenc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refore, autonomous control of residents, securing independency and autonomy of every school, financial support-school education fee, and expansion of power delegation were required and the guarantees of autonomy in individual school were emphasized the most. Fourth, teachers (2.76) showed more negative response toward the perception on principle of professional management than principles of decentralization of authorities, public control, or respecting independency. Again, except the numbers of members of education committee, leadership of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ffairs, qualification of members, fairness of personnel management were highly demanded. The education and training to foster professional personnel in education, in particular, were stressed the most.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overall trend of our modern society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short-term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first that accommodates the values such as variety, openness, and democratization. Then the issues should be solved out in the order of possibility that can be implemented and solved easily. Consequently, to secure and handle the firm current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that involves issues of independency of education administration, professional careers, and political neutralization, establishment of policies, independent educ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direct election of members of education committee by local residents could be considered as recommendations.

      • 교류전기철도의 고장점 표정 오차 분석 기반 정확도 향상 방안 연구

        한양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Electric railways have excellent energy efficiency and advantages on large capacity and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compared to diesel railways, so that they are used a lot for passenger and cargo transportation. Therefore, when electric railway accidents occur such as a ground fault or short circuit, economic and social losses must take place inevitably. The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dditional equipment to resolve unexpected incidents that it is difficult for managers to predict in advance.   A Fault Locator is a device that informs operators Fault Locations by identifying incident spots if there is an accident of electric railways.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plain Boost Current Ratio method and Reactance Method, which are mostly used in Korea.   After the last Booster-Transformer Feeding System (Wonju-Jecheon) in Korea was closed in 2021, the Auto-Transformer Feeding System has been operated current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fault location errors of the Boost Current Ratio method a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many cases this study could find there are limitations of its accuracy.   This study suggests a forced ground fault test and an artificial ground fault test in order to overcome errors of the Boost Current Ratio method, and it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Fault Locator by citing actual cases used in other projects.   This study expects that, since efforts to improve accuracy of the Fault Locator could remove incidents rapidly,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stabilization of electric railways. 전기철도는 디젤기관과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며 대용량 장거리 운송에 유리하여 여객운송 및 화물운송 등에 많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지락 또는 단락 등 전기철도 사고 발생 시 경우 경제적·사회적 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예측하기 힘든 돌발사고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장점 표정장치는 전기철도 사고 시 사고 지점을 파악하여 운영자에게 알려주는 설비로써,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상전류비 방식과 리엑턴스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마지막으로 남은 BT급전방식(원주∼제천)이 2021년에 사라지고 현재 AT급전방식으로 변경되어 운영되므로 흡상전류비 방식의 고장점표정 오차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여러 가지 사례를 분석한 결과 그 정확성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흡상전류비 방식의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 강제지락시험과 인공지락시험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타 사업의 실제 사용 중인 사례를 들어 고장점 표정장치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고장점 표정장치 정확도 향상 노력은 사고의 신속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므로 전기철도의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자동 유량-수질 모니터링시스템을 이용한 도시 소하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pper basin of Gwanpyoung stream has not yet fully developed and a proper management plan of water quality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 develop prediction models for water flow and quality, ii) establish a good development plan using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ies, and iii) provide a baseline dataset for the development in Gwanpyoung stream, Daejeon. An automated water flow and quality monitoring system, which is located in the Donghwaul bridge, was used for the date collection. The Donghwaul bridge was selected because it is located between early developed area and undeveloped area in the watershed. The automatic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rainfall gage, ultra sound water level meter, water quality sensors and automatic water sampler for further laboratory analysi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or laboratory analysis of BOD, COD, TN, TP, SS pollutant concentration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used for the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Flow rate and water quality data was obtained by using automatic monitoring system and field measurement. Among 3 rainfall events, one event was used for calibration and the others were used for verification. While flow modeling showed good agreement for all events, water quality modeling resul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agreements. Scenarios (i.e., scenario A) were developed to analyze a flow patterns when the upper basin of Gwanpyoung stream has increasing impervious area.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nd maximum water flows increased about 2.5 to 3.5 and 2.7 to 3.0 times when compared to before (i.e., undeveloped), respectively. Also it showed decreasing infiltration rate and increasing evaporation rate. A runoff rate was increased about 5 to 10 times and about 12 to 19 % of runoff rate was increased when increasing 10 % of impervious area. Scenarios (i.e., scenario B) were develop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ID technologies. Results showed decreased average flows of 1.7 % for street planter, 4.1 % for Rain barrel, 10.0 % for green roof, 20.6 % for Porous pavement when the upper basin has increasing LID areas. Also the result showed about 39.0 % of decreased average flow when all four methods were applied at the same time. Comparisons of the pollutant loadings showed the lowest loading when Porous pavement method was applied. 27.64 % for SS, 32.73 % for BOD, 31.98 % for COD, 29.09 % for T-N, 45.30 % for T-P of loadings were decreased when all four methods we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future development upstream Gwanpyoung stream development before and after the changes in the water balance of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design of efficient use of LID techniques are expected to be possible.

      • 문학 번역수업모형 적용을 통한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력 향상 연구

        한양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literary-text-translation approach to improve English vocabulary and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to present implications that the literature translation approach offers for English education. The literary-text-translation approa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method, which does not consider contexts or situations. Thus it gives language learners chances to experience communicative skills between source language and target language through process of matching the closest equivalence between two different languages in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literary tex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n experimental group of 29 students and a controlled group of 30 students of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Hearts and Hands written by O. Henry was used as the literary text for this study. For ten period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classes on translating the English literary text into Korean according to the literary text translation class mode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or this study. For ten periods, the controlled group took communicative approach classes on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model used by Carter & Long(1991). Both of the groups took the same vocabulary test one week after the classes were over,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test. The vocabulary in the post-test was all from the literary text and they were used in three types of questions. Eight questions were choosing the best vocabulary word for the blank in sentences selected from the literary text. Eight other questions were choosing the best vocabulary word for the blank in new, unfamiliar sentences. Finally, nine questions were choosing the expressions that had the closest meaning of the vocabulary word in the sentences selected from the literary text. The results of the first two types of questions showed that the literary translation approach influenced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improve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t a level of p<.001. The result of the last type of ques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inferred that the questions with expressions of vocabulary might work as another variable to affect the result. The learners’ reflections on the translation-based approach model also shows that the students focused on vocabulary consciously while translating the literary text and this helped them to grasp the sensitive meaning of vocabulary. Learners reported that they had used their own translation strategy choosing 'the Korean expressions equivalent to the source text', and 'the best vocabulary and the registers for the given context such as culture, tim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or their ages.’ Learners also reported that they had taken every nuances of the words as well as literal meanings into consideration. These made it possible to infer that translation-based approach model may have affect the improvement of learners’ vocabulary, including vocabulary sensitivity. In addition, the reflection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translation-based approach model may influenc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ing discourse competence, by allowing learners to consider ‘register’ or ‘style’ corresponding to the contexts or situations. In conclusion, the literary-text-translation approach positively influenced improv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Moreover, this approach led learners to experience communicative skills between the source language, English, and the target language, Korean, and this will help English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hances to practice discourse competence such as ‘register’ or ‘style.’ 본 논문은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어휘력 향상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문학작품 번역이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 작품 번역 활동은 탈문맥적이고 탈상황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문법-번역식 교수방법과 달리 문학작품에 담긴 상황과 문맥 속에서 두 언어 사이의 가장 비슷한 등가를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원천언어와 번역 언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기능적 영어 학습 활동을 의미한다. 외국어 고등학교 1학년 중국어 전공 학생 29명을 실험반으로, 30명을 비교반으로 하여 O. Henry 의 Hearts and Hands 를 수업에 투입하였다. 실험반에서는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문학 수업 모형에 따라 10차시의 문학 작품 번역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반에서는 Carter와 Long(1991)이 문학 수업 모델로써 사례연구에서 사용한 수업모형을 활용한 10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각 반에서 10차시 수업이 끝나고 일주일 후에 어휘력 평가를 실시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의 결과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어휘력 평가의 대상이 되는 어휘는 모두 문학 작품 속에서 발췌하였다. 어휘력 평가 문항 유형은 문학 작품 속에서 발췌한 문장을 그대로 문맥으로 제시하고 빈 곳에 가장 알맞은 어휘를 고르는 문항 8개와 새로운 문장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문맥을 제시하고 빈 곳에 가장 알맞은 어휘를 고르는 문항 8개, 문학작품 속에서 발췌한 문장을 제시하고 평가 대상 어휘에 밑줄을 긋고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갖는 표현을 고르도록 하는 문항 9개로 구성되어 있다. 어휘력 평가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문학 작품 속 문맥을 제시한 유형과 새로운 문맥을 제시한 유형 모두에서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 문학 번역 수업이 고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갖는 표현을 고르도록 하는 문항 유형에서는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는데, 이는 문학 작품에서 다른 어휘의 의미 이외에 비슷한 뜻을 갖는 다른 표현들을 알고 있는가 하는 또 다른 변인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학습자 반응을 통해, 문학 번역 수업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어휘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게 해줄 뿐 아니라 어휘를 의식적으로 다루게 함으로써 새로운 어휘를 장기 기억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또한 상황과 문맥에 따라 다른 '말투'와 '존칭법'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화 능력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학 번역 수업이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학습자들이 원천언어와 번역언어 사이의 의사소통 기능을 경험하게 되면서 '말투'와 '존칭법'과 같은 담화능력을 연습할 기회를 갖게 되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 학교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도덕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양희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학교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도덕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 발달단계가 전인습 수준에서 인습 수준으로 가는 과도기에 해당되는 청소년들의 자주 접하게 되는 학교의 심리적 환경인 또래집단과 교사의 반응과 관련된 효과들을 분석하였다. 질문지는 6가지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교내 봉사 이상의 징계 경험 유무(비행청소년과 정상청소년), 학교의 소재지(시지역과 읍·면지역), 그리고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이 도덕성 판단을 할 때, 또래집단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도덕성 판단에 있어 또래집단은 학교내 봉사 이상의 징계 경험 유무나 학교의 소재지,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두고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또한 칭찬과 야단과 같은 교사의 반응 역시 청소년의 도덕성 판단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교사의 반응도 청소년들의 도덕성 판단에 있어서 비행청소년과 정상청소년 간의 영향력 차이와, 학교 소재지에 따른 영향력 차이, 그리고 성별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은 징계경험 유무나 학교소재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도덕성 판단시에 학교의 심리적 환경으로 주어지는 교사의 반응과 또래집단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을 통해 보다 좋은 학교의 심리적 환경은 청소년들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더욱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some effects that psychological environments at high schools can have on the moral judgement of juveniles. For this work, effects were analyzed which were related to the gang and the teacher's reaction as psychological environments at schools that juveniles, who are on the stage from the pre-convention step to the convention step, easily can be in. The stories of the questionnaire are consisted of six kinds, and the information was gathered with the questionnaire, under the categories of regions(downtown, countryside), sex(male, female) and school-punishment experiences(ordinary juveniles, juveniles delinqu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they judge morality, juveniles ge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 gang. But there is nothing significant according to regions, sex and school-punishment experiences, when juveniles judge morality. In addition, the teacher's reactions such as compliment and scolding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juveniles' moral judgement. But when juveniles judge morality,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dinary juveniles and juvenile delinquents, between juveniles in downtown and in countryside. Consequently, juveniles are influenced by the gang and the teacher's reaction which are given as psychological environments at school in judging moralit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thesis tell us that the moral stage of juveniles can be developed when the better psychological environments at school are given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