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壬辰倭亂 직전의 국내정세와 韓日關係

        한문종(Han Moon-J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6세기는 士林들이 중앙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東西分黨이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地方場市가 발달하고 대외무역도 활발하게 행하여졌다. 그러나 농장의 확대로 농민층이 몰락하고 貢納ㆍ軍役制의 폐단으로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졌다. 게다가 삼포왜란 이후 왜구의 침입이 급증하면서 조선의 사회는 인심이 흉흉하고 나라의 기강이 해이해졌다. 또한 군역제의 동요가 나타나면서 국방체제의 근간인 鎭管體制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국왕사를 사칭한 위사는 일본의 혼란한 국내사정과 조선정부의 일본에 대한 정보부족 그리고 일본국왕사에 대한 우대 등을 배경으로 1470년부터 나타났으며, 삼포왜란을 전후하여 변질되었다. 삼포왜란 이전의 위사는 막부장군의 측근이나 일본본토의 호족들이 주로 파견하였다. 그러나 삼포왜란 이후에는 대마도주가 조선과의 통교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사를 파견하였다. 그 결과 국왕사를 사칭한 僞使가 급증하였다. 三浦倭亂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여 備邊司를 설치하고 군사제도를 制勝方略 體制로 개편하는 한편 板屋船을 건조하는 등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직전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무능한 守令을 교체하고 경상ㆍ전라도의 성곽을 수축하기도 하였으나 형식적인 면에 그쳤고, 이는 오히려 백성들의 원망만 샀다. 임진왜란 초기 일본의 침입에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하고 官軍이 일본군에게 패배한 요인은, 정치ㆍ사회ㆍ경제적인 변화로 인한 민심의 이반과 국가기강의 해이, 일본의 국내정세에 대한 정보의 부족, 조선군의 전술과 무기가 일본군에 비해 부족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의병의 활동과 이순신을 중심으로 한수군의 승리 그리고 새로운 무기와 전술의 개발 등을 통해서 초전의 패배를 극복하고 일본군을 물리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Choson's domestic situ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Wae-Ran. It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stor envoys who falsely presented themselves as those of Japanese “King”, the true identities of these fraudulent ambassadors, and the defensive system of Choson governmen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army of Choson was fatally defeated by Japanese army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Wae-Ran.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 Waeran, the livelihood of the peasantry in Choson was getting worse, owing to the expansion of large estates. And they were getting poor, owing to the inefficient systems of the tribute tax and the military service. Moreover, because the raids of Japanese pirate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Sam-Po-Wae-Ran, Choson's people felt fear of them and Chonson's society became more and more unstable. The garrison command system, which was the basis of the national defence, was also shaken because the military service system of Choson did not work efficiently. In this kind of situation, Choson government couldn't be ready to keep off any attack of Japan in spite of predicting Japanese invasion. To sum up, the social unstability of Chonso was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he regular troops of Choson suffered a severe defe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e-Ran.

      • KCI등재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한일관계사연구』(1~58)에 수록된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성과와 특징을 정리하였다. 먼저 고려후기 한일관계사는 왜구 문제가 주요한 연구 주제였다. 그러나 아직도 이 주제에 대해서는 한일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있다. 한편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과 상호인식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었다. 따라서 고려후기 한일관계사 연구는 앞으로 왜구의 주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좁히고, 연구주제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는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행하여 졌다. 이 때문에 다른 시기에 비해 연구가 많지 않았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특징은 李藝와 金誠一등 외교 인물과 해동제국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러나 조일간의 무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하여지 않았으며, 제도사적인 면에 치우친 한계가 있었다. 倭人의 統制와 接待, 向化・受職・受圖書倭人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행하여졌다. 그러나 주로 한국 측의 자료만을 가지고 연구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삼포왜란 이후의 한일관계는 임진왜란의 발발 배경과 通交違反者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를 연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일 학자 간에 견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동 연구가 필요하며, 양국의 사료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연구의 시각을 동아시아 세계로 확대하고, 女眞・琉球등 주변의 여러 나라와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일관계 특징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Japan relations studies from the late Kor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Korea-Japan Historical Review” (vol. 1 to 58)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late Koryo period, Japanese pirates was a major research topic. But,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among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on this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udy on the Japanese conquest of the Mongol Yuan and Koryo Allied Forces and their mutual perception. Therefore, the study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Koryo dynasty needs to narrow the gap of perception of the identity of Japanese pirates and to diversify the subjects of the study. Next, the study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Because of thi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compared to other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n Korea-Japan relations of this period are that the research on diplomatic characters such as Lee Yeh and Kim Sung Il and the book entitled “Haedongjegukgi” we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ven that has been limited to institutional aspects. The issue of controlling and hosting Japanese, naturalized Japanese problems, and the grant of government posts and books to Japanese have been studied so far.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studying mainly data from the Korean sid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fter the Japanese riots at three ports in 1510 is a very important topic for studying the backgroun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violators of friendly relation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 In order to revitalize Korea-Japan affiliate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many researchers can study various sub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opin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joint research is necessary and objectivity of research should be enhanc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ata of both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 Japan relations more clearly by expanding the viewpoint of research into the East Asian world and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urchen and Ryukyu island.

      • KCI등재

        조선초기의 向化倭人과 李藝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8 No.-

        본고는 조선시대 한일관계에서 특이한 존재인 向化倭人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유형 및 정치?사회?경제적 대우, 그리고 향화왜인과 이예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조선초기 향화왜인의 발생배경은 조선의 왜구대책과 토지나 식량의 부족으로 인한 생활고 때문이었다. 특히 조선초기의 향화왜인은 투항한 왜구가 많았다. 이는 조선의 왜구대책에 따라 왜구가 평화적인 통교자로 변질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 후 향화왜인은 대마도주의 사신, 표류인을 송환한 자, 倭僧, 三浦 恒居倭人 등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전기 향화왜인은 항왜, 구류왜인과 포로, 스스로 향화하거나 도망쳐 온 자, 송환된 피로인을 따라 온 자, 왜승, 대마도주의 사송왜인, 삼포항거왜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초기 향화왜인 중에는 왜구로 투항하여 조선의 관직을 제수받은 자들이 많았다. 그 중 일부는 대마도로 돌아가서 후에 통교자로서 도항하였다. 이는 이후 일본에 거주하는 왜인에게 관직을 제수하는 배경이 되었다. 향화왜인에 대한 조선의 사회?경제적 조치는 관직의 제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조선에서는 관직을 제수받지 못한 향화왜인을 각 지방에 분치하여 식량과 토지, 의복, 집 등을 하사하였다. 그리고 그들이 조선에 정착할 수 있도록 일정기간 동안 田租, 賦役, 軍役을 면제해주었다. 반면에 관직을 제수받은 향화왜인에게는 관직에 상응하는 祿俸과 衣服, 집, 노비 등을 지급하였다. 또한 이들 중의 일부에게는 姓名과 貫鄕을 하사하였다. 한편, 『성종실록』 6년 6월 신사조에 李從實에 대해 그를 향화왜인 이예의 아들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이예가 향화왜인이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유일한 기록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이예가 활동하던 시기의 기록과 그의 졸기 등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오히려 조선초기 한일관계에서 이예의 역할이 매우 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Japanese naturalized to the early Choson dynasty. What was the background for the naturalization? Which types of the naturalized Japanese were there? How were they treated in the political and social and economic aspect? Was Lee Ye really one of the naturalized Japanese? Those questions will be discussed. The naturalization of the Japanese in early Choson occurred from some counter plans of the government for Japanese pirates or their hard living such as the shortage of land and foods. Especially there were many surrendered pirates among the naturalized Japanese in the early times. This reflects the transition from the pirates to the peaceful negotiators according to the counter plans of Choson. Afterwards Japanese naturalization was expanded to the envoys from Tsushima, officials to dispatch drifters, monks and the Japanese residing in the three ports. The types of the naturalized Japanese in the early Choson dynasty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of the surrendered, the detained, captives, the naturalized of one’s own accord, fugitives, escorts to dispatch drifters, monks, envoys from Tsushima, and the Japanese residing in the three ports. Some of them were pirates and, after surrendering, even gained the posts in the Choson government. And some people returned to Tsushima, and crossed the sea again as the negotiators. This became a beginning for appointing the men residing in Japan to the government. The hospitality to the naturalized Japanese was different in the social and economic respect according to whether they got the posts from the government or not. Those who didn’t get the posts were scattered into various districts, and received food, land, clothes, and houses. And they were exempted, for the settlement, from land taxes, compulsory labor, and military service during a certain period. On the other hand, those who got the posts received stipends, clothes, houses and slaves in proportion to their posts. Some of them even got their own names and clans. And Songjong Annals records Lee Jongsil as a son of Lee Ye, one of the naturalized Japanese. But this is false because any other documents could not be found about it, and even his obituary in the annals did not narrate such an important matter. In my view, the record reveals that Lee Ye played a great part for the relations between Choson and Japan in the early stage.

      • KCI등재

        조선전기 왜관의 설치와 기능

        한문종(Han Moon-J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본 연구에서는 조선전기 왜관의 설치배경과 변천과정, 직제, 기능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倭寇問題는 조선초기 대일외교의 주요한 현안이었다. 이 때문에 조선에서는 건국초부터 다양한 왜구대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409년을 전후하여 왜구의 침입은 크게 줄어든반면 通交倭人이 점차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는 조선정부의 치안상의 혼란과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통교왜인을 통제하고 접대하는 장소인 客館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는 東平館을, 지방의 三浦에는 浦所倭館을 설치하였다. 동평관은 1409년 한성의 남부 樂善坊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통교왜인은 상경하여 동평관에 머물렀다. 그러나 통교왜인의 上京道路가 임진왜란 때 침략루트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조선후기에는 이들의 상경을 금지하였다. 따라서 上京倭人의 숙소였던 동평관도 더 이상 쓸모가 없게 되었고, 1617년경에는 건물이 없어지고 빈터만 남게 되었다. 한편 포소왜관의 설치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대체로 1418년부터 1423년 사이로 추정된다. 이 포소왜관은 조일관계의 전개과정에 따라 폐쇄와 복설을 반복하였지만 1547년 丁未約條이후부터는 부산포왜관 한 곳만이 임진왜란 때까지 유지되었다. 조선전기의 왜관은 통교왜인의 숙박과 연향접대의 장소로서, 교역의 장소로서, 외교교섭의 장소로서, 왜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관리 감독하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결과 조선전기의양국관계는몇 차례의변란으로 중단되기도했지만 다른 시기보다도 활발하고 우호적으로 유지될 수 있었으며, 그 배경에는 왜관이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changing process,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Waegwan. Because the issue of Waegwan had been a pending problem in Japanese diplomacy of Chosun Dynasty, the Dynasty had applied a various measures to deal with Japanese raiders from the early times. The result of the measures increased Japanese merchant while decreasing Japanese raiders from 1409, but this consequence also increased financial burden and security disorder of the government of the Dynasty. That was why the government decided to establish Waegwans to receive and control the Japanese merchant: Dong Pyung Gwan in Seoul and Po So Waegwan in three local harbors. Dong Pyung Gwan was first established at Naksun-Bang in southern Seoul in 1409 to receive Japanese traders coming Seoul. But after the Imgin War(Japanese invasion of Chosun in 1592) the government decided to close the road to Seoul for Japanese traders because they used it to invade the country. Dong Pyung Gwan had been no longer used for Japanese traders; the building was ruined in 1617. For Po So Waegwans, there have been arguments on the time of building of the institution, but it is believed that it was built between 1418 and 1423. These Po So Waegwans was closed and reopened on and 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relations of two countries and after the agreement of Jung-Mi of 1547 only Pusan Po Waegwan was kept until Imgin War. Waegwans in the early times had various functions: accommodations, trading, diplomacy, and controlling access to the country for Japanese traders. Waegwan contributed to active and stable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in the early times through these func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倭人接待規定과 朝日關係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4 No.-

        조선초기부터 다양한 왜구대책을 실시한 결과 태종 9년을 전후하여 왜구의 침입은 감소한 반면 통교왜인은 증가하였다. 조선에서는 통교자의 증가에 따른 치안?경제상의 부담과 왜구문제에 대한 자신감, 일본의 국내 정세에 대한 지식의 확대 등을 배경으로 조선에서는 서계?도서?문인 등의 왜인통제책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통교왜인이 포소에 도착한 이후부터 일본으로 돌아갈 때까지의 왜인접대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왜인접대규정은 세종 20년(1438)부터 세종 25년(1443)까지의 시기에 집중적으로 정비되었다. 이 시기는 조선이 대마도와 문인제도, 계해약조를 정약한 시기이다. 특히 문인제도와 계해약조는 조선의 강력한 왜인통체책이 되었으며, 대마도를 조선의 외교질서 속에 편입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같이 왜인접대규정은 왜인통제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정비되었다. 그 후 왜인접대규정은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이나 미비점을 보완하여 성종초에 제도적으로 완비되었다. 그 결과 왜인접대규정은 『해동제국기』의 「조빙응접기」에 집대성되어 왜인접대 시에 典範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왜인접대규정을 강력한 시행하여 재정적 부담을 줄이려는 조선정부의 의도와 조선으로부터 많은 미두를 지급받고, 무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왜인들의 의도가 부딪치면서 결국 삼포왜란이 일어났다. 그 후 양국관계는 단절과 회복이 반복되면서 점차 쇠퇴해갔다. 그러나 왜인 접대규정에 관한 논의는 계속되었으며, 접대규정의 많은 항목은 조선후기까지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왜인접대규정은 왜인통제책과 더불어 양국의 외교관계를 지속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한일관계사에서 가지는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Choson government have carried out a variety of policies to check Japanese Pirates from the early period of National Foundation. As a result of that, Japanese traders increased greatly whereas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decreased around the 9th year of King Taejong" reign. Bu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Japanese traders, the new problems such as the public security and the adverse current of trades occurred. So Chonson government began to revise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treatment for Japanese trader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ovisions were mainly revised from the 20th year of King Sejong" reign to the 25th year of the King. In the same period Choson also made Munin System and concluded Gyehae treaty with Japan. These two systems contributed to control Japanese thoroughly and to incorporate Tsushima into the foreign order of Choson. The provisions of treatment for Japanese were completed in the early period of King Seongjong by supplementing defects as they revealed some problems in the process of enforcement. Since then, the provisions were included in the Chobingeungjeopgi of Haedongjegukgi and became a typical model of the treatment of Japanese. Chons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economize expenditure carrying out the provisions of treatment to Japanese thoroughly whereas Japanese wanted to maximize profits in trades with Choson. Interests between two countries were at last clashed and Sampowaeran broke out as a result of that. After that, the relations of two were getting worse while repeating severance and recovery of diplomatic relations. In spite of that, two countries did not give up discussions about the provisions completely and so many articles of the provisions were maintained until the late Choson. In short, the significance of the provisions lies in that they have worked as a main factor to keep up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on and Japanese in the first half period of Choson.

      • KCI등재

        도심 근교형 실버타운의 주거공간 내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현황 연구

        한문종(Mun Jong Han),남경숙(Kyung Sook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최근 우리나라는 급속히 고령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현상을 고려하여 노인을 위한 새로운 실버산업인 실버타운이 주목 받고 있으며 또한 높은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고령 사회를 대비하여 도심 근교형 실버타운 내 주거공간에서 구체적으로 구현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홈서비스 적용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도심 근교형 실버타운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최근 3년내 개원한 수도권 내 위치한 도심 근교형 실버타운 3곳을 선정하고 현장방문 하여 담당자 인터뷰와 사진촬영 및 관련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유비쿼터스 홈서비스에 대해 공통적으로 언급된 편리한, 행복한, 건강한, 안전한 서비스 4가지 항목을 도출하여 주거공간 내 홈서비스 적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실버타운 3곳을 조사 분석 종합한 결과는 주거 공간 내 유형별로 서로 비슷한 서비스항목이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건강한 서비스 항목이 많았다. 상대적으로 편리한 서비스와 행복한 서비스에 해당되는 항목이 적게 나타나 미래적 도심 근교형 실버타운 계획에 있어서는 행복한, 편리한 서비스 항목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 할 것이다. As Korea recently entered the aged society, the aging population causes serious social problems. New silver industry, silver town for old people receives the attention, considering such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accordingly desires for welfare services are getting divers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Ubiquitous Home Service application status which is being specifically implemented in a residential area in urban suburban type silver town to prepare for aging society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that urban suburban type silver town should go forward. This study selected three downtown and suburban type silver towns that are located in capital areas and opened in recent three years, visited the site, and collected data through the interview, photo-shooting, and related homepages. In addition, it derived four items of convenient, happy, healthy, safe services commonly mentioned about ubiquitous home service by grasping the concept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analyzing precedent studies and analyzed the application of home service in residential space. As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reviewing and analyzing three silver towns, there are similar types of services in residential space and mostly are healthy services, On the other hand, convenient service and happy service are only a few so more study and development of convenient services are required for the plan of futuristic and downtown and suburban type silver towns.

      • KCI등재

        조선초기 尹仁甫의 대일 교섭 활동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70 No.-

        윤인보의 생몰년과 가계 등은 자료상의 한계 때문에 자세하게 알 수 없다. 다만 그는 고려말 조선초기에 역관가문에서 태어나 세조 초까지 왜통사로 활동하였으며, 활동 근거지는 경상도 김해 인근이었다. 그의 아버지와 동생 윤인시도 왜통사였다. 윤인보는 세종대에 5회에 걸쳐 대일 사행의 통사 또는 부사로 일본에 다녀왔다. 윤인보의 대일 교섭 활동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사역원에서 자제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도록 건의하여 왜통사를 양성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조선의 국왕과 일본 사신들 사이에서 통역을 담당하고, 사행을 통하여 조선과 일본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그는 중국과 일본의 造船 기술 도입을 주장하였으며, 칡뿌리와 고사리를 구황식품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건의하는 등 일본의 문물도입에도 적극적이었다. 넷째, 그는 왜구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건의하고, 양국 간의 외교 현안 및 왜인 범죄자에 대한 처리문제에 대한 자문 역할을 담당하였다. 다섯째, 그는 조정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의 구입을 담당하고, 물건 값의 조정에도 관여하였다. 여섯째, 그는 일본 사행 중에 사신의 접대와 숙박 장소, 국왕과 주변 세력과의 관계, 九州와 대마도의 호족에 대한 정보를 정탐하여 보고하였다. 이처럼 윤인보는 조선초기 특히 세종대에 조선과 일본 간의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지속하는데 기여한 전문 외교관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윤인보가 대일외교에서 많은 활약을 할 수 있었던 배경은 사행을 통해서 얻은 일본에 대한 지식과 일본 지방 세력과의 인적 네트워크 때문이었다. 또한 그가 수차례 삭탈관직을 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거듭해서 사면과 복권을 해줌으로써 그가 외교관으로서의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배려한 세종의 용인술도 그 배경이 되었다. The detailed history of Yun Inbo is not known because his birth and death year and family line are not available. We only know that he was born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and worked as a Japanese interpreter until the early days of Sejo’s reign, and mostly lived near Gimhae, Gyeongsang-do. And he was born into a family of interpreters, and his father and younger brother were also Japanese interpreters. Yun Inbo went to Japan as a interpreter or deputy royal emissary of the Japanese envoy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Yun In-bo"s negotiation activities with Japa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laid the foundation for training Korean Japanese interpreters by suggesting that the ministries teach Japanese to children. Second, he was in charge of interpreting between the king of Joseon and the envoys of Japan, and he went to Japan five times as an interpreter and played a lot of role in maintain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ird, he insisted on the introduction of shipbuilding technology from China and Japan, and was also active in the introduction of civilizations, such as suggesting ways to use arrowroot and bracken as foodstuffs for relief of the famished. Fourth, he suggested various measure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plundering of Japanese pirates, and played an advisory role on diplomatic issues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the handling of Japanese criminals. Fifth, he was in charge of purchasing the goods required by the government and was also involved in the adjustment of the goods price. Finally, during his stay in Japan, he spied and reported information on the hospitality and lodging place of the envoy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surrounding forces, and the powerful families of Kyushu and Tsushima. From this perspective, Yun Inbo can be assessed as a professional diplomat who contributed to maintaining friendly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especially during the reign of Sejong. Yoon In-bo was able to play a major role in diplomacy with Japan, thanks to his knowledge of Japan and his network with local powers. In addition, Sejong"s technique of recruiting talents, who repeatedly pardoned and reinstated him even though he had been cut off several times, worked positively in enabling him to demonstrate his outstanding ability as a diplom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