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동원시기 친일유림의 한시에 드러난 전쟁협력 논리 - 『성전성시집(聖戰誠詩集)』과 『축징병제실시(祝徵兵制實施)』를 중심으로 -

        한길로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5 No.-

        본고는 일제가 일으킨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친일유림단체의 전쟁협력 논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이 남긴 한시(漢詩) 속 시어들 사이에 내재되어 있는 협력논리와 그 근거에 대해 살피고 동원된 문학적 수사에 주목하는 것이다. 만주사변 이후 ‘전쟁총동원시기’에 발간 된 친일 유림단체의 ‘한시집(漢詩集)’으로는, ‘폭지응징(暴支膺懲)’을 외치며 일제가 일으킨 중일전쟁을 미화하기 위해 ‘경학원(經學院)’에서 발간한『성전성시집(聖戰誠詩集)』(1937)과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한 징병제를 환영하는 내용의 조선유도연합회(朝鮮儒道聯合會)의『축징병제실시(祝徵兵制實施)』(1943)가 있다. 위 시집들은 한문학을 통해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력하고 찬양하는 유림들의 내적 논리와 자발적 협력의지를 잘 드러내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작품들은 대개 한시(漢詩)라는 형식미를 활용하여 문학적 특성을 드러내기 보다는 압축된 내용으로 일제의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더욱 주력하고 있었다. 그 속에는 일제가 주창한 ‘내선일체(內鮮一體)’ ·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 정책을 수용한 그들의 논리가 잘 드러나 있다. 제한된 독자층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이들의 창작행위는 한자의 권위를 빌려 일제에 자신의 신념을 보이기 위한 친일의 도구이자 친일유림의 내부결속을 위한 기제이기도 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국문으로 작성된 문학작품들과 함께 ‘친일문학’의 범주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동아시아 한문학의 한 조류로서 대만이나 중국의 친일문학 작품들과의 비교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Researched support war of aggression in Chinese poetry and Cooperation logic of the pro-Japanese confucianist. The『Sungjonsungsijip(聖戰誠詩集』is a Chinese poem collection which is written by the members of Gyeonghakwon to praise the Sino-Japanese War that occurred in 1937 by the Japanese, and『Chukjingbyungjaesilsi(祝徵兵制實施)』is a poem collection which has messages of the welcoming of the draft system enforced by Japan to mobilize army of Koreans to fight in the 1943 Asia Pacific War.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East Asia and wars expressed in these poems are looked at, and from it, how the pro-Japanese confucianists supported and followed Japan and what their ideas were when they promoted these ideas against the people of Korea will be studied, as well as the notion of East Asia in the huge war of these groups. Through this, the personal meaning of pro-Japanese Chinese literatures in the long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that started from the united Silla era will be questioned, and the assignment related to them for the present people will be drawn.

      • KCI등재

        일제 말 구(舊)지식인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추도시 연구- 『춘무공삼십년기추도시집(春畝公卅年忌追悼詩集)』(1938)을 중심으로 -

        한길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3

        A memory of Itou Hirobumi is restructured in earnest with 20th anniversary of his death in1929. In other words, he was lightened as ‘a hero’ who died tragically in dedicating to a peace for Japan and Joseon not to a collapse of Korean Empire and an instigator of the invasion to Joseon. In 1932, as “Bakmun temple” was built, the remembrance of him began to take shape. This place was reformed as the sights for paying respect with ‘Joseon Shrine․Japanese shinto shrine’. In 1938, when Wartime-mobilization began, reaching 30th anniversary of Itou'sdeath, the group of (pro-Japanese) former intellectuals who was a contemporary of Itou commemorated his death and wrote poems about praising his charitable deeds with Japanese and offered it to the dead. The first book of memorial poems on which Japanese and former intellectuals of Joseon, a colony, ‘collaborated’ was born after Itou's death. This book of poetry is derived from Itou's poems that expressed “Being concerned about the country and being devoted to the king(憂國忠君)” and it contains 80 poems that 49 Japanese and 31 people of Joseon wrote. The average age of people of Joseon was 65.5 so they were considered as elders as a generation in the period of empire of Korea. In other words, the Japanese Empire established the legitimacy by lightening Itou through “words” from the generation who directly experienced Itou. They who still used Chinese letter as a written language(文語) left poems that Itou's time was comparable to Tang-Song(唐宋) Period when civil administration was frequent or Itou was praised as the hero of the day through Sino-Korean poetry. They are elders who were born with the baptism of the tradition of Josen Dynasty and lived from the Residency-General to the collapse of the Japanese Empire and also typical former intellectuals of the time who had conformed to the colonial power. Such a point of these are ‘expressed’ in their poetry as well. Their poetry that reached the twilight ‘the official writers and artists of colony who were born as a literary man of Joseon’ speaks the one aspect of ‘the crumpled portrait’ of former intellectuals who had lived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and ‘Chinese literature that lost its identity’ seized by a colonial power. 1929년, 그의 죽음 20년을 계기로 조선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에 대한 ‘기억’은 본격적으로 재구축 되었다. 대한제국 멸망과 조선침략의 ‘원흉’이 아니라 일본과 조선의 화평을 위해 헌신하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영웅’적 인물로 현창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1932년 “박문사”가 완공됨에 따라 그에 대한 추모 분위기가 더욱 고조되었는데 이후 이곳은 ‘조선신궁․경성신사’와 함께 참배 명소로 거듭나기도 했다. 그리고 전시동원체제가 시작된 1938년, 이토 사후 30년 기일을 맞아 함께 그의 시대를 함께 살아간 조선의 (협력적) 구지식인 집단은 일본인과 함께 그의 죽음을 다시금 추모하는 동시에 그의 공덕을 찬양하는 시를 작성해 박문사 영전에 올린다. 이토 사후, 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 ‘합작’한 최초의 추모시집이 탄생한 것이다. 위 시들은 “우국충군(憂國忠君)”의 뜻을 피력한 이토의 시를 차운한 것으로 시집에는 일본인 49명과 조선인 31명이 작성한 93수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당시 이곳에 시를 수록한 조선인들의 평균연령은 65.5세로, 사실상 이들은 당대의 ‘원로’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즉 원로급 조선인 유력자․한학자․종교가 등을 이토 추모 행사에 동참시킴으로써 내지인뿐만 아니라 식민지인 역시 그에 대한 추모의지를 갖고 있음을 ‘전시’하려 했던 것이다. 과거처럼, 여전히 한자를 ‘제 1문어(文語)’를 활용하던 그들은 한시를 통해 이토의 시대를 문치(文治)가 빈빈(彬彬)했던 과거 당송(唐宋) 시대와 비견하거나 그를 일세의 영웅으로 칭송하는 시를 남겼다. 이들은 조선조 전통의 세례를 받고 태어나 통감부를 거쳐 일제 패망까지 살아간 원로이면서 식민권력에 순응해 온 당대의 전형적인 구지식인이라 평할 수 있는데 그들의 시 역시 이러한 점을 여실히 ‘표출’하고 있었다. 즉 식민지 공간에서 ‘기성의 언어이자 기득권의 문예’였던 한시가 차지하고 있는 한 지점, 다시 말하면 한시를 통해 일제와 그 주변의 권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어 전개되고 있던 식민지시기 한시 창작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계 이승희(韓溪 李承熙)의 재만(在滿) 시기 한시 고찰

        한길로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5 No.-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poetry of Lee Seung-hee, who died in Bongcheon, China in 1916 after choosing a voyage to Vladivostok in 1908.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tate the main phase of Chinese poetry created during the period of residence in Manchuria (1908-1916), and examine the inner side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moved to Manchuria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poem, his feelings and anguish at the time, when he had to live a hard life as if drifting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Manchuria for about nine years, were clearly expressed. In his Chinese poems in northern Manchuria, the sorrow for his homeland and his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acquaintances, including his family, were relatively clear. The works of the period when he moved to Bongcheon, Nammanju in 1913 expressed his deep camaraderie and solidarity toward his comrades, and his willingness to overcome reality. In short, his poetry shows well the life and inner side of the Korean Confucian scholars living in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who moved abroad to overcome the difficult reality, carried out their beliefs, and struggled to solve the national task. This is a characteristic aspect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in the modern period, and the works evoke a deeper introspection on the lives and literature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living in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본고는 1908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로 도해(渡海)를 택한 뒤 1916년 중국 봉천에서 생을 마감한 한계 이승희의 한시를 고찰하는 논문이다. 특히 재만(在滿) 시기(1908∼1916)에 창작된 한시의 주요 국면을 살피며 20세기 초 만주로 이주한 한인 유림의 내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시에는 약 9년이라는 시간동안 북만주와 남만주 사이를 표류하듯 살아가야 했던 그의 당시 심정과 고뇌가 역력히 표출되어 있었다. 북만주에서의 한시에는 고국을 향한 애수와 가족을 포함한 고향 및 지인들에 대한 그리움이 비교적 선명히 드러났다. 1913년 남만주 봉천 일대로 몸을 옮긴 시기의 작품에는 동지들을 향한 진한 동지애와 연대의지, 또한 현실에 대한 극복의지 등이 십분 피력되어 있었다. 요컨대 그의 시는 국내의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고자 해외로 몸을 옮겨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고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투하던, 이 시기 재만 한인 유림들의 삶과 그 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근대기 한문학의 특징적 국면으로, 작품들은 만주라는 새로운 문학공간에서 창작된 한시의 특성들을 여실히 드러내며 이 시기 재만 한인 유림들의 삶과 문학에 대한 보다 깊은 성찰을 환기시키고 있다.

      • KCI등재

        근대 홍콩을 향한 진암 이병헌의 시선과 공간 인식 고찰– 『중화유기(中華遊記)』를 중심으로

        한길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8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의 현실과 유도의 쇠퇴를 근심 가득한 시선으로 지켜보던 진암 이병헌은 직접 해외로 몸을 옮겨 그곳의 실정을 정확히 관찰하고, 또 유교 복원의 방도를 찾아 현실 개선에 일조하고자 했다. 이에 그는 1914년 1월 중국으로 떠나 압록강을 건넜다. 그의 발길은 ‘안동-봉천-북경-곡부-상해-항주’에 이어 홍콩까지 도달했다. 그곳에 도착한 이병헌은 자신을 포함한 근대기 지식인에게 상당한 지적 자극을 준 강유위(康有爲)를 직접 찾아가 그와의 대면에 성공하였다. 이 기간 총 4차례에 걸쳐 강유위를 만났던 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무더운 홍콩 이곳저곳을 연신 누비며 그곳의 도시 면모를 세밀하게 관찰했다. 홍콩에 오기 전 그에게 이곳은 ‘해적들의 늪’ 정도로 인지되었다. 하지만 미려한 자연 풍광과 어우러진 서구 기술문명과 제도의 실질을 본 그는 서구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에서 벗어나 현실을 직시하고 보다 유연한 태도로 이를 살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게 된다. 또한 그는 홍콩은 이제 영국인과 중국인만이 살고 있는 장소가 아니라는 사실도 발견했다. 그리하여 홍콩은 이주 한인들의 안정과 정착을 염원하게 만드는 장소로 다가왔다. 요컨대 이병헌에게 홍콩은 자신이 구상하던 개혁 방향의 연장선 위에서 스스로의 개혁 의지를 뒷받침 해주는 중요한 공간적 근거로 인지되었고 또 이주 한인들의 평온한 삶과 공존을 기대하는 새로운 터전으로 각인되었다. 즉, 『중화유기』 속 홍콩 관련 기록은 근대 홍콩의 풍경을 상세히 담고 있으면서도 통상적인 구지식인에게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이병헌의 개방ㆍ개혁적 면모와 유연한 시각이 선명히 표출되어 있는 유의미한 한문 기행문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도암 정돈섭(陶庵 丁敦燮)의 삶과 시 세계 고찰- 중국 이주 전후를 중심으로 -

        한길로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6

        Doam Jeong-Donseop, a native of Yeongju, Yeongnam, is a modern Confucian intellectual who has been living in the provinces to avoid the colonial reality and has tried to "practise" the Confucian spirit throughout his life. Around 1910, he was saddened by the reality of his country and chose to move frequently, and in 1914 he moved to China to jo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Movements of Confucian Religionization. He moved to China three times in all, and at the time of his last migration in 1941, he was 72 years old. And he died there. His poem strongly reflects the spirit and will of his life. The main emotions of literary works were passion for learning, longing for home country, and willingness to intransigent resistance. In short, through his life and Chinese poetry, it is possible to know the inner anguish of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e modern era who chose to move abroad. It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try written by Koreans in the modern period and the way Confucian intellectuals respond to the reality. 경북 영주 출신의 도암 정돈섭(陶庵 丁敦燮, 1870∼1941)은 과거 공자가 언급한 이른바 ‘피세(避世)와 피지(避地)’를 식민지 시기의 처세 준칙으로 삼고, 이를 종신토록 ‘실천’하는데 진력한 근세 유학자였다. 그의 삶의 지향과 실천 의지를 가장 명확히 보여주는 실례는 역시 ‘중국’으로의 이주였다. 그는 1910년을 전후로 난세를 피해 두문불출하다 1914년 중국으로 이주했지만 기대했던 성과 없이 귀국하게 된다. 2차 이주 이후 재차 국내로 돌아온 1917년부터, 그는 세상과 거리를 둔 채 간혹 기행을 하며 현실의 고뇌와 회한을 토로했다. 72세의 노구를 이끌고 감행된 1941년의 마지막 중국행은, 19세기 이래로 중국으로 향했던 수많은 유자가 보여준 의리 정신의 계승이자 종국적 면모를 담고 있었다. 이러한 그의 삶의 지향은 그의 한시에도 십분 반영되었다. 그의 한시에는 ‘학문에 대한 열정’과 식민지가 된 ‘고국의 현실에 대한 비탄’의 정서가 주를 이루면서도, ‘이민자의 애환과 고국에 대한 향수’ 역시 절실히 녹아 있었다. 즉 식민지 시기 지방 유림의 복잡다단한 내면과 난세의 현실과 일절 타협하지 않고자 했던 지사(志士)의 자의식이 기저에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그의 삶과 한시는 해외 이주를 경험했던 근대기 전통지식인의 내적 고뇌와 일제에 대한 ‘비타협의 의지’를 담고 있어, 근대기 유림의 현실대응과 한시의 존재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장석영의 러시아 체험을 통해 본 근대기 중화 사상의 일면

        한길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용봉인문논총 Vol.- No.60

        회당 장석영의 『요좌기행』은 한문으로 작성된 20세기 북만주 및 러시아 기행문으로, 당대 유림의 대외인식과 현지의 실정을 매우 잘 담고 있는 유의미한 기록이자 한국 한문학의 영토를 넓힌 문학 작품이다. 당시 62세의 노유였던 그는 1912년 음력 1월, 맹동의 추위를 뚫고 만주와 러시아로향하여 약 100여 일 동안 15,000리를 돌아본다. 이민족의 지배를 피하고 유도의 회복을 위해 새로운 이거지를 모색하려던 그는 북만주를 넘어 지금의 극동 러시아까지 당도했다. 그곳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한 러시아의 문화와 재러 한인들의 삶은 그에게 대단히 큰 인상을 남겼다. 기차에서 만난 러시아 순검을 통해 ‘인(仁)’의 보편성을 확인하기도 했지만 러시아 문화는 그에게 상당한 당혹감을 주며, 결코 수용할 수 없는 이질감을 갖게 했다. 또한 ‘한인 독립운동 단체의 분열과 갈등·러시아 정교회를 긍정하고 이를 받아들인 한인 사회, 또한 정처 없이 각지를 떠도는 한인 청년들의 모습과 유교 전통이 붕괴’되는 한인 사회의 실황은 그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결국 정통 성리학자였던 그에게, 러시아에 산다는 것은 곧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은 채 “아호(俄胡)”가 되는 것으로 각인된다. 즉 직접 해외로 떠날 수 있었던 근대 유림 장석영에게 과거의 구제(舊制)와 중화의 전통은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자기 정체성’이 되면서 반드시 보수해야 할스스로의 유산이자 전통이라는 것이 한층 확고해진 국면을 보였다. Hoedang Jang Seok-young’s 『Yojoagihaeng』, is the travel record of the 20th century to North Manchuria and Russia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is is a significant record of the external perception and local situation of Confucian intellectuals, and a literary work that expanded the territor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s a 62-year-old man at the time, he traveled 5,890km in a period of about 100 days to Manchuria and Russia in January 1912. The purpose of the trip was to leave Korea and move to a new place, but Russian culture and the lives of Korean residents in the Far East shocked him greatly. This i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Russian culture and Confucian traditions, and the lives of Koreans were also assimilated into Russia. He was also very disappointed by the division and conflict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Eventually, he judged that Russia was not a new place of life, and that their culture was collided with Korean traditions. In other words, the Sinocentrism inside him was being further strengthened. Sinocentrism was recognized as an internal tradition, not an external one, and his perception later led to the Confucius religious movement.

      • KCI등재

        일제 말 『매일신보』 소재 신년 현상 한시 연구 - 칙제(勅題)를 중심으로 -

        한길로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5 No.-

        본고는 신춘문예와 맥락을 같이하며 유지된 “신년현상한시”에 주목하며 전시체제기 한시 창작의 특징적 면모를 분석해 보았다. 당시 이른바 ‘민족말살정책’이 강행된 시대적 상황은 ‘신년현상한시’에도 짙은 흔적을 남기고 있었는데, 일제는 신년 궁중행사인 ‘우타카이 하지메(歌会始)’ 시행에 앞서 제시되는 ‘칙제(勅題)’를 『매일신보』의 신년 시제로 제시하며 조선인의 동참을 유도했다. 즉 조선인의 한시 창작 전통과 일본의 신년 행사를 결합하여 조선인 역시 일본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칙제라는 ‘천황의 성지(聖旨)’를 수용하도록 구조화하며 황민화를 조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기획에는 대략 1000여 명이 넘는 인원들이 참여할 정도로 비교적 성황리에 진행되기도 했는데 지방의 하급관리나 유림 출신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 이들 작품들은 지배층․저명인사․문단작가들에 한정되지 않은 일제의 전방위적인 ‘총동원’의 흔적과 동시에 그것에 대응하며 살아간 각 지역 보수 엘리트 인물들의 ‘식민지적 대응’을 반영한다 할 수 있다. 즉 일제는 ‘구체제적 인사’들을 체제 속으로 편입시키는 하나의 방편으로 이들이 여전히 향유하고 있는 문예물인 ‘한시’를 하나의 고리로 활용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작성된 시들은 전시이데올로기를 ‘유교적 에토스’로 수용하고 있었고 전통적 ‘천하관’을 견지하며 ‘일본 신민’의 입장에서 세계를 주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들 작품은 ‘봉공과 멸사’를 의무화하고 ‘만세일계(萬世一系)’라는 신화를 주입하려던 일제의 전시이데올로기와 근대기 한문맥의 왜곡된 결합 양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text of Times when so-called ‘genocide policy’ is enforced left a heavy trace and the Japanese Empire induced Koreans’ participation proposing ‘chikje(勅題)’ as a subject for a poem, which is suggested before ‘Utakai Hajime(歌会始)’, an event in Royal Court in New Year, is started. In short, they combined Koreans’ tradition in cre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Japanese New Year’s event and aggravated Imperial Citizen Forming structuralizing Koreans in order to accept ‘a shrine of the Japanese emperor’, chikje(勅題), in the identical way with Japanese. Roughly more than 1,000 of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and it went successfully. Most ‘winners’’ backgrounds were not identified and some identified ones were minor officials in the provinces or from Confucians. In other words, these people constituted creating class of Sino-Korean Poetry in the late Japanese Empire and they took charge of ‘pro-Japanese’ Sino-Korean Poetry at this time. As a link, the Japanese Empire utilized Sino-Korean Poetry, a Literary Works that is still enjoyed as an instrument to make famous figures or writers‘ ‘words’ but also unknown ‘specific figures’ who are not well-known but work on all social standings include in a system. Poetry written in this background embraced the war time ideology as ‘the emotion of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and watched the world from a point of view of Japanese by sticking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In conclusion, these works directly show the skewed aspect of combination of the war time ideology and the context in Chinese letter in Modern times, which required ‘a public duty and devotion for the country’ and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one's country indoctrinated the mythology, ‘Manseilgye(萬世一系)’.

      • KCI등재

        근대 한⋅중 문인의 필담에 나타난 ‘중화민국과 유도(儒道)’ 인식의 일면 -서천 조정규의 「여이육여필담(與李毓如筆談)」을 중심으로-

        한길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 No.83

        갑신정변 이후 이른바 ‘조선중화주의’의 상징과도 같았던 대보단에서의제사가 폐지되었고, 1910년 대한제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러한미증유의 혼란 속에서 이상향과 같았던 ‘중화’의 땅 중국으로 월경(越境) 하는 유림계 인사들이 속속 출현하게 된다. 영남 함안 유림 서천 조정규역시 난세를 피하고 유자로서의 이상을 고수 및 계승하고자 중국 서간도일대로 이주를 도모하였고, 1913년 4월 직접 60세의 노구를 이끌고 국경을 넘었다. 서간도를 거쳐 북경에 당도한 그는 그곳에서 화인(華人), 즉한족 문인 이종예를 만나 필담을 나누게 된다. 두 사람의 필담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과 유도’의 향방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지만 그들의 문제의식은 접점을 찾기 어려운 국면을 보였다. 조정규에게 소위 ‘중화’는 중국을 이루는 핵심이념이자 근간이었기에 중화민국은 마땅히 유도의 도통을 이은 ‘명(明)’의 문명 체계를 계승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이종예에게 중화를 상징하는 명은 이미 ‘과거’의 것이었고, 유학이란사실상 ‘져버린’ 이상(理想)으로 귀결되었다. 조정규의 기대와는 달리 이종예는 혁명 이후의 중국에는 더 이상 ‘명(明)⋅‘한족(漢族)⋅유도(儒道)⋅ 구제(舊制)’와 같은 전통적 관념이 실행될 여지가 없음을 대단히 직설적으로 설파했다. 이에 조정규는 자신만이라도 중화가 회복되는 그날을 기다리겠다는 신념을 표출하며 그들의 필담은 종료되었다. 요컨대 본 필담은 중화사상을 견지하고 있던 지방의 노유(老儒)가 신해혁명 이후 변화하고 있는 ‘중화 없는 중국’의 현실을 직접 확인한 뒤의 소회와 내적 변화, 그리고 이를 지켜보는 중국 문인의 반응을 잘 보여주고 있다. After the Gapsin Coup (1884), the memorial service held at Taebodan (大 報壇, Altar of Great Gratitude), a symbol of ‘Sinocentrism’ in the Joseon dynasty, was abolished. and in 1910, the Korean Empire was colonized by Japan. Since then, an increasing number of Confucian intellectuals migrated to China, which was an utopia and the center of civilization for them. Seocheon Jo Jeonggyu (西川 趙貞奎), a Neo-Confucian scholar in the Yeongnam region, considered moving to the West-Gando area of China to avoid unprecedented turbulence and inherit his beliefs. Having arrived at Beijing via West-Gando, he met Yi Jongye (李鍾豫), a Han Chinese (漢族) literary figure, and exchanged ‘conversation in writing’ on the topic of the future of Confucianism and the Republic of China, but differed in their perspectives. Jo Junggyu was in a position that these should be inherited until the end, and Yi Jongye argued that they were already the relics of the past. Yi Jongye opposed Jo Junggyu’s claim for the return of the Ming Dynasty, the ‘Han Chinese, Confucianism, and the old system. Jo Junggyu was a little disappointed, but he did not give up his argumen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in opinions along with the exchanges between moder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In particular, the complex emotions and perceptions of reality of Korean Confucian intellectuals who traveled to modern China will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