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등영어 교육과 Phonics 중심 교수법 : 의사소통중심 교수법과의 비교 연구

        하재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phonics-based teaching method is more helpful to Korean students than the communicative approach teaching method in learning English at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experiment I designed, I divided into two groups the 3rd and 4th graders who can't write alphabets correctly and haven't studied phonics before. In the experiment, one group was taught phonics for about two months with the phonics-based teaching method. The other group was taught phonics for the same period with the communicative approach teaching method. Twelve weeks later the group taught with the phonics-based teaching method showed remarkable developments in acquiring alphabets and basic phonics. The experiment is taken to show that the phonics approach helps children learn alphabets and phonics better and have greater confidence in speaking English. In specific, phonics is of great help in learning English by relating to alphabets the pronunciations arranged in phonics. Since sounds and alphabets have close ties in learning English, phonics has some merits. It saves time and efforts in learning words, especially ones in the second language. It also enables children to decode alphabets by themselves. With the current English curriculum we can't achieve the purpose which is possible with the phonics-based teaching method. More studies are needed on the teaching of phonics to elementary students, and more experimental subjects are desirable to draw a more convincing conclusion. However, studies in teaching phonics will be helpful for the effective way of teaching English. So we should develop the phonics program which will enhance children's motivation and interest, and apply phonics to other teaching methods.

      • 국공립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하재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보육교사의 행복감의 중요성과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변인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일-삶의 균형이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주제인 직무환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일-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동료와의 관계와 복지환경으로 확인되었다. 동료와의 관계와 복지환경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와의 관계와 복지환경이 좋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일-삶 균형에 미치는 독립변수로 복지환경과 운영 및 의사결정이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삶 균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로 나타나 일-삶 균형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주제인 일-삶 균형이 직무환경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에 3단계 검증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과의 관계의 경우 1단계에서 일-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2단계에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원장과의 관계는 행복감과 일-삶 균형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동료와의 관계의 경우 1단계에서 일-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2단계에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일-삶 균형은 동료와의 관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복지환경의 경우 1단계에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2단계에서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3단계에서 복지환경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복지환경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일-삶 균형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사 전문성 지원은 1단계에서 일-삶 균형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고 2단계에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원장과의 관계는 행복감과 일-삶 균형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운영 및 의사결정의 경우 1단계에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2단계에서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삶 균형은 운영 및 의사결정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쓰기의 형태적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하재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가 서면으로 제공하는 피드백 유형 중 하나인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숙달도가 각기 다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의 형태적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메타언어적 피드백의 효과적인 제공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피드백과 관련된 수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학습자에게 제2언어 습득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 능력의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메타언어적 피드백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숙달도가 각기 다른 중국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63명을 대상으로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학습자 쓰기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동일 주제의 쓰기 과제를 총 4번을 수행하고 교사에게 제출한 다음 메타언어적 피드백을 받았다. 그 결과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메타언어적 피드백 이후 오류율 감소나 변화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급 학습자 집단의 경우 제1 차~제4차 쓰기 과정 동안 오류율 감소 등의 변화가 발견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이 통계상 유의미한 변화라고 할 만큼의 오류율 감소 양상 발현으로 이어지지는 않아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초급 학습자 전체의 형태 오류율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하지만 중·고급 학습자 집단의 경우 실험 전후 전체 형태적 오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형태적 정확성을 향상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류 유형별 오류율 변화를 살펴봤을 때 중급 학습자 집단의 경우 문법 오류율과 어휘 오류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급 집단의 경우 문법 오류율의 감소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쓰기의 정확성 변화를 비교한 결과 중급 학습자 집단의 오류 감소율이 고급 학습자 집단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형태 오류의 감소 폭 또한 고급 학습자 집단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메타언어적 피드백은 학습자의 숙달도 변인에 따라 학습자 쓰기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달리하고 있으며, 특히 중고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드백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 가운데 숙달도 변인에 따라 메타언어적 피드백이 학습자 쓰기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교실 상황에서 숙달도가 다른 학습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피드백으로서의 메타언어적 피드백 활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유의미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eta-linguistic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in writing affects the accuracy of the writing of Chinese Korean learners with different degrees of proficiency and to examine the effect direction of meta-linguistic feedback. Numerous previous studies on feedback have demonstrated that meta-linguistic feedback not on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ut also improves learners' learning abilities. However, research on meta-linguistic feedback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Deliberately addressing this issue,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effect of meta-linguistic feedback on the accuracy of the writing of 63 Chinese Korean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who lear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completed a total of four writing tasks on the same topic, submitted them to the teacher, and then received meta-linguistic feedback.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hanges in the error rate after providing meta-linguistic feedback were inconsistent among learners with different levels of proficiency. For the beginner group, although there were slight changes in the individual error rates after receiving meta-linguistic feedback,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verage value was not observ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meta-linguistic feedback had a significant improving effect on the error rate of the beginner group. However, in the cases of the intermediate group and advanced group, the changes in the rate of errors in form after the experi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meta-linguistic feedback improved the writing accuracy of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hen looking at the error rate changes by error type, both grammar and vocabulary error rates decreas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in the intermediate group, while in the advanced group, only the reduction in grammar error r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advanced group, the decreases in error rate and form errors in the intermediate group were more pronounced.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shows that meta-linguistic feedback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learner writing accuracy and the effect of meta-linguistic feedback on improving writing accuracy is closely related to learners proficiency. Among the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this article i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a-linguistic feedback on the writing accuracy of learners with different proficiency, and the results can guide the efforts to provide feedback for students with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in real teaching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here would help improve second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ave reference value for future studies on feedback.

      • 특허권 공유로 발생하는 법적 쟁점 및 법제적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하재희 충남대학교 특허법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Jointly owned patent rights occur by various causes including succession of partial patent rights, interest assignment and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In Korea,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iled by joint owne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for the last 10 years due to proactive joint development or research among universities,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in the aspect of reducing research expense and development period, complementing technical cooperation, and extracting valuable intellectual property like patent. Nevertheless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joint patentees in relation to exercising jointly owned patent rights and difficulties in exercising their patent rights due to imperfect legislative basis or different legislative scope between countries in cooperation have caused big barriers in activating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in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w, each joint owner can freely exercise the patented inven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but cannot transfer his/her share, establish a pledge, or grant exclusive and non-exclusive license to a third party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The Patent Law regulates if an adjudication request with respect to jointly owned patent is made by a joint owner, it shall be made by the names of all the joint patent owners. However it doesn’t prescribe whether each joint owner can file an infringement law suit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In this thesis, disputing points concerning the exercise of patent rights by joint owners and the limitations thereof are studied in detail through examining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views of academic field and precedents, comparing with corresponding regulations of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U. S. A., Japan, China, Germany, France and Great Britain. It is noteworthy that regulations of U.S.A, China and France permit each joint owner to grant a non-exclusive license to a third party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In addition, the law of China, France and Germany provides that profit obtained by granting a license shall be shared between joint owners. The Patent Act of France provides that each joint owner can file a patent infringement law suit asserting a jointly owned patent, independently of the other patent owners while in U.S.A and China, it is provided by the law or precedents that all of the joint owners should be the litigant parties to a patent infringement law suit. Related academic sectors presented diverse opinions and suggested legal alternatives on the disputing points above including profit sharing and litigants of the infringement suit with respect to jointly owned patent rights. This thesis also proposes the amendment directions of the regulations at issue as discussed above, based on the problems shown in the related cases and merits and demerits associated with the suggested legal alternatives. In conclusion, the thesis emphasizes that respective legal amend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 balanced perspective after thoroughly addressing and investigating how it would affect the protection of jointly owned patent rights, the utilization of jointly owned inventions,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and the contribution to industry development.

      • 유기태양전지의 효율변화에 미치는 타이타니아 나노입자 함입효과

        하재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itania(TiO2)나노입자의 장점인 높은 전도성과 energy level을 이용하기위해 입자형태로 제조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film 형태의 TiOx는 고온에 약한 유기태양전지의 고분자 소재 때문에 sol-gel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입자형태로 도입하게 되면 원하는 만큼 결정화한 후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anatase 결정화 구조의 경우 낮은 band gap을 가져 전도도 높아 좋은 전기적 특성을 보인다. 또한 입자형태는 다양한 미세 구조로의 가공이 가능해 앞으로의 다양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유기태양전지의 고효율을 위한 tandem cell 등의 새로운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요즘 titania 나노입자를 도입한 새로운 interlayer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LbL 방식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한 뒤에 etching 과정을 통해 core를 제거하여 hollow구조의 타이타니아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유기태양전지의 기본 구조인 ITO/PEDOT:PSS/P3HT:PC61BM/Al에 타이타니아 층을 삽입하였다. 이 때 정방향과 역방향 두가지의 구조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타이타니아 입자 층은 interlayer로써 이 두가지 구조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태양전지 효율을 증가시켰다. 더욱이 타이타니아 입자 층을 UV 조사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 할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이는 더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Herzog 연구 : 자아인식을 통한 인간성의 긍정

        하재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Saul Bellow, born of Russian-Jewish parents, grew up in the slum of Montreal and Chicago. His writings reveal the conflict between moral anomie and the quest for a personal ethic. From his works, we can realize Bellow's gift for understanding and describing the acute condition of humanity. He explored the themes of alienation, loneliness, and man's bewildering quest for knowledge and spiritual discernment. In 1976, he won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Herzog is a massive accomplishment that has repeatedly been likened to Joyce's Ulysses. It remains Bellow's "biggest" book and was on the New York Times best-seller list for the entire year. Moses Herzog, a Jewish intellectual is essentially precipitated into intellectual and spiritual crisis by the failure of his marriage. He leaves his home and marriage, fails in the classroom, abandons his academic project, and undertakes a massive spiritual and intellectual housekeeping via the production of dozens of letters to God, the long dead, the recent dead, and the living. At the end of it, however, through his process of discovering his identity and self awareness, he has had a profound education in the realities of human nature, and rediscovered the value of nature and solitude on his Ludeyville estate. Both he and the estate seem to be reverting to some less pretentious earlier natural condition. After being in constant motion physically and mentally for the most part of the novel, he is finally seen at rest in a hammock, contemplating the night sky. He finds that he has much reasons to content with his life. Bellow reveals his vision of the possibility of human greatness and refuses to compromise with the pessimistic view on human values. He tries to represent a positive optimism toward human life. Through Herzog, He shows his belief and faith in humanity. He concludes that "the light of truth is never far away, and no human being is too negligible or corrupt to come into it."

      • 만다라 미술치료가 ADHD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하재희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 ADHD child it verified the effect where the mandala fine arts treatment goes mad to the quality decrease of the ADHD child in the object and it did to sleep. The research object―10 children― who is selected in K class of the J and put in the ADHD-4 evaluation marks. 2 people where the score is high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research object is proper or not, executed 『K-WISC Ⅲ-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 When it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 which it sees with afterwords it is same. First, the carelessness score dictionary score example i piece diminished from A child 2 phase, from 3 phases 1 piece, from 4 phases 2 pieces, from 5 phases 1 piece, from 6 phases 10 pieces, 2 pieces were diminished from 7 phases. 7 phases when the dictionary and comparing at time after death prosecuting attorney score, 11 pieces diminished. Most the phase which has a change diminished after 3, 6 phased advancing and after 7 phased advancing each 7 pieces. Also 2 - 3 phased scores of the B child with the dictionary in same 4 phases 2 pieces, in 2 5 phases from and 6 - 7 phases it was identical at 0 phases from. 7 phases when comparing from the dictionary - the time after death prosecuting attorney, 5 pieces diminished. The A child the A, above B child all 5 to diminish whole diminished 6 pieces the B child than compared to. Consequently the mandala fine arts treatment is an effect to carelessness decrease. Second, excessive conduct the score was identical with a dictionary score from 2 phases of the A child, from 3 phases 1 piece, from 4 phases 1 piece, 2 pieces diminished from 5 phases, from 6 phases 0 pieces, 3 pieces were diminished from 7 phases. When from approximately, 7 phases comparing 7 pieces diminished. Most the phase which has a change diminished 3, in 7 phases. Also the B child 2 - 3 phased scores same as before's scores, 1 piece diminished in 4 phases, 5 phases were same, 1 piece diminished in 7 phases, and 0 piece diminished in 6 phases. When 7 phases former score and comparing at time after prosecuting attorney score, 2 pieces diminished. The A, above B child all 2 it diminished whole. Consequently the mandala fine arts treatment is an effect to impulse characteristic decrease. The score was identical with a former score, diminished 1 piece in 3 phases, 2 piece in 5 phases, 0 piece in 6 phases, and 3 piece in 7 phase. 7 phases when before score comparing at after score, 7 pieces diminished. Most the phase which has a change diminished is 7. Also the B child 2 - 3 phased scores with the former score, 1 piece diminished in 4 phases, 5 phases were identical, 1 piece diminished in 6 phases, and 0 piece diminished in 7 phases. When the former score comparing at the after score, 2 pieces diminished. The A, above B child all 2 it diminished whole. Consequently the mandala fine arts treatment is an effect to impulse characteristic decrease. Approximately the fourth, ADHD result are careless, the excessive conduct and impulse characteristic previously and after score all came to be low. Specially the A child who is that grade diminished the B child compared to compared to. With this with same result the mandala fine arts treatment is an effect to the ADHD child. There is a place effect where conclusion the mandala fine arts treatment diminishes the quality of the ADHD child to seem. The ADHD the score car of the evaluation marks scale -4th petal previously compared to diminished in after and is careless, excessive conduct, it divided an impulse characteristic and when the effect which goes mad it saw, the A and B child all carelessness above 5, the excessive conduct diminished above 8, impulse characteristic above 2. The fact that it diminishes most is excessive conduct and the A child who is 3 grades diminished 5 grade B children compared to compared to plentifully.

      • 우울과 스트레스 관련 투사적 그림검사에 대한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하재희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on projective drawing tests related to depression and stress, and examined the effect sizes of studies focusing on projective drawing test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tress. To achieve this, we collected 69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86 theses published from 2000 to February 2023.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on the 31 papers that were finally select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to calculat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for the selected papers, and the effect size of the study was calculated using the CMA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 amining trends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films was found to be 57 from 2011 to 2015, and the PITR (or DAPR) picture inspe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popular from 2016 to 2020. In terms of trends by research subject,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adults, and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80 subjects ranged from 100 to less than 200 individuals (55 case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the most frequent group consisted of the general population without disabilities or environmental influences (94 cases). Regarding trend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actively conducted with 146 studies. The BDI depression test was the most commonly used objective test tool to measure depression, with 45 cases, while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an objective test tool, which was used in 21 cases. Descriptive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 with 113 cases, and studies utilizing agreement between raters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with 120 cases. Among the agreements between raters, correlation analysis was the most common, with 66 cases, and the use of 3 raters was the most prevalent, with 71 cases. Second, upon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the projective picture test related to depression and stress, the average effect siz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ers studying projection drawing tests and clinical sites where the test tool is used.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rojective drawing test as a testing tool for measuring depression and stress, and presented evidence that it can be helpful in the balanced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the projective drawing test. 본 연구는 우울과 스트레스 관련 투사적 그림검사에 대한 연구들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우울과 스트레스 관련 투사적 그림검사에 관한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 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69편과 학위 논문 86편을 수집하여 연구동향을 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선정된 31편을 메타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선정된 논문을 대상으로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CM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가 지닌 효과 크기를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동향에서는 2011년에서 2015년까지 57편으로 가장 많은편수가 나타났고 2016년에서 2020년까지는 PITR(또는 DAPR)그림검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 동향에서는 성인을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 수는 100명 이상~200명 미만이 55건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 특성별은 장애나 환경의 영향이 없는 일반군이 94건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146편으로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고,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 검사도구로는 BDI 우울검사를 45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 검사도구는 직무스트레스 검사가 21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계방법은 기술분석이 113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채점자 간 일치도를 사용한 연구가 120건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채점자 간 일치도는 상관분석이 6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정자 수는 3인이 71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과 스트레스 관련 투사적 그림검사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평균 효과크기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투사적 그림검사를 연구하는 연구자와 검사도구가 사용되는 임상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우울과 스트레스 관련 투사적 그림검사가 이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투사적 그림검사의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1930년대 유성기 음반 드라마 연구

        하재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실린 드라마 작품들의 기법적인 특성과 미학적인 성과를 밝히고, 그동안 소설이나 연극, 영화와 같은 다른 서사 혹은 드라마 매체에 비해 그 의의가 평가 절하되었던 유성기 음반 드라마의 고유한 가치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유성기 음반 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대개 ‘저급한 오락’ 또는 ‘고급한 예술’이라는 이분법적 기준이나, 근대기에 소개되었다는 신매체적인 특성, 또는 유성기 음반에 실려 있는 음악·영화 자료를 보완하는 데 연구 범위가 국한되어 왔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적인 한계를 벗어나,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실려 있는 드라마가 나름의 특성과 미학을 가지고 당대의 대중 문화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그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자 한다. 유성기 음반은 1899년 처음에 조선에 소개된 이후, 1920년대를 거쳐 점차 근대 조선 사람들의 대중오락 수단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대개 이러한 유성기 음반의 가치를 ‘대중성’과 ‘통속성’, 또는 ‘모던함’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충격을 표현한 수단이라고만 한정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유성기 음반에 실린 드라마는 매체적인 특징만으로 한정해서 살필 것이 아니라, 텍스트를 중심으로 하여 주로 나타나는 특성과 미학을 분석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만이 1930년대라는 특수한 시대에, 특히 유성기 음반이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를 위해서, 먼저 1930년대라는 특정한 시기에 주목한다. 대중문화를 형성하는 가장 첫 번째 조건은 물질인데, 이때 물질은 이제까지 물건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는 의미를 뛰어넘어 감각적으로 새로움을 선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라디오, 축음기, 영사기 등이 그런 것들인데, 이런 물건들은 신문물과 신과학의 상징으로 등장하여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두 번째 조건은 조직으로, 유희와 오락, 감각에 대한 대규모의 조직적인 이벤트인 ‘구경거리’들은 집단적인 의식과 유행을 만들어낸다. 세 번째 조건은 대중매체이다. 매체를 통해 한꺼번에 전달되는 미디어의 패러다임이 존재할 때 대중문화도 존재하여, 방송국과 신문사, 잡지사 등 물질과 조직을 통해 형성된 정보 의식과 감각들을 재조직하여 전면적으로 확산시킨다. 이러한 조건 하에, 1930년대 경성의 도시 공간에서 대중문화는 관객들의 취향과 상호 이윤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특히 음반 문화의 경우, 음반이라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대상이 어떻게 변모하고 운동해 나갔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당대 대중들이 대중문화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만들어 나갔는지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즉 유성기 음반 드라마를 통해 볼 수 있는 1930년대 대중문화의 양상에는 수용자들의 역동적인 다양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며, 본고는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드라마를 중심으로 이 역동성을 보다 정치하게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를 살피기 위해 먼저 유성기 음반 드라마의 구성 방식에 주목한다. 유성기 음반 드라마 작품 중의 하나인 『눈물 젖은 자장가』는 음악을 배경에 깔고 두 인물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드라마를 전개시킨다. 이때 작품의 상편에서 인물 중 한 명인 ‘영애’의 발화 방식은 좁게는 다른 인물 ‘한호’에 대한 호소이자 넓게는 청취자를 끊임없이 의식하는 발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편에서는 과감하게 ‘방백’이라는 기법을 투입하여 인물의 감정을 두드러지게 호소한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기타 작품에서도 빈번하게 쓰이는데, 이는 생산자들이 독자적으로 작품을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청취자들이 지속적으로 작품의 결과물에 영향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즉 청취자들이 수동적으로 유성기 음반에 실린 드라마를 청취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들의 기호를 적극적으로 반영시킨 결과가 작품의 유형화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청취 환경의 변화와도 연관하여 설명될 수 있다. 원래 1930년대 초반까지 유성기는 모던한 가정생활을 위한 호화스러운 물품으로 취급되어 왔지만, 1930년대 이후 유성기 음반을 듣는 행위는 약장수의 행상 수단이나 잔치에서 흥을 돋우기 위한 행위, 사교 행위의 일환 등으로 그 성격이 변모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청취 환경의 변화는 유성기 음반 드라마의 레퍼토리 구성과도 무관하지 않다. 유성기 음반에 실린 드라마들은 그만의 고유함을 가지고 창작된 작품들도 있지만, 기존의 서사를 발췌하여 녹음된 것들도 적지 않다. 기존의 서사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경우는 음악적으로 새로운 요소를 삽입하거나 과감한 구성을 통해 각색함으로써 신선함을 꾀했으며, 바로 전시기(前時期)에 인기는 끌었으나 비교적 수입된 지 오래 되지 않은 작품들은 인물과 구성 방식에 전형성을 부여하여 작품에 대한 집중도를 높인다. 인물이나 드라마의 전형성은 유성기 음반 드라마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모성애』와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는 각각 ‘박해받는 어머니’와 ‘아동’, ‘애려한 화류계 여성’을 등장시키는 한편, 음악성을 부각시키는 기법을 통해 멜로드라마적인 감성을 본격적으로 강조한다. 이러한 전형성과 멜로 드라마적 속성은, 당시 청취자로 하여금 1930년대의 가장 주된 정서 중 하나였던 ‘비애’를 환기하는 결과를 낳는다. 동시에 『요절 춘향전』과 『모던 심청전』은 극에 희극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경직된 사회의 이완에서 오는 ‘웃음’이라는 미학을 채택하는 전략을 취한다. 이러한 전략은 익숙한 드라마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흥미를 잃을 수 있다는 한계를 보완하는 한편, 당대의 긴장된 상황을 완화시키려는 유성기 음반 드라마의 고유한 특징으로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체 간의 혼종적인 양상은 유성기 음반 드라마의 미학에서 읽을 수 있는 고유한 특징 중 하나이다. 단순히 ‘새로운 매체’라는 점만으로는 유성기 음반의 기법적 특징이나 미학을 살피기가 어렵다. 본고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성기 음반 드라마가 영화나 신문과 같은 타 매체와 혼종되는 양상 또한 함께 살핌으로서 그 미학과 의도를 읽으려고 한다. 그 결과, 유성기 음반 드라마에서 상호 매체성은 가십에 대한 대중의 욕망에 절합된다. 신문 지상에 올랐던 실제 사건을 유성기 음반 속 드라마로 극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대중의 욕망은 곧 가십에 대한 대중의 욕망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기생 강명화』와 『명우의 애화』를 들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청취자들은 가십에 대한 자신들의 욕망을 충족하는 하는 한편, ‘오락’을 공유하는 공동체로서의 결속을 강화하여 유성기 음반 드라마만의 새로운 이야기 방식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새로운 이야기 방식은 영화 『아리랑』의 후일담 격인 유성기 음반 드라마 『아리랑』에 잘 나타난다. 원작과는 달리 유성기 음반 드라마 『아리랑』은 실향민이 되는 아픔과 형제를 잃은 아픔, 망국에서 오는 아픔을 또다시 겪으며 광인이 되는 과정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영진이 다시 광인이 되는 결말은 영화 『아리랑』과 수미상관적인 구성임을 나타내며, 이외에도 드라마 『아리랑』변사와 음악, 등장인물들의 담화와 대화 등 유성기 음반이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청각적인 기호를 쓰고 있는 작품이다. 『풍운아』또한 『아리랑』과 같은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변사 김영환을 중심으로, 당시 유행하였던 무성 영화의 드라마 전개 방식을 채택하는 한편 음악이라는 청각 기호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몇 마디의 음악 소절을 활용하여 청자의 마음속에 극적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이 작품을 영화관에서 채 접하지 못했던 청취자들 또한 작품 안으로 포섭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타 매체를 통해 이미 이야기를 알고 있는 청취자와 그렇지 않은 청취자 모두를 공략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이해된다. 유성기 음반은 소리를 ‘저장’할 수 있는 측면에서 다른 매체와는 분명히 구별될 수밖에 없는 매체이다. 유성기 음반은 이러한 매체적 특성에 착안하여, 그동안 영화관이나 극장, 소설과 같은 대중오락 매체에서조차 소회되어 왔던 대중을 최대한 포섭하려 하는데 주력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포섭의 결과는 1930년대, 일상이 ‘축제화’되던 당대의 시대상, 즉 대중이 굳이 도심 속 축제의 공간에 나아가지 않고도 집 안에서, 혹은 장터나 마을 속과 같은 일상적인 경험 속에서 ‘예술’을 공유하였다는 점에서 1930년대 대중오락의 지평을 넓혔다고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