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허권 공유로 발생하는 법적 쟁점 및 법제적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47622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충남대학교 특허법무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46.04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Legal issues from jointly owned patent rights and recommendations on legislative alternatives

      • 형태사항

        vi, 105 p.;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동준
        참고문헌: p. 99-101

      • 소장기관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intly owned patent rights occur by various causes including succession of partial patent rights, interest assignment and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In Korea,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iled by joint owne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for...

      Jointly owned patent rights occur by various causes including succession of partial patent rights, interest assignment and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In Korea,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iled by joint owner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for the last 10 years due to proactive joint development or research among universities,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in the aspect of reducing research expense and development period, complementing technical cooperation, and extracting valuable intellectual property like patent. Nevertheless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joint patentees in relation to exercising jointly owned patent rights and difficulties in exercising their patent rights due to imperfect legislative basis or different legislative scope between countries in cooperation have caused big barriers in activating joint research or development in national or international level. According to Korean Patent Law, each joint owner can freely exercise the patented inven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but cannot transfer his/her share, establish a pledge, or grant exclusive and non-exclusive license to a third party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The Patent Law regulates if an adjudication request with respect to jointly owned patent is made by a joint owner, it shall be made by the names of all the joint patent owners. However it doesn’t prescribe whether each joint owner can file an infringement law suit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In this thesis, disputing points concerning the exercise of patent rights by joint owners and the limitations thereof are studied in detail through examining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views of academic field and precedents, comparing with corresponding regulations of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U. S. A., Japan, China, Germany, France and Great Britain.
      It is noteworthy that regulations of U.S.A, China and France permit each joint owner to grant a non-exclusive license to a third party without the consent of the other joint owners. In addition, the law of China, France and Germany provides that profit obtained by granting a license shall be shared between joint owners. The Patent Act of France provides that each joint owner can file a patent infringement law suit asserting a jointly owned patent, independently of the other patent owners while in U.S.A and China, it is provided by the law or precedents that all of the joint owners should be the litigant parties to a patent infringement law suit. Related academic sectors presented diverse opinions and suggested legal alternatives on the disputing points above including profit sharing and litigants of the infringement suit with respect to jointly owned patent rights. This thesis also proposes the amendment directions of the regulations at issue as discussed above, based on the problems shown in the related cases and merits and demerits associated with the suggested legal alternatives. In conclusion, the thesis emphasizes that respective legal amend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 balanced perspective after thoroughly addressing and investigating how it would affect the protection of jointly owned patent rights, the utilization of jointly owned inventions,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and the contribution to industry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제2장 특허권의 공유 6
      • 제1절 특허권 공유의 의의 6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제2장 특허권의 공유 6
      • 제1절 특허권 공유의 의의 6
      • 제2절 특허권 공유의 성립 요건 8
      • 1. 원시적 공동소유와 공동발명자 8
      • 1.1 우리나라의 관련 법리 및 판례 8
      • 1.2 외국의 관련 법리 및 판례 10
      • 2. 후발적 공동소유 12
      • 제3절 특허권 공유의 법적 성질 14
      • 1. 민법상 공동 소유 14
      • 1.1 공동소유의 형태 14
      • 1.2 공유 15
      • 1.3 합유 15
      • 1.4 총유 16
      • 2. 특허법상 공동소유 17
      • 2.1 특허법의 공유관련 규정 17
      • 2.2 특허권 공유의 법적 성질에 대한 학설 19
      • 3. 주요국의 관련 입법례 및 판례 검토 21
      • 4. 우리나라의 관련 판례 검토 및 비교 23
      • 제 4절 특허권 공유와 저작권 및 상표권 공유와의 비교 25
      • 1. 저작권법상 공유(공동 저작물) 25
      • 1.1 공동저작물, 공동저작자 및 공동저작권자의 정의 25
      • 1.2 저작권 공동소유의 법적 성질 26
      • 2. 상표법상 공유 27
      • 2.1 공동상표권의 발생과 개념 27
      • 2.2 상표권 공동소유의 법적 성질 28
      • 3. 소 결 29
      • 제3장 공유특허권의 자기실시에 관한 법적 쟁점 및 법제적 개선방향 32
      • 제1절 공유특허권의 자기실시에 관한 법적 쟁점 32
      • 제2절 우리나라의 관련 법리 34
      • 1. 자기실시의 범위에 대한 법리 34
      • 2. 실시에 따른 수익분배 관련 법리 38
      • 제3절 주요국의 관련 법리 39
      • 1. 미국의 관련 법리 39
      • 2. 일본의 관련 법리 40
      • 3. 중국의 관련 법리 40
      • 4. 독일의 관련 법리 41
      • 5. 프랑스의 관련 법리 41
      • 6. 영국의 관련 법리 42
      • 제4절 법제적 개선방향 43
      • 1. 법제적 개선방향에 대한 학계의 견해 43
      • 2. 소 결 47
      • 제4장 공유특허권의 실시권 허락 및 지분양도에 관한 법적 쟁점 및 법제적 개선방향 50
      • 제1절 공유특허권의 실시권 허락 및 지분양도에 관련 법적 쟁점 50
      • 제2절 우리나라의 관련 법리 51
      • 제3절 주요국의 관련 법리 54
      • 1. 미국의 관련 법리 54
      • 2. 일본의 관련 법리 55
      • 3. 중국의 관련 법리 56
      • 4. 독일의 관련 법리 57
      • 5. 프랑스의 관련 법리 57
      • 6. 영국의 관련 법리 59
      • 제4절 법제적 개선방향 59
      • 1. 법제적 개선방향에 대한 학계의 견해 59
      • 2. 소 결 62
      • 제 5장: 공유특허권의 심판 관련 법적 쟁점 및 법제적 개선 방향 65
      • 제1절 공유특허권의 심판과 관련한 법적 쟁점 65
      • 제2절 우리나라의 관련 법리 66
      • 1. 특허거절결정등에 대한 불복심판 관련 법리 67
      • 2. 특허등록무효심판 관련 법리 69
      • 3. 정정심판 관련 법리 70
      • 4. 권리범위 확인심판 관련 법리 71
      • 5. 소 결 72
      • 제3절 주요국의 관련 법리 72
      • 1. 미국의 관련 법리 72
      • 2. 일본의 관련 법리 75
      • 3. 중국의 관련 법리 76
      • 4. 영국의 관련 법리 77
      • 제4절 법제적 개선방향 78
      • 제6장 공유특허권의 침해 금지 및 손해 배상 청구와 관련한 법적 쟁점 및 법제적 개선방향 81
      • 제1절 공유특허권의 침해 금지 및 손해 배상 청구 관련 법적 쟁점 81
      • 제2절 우리나라의 관련 법리 82
      • 1. 고유필요적 공동 소송설 82
      • 2. 공유권자 각자 당사자 적격설 84
      • 제3절 주요국의 관련 법리 86
      • 1. 미국의 관련 법리 86
      • 2. 일본의 관련 법리 87
      • 3. 중국의 관련 법리 88
      • 4. 프랑스의 관련 법리 89
      • 제4절 법제적 개선방향 90
      • 제7장 결 어 95
      • 참고문헌 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