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овать 신조 동사의 완료상화 접두어 선택 문제: 완료상화 접두어 про-, с-, за- 연구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10 슬라브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표상용(2006-1)에서 제시한 -овать 신조 동사의 어휘 목록을 자료로 현대 노어에서 다양화하고 있는 완료상화 접두어의 선택이 동사 어간의 의미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양자 간의 상호 연관성을 통해 접두어의 의미는 공의미화(десемантизация)되는가를 밝히고 있다. 러시아어 -овать 신조 동사에서 접두어 с-, за-, про- 를 통환 완료상화 동사는 동사 어간의 의미가 접두어의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소위 말하는 “Preverbe Vide"가 구현되고 있다. 각각의 핵심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① 접두어 с- 완료상화 신조 동사는 기존 동사에 비해 동사 어간 의미와의 의미적 관계가 좀 더 규칙적인 양상을 보인다. 기존 동사에 비해 신조 동사에서 접두어 с-의 완료상화 의미 범주는 상대적으로 매우 단순하다. ② 완료상 접두어 за-의 동사 어간 원형의미(prototype)는 “덮다(закрыть)”로 간주되며 закрыть로부터 의미 수형도를 도출할 수 있다. ③ 접두어 про-는 с-, за-에 비해 좀 더 일반적인 의미의 동사 어간과 결합한다. 가장 생산적인 의미 영역은 “동사 어간의 행위를 수행하다”(провести встречу=встретить, пройти беседы=беседовать)의 유형에서 про- 접두어가 결합된다.

      • KCI등재

        러시아어 신조동사의 상 범주 연구 I - 문제의 제기 및 про-, за- 완료상화 접두어 -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06 슬라브연구 Vol.22 No.1

        러시아어 조어론에서 1950년대부터 이어져 온 논란, 즉 "순수상 접두화 동사(preverbe vide)"가 체코어와 같이 러시아어에서도 보편적인 것인가 하는 논쟁에서 대부분의 러시아 조어론자들은 접두화 과정에서 다른 의소가 부가되는 것으로 주장해 왔다. 본 논문은 신조동사의 완료상 형성 접두어 -와 -를 자료로 해서 실제 텍스트에서 부가적 의소가 발현되는가를 검정하고 있다. 그 결과 현대 노어 신조동사에서는 "preverbe vide"가 주종을 이루며 접두어는 완료상화에만 기여할 뿐 다른 행위양식이나 접두어 본연의 어휘의미에서 비롯된 파생적 의미는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또한 신조동사에서 완료상화 접두어로 기능하는 것은 이전과는 달리 -와 -, -, - 등이 생산성을 가지며 기존 연구에서 생산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던 -, -, - 등은 거의 조어 생산력을 상실한 것으로 밝히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에서 전치사: “전치사 + 명사” 구절전치사에 관한 연구

        표상용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3

        This paper studies the formation of complex prepositions and the mechanism of degree to which a noun in the phrasal preposition may be considered as grammaticalized.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grammaticalization is very active in modern Russian within prepositional system and this paper explains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by means of function and form of the phrase prepositions.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meaning change process of noun and primary prepositions and grammaticalization mechanism of noun into prepositions in the form of the phrase prepositions [primary preposition + noun] in Modern Russian. The analysis reveals that formation of phrasal prepositions are accompanied by a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noun and also examines the desemanticalisation of the core Noun and the primary preposition within the phrase preposition. The meaning change process of noun in phrasal prepositions: full lexical meaning → nominal modifier with partially emptied meaning → prepositional use with primary preposition expressing relations to the modificand. The analysis of corresponding constructions in modern Russian some nouns demonstrate more advanced in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an others, and some are still evolving. This paper approaches phrase prepositions as prepositional-nominal set expressions, grammaticalizations and analytic tendency in modern Russian. It investigates the overall prepositional-nominal set expressions system of modern Russian from a grammaticalization and analytic tendency perspective in modern Russian. It suggests that grammaticalization, lexeme formation and analytic tendency of modern Russian must be considered as a connected processes, not distinctive. In the paper we can identify the grammaticalization channels peculiar to prepositional units and enlighten the active grammaticalization process and the increasing analytic structure in the area which very significant for paying attention to considerable changes in modern Russian prepositions as a category. 현대러시아어서 구절전치사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본원전치사 +명사] 형태의 구절전치사를 의미적으로 조명한다. 언어의 보편적 현상인 문법화, 그리고 현대 러시아어의 특징인 분석적 경향에 촛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있다.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곡용체계에서 변화 양상 - 곡용 체계에서 분석적 추이 -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4

        본 논문은 곡용 체계에서 작동하고 있는 다수의 분석적 요소 가운데 명사의 격 체계에 집중해서살펴보고 있다. ① 러시아어에서 사격(косвенный падеж)의 직격(прямой падеж)으로의 대체 현상은 문장의 통사적 관계가 격 형태(падежная форма)가 아니라 다른 통사적 요인에 의해 실현된다는 것을 뜻한다. 격 표지 소멸로 오는 통사적 관계의 약화를 동어 반복과 어순으로 보완하는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② 명사의 격 체계는 원조인구어로부터 공통슬라브어로 전개되면서 점차 간소화되었다. 러시아어는 통시적으로 격 융합 추세에 보수적이다. 이 항목에서 러시아어의 경우 역사적 전개 과정을과거, 현재, 미래의 큰 틀에서 조망하면 고대러시아어 7격에서 시작하여 현재 표준러시아어에서 6격, 구어에서는 2격 체계로의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③ 격 형식 변화의 주요 항목으로 ⓐ 격 패러다임의 단순화, ⓑ 격 패러다임의 소멸, ⓒ 격 패러다임의 부재, ⓓ 사격의 주격으로의 대용, ⓔ 음운적인 요인으로 격 융합, ⓕ 격 용법의 전치사로의 대체 등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④ 격 체계와 관련되어 분석적 경향은 구어에서 훨씬 강하다. ⑤ 격 기능의 전치사로의 대체는 형태론과 통사론에 걸쳐 있다. 강지배, 약지배, 직접지배, 간접지배 등의 새로운 용어에 맞추어 분석적 구조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 있다. ⑥ 격 융합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격의 위계(hierarchy)를 들고 있으며 이는 보편성을 띠는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어의 경우 위계를 설정할 수 있으나 역사적 전개 과정이 판이하고 그 결과 현재 격 융합 추세가 다르므로 각 언어의 위계가 보편성을 띤다는 이론에 비켜나있다. ⑦ 성 범주의 변화를 분석적 추이에 맞추어 진단하고 있다. 기존 3성 체제가 약화되고 신조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가 주류를 이룸으로서 남성 명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여성지칭명사는 남성지칭명사의 형태로 발현, 남성 명사는 통성 명사로 기능하며 여성지칭접미사는 비칭접미사로 발현한다. ⑧ 본 논문은, 용어 “격 융합”은 두 경우로 분리해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각각에 대해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고 있다. 격 어미가 음운적인 원인, 외래어의 영향으로 다른 격과 합치는 현상을 “격 합치” (㉮), 격의 대용, 대체 현상으로 발단하여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격 전체가 대용되는 격 표지를 가지는 현상을 “격 이동”(㉯)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는 고대러시아어에서 ŏ어간형과 ŭ어간형이 혼합하여 ŭ어간형 소멸, 현대러시아어 구어 비강세 어미에서 발현하는 음운작용에 의한 격 어미의 합치 및 불변명사 등이 주요 항목이고 ㉯는 주격이 사격을대용하는, 구어에서의 주격 확장이 주요 항목이다: 격 융합(case syncretism)= ㉮ 격 합치(case unification) + ㉯ 격 이동 (case devolution).

      • KCI등재

        현대노어에 있어서 관계혀용사의 성질화에 對한 小考

        표상용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993 러시아연구 Vol.3 No.-

        Сегодня исследователи считают, что одной из важных тенденций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является развитие категории качвественности и пополнение разряда качественных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Настоящая работа посвящена исследованию процесса и механизла окачествления относительных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по семантике. В качестве материала были использованы два русские словаря-словарь "Ожегов" и словарь "Кэнкюся" из Токио. 220 отсубстантивных относительных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развивающих качественные значения, разделяется на два- прилагательные эмпирийные и рациональные. В результате анализа следующая научная новизна отметилась: ① У относительных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развивающих качественные значения, наблюдается процесс расширения семантики. Расширение семантики относительных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проявляется в развитии в одной лексеме сразу нескольких качественных значении вследствие расширения сочетаемость прилагательного и актуализации всё новых смыслов. ② В результате изучения материала показано,что процесс окачествления ОП снльно связан с категорией одушевлённости/неодушевлённости мотивируюших слов. У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мотивированных одущевленными существительными, окачествление осуществляется по рациональным признакам, а Наоборот, окачествление относительных прилагательных, мотивированных неодушевленными существительными, осуществляется по змпирийным признака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