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일괄정산에 관한 연구

        최효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외파생상품거래(OTC derivatives transaction)의 당사자들은 일괄정산을 통해서 상대방의 채무불이행시 보유하게 될 채권액(exposure)을 순잔액(net amount) 기준으로 산정함에 따라 신용위험의 규모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신용공여한도에 여유가 생겨나 동일 당사자와의 거래규모를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금융회사는 장외파생상품의 일방 당사자로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일괄정산은 위와 같은 신용위험의 감축을 통하여 금융회사간의 상호연결성(mutual correlation)으로 인해 한 금융회사의 도산이 다른 금융회사의 도산을 연쇄적으로 불러일으켜 금융 시스템의 마비 내지는 붕괴를 초래할 위험, 즉 소위 시스템위험을 줄이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일괄정산(close-out netting)은 거래상대방의 부도 또는 파산 기타 계약당사자가 정한 계약종료사유의 발생 시 양 당사자간에 체결된 다수의 장외파생상품 거래의 채권채무액을 차감하여 하나의 순잔액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일괄정산은 양당사간에 이루어진 다수 거래를 종료(termination)하고, 각 개별거래로부터 발생한 손해와 이익을 계산(valuation)한 후, 당사자간의 모든 채권채무액을 일괄하여 차감계산 단일한 잔액채무액을 산정하는 순서로 이루어 진다. 다만 이 때의 차감계산의 법적 성질에 관하여는 단순한 금액 계산 과정이라고 보는 입장과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한 상계라고 보는 입장이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법정상계뿐 아니라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한 상계도 가능하므로, 일괄정산에 관한 합의는 상계계약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일괄정산은 ISDA 기본계약서 제5조 및 제6조에 규정되어 있다. 2002년판ISDA 기본계약서에서는 기존에 문제가 있었던 종료정산금액의 산정 방식을 시장호가(Market Quotation) 및 손실(Loss) 기준에서 일괄정산금액 기준(Close-out Amount)으로 변경하였다. 나아가, 2009년에는 2002년판을 일부 개정하여 결제금액의 산정시 중간 시장가격(Mid-market Quotation)을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ISDA 기본계약서에서는 채무불이행당사자의 상대방이 기한 전 종료일을 지정할 수 있는 기간에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로 인하여 최근에 외국에서는 외가격(out-of-the-money) 상태에 있는 계약종료권자가 과도하게 지정권 행사를 미루는 행위를 통제해야 한다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계약종료권자가 자신의 채무 이행을 미루기 위해 계약종료일의 지정을 부당하게 지체하는 경우, 이는 신의칙 위반 또는 권리남용에 해당되어 계약종료권이 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계약종료권의 부당한 행사에 관하여는 법률의 규정에 의해 제한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그보다는, 당사자의 합의로 계약종료일 지정권의 범위를 조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특별한 사유 없이 계약종료권자가 계약종료일 지정권의 행사를 지체하는 경우, 조기종료일이 도래한 것으로 본다는 등의 내용을 기본계약서의 부속계약서에 미리 규정해 두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현재 ISDA 표준계약서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는 담보계약서(Credit Support Annex; CSA)는 담보제공의 유형에 따라서는 담보물의 재이용이 불가능하거나(담보권 설정방식에 의한 담보 제공) 채권자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개시되는 경우, 담보제공자에게 초과 담보 부분에 대한 환취권이 인정되지 않고 일반 무담보채권으로 취급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장외파생금융거래의 담보화(collateralization)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초과담보 부분에 대하여 담보의 재이용을 허용하지 않고 담보제공자에게 환취권이 인정될 수 있는 새로운 담보제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담보제공 방법으로 소비대차와 근질권을 병용하면서 초과담보 부분에 관하여는 근질권을 설정하거나, 근질권 설정 대신에 초과담보 부분에 대하여는 담보신탁 제도를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당사자 일방이 금융회사인 장외파생거래의 일괄정산이 일시에 대량으로 일어나는 경우, 급매각(fire sale)사태가 발생함으로써 오히려 금융 시스템의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융 시스템에 중요한 금융회사(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 SIFI)의 도산 등 금융 시스템의 위기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당해 위와 같은 장외파생상품거래를 재무적으로 건실한 다른 금융회사에 이전시키려는 방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위와 같은 장외파생상품거래의 경우에는 계약종료권의 일시정지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일괄정산의 도산법적 측면에서,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종료 및 정산이 통합도산법 제120조 제3항 및 제336조의 특례를 적용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 때 기본계약서에 일괄정산조항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하여는 견해가 나뉘고 있다. 기본계약에 일괄정산을 두지 않는 경우, 통합도산법 제120조 제3항 및 제336조의 특례를 적용받는 실익이 없어진다고 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일괄정산 조항이 없이 장외파생상품거래를 체결할 유인은 별로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통합도산법의 해석상으로는 적젹금융거래의 정산은 담보거래의 정산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므로 기본계약에 적격금융거래의 종료 및 정산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반드시 정산방법을 일괄정산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위 특례 규정의 단서에 따라, 적격금융거래의 체결이나 담보의 제공이 사해행위나 편파행위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부인권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법문에 담보의 실행시기가 명시되어 있지 아니하여 회생절차개시 후에도 담보권의 실행이 허용되는지에 관하여는 견해가 나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회생절차개시 후에도 담보권의 실행이 허용된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일괄정산의 도산법적 문제와 관련하여 기업구조조정촉진법상 워크아웃 절차의 개시 후에도 일괄정산이 가능한지가 문제된다. 일괄정산의 과정에서 상계가 일어난다고 본다면, 이러한 상계는 동법상 채권행사유예의 대상이 되어 허용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기업구조조정촉진법상 경영정상화계획은 가능한 신속한 채무조정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보전하기 위한 것이므로, 워크아웃 절차 개시 후에도 일괄정산이 가능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후자의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근본적으로는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입법이 필요하다.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의 확산을 계기로 장외파생상품거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 하에서, G20 정상회의에서 이를 위한 장외파생상품거래의 중앙청산제도 도입 등 금융시장인프라를 마련해야 한다고 결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중앙청산소(“CCP”)를 통해 이자율스왑거래를 시작으로 하여 일정한 유형의 장외파생상품거래를 청산 및 결제하도록 할 예정이다. CCP에 의한 청산 및 결제를 법제화하는 경우, 다자간정산(multilateral netting)에서 채무간의 상호성(mutuality)의 부재로 인하여 파생하는 문제와 도산절차에서의 유효성 인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장외파생상품거래에서의 신용위험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CCP가 참가자들의 채무를 인수하는 과정은 채권도 함께 이전 받는다는 점, 상계권 해지권 등 계약상의 지위에 따른 권리도 이전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채무인수와 다르다. 따라서 경개의 방식으로 청산 대상인 장외파생상품거래를 이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산회원의 도산시에는 통합도산법 제120조 제2항을 적용할 수 있지만, CCP 자체의 도산이 일어난 경우에는 통합도산법 제120조 제3항의 규정에 따라 개별 장외파생상품거래들의 일괄정산은 CCP 규정을 포함하는 기본계약이 정하는대로 효력이 인정될 것으로 생각되나, 청산 및 결제의 완결성을 보장하는 제120조 제2항은 적용되지 아니하므로 통합도산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Close-out netting is a process of calculating amounts owing between two parties. When the counterparty goes into insolvency, bankruptcy or other termination events occurred, transactions are terminated and net value is calculated. After that only a single net sum is due by set-off. The critical benefits of close-out netting are credit risk reduction and cost reduction. Credit risk is reduced as a party calculates its exposure to a particular counterparty on a net basis. This reduction helps to expand granting of credit limit that can make more transactions between two counterparties. If one financial institution goes into insolvency, the other would get affect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inancial institutions have mutual correlation with their open derivatives position and corresponding hedging position. In this regard the market can mitigate the systemic failure via close-out netting. Cost reduction is expected by close-out netting. Financial institutions can utilize their capital more effectively when close-out itself works as the method of reducing credit risk.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deal close-out netting comprehensively with the issue of contractual, bankruptcy law, regulation aspects-legislation in CCP. It also aims to suggest viewpoints on issues concerning close-out netting. ISDA Master Agreement is not limited to the designation of an early termination date. In this context, the right to terminate would be changed when the parties sign the contrac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tractual rights of the parties to the ISDA Master Agreement would be respected. Act on the Structual Improve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should be amended to allow a short delay in the operation of contractual termination clause to transfer financial contract. It can minimize the side effect of ‘fire sale’ when the market is in the unstable and crisis situation.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120(3) is excluded the cherry picking of bankruptcy administrator in bankruptcy procedure, and the master agreement has the close-out netting clause. Without this clause, the contracts remain executory bilateral contracts and the bankruptcy administrator may be possible to perform the right to deny. The debts mutuality is integral for multilateral netting. To facilitate clearing it is important that multilateral netting under a clearing structure will be enforceable if one of the members goes into insolvency. The revised bill on Capital Market Act permits to transfer the original parties’ contractual obligation to CCP by novation, assumption of obligation and others. It would be better to take the novation way to ensure the CCP’s right of performing close-out netting.

      • 국경관리의 법과 정치 : 국가주권, 거번멘탈리티, 인권의 교차점에서

        최효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오늘날 국경관리를 둘러싼 정치적 현실을 묘사하고, 권력작용으로서의 국경관리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국경관리에 저변화되어 있는 주권의 논리를 분석한다. 국경관리 행정과 법원에서 반복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 주권이란 무엇이고 언제부터 작동을 시작하는 것이며, 그것의 정당화 근거는 무엇인지 밝힌다. 또한 실질적인 국경관리 작동은 ‘거번멘탈리티(governmentality)’라고 하는 인구관리에 관한 국경관리 기술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이면서, 국경관리의 과학화·민영화·외부화 현상을 포섭한다. 이 과정에서 21세기 들어 발생한 중대한 사건인 미국 9.11 테러가 어떻게 국경관리 방식을 변화시켰는지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주권과 거번멘탈리티에 부과되는 규범적 기준으로 자리매김한 인권 및 국경관리에서 실현되는 인권보호의 측면을 살핀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전염병 차단과 국경관리와의 연결고리가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시민의 건강과 사회보호를 위한 안전한 국경관리를 위해서는 인간안보(human security)를 기반으로 한 상호협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동안 국경관리를 단순히 국가의 주권 행사로서만 생각했던 것에서 나아가, 주권· 거번멘탈리티·인권을 삼각구도로 배치하고, 국경관리에서 이 세 가지가 어떤 식으로 경합 또는 통섭하여 입체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국경관리의 법과 정치는 국민국가의 주권과 국경관리 고유의 통치기술과 인권이 엇물려서 상호작용하며 실현된다.

      • 뵈메의 감성학을 통한 공간 분위기 특성 연구 : 체험마케팅을 중심으로

        최효원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naturally feel the atmosphere of a space through their personal experiences, feelings and emotional influences. Sometimes the contact between people and the atmosphere can be a driving force that stimulates our inherent experiences. There are unique sensory elements that can be experienced not only in space, but in every place and time that we come into contact with. The time and moment when we actually perceive and remember it are different, but at the same time we feel something atmospheric blown between spaces. Getting a feeling that is difficult to express in words in a space like this is called sensibility or atmosphere, which has aesthetic characteristics. “ What is beautiful is not any attribute of a beautiful object, but rather the atmosphere, precisely the atmosphere that draws us in and lifts a unique raw feeling that is clearly embodied.“ - Gernot Böhme - Gernot Böhme is a philosopher who focuses on aisthesis, which means sense, which is the original meaning of aesthetics, and pays attention to aesthetics as sensory science, that is, to atmosphere. Looking at the state of internally experiencing oneself existing somewhere and in what state it exists, Boehme called perception, that is, a physical experience, and emphasized that what is experienced internally is the same as atmosphere. Among the ways to connect to the atmosphere, human spatial experience is produced in a primary, direct, and natural way, just like the atmosphere. Böhme argues that atmosphere can be created and that we need to change by experiencing rather than logically and exhaustingly judging the space and environment we face. After all, Böhme saw that atmosphere can be felt and experienced through experience. This is because you first feel the atmosphere given to the space through your senses unconsciously before you perceive it. here is a marketing theor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based on Böhme's words, 'Atmosphere can be experienced.' Bernd H. Schmitt tried to derive an experience that fits the human lifestyle by providing a heightened sense and emotional atmosphere for humans who live in a newly expanding experience every moment. This is called Experiential Marketing, and it was mentioned that the emotions generated about the experience are important for consumption in the personal experience situation. This is a marketing that focuses on the experience that consumers have actually done or experienced while using services or purchasing products in such circumstances, with the ultimate goal of creating a holistic experience for customers. As beings with experiential desires who move according to emotion rather than rationality,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subdivided types, and Schmitt studied by dividing them into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These are called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and are used as a language for creating experiences in a spatial environment, each forming an original marketing method. With the advent of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academic discussions on how important experience in space is are emerging, and based on this, good results have been obtained not only in the form of space but also in overall design planning and brand image. This study believes that experiential marketing can exert greater power when combi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pace, where human actions appear in various forms of complex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numerous cultural experiences and consumption activities of society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s emerging as a space where various fields are combined and general exchanges of culture and art take place. It provides visitors with a leisure space as a rest area and plays a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cultural activities, experiences and purchases.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people's consumption pattern is not just for purchases, but more and more consumers are placing importance on the sensibility and experience that comes out of the space itself, and this has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the production of space. Here, it is not a simple experience, but it touches people's deep emotions, the experience elements add a big impact to the emotions, and the attachment and memory of the space are generated. As the importance of the experience increases, not only the experience in the space, but also the mood (atmosphere) that follows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ensure that the purchase continues. By directly experiencing the production and creation of different atmospheres, we learn more closely the atmospheres produced in the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mbining the atmosphere theory based on Gernot Böhme's sensibility and the experience type, a strategic experience module of Bernd H.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to look at the space atmosphere and derive the spatial atmospher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erience type. For the derived characteristics, we intend to analyze and verify in detail how the spatial atmosphere is created targeting a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cultural experiences and various fields are combined. This is to look at the atmosphere created in the spatial through experiential elements through the concept of atmosphere,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existing complex cultural spaces, and is considered to be able to derive an identity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spaces. In order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tmosphere and spatial, it is possible to feel the atmosphere created in the spatial through human experience, and to study how the atmosphere is directed in the spatial. This study intends to precede the literature study on the sensibility of German philosopher Gernot Böhme with a basic approach that an atmosphere can be created in a space. Atmosphere language by reinterpreting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appearing in Bernd H.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which emphasizes experience in a spatial environment, and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e production in space through consideration of atmosphere as a physical experience, into a spatial language. After combining with, look at it as an object that has an influence in forming an atmosphere in a space. The derived language is intended to be used as a structural framework for a characteristic expression method for creating an atmosphere in a complex cultural space. The scope of the study focuses on『Atmospheric Architectures』among Böhme's books, and by referring to related literature, I try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aesthetics of atmosphere that Böhme insists on and the atmosphere dealt with in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Experiential Marketing understands the definition of experience and experiential marketing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based on Bernd H.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In particular, we intend to conduct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that has emerged accordingly. Combining the above two concepts, we tr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e in the space. The case subject of the study was designat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s were possible, and contents were collected through homepages and articles related to domestic space, and it was helpful in case analysis through space exploration after visiting the case space. Based on this, this study proceeded wit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nd the development method is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fterwards, the dir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study ar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and the flow chart of the study. Chapter 2 embodies the viewpoint that an atmosphere can be created based on sensibility advocated by Gernot Böhme. While examin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atmosphere, we proceed wit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atmosphere and its elements, which Böhme considered important as an aesthetic element. By combining the elements that form the atmosphere with the space, five spatial atmosphere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nd redefined. In Chapter 3, based on Experiential Marketing claimed by Bernd H. Schmitt, the process of developing beyond what was pursued in traditional marketing in the past,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and consideration are conducted. In particular, the two dimen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SEMs), will be used to examine experiences.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understands concepts through spatial examples and derives five sub-languages. We conduct research on the atmosphere that appears in space by deriving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of experiential marketing and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previous chapter 2. In Chapter 4, the general concept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s grasped, and how the atmosphere is realized in a complex cultural space is concreted by connecting i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ng the atmosphere of the space derived in the previous chapter.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how the atmosphere felt in the space is imaged and experienced through diagrams and visually arranging them, it is intended to clarify through which behaviors the atmospher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experienced and creates meaning. In Chapter 5,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nally summarized and summarize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possibility of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It was found that the complex cultural space, which is the case of this study, is connected to the atmosphere of Böhme and the type of experience of Schmitt in that it is fascinated by the atmosphere and can achieve the experiential value of the experience. The process and results of analyzing the spatial atmosphere characteristics through experience typ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Gernot Böhme's atmosphere production. First, 'change of external image by stimulation' aims to show the atmosphere naturally due to the surrounding influences that change even though the built environment remains the same. Second, ‘emotion by sound’ aims for a space where emotional sharing occurs as everyday noise expands. Third, 'recognition of existence through light and darkness' aims for a space where the contours of the shape in the space stand out through the darkness and brightness of light and can be directed through color and illumination. Fourth, 'extended view by material learning' aims at a space that can be perceived as a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atmosphere through the afterimage acquired through experience and the expanded gaze of the viewer, without settling for what the viewer perceives. Fifth,‘interaction through physical action’ aims for a space where the unique atmosphere of the place emerges as it exists in a specific place through unintended body movements. This is the goal of the experience type that constitutes Bernd H. Schmitt'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First, Sense is to create differentiated sensory experiences such as beauty and pleasure by stimulating the human five senses for brand differentiation. Second, Feel is to appeal to feelings and moods by stimulating the emotions and moods of the viewer, and to create a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for them. Third, Think is to create an experience that recognizes the identity of the brand by inducing human curiosity and interest in the brand. Fourth, Act is to create a positive action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and lifestyle between humans and humans and between humans and space. Fifth, Relate include Sense, Feel, Think and Act and show that extended cultural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created through direct connections between humans and brands. It is a spatial atmosphere characteristic through an experience type that combines the two. First, the 'Synesthetic expression of transferred afterimages' creates an atmosphere that transfers emotions to the viewer through sensory experience elements, and makes them feel the unique identity of the space synesthetically by immersing themselves in the atmosphere expressed with the whole body in the space. Through experiential elements that stimulate emotions, it reminds people of expanded emotions as an atmosphere or creates an atmosphere that manifests another sense by leaving an essential aftertaste of the space. Second, the‘movement of non-material elements’is a way to sense the spatial atmosphere formed through the large and small presence of light and sound occurring inside and outside the space. In an unstructured space such as an expansion or contraction, the viewer's curiosity is aroused, and it is recognized through the spatial structure that accepts nature and artificial lighting from the inside. Third,‘space-time travel through perception’occurs when the material elements constituting the space and the atmosphere expressed in the space structure stimulate the human body. The elements that we have experienced and acquired not only return by stimulating memories, but also expand into the future. This changes the way you look at the space with longing for memories, and you can receive infinite inspiration that stimulates your emotions. Fourth, the‘place memory sustained by imagery’brings about changes in lifestyle through attachment expressed between people. As an organic community with people with high intimacy, positive memories of the space are formed, creating an atmosphere that only you want to remember. This is where human behavior forms attachment to space and starts from interaction with spectators. Fifth, the‘free subject fascinated by the object’causes the spectators to change themselves and act through the unique atmosphere of the place. This is because the image of the place, including alleys and locality in the periphery of the space, is expressed i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e viewer is fascinated by the unique character that they do not desi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tial atmosphere characteristics through experience types stimulate the senses of the viewer to build experiences that form emotional bonds and relationships with space, showing a structure that can subjectively embody the spatial atmosphere and image. The five characteristics organically influence each other, and it was a major concept to confirm that each characteristic approaches the viewer in various ways and emerges in the space. As a result of verification and materialization through analysis, 'space-time travel through perception' showed the largest deviation in the degree to which each case was revealed, and 'movement of non-material elements' was averaged across five case spaces excluding the second case, the ground seesaw occupied a high proportion. Also, on average, 'free subject fascinated by objects' was 24.5%, 'movement of non-material elements' was 20.5%, 'synesthetic expression of transferred afterimages' was 19.5%, 'space-time travel through perception' was 17.75%, 'Place memory sustained by imagery' appeared in space in order of 17.75%. It was found that the space where the atmosphere is created and the experiential elements are expressed can efficiently produce the cultural space through the space composition and experiential elements suitable for its characteristics. This complex cultural space embodies the atmosphere expressed between the space and people through organic connection with various methods that effectively express the experiential value of the atmosphere and the direct nature of the experience, and ultimately reinforces the positive image of the space as a cultural space value can be improved.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Gernot Böhme's emotional discourse and Bernd H. Schmitt's Experiential Marketing are applied to the ambiguous area of spatial atmosphere, and the criteria for interpreting the elements of atmosphere are established through the experience types that follow value what is provided. Applying the aesthetic meaning of the atmosphere to the marketing point of view and organizing it into text can be seen as further enhancing the directing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tiality of the space atmosphere. Such an attempt provides an index for deep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thinking and experiencing the formative language of the characteristics proposed in this study by the spectators who experience the space. It was confirmed through case analysis that Gernot Böhme's philosophical reasoning on the atmosphere can be interpreted in an offline space where direct experience is possible today, and that the marketing point of view on the experience type of Bernd H. Schmitt can be interpreted in the space and the view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ng elements of the spatial atmosphere and the type of experience was found, and the expression of the atmosphere and the expressed structure were analyzed.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a new attempt to qualitatively analyze space, away from quantified value analysis. This made it possible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eelings sensed in the current space through experience. The implication of the above two aesthetic theories is that this study is not focused only on the directive analysis of the atmosphere, but through the type of experience, it is realized that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by integrating and dealing with empirical values from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atmosphere of space. It is regrettable tha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complex cultural spaces. This is to verify that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se languages are expressive languag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pace by applying the atmospheric languages proposed in this study to cultural spaces located at home and abroad through follow-up research. Lastly,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language for creating a space atmosphere and a space expression that can activate elements to experience, rather than settling for aesthetics 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on space atmosphere expression, experiential marketing, and experience type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study of spatial atmosphere. 사람들은 공간에 감도는 분위기를 개인의 경험과 감정, 정서적 영향을 통해 자연스럽게 느낀다. 때로는 사람과 분위기가 촉접됨으로써 내재되어있던 우리의 경험을 자극하는 원동력이 되어주기도 한다. 공간뿐만 아니라 우리가 접하는 모든 장소와 시간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고유의 감각적 요소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우리가 그것을 실제로 지각하고 기억하는 시점과 순간은 상이하지만, 공간 사이에서 뿜어지는 분위기적인 무언가를 동시에 느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간 속에서 말로 표현하기 힘든 느낌을 얻는 것이 미학적 특성을 띄는 감성학, 분위기라고 한다. “아름다운 것은 아름다운 대상의 어떤 속성이 아니라, 오히려 분위기이며, 정확히 말해 우리를 끌어당기고 고유한 생의 감정을 고양하는 분명히 현전하는 분위기이다.“ - Gernot Böhme - 게르노트 뵈메(Gernot Böhme, 1937~2022)는 미학의 본래 의미인 감각을 뜻하는 아이스테시스(aisthesis)에 초점을 맞춰 감각학으로서의 미학, 즉 분위기에 주목하는 철학자이다. 어딘가에 존재하는 자신과 어떤 상태로 존재하고 있는지 내적으로 경험하는 상태를 보고 뵈메는 지각, 즉 신체적 경험이라 하며, 내적으로 경험되는 것이 분위기와 같은 것이라 강조했다. 그 분위기에 잇닿는 방법 중 인간의 공간적 체험은, 분위기와 동일하게 일차적이고 직접적이며 자연스럽게 연출된다. 뵈메는 분위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며 우리가 마주하는 공간과 환경을 논리적이고 피로하게 판단하기보단, 경험하는 것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결국, 뵈메는 분위기가 체험을 통해 느껴질 수 있으며 경험된다고 보았다. 감각으로 공간에 주어진 분위기를 자신이 지각하기 전에 무의식으로 먼저 느끼기 때문이다. 뵈메의 ‘분위기는 체험될 수 있다.’라는 말에 의거하여, 체험에 대해 중요성을 강조한 마케팅적 이론이 존재한다. 번트 H. 슈미트(Bernd H. Schmitt)는 매 순간 새로이 확장되는 체험 속에 살고 있는 인간을 위해, 더욱 높아진 감각과 감성적 분위기를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체험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이는 체험마케팅(Experiential Marketing)이라 불리며, 체험에 관해 발생하는 감정들은 개인적인 체험상황이 소비에 있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그러한 상황 속에서 소비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제품을 구매하면서 자신이 실제로 해 보거나 겪어 본 체험에 중점을 두는 마케팅으로 고객들을 위해 총체적인 체험을 창조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두고 있다. 합리성보단 감성을 따라 움직이는 체험적 욕구를 가진 존재로서 체험이 세분화된 유형으로 나뉘는데, 슈미트는 감각 · 감성 · 인지 · 행동 · 관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이를 전략적 체험 모듈(SEMs)이라고 하며 각각 독창적인 마케팅 방식을 형성하여 공간적 환경에서 체험을 창조하기 위한 언어로 사용된다. 전략적 체험 모듈이 등장하면서 공간 속 체험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학문적 논이가 대두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간형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디자인 기획과 브랜드 이미지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간과 공간의 관계, 그 안에서 인간의 행동들이 다양한 형태의 복합적인 행태로 나타나는 곳에 체험마케팅이 결합되면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사회의 수많은 문화적 경험과 소비 활동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복합문화공간은 다양한 분야가 결합되어 문화예술의 전반적인 교류가 이뤄지는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방문자에게 휴식공간이자 여가 공간을 선사하여 여러 문화적 활동과 체험, 구매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소비형태도 구매만을 위한 것이 아닌, 공간 자체에서 나오는 감성과 체험을 중요시 여기는 소비자가 늘어났으며, 이는 공간을 연출하는 것에도 큰 변화를 주었다. 여기서 단순한 체험이 아닌, 인간에게 깊은 감정을 건드리고 체험요소들이 정서에 큰 충격이 가해져 공간에 대한 애착과 기억이 생성된다. 체험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공간에서 체험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따라오는 기분(분위기)까지도 고려하여 구매행위까지 이어지도록 만든다. 우리는 다양한 분위기 연출과 생성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더욱 면밀히 공간에 연출된 분위기를 기억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르노트 뵈메의 감성학을 바탕으로 전개된 분위기 이론과 번 H. 슈미트의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체험 모듈인 체험유형을 결합하여 공간 분위기를 바라보며, 체험유형을 통한 공간 분위기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출된 특성은 문화적 경험과 다양한 분야가 결합된 복합문화공간을 대상으로 공간 분위기가 어떻게 연출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는 기존 복합문화공간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분위기의 개념을 통해 공간에서 연출되는 분위기를 체험적 요소를 통해 바라보는 것이며, 다른 공간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정체성을 끌어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분위기와 공간의 상호관계성을 찾아 인간의 체험을 통해 공간에 연출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고, 그 분위기가 공간에 어떻게 연출되는지에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간에서 분위기가 창출될 수 있다는 기초적 접근으로 독일 철학자 게르노트 뵈메의 감성학에 관한 문헌 연구를 선행하고자 한다. 신체적 경험으로써 분위기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공간에서의 분위기 연출 특성을 도출하고, 공간적 환경에서의 체험을 강조하는 번슈미트의 체험마케팅에 등장하는 전략적 체험 모듈(SEMs)을 공간 언어로 재해석하여 분위기 언어와 결합 후 공간에서 분위기 형성하는 데 있어 영향력을 지닌 대상으로 바라본다. 도출된 언어를 복합문화공간에서 분위기 연출을 위한 특성 표현방식을 위한 구조적 틀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뵈메의 서적 중 『Atmospheric Architectures』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뵈메가 주장하는 분위기 미학의 정의와 건축과 환경에서 다뤄지는 분위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체험마케팅은 번 슈미트의 『번 슈미트의 체험마케팅』을 바탕으로 체험에 대한 정의와 과거와 차별화를 둔 체험적 마케팅에 대해 이해한다. 특히 그에 따라 등장한 전략적 체험 모듈을 통해 공간적 특성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위 두 가지 개념을 결합하여 공간에서 나타나는 분위기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사례대상은 다양한 활동과 체험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지정하고, 국내공간 관련 홈페이지와 기사를 통해 내용을 수집하였으며 사례공간에 직접 방문 후 공간탐색을 통해 사례분석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전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한다. 이후 선행연구 분석과 연구의 흐름도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과 차별성을 밝힌다. 제2장에서는 게르노트 뵈메가 주장하는 감성학을 기반으로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다는 관점을 구체화한다. 분위기의 사전정의를 고찰하되, 뵈메가 미학적 요소로 중요시 여긴 분위기와 그에 대한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분위기를 형성하는 요소를 공간과 결합을 통해 5가지의 공간 분위기 특성을 도출하고 재정의한다. 제3장에서는 번 슈미트가 주장하는 체험마케팅을 기반으로 과거 전통적 마케팅에서 추구하던 것 이상을 발현하게 되는 과정과 출현 배경 및 고찰을 진행한다. 특히 체험마케팅을 이루는 두 가지 차원인 전략적 체험 모듈(SEMs)을 중심으로 체험에 대한 고찰을 진행한다. 전략적 체험 모듈은 공간적 예시를 통해 개념을 이해하고 5가지의 하위 언어를 도출한다.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체험 모듈과 앞서 2장에서 도출한 특성 결합을 통한 공간적 특징을 도출하여 공간에서 나타나는 분위기 연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제4장에서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앞 장에서 도출한 공간의 분위기 연출 특성과 연결하여 복합문화공간에서 분위기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구체화한다. 공간에서 느껴지는 분위기가 어떻게 이미지화되고, 체험되는지 다이어그램을 통해 종합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복합문화공간 분위기가 어떤 행태를 통해 경험되고 의미를 생성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 내용을 최종적으로 요약 및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의 사례 대상인 복합문화공간은 분위기에 매료되고 체험이 주는 경험적 가치를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뵈메의 분위기와 슈미트의 체험유형과 연계된 점을 알 수 있었다. 체험유형을 통한 공간 분위기 특성을 분석한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게르노트 뵈메의 분위기 연출 특성은 첫째, ‘자극에 의한 외적 이미지의 변화’는 구축된 환경은 그대로이지만 변모하는 주변 영향으로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보여지는 것을 지향한다. 둘째, ‘소리에 의한 감응’은 일상적 소음이 확장됨으로써 정서적 공유가 발생되는 공간을 지향한다. 셋째, ‘빛과 어둠을 통한 존재 인식’은 빛의 어둠과 밝음을 통해 공간 속 형상의 윤곽이 두드러지며 색상과 조도를 통해 분위기적 연출이 가능한 공간을 지향한다. 넷째, ‘재료적 체득에 의한 확장된 시야’는 관람자가 지각하는 것에 안주하지 않고 체험으로 습득한 잔상과 관람자의 확장된 시선을 통해 분위기를 주관적인 경험으로 체득하고 인지 가능한 공간을 지향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육체적 행위를 통한 상호작용’은 의도하지 않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특정한 곳에 존재하게 되며, 그곳만의 분위기가 현출하는 공간을 지향한다. 번 H. 슈미트의 전략적 체험 모듈을 구성하는 체험유형의 목표는 첫째, 감각을 통한 체험은 브랜드 차별화를 위해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여 아름다움과 즐거움과 같은 차별화된 감각적 체험을 창출하는 것이다. 둘째, 감성을 통한 체험은 관람자의 정서와 기분을 자극하여 느낌과 기분에 호소하고, 그에 대한 긍정적인 감성적 체험을 창출하는 것이다. 셋째, 인지를 통한 체험은 브랜드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그에 대한 정체성을 인지하는 체험 창출하는 것이다. 넷째, 행동을 통한 체험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과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긍정적인 행동 체험 창출하는 것이다. 다섯째, 관계를 통한 체험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인간과 브랜드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확장된 문화 · 사회적 관계를 창출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둘을 결합한 체험유형을 통한 공간 분위기 특성은 첫째, 전이된 잔상의 공감각적 발현은 감각적 체험요소를 통해 관람자에게 감정을 전이시키는 분위기를 조성하며, 공간에서 온몸으로 발현된 분위기에 몰입하게 하여 공간 특유의 정체성을 공감각적으로 느끼게 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감성을 자극하는 체험요소를 통해 확장된 정서를 분위기로써 상기시키거나 공간이 지닌 본질적인 여운을 남겨 또 다른 감각을 시현시키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둘째, 비물질적 요소의 움직임은 공간의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빛과 소리의 크고 작은 존재를 통해 형성된 공간 분위기를 감각하는 방식이다.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것과 같이 정형화되지 않은 공간에서 관람자는 호기심이 유발되며, 자연을 받아들이는 공간구조와 내부에서 인공적인 조명 등을 통해 인지되고 있다. 셋째, 지각을 통한 시공간 여행은 공간을 구성하는 재료 요소와 공간구조에서 표현되는 분위기가 인간의 신체를 자극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우리가 체험하고 습득했던 요소들이 추억을 자극하며 회귀할 뿐만 아니라 미래로 확장되는 것이다. 이는 기억에 대한 동경으로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이 전환되며, 감성을 자극하는 무한한 영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넷째, 심상에 의해 지속된 장소기억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발현되는 애착을 통해 라이프 스타일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높은 친밀도를 내포한 사람들과 유기적 공동체로써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이 형성되어 자신만이 기억하고 싶은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이는 인간의 행동이 공간에 대한 애착을 형성하고 관람자와의 교류에서 출발하게 된다. 다섯째, 객체에 매료된 자유로운 주체는 그 장소만의 고유한 분위기를 통해 관람자가 자신을 변화시키고 행동하게 된다. 이는 공간 주변부의 골목과 지역성을 포함한 장소 이미지가 건축 구조에 표현되어 관람자로 하여금 갈망하지 않은 고유한 성격에 매료되게 된다. 체험유형을 통한 공간 분위기 특성은 관람자의 감각을 자극하여 정서적 유대감과 공간과의 관계를 형성시키는 체험을 구축하여 공간 분위기와 이미지를 주체적으로 체현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가지 특성은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각 특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자에게 다가오고 공간에서 현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개념이었다.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구체화한 결과, ‘지각을 통한 시공간 여행’은 사례마다 드러나는 정도의 편차가 가장 컸으며 ‘비물질적 요소의 움직임’은 2번째 사례인 그라운드 시소를 제외한 5개의 사례공간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평균적으로 ‘객체에 매료된 자유로운 주체’는 24.5%, ‘비물질적 요소의 움직임’은 20.5%, ‘전이된 잔상의 공감각적 발현’은 19.5%, ‘지각을 통한 시공간 여행’은 17.75%, ‘심상에 의해 지속된 장소기억’은 17.75% 순으로 공간에 나타나고 있었다. 분위기가 연출되고 체험적 요소가 발현되는 공간은 그 특성에 맞는 공간 구성 및 경험적 요소를 통해 문화공간을 효율적으로 연출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복합문화공간은 분위기의 경험적 가치와 체험의 직접적인 성격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여러 방법과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공간과 사람들 사이에서 발현되는 분위기를 체현하고 궁극적으로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하여 문화공간의 가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는 첫째, 공간 분위기라는 정의하기 모호한 영역에 게르노트 뵈메의 감성학적 담론과 번 H. 슈미트의 체험마케팅을 적용하고 그에 따른 체험유형을 통해 분위기의 연출 요소를 해석하는 기준이 선사된 점에서 가치가 있다. 분위기의 미학적 의미를 마케팅 관점에 적용하여 텍스트로 정리한 것은 공간 분위기의 경험성에 대한 연출적 이해를 한층 더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특성들의 조형언어가 공간을 경험하는 관람자들이 사유하고 체험하는 과정에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한다. 이는 게르노트 뵈메의 분위기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오늘날 직접 체험이 가능한 오프라인 공간과, 번 H. 슈미트의 체험유형에 대한 마케팅적 관점이 공간과 관람자에게서도 해석 가능하다는 점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간 분위기의 연출적 요소와 체험유형의 연관성을 찾아내어 분위기 표현, 발현되는 구조를 분석했다. 정량화되고 있는 가치 분석에서 벗어나 정성적으로 공간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에 있어 큰 의의가 있다. 이는 현재 공간에서 감지되는 느낌을 체험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위 2가지 미학적 이론의 시사점은 본 연구가 분위기의 연출적 분석에만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닌, 체험유형을 통해 공간 분위기를 위한 철학적 배경부터 경험적 가치를 통합하여 다루며 다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함을 열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범위가 복합문화공간으로 국한되었다는 점에 아쉬움이 남는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국내외에 자리한 문화공간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위기 언어들을 적용함으로써 이들이 가진 다양한 성격을 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표현 언어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공간 분위기 표현, 체험마케팅, 체험유형에 대한 미학과 철학적 사유의 고찰에 안주하는 것이 아닌 공간 분위기 연출을 위한 디자인 언어와 체험하는 요소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공간표현을 제안한 것으로서, 미약하나마 공간 분위기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공공조직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효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mpowering leadership,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e public organization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A systematical literature review regarding key constructs was conduct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constructed. To test the hypothes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in public organiza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505 potential respondents and 240 returned. A total of 23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ones judged as being insincere and having missing values. The statistical programs including SPSS 29 and AMOS 27 were used. Results we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econdly,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as also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novative behavior. Thirdly, it foun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link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findings indicated that leader’s empowering behaviors can encourage members to be entrepreneurship-oriented and sequentially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an lead to their innovative behavior in a public setting.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조직에서 임파워링 리더십, 기업가지향성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변수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근거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대구‧경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출자‧출연기관 등 공공기관 및 공직 유관기관에서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505부의 설문지 중에서 240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3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 SPSS 29와 AMOS 27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기업가지향성은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지향성과 혁신행동 역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기업가지향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공공조직에서 리더의 임파워링 행동이 조직 구성원의 기업가 지향적 마인드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구성원의 기업가 지향적인 자세가 곧 혁신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기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고 있다.

      • G. Bizet의 오페라 Carmen과 P. Sarasate의 Carmen Fantasy 비교연구

        최효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낭만주의 시대 후반부의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면, 음의 색채적인 상징 효과를 강조하여 감각적인 즐거움을 증대시키고 기능화성의 확대를 추구하였다. 오페라에도 이러한 요소를 도입하여 풍부한 멜로디와 화성을 볼 수 있다. 또한, 자유로운 음악 형식과 함께 악기 기술의 발전으로 곡에서 더욱 다양한 악기편성을 할 수 있었다. 작곡가들은 여러 가지 장르로 편곡하여 오페라를 소개하거나 원작 오페라에서 발췌하여 하나의 짧은 곡으로 완성하여서 극장 밖 많은 무대에서 연주되었다. 작곡가들은 여러 가지 장르로 편곡하여 오페라를 소개하거나 원작 오페라에서 발췌하여 하나의 짧은 곡으로 완성하기도 하였다. 낭만주의 성격에 맞게 더욱 자유롭고 즉흥적인 환상곡이 가장 활발하게 작곡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19세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 중 한 사람인 Bizet의 오페라 ‘Carmen’이 초연되고 상연된 동시대에 활약한 바이올리니스트 겸 작곡가인 Sarasate의 ‘Carmen Fantasy’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izet의 오페라 ‘Carmen’을 자세하게 분석하며, ‘Carmen Fantasy’에 대한 여러 문헌을 조사하는 것을 통하여 ‘Carmen Fantasy’에 나타난 새로운 기악적 요소와 연주기법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원작 Bizet의 오페라 ‘Carmen’을 편곡한 곡들을 비교 분석한 연구는 다수가 있지만 원작 오페라와의 차이점에 대해 연구한 것은 다소 미흡하다. Sarasate의 ‘Carmen Fantasy’는 오페라 ‘Carmen’에 기반을 두고 작곡되었기 때문에 두 작품을 자세하게 비교 분석하는 것이 ‘Carmen Fantasy’의 이해와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paper compares the opera 'Carmen' by G. Bizet, one of the composers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romantic era, and the 'Carmen Fantasy' by P. Sarasate, a violinist and composer who was active in the contemporary era. To this end, it analyzes Bizet's opera 'Carmen' in detail, and analyzes the new instrumental elements and performance techniques in 'Carmen Fantasy' by examining various literatures on 'Carmen Fantasy'. Looking at the existing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mparing and analyzing musics arranged for the original Bizet opera 'Carmen', but research on th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opera is insufficient. Since Sarasate's 'Carmen Fantasy' was composed based on the opera ‘Carmen’, I hope that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musics will help us to understand and perform the music 'Carmen Fantasy'.

      • 불소화 단량체의 전이금속을 사용하지 않은 개환 복분해 중합

        최효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 불소함량 고분자는 수소 교환, 기체 전달막, 저유전 코팅, 광학 물질, MRI 조영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고 불소함량의 고분자는 타 고분자 재료로 대체할 수 없는 다양하고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기 용매에 대해 매우 낮은 용해도 때문에 합성과 가공이 상당히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높은 불소함량을 갖는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을 MF-ROMP (Metal-Free 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을 통해 합성하는 개발을 보여준다. ROMP(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은 라디칼 중합보다 반응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이금속 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바이오 ·광학 소재에 적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이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개환 복분해 중합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MF-ROMP를 통해 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다양성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MF-ROMP에 최적화된 단량체를 설계하기 위해 DFT (Density Functional Theory) 계산을 이용하여 HOMO 에너지 레벨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norbornene의 5,6번 위치에 EWG 이 있을 경우에 HOMO 에너지 레벨을 낮아지게 되고, 이중결합의 산화를 방해하여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량체의 곁사슬의 길이, 구조, 중합 조건 및 중합 후 변형 조건과 같은 다양한 매개 변수 조절을 통해 합성하였다. Highly fluorinated polymers are material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ydrogen exchange, gas transfer membranes, low-dielectric coating, optical materials, and MRI contrast agents. Although a polymer having a high fluorine content has various uniqu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at may not be replaced with other polymer materials, it is very difficult to synthesize and process an organic solvent due to very low solubility. This paper shows the development of synthesizing polynorbornene with high fluorine content through metal-free ring-opening metatheis polymerization (MF-ROMP). ROMP (Ring-Opening Metachesis Polymeriza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reaction speed is faster than that of radical polymerization. However, since it uses a transition metal catalyst, it was difficult to apply it to bio-optical materials. Recently, to solve this problem, studies on ring-opening complex decomposition polymerization without using a transition metal catalyst have been reported. However, the diversity of monomers that could be polymerized via MF-ROMP was limited. In this work, HOMO energy levels were obtained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to design monomers optimized for MF-ROMP. Based on this, it was expected that the HOMO energy level would be lowered if EWG was present at position 5 and 6 of norbornene, and the reaction would not proceed by interfering with the oxidation of the double bond. Based on this, it was synthesized through various parameter adjustments such as length, structure, polymerization conditions, and deformation conditions after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 여성의 멕시코 혁명 참여 연구

        최효원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exican Revolution takes significant status in Mexican history, followed by historically crucial achievements such as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While the revolution is consequential for its accomplishment without distinction of social level or sex, Mexican women could not have taken as much notice as men in history.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female participants of Mexican Revolution in perspective of their form and feature of participation. The paper distinguishes female participants into ‘camp follower’ and ‘female activist’ according to their role in the revolution. Furthermore, it takes deeper distinguishment of female activists into ‘ideological activist' and ‘military activist'. Such approach is expected to play a role as supplementation of current perspective that may confine female participants into sole category of Soldadera.

      •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의미 탐구

        최효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를 관찰하고,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를 면담하여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의미를 탐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높이고, 긍정적 가치와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가 주는 의미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현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5인과 그 자녀인 유아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1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참여관찰과 형식적 · 비형식적 면담, 사진 · 영상 촬영, 오디오 녹음, 전화 통화 및 SNS 대화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모든 자료는 전사하여 ‘전사, 코딩, 주제 발견’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 해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전문가의 검토과정, 연구 참여자인 아버지의 확인을 통한 내부자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가 거친 신체놀이를 할 때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탐구해본 결과 환경적 요인으로는 ‘놀이 공간, 놀이 시간’, 개인적 요인으로는 ‘유아의 놀이성, 유아의 컨디션, 아버지의 놀이성, 자녀가 즐겨보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아버지의 관심, 아버지의 피로감’, 관계적 요인으로는 ‘형제자매 간 다툼과 안전사고 발생, 아버지의 적극적인 반응, 거친 신체놀이의 승패, 어머니의 격려와 인정, 어머니의 제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가 주는 의미에 대해 탐구해본 결과 아버지와의 거친 신체놀이는 유아기 자녀에게 ‘아버지를 통제해보는 즐거운 시간, 자유로운 상상력 표현의 장, 아버지와 친밀해지는 시간, 놀이기술의 배움터’라는 의미를 주었다. 또한 유아기 자녀와의 거친 신체놀이는 아버지에게 ‘동심으로 돌아간 즐거운 놀이, 자녀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시간, 놀이하는 아버지로서의 성장 과정’이라는 의미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맥락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나 예비 아버지들이 자녀와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정보를 얻고, 거친 신체놀이와 관련한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ough and Tumble Play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at home and to explore factors and meanings that affect the Rough and Tumble Play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by interviewing father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Rough and Tumble Play of father and infant children' and to clarify the positive value and importance.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ough and Tumble Play between father and infant child?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meaning of the Rough and Tumble Play between father and infant child? This study selected five fathers and their children who are currently raising their children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photo and video shoots, audio recordings, telephone calls and SNS conversations from November 2019 to September 2020. All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 coding, and topic discovery'.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ata interpretation, the internal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review proc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he confirmation of the father who is the research particip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at factors are affected by the Rough and Tumble Play of father and infant children at home, the environmental factors are 'play space, play time', the personal factors are 'the playfulness of infants, the condition of infants, the playfulness of fathers, the interest of fathers in animations enjoyed by children, the fatigue of fathers', and the relational factors are 'the struggle between brothers and sisters,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he father's active response. the victory or defeat of Rough and Tumble Play, the encouragement and recognition of mothers, and the restraint of mothers’. Second, the Rough and Tumble Play with father gave meaning to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s ‘a pleasant time to control their fathers, a place of free imagination expression, a time to be intimate with their fathers, and a learning place of play skills’. And the Rough and Tumble Play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gave meaning to father as ‘a pleasure play back to childhood, a time to bond with children, and a growth process as a playful father’. This study was able to enhance the contextual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ough and Tumble Play of father and infant children at home.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athers or pre-fathers who are currently raising their children will get information about the Rough and Tumble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develop fat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Rough and Tumble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