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팔티도 알토(Partido Alto)가 변형된 재즈피아노 리듬 연주 기법 연구 : 엘리아니 엘리아스(Eliane Elias)곡을 중심으로

        최주영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Partido Alto is one of very important rhythmic patterns, which is indispensable in Samba a musical genre of Brazil. This is a phrase found in asymmetric arrangement of notes and rests and creates harmonious and independent rhythms. This can diversify musical grooves and make a new musical flow. Eliane Elias is a representative musician, who mixes Brazilian music with jazz when performing. Especially, she expressed novel and unique playing techniques using Brazilian rhythms, including Partido Alto. This paper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nd the introduction explain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 body introduces Partido Alto, which is a rhythm of Brazilian music and analyzes 17 remakes of Elias focusing on transformed Partido Alto used in these 17 songs. The analysis results displayed that transformed Partido Alto performed by Elias changed the positions of syncopation and accent through rhythmic rearrangem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weak beat accent and this diversified the new flow of chord progression.These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were applied to 3 remakes without Partido Alto, 1 song that is similar to the melodic structure of Brazilian music and 1 researcher’s own song for reinterpretation. There was a limit in obtaining objective results due to over 300 songs that made it har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ransformed Partido Alto used by Alias. It is thought that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is study can discover other various transformation techniques. Eventually, this will serve as data to help musicians develop their own individual rhythmic transformation techniques. 팔티도 알토(Partido Alto)는 브라질음악 장르인 삼바(Samba)에서 빠질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리듬패턴 중의 하나이다. 음표와 쉼표의 비대칭 배열속에 나타나는 프레이즈 그 자체로, 조화롭고 독자적인 리듬을 만들어 내고 이는 음악의 그루브를 다양하고 새로운 흐름으로 만들어낸다. 엘리아니 엘리아스(Eliane Elias)는 브라질음악을 바탕으로 재즈와 융합하여 연주하는 대표적인 연주자이다. 특히 팔티도 알토를 포함하여 브라질 리듬을 사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연주기법을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팔티도 알토를 연구하고, 엘리아스의 곡중 리메이크곡을 선정하여 그 곡들의 최초수록곡을 포함한 17곡에 사용된 변형된 팔티도 알토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엘리아스가 연주한 변형된 팔티도 알토는 약박자 강세의 위치에 따른 리듬적 재배치로 인해 당김음과 강세의 위치가 바뀌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새로운 흐름의 화성 진행의 다양성을 이끌어 내었다. 이렇게 분석하고 연구한 내용을 팔티도 알토가 들어가 있지 않은 리메이크곡 3곡과, 브라질 음악 선율의 구조와 비슷한 가요 1곡, 자작곡 1곡에 적용하여 새롭게 재해석 하였다. 그리고 엘리아스의 연주곡에 나타난 변형된 팔티도 알토의 사용기법을 통해, 피아노에서의 리듬연주 기법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 자기성찰지능 향상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연구

        최주영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입시중심, 결과중심 교육의 부작용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점인 대학시기의 학생들에게 삶의 주체로서의 ‘나’의 역할에 대한 혼미를 야기시킨다. 이는 일반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무용교육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교육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성찰지능’을 삶의 주체로서 자신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파악하고 사회진출 이전단계인 대학무용전공생을 대상으로 자기성찰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무용교육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성찰지능의 개념 및 필요성, 하위요인, 자기성찰지능과 무용예술의 관계에 대한 문헌탐색을 진행하였다. 또한 통합교육이론을 토대로 통합무용교육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댄스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내용을 전문가회의를 통해 검증받고 이를 토대로 자기성찰지능향상을 위한 통합무용교육 모듈을 구성하였다. 구성원리는 다음과 같다. 홀리스틱 패러다임에 근거한 통합무용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무용과 몸, 무용과 인물, 무용과 가치관, 무용과 미래비전의 총 4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는 전달(다학문적 접근), 교호(간학문적 접근), 변용(탈학문적 접근)의 교육방법을 통해 기초, 심화, 응용의 단계로 구조화하였다. 이러한 교육내용과 방법은 자기성찰지능의 구성요소인 자기이해(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이해(타인탐색, 타인이해), 자기조절(정서조절, 행동조절), 미래설계(동기화, 미래설계)의 향상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모듈은 교육내용에 따라 총 4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무용과 몸’은 무용의 실제적 수단이자 자신을 구성하는 몸에 대한 탐색을 통해 자신을 이해한다. 둘째, ‘무용과 인물’에서는 무용사의 인물을 통해 자신의 전공을 이해한다. 셋째, ‘무용과 가치관’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무용의 위치와 역할을 탐색하며, 넷째, ‘무용과 미래설계’를 통해 미래에 어떤 직업과 역할을 지닐 것인가에 대한 탐색을 진행한다. 이를 통한 자기성찰지능 향상은 자신과 전공분야인 무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로의 양성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내용의 특성상 현장적용에서의 탄력성을 위해 구체적 프로그램의 제시보다 모듈의 형태로 관련활동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일반교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자기이해 및 자기계발을 위한 활동내용과 무용교육을 접목시킴으로써 현장적용가능성을 높였다. 해당 모듈을 바탕으로 향후 실제 대학수업에서 적용됨으로써 그 효과가 실증적으로 검증되길 기대한다. 자기성찰지능, 통합무용교육, 대학무용교육, 자기이해, 타인이해, 자기조절, 미래설계

      • 군 병원 간호인력의 1급 감염병 유행 대응의지 예측모형

        최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군 간호인력은 국가적 위기상황에 의료 안전망 기능을 담당하며, 성공적인 공중보건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적인 인력이다. 의료 수요가 급증하고 감염의 위협이 있는 1급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는 이에 기꺼이 대응하고자 하는 간호사의 대응의지가 중요하다. 군 간호인력의 대응의지 부족은 재난상황에서 의료 인력 부족과 비자발적 대응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심리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군 병원 간호인력의 1급 감염병 유행 대응의지를 향상하기 위한 중재방안 및 제도적 지원 전략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병행과정확장모델(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이하 EPPM)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1급 감염병 유행 대응의지의 예측 요인으로 외생변수는 간호전문직관과 조직신뢰, 내생변수는 인지된 효능감, 인지된 위협, 공포, 조절변수는 인지된 효능감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8가지의 측정도구 중 국외 5가지 도구는 WHO가이드라인에 따른 도구 번역 과정을 거쳤으며, 군 병원 간호인력(간호장교와 전문군무경력관)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 약 2주간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00부의 자료 중 불성실한 자료 52부를 제외한 최종 248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모형은 고차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가설적 모형을 검증한 결과 인지된 효능감의 조절효과와 조직신뢰가 유의한 경로가 없어 해당 경로가 제외되었고, 적합도가 제시된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여, 이론적 타당성을 근거로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도는 Normed =2.528, TLI=.911, GFI=.908, CFI=.931, SRMR=.094, RMSEA=.079으로 수용 가능한 모형이었으며, 설정된 6개의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지된 효능감은 대응의지에 가장 큰 직접 효과를 보였으며(β=.740, p=.010), 인지된 위협은 직접효과(β=.152, p=.031)와 공포를 매개하여 간접효과(β=-.020, p=.002)를 보였다. 이 두 효과는 서로 반대로 작용하여 총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β=.102, p=.135). 간호전문직관은 인지된 효능감, 인지된 위협과 공포를 매개하여 대응의지에 간접 효과를 보였으며(β=.327, p=.007), 4개의 예측 변수는 1급 감염병 유행 대응의지를 60.1%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 병원 간호인력의 1급 감염병 유행 대응의지 향상을 위해서는 핵심 예측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반응효능감을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형성은 대응의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장기전략이 될 수 있다. 동시에 인지된 위협수준을 높이되, 공포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인 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Military nursing staff are responsible for public health safety functions in a national crisis and are key staff for successful public health crisis response. Nurses' willingness to respond i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the 1st degree infectious disease epidemic, where medical demand is surging and even more at risk of infection. Lack of willingness to respond to military nursing staff can cause a shortage of medical personnel in disaster situations, and can cause stress and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heir involuntary response. Therefo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edicting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to respond for 1st degree infectious disease epidemic is requir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an evidence for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strategy to improve the willingness to respond of nursing staff in military hospitals. Based on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EPPM) and literature review, exogenous variables wer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set as perceived efficacy, perceived threat, and fear. And the control variable was set to perceived efficacy. Of the 8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five English instruments were translated according to the WHO guidelines. Th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for about two weeks in December 2020 to the nursing staff at the military hospital (nursing officers and civilian military nurses). 300 military nursing staff were recruited, and 24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6.0. The measurement models were validated by higher-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tical model, the pathways were excluded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pathway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and organizational trust. Also, the goodness of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did not satisfied the suggested criteria, so the model was modified based on theoretical validity. The model fit indices of the modified model was an acceptable model with Normed =2.528, TLI=.911, GFI=.908, CFI=.931, SRMR=.094, RMSEA=.079, and all six established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ived efficacy was the predictor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direct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respond(β=.740, p=.010), and the perceived threat had both a direct effect(β=.152, p=.031) and an indirect effect by mediating fear(β=-.020, p=.002). These two effects acted opposite each other, so the total effect was not significant(β=.102, p=.135). Nursing professionalism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respond by mediating perceived efficacy, perceived threat and fear(β=.327, p=.007). The predicting variables accounted for 60.1% of military nursing staffs’ willingness to respond for 1st degree infectious disease epidemic. To improve the military nursing staff’s willingness to respond, efforts to strengthen self-efficacy and response efficacy, which are key predictive factors, are needed. And for formation of the right nursing professionalism can be an effective long-term strategy for improving the willingness to respo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strategic intervention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fear while raising the perceived threat.

      • 생체인식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요인이 공항이용객의 만족, 혁신저항,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주영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전 세계적으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보급 및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공항-항공사 또한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추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17년 스마트공항 종합계획을 공표하면서 공항 자동화, 무인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여러 가지 생체인식 신분확인을 도입하였는데 2018년 1월 김포공항과 제주공항을 필두로 하여 현재 국내선을 운항하는 14개 모든 국내 공항에서 출발장 생체인식 신분확인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현재 그 이용율이 높지 않아 당초 계획한 공항 자동화와 수속 간소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기술의 하나인 출발장 손바닥 정맥인식 신분확인에 대해 혁신의 수용과 함께 혁신저항을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해당 기술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는 해결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로 말미암아 신속한 출발 수속을 가능하게 하고, 공항 혼잡도를 줄여 공항 이용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생체인식 기술기반 셀프서비스의 주요 특성 4가지인 유용성, 용이성, 신뢰성, 위험성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고, 이 요인들과 혁신저항, 만족,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김포공항 국내선을 이용하는 공항 이용객과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이 되었다. 2022년 10월 1일부터 10월 14일까지 총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기입한 설문지, 응답이 한쪽으로 편향되거나 응답 내용이 부실한 설문지 등 56부를 제외한 총 24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한 후 데이터코딩 과정을 거쳐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체인식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요인 중 유용성과 위험성이 혁신저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유용성은 혁신저항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주었고, 용이성과 신뢰성은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체인식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요인 중 유용성과 용이성이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위험성이 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신뢰성은 혁신저항에서와 마찬가지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혁신저항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만족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pread and use of state-of-the-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orldwide is rapidly increasing, and airports and airlines are also keeping pace with the move. Korea is also promoting airport automation and unmanned strategies by announcing a comprehensive smart airport plan in 2017. As one of them, various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were introduced, and in January 2018, all 14 domestic airports that currently operate domestic flights, led by Gimpo Airport and Jeju Airport, introduced the departure hall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However, due to the low utilization rate, the airport automation and procedures originally planned are not being simplified smoothl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solution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technology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cause innovation resistance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innovation, which is one of the innovation technologies. As a result,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airport users by enabling rapid departure procedures and reducing airport congestion. Through relate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t four main characteristics of biometric technology-based self-service as main variables, usefulness, ease, reliability, and risk,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innovation resista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ly,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variables and models were set, and questionnaires were produce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irport users and ordinary citizens who use Gimpo Airport domestic flights. From October 1 to October 14, 2022, a total of 300 samples were collecte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244 copi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56 copies, such as unwritten questionnaires, questions that were biased to one side, or questions with poor response content. After collecting data to verify the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9.0 program through a data coding process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ing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of biometric technology-based self-service, the usefulness and risk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ease and reliability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Second, among the factors of biometric technology-based self-service, usefulness and ea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risk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satisfaction. Reliabilit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s in innovation resistance. Third, innovation resist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 학습자의 다중지능과 소집단 형성 방식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최주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중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협동학습 소집단을 동질 강점지능 집단, 이질 강점지능 집단,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의사소통 중심 영어 수업을 시행하고 이러한 협동학습 수업 운영 방식이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지와 학습자들의 지능유형이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 부문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한 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다중지능 검사를 실시한 후 강점 지능에 따라 실험 대상들을 분류하고 협동학습 소집단을 나누는 방식을 세 가지로 차별화 하여 동질 강점지능 집단인 실험집단 A, 이질 강점지능 집단인 실험집단 B, 비교집단 C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교집단의 협동학습 소집단 구성은 다중지능과 관련된 변인을 배재하고 학습자들의 성격 조화, 성적, 수업 참여도 등을 고려하여 교사의 직관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실험은 3주간 총 9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지능 유형의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활동을 다양화하고 의사소통 중심의 협동학습과 상호작용 활동 위주의 수업으로 진행 되었다. 수업은 세 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교수법과 활동내용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수업 전후에 영어과 학업 성취도 검사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협동 학습 소집단을 구성하는 방식과 학습자의 지능유형이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에 대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의 성취도가 모두 향상되었으나 협동 학습 소집단 구성 방식에 따른 평가 결과에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며 오히려 교사의 직관에 따라 협동학습 소집단을 구성한 비교집단 C의 성취도가 제일 높았다. 둘째, 학습자의 강점 지능 유형에 따른 성취도에서 음악 지능과 대인관계 지능이 영어과 학업 성취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사전사후 평가문항 20개중 17개가 듣기평가로 구성되어있어 음악 강점 지능자들이 영어가 가지고 있는 초분절 음소인 문장의 리듬, 음의 고저, 강약, 억양 등 음악적 요소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대인 관계 강점 지능자들의 뚜렷한 성취도 향상은 실험 수업이 모두 협동학습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활동들,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으로 진행되어서인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정의적 영역의 변화와 관련하여서는 세 집단 모두 긍정적 변화가 있었으나 실험집단 A와 B의 향상 정도가 비교집단 C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특히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와 관련하여서는 이질 지능 집단으로 이루어진 실험집단 B의 수업 참여도 향상, 영어에 대한 자신감 향상, 흥미도와 자기에 대한 이해도 향상으로 변화의 범위가 가장 커 다중지능을 이용한 수업 운영 방식이 정의적 영역의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다중지능 검사 도구가 학습자 자신들의 주관적 답변에 의한 설문 형식인 것을 고려할 때, 학습자들의 능력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음악 지능과 대인관계 강점지능자들 뿐만 아니라 다른 강점 지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능력이 충분히 계발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과 관련된 교수법이 풍부하게 구안되어 나와야 할 것이다. 셋째, 누구나 한 가지는 잘하는 것이 있다는 다중지능 이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모든 지능이 하위권이면서 한 가지 지능이 특출하게 뛰어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다중지능 이론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물의 축적이 요구된다.

      • 다문화가정과 언어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최주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0년간 연구된 다문화가정과 언어에 대한 81편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다문화가정과 언어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으로 언어문제라고 하였다. 다문화가정에서 언어는 성공적인 한국생활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언어라는 주제로 연구한 논문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과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취학 전의 연령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역할은 아동이 78%로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 집단의 크기는 2명에서 765명 까지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연구주제는 언어능력과 언어발달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연구방법은 설문지, 인터뷰, 인과상간, 분석, 관찰, 조사, 검사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과 언어의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researches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nguages by analyzing 81 researches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nguages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08 to 2017.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language. Langu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 live a successful life in Korea. In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of the researches regard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ngu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ge of the subjects, most of the subjects were children before schooling age. Second, in the role of the subjects, 78% of the subjects were children. Third, in the size of subject group, there was big range such as from 2 up to 765. Fourth, in the research them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heme was language cap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Fifth, as research method, various methods were used such as survey, interview, causal-effect research, analysis, observation, investigation and inspe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trend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languages was examined.

      •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

        최주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아동상담센터, 병원 및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 각 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176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COSE), 상담자 자기성찰 척도,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CF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상담자 자기성찰 총점 및 하위요인(상담자 자기이해, 상담자 전문성, 상담자-내담자 상호작용), 역전이 관리능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자기성찰 및 하위요인 그리고 역전이 관리능력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 총점 및 하위요인(상담자 자기이해, 상담자 전문성, 상담자-내담자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성찰의 모든 하위요인인 상담자 자기이해, 상담자 전문성, 상담자-내담자 상호작용이 부분매개 하여 역전이 관리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자기성찰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고, 전문적 차원으로서의 자기성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76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field of play therap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lay therapists’ self-eficacy, the total score of Self-reflection and its sub-factors (self-understanding of counselor, counselor expertise, counselor-client interacti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total score of Self-reflection and its sub-factors (self-understanding of counselor, counselor expertise, counselor-client interaction) had largely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f play therapists. Key words : Play Therapist, Self-efficacy, Self-reflection,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 김유정 소설 연구

        최주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김유정의 생애와 그의 소설이 어떠한 연결고리를 가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소설에 드러난 해학성과 작가의 콤플렉스와 양가감정, 성매매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교과과정 텍스트로서의 김유정 소설이 지니는 한계성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한 작가의 문학적 특질은 작가의 작품세계를 다양한 면에서 연구해야 얻어질 수 있다. 그런데 김유정과 그의 소설은 주로 192,30년대의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연구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김유정과 그의 작품에 대한 더욱 깊고 넓은 이해를 시도해보고자 작가의 삶의 모습이 작품에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2장에서는 어머니의 부재, 연애의 실패, 형과 누이와의 단절 등 작가의 삶에서 결핍된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가의 결핍은 작품을 창작하고자 하는 심리로 이어져 그의 불행한 삶은 작품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현실에서 충족되기 어려운 욕구를 작품에서 충족시키고자 한 예술가의 일반적인 심리는 김유정도 마찬가지였다.3장에서는 작품에 드러난 자전적 요소와 해학성, 성매매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김유정의 작품에는 무지하고 어리숙한 주인공의 모습이 해학적으로 드러난다. 작가는 암울한 시대를 살던 하층민들의 삶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아픈 곳을 더욱 아프게 꼬집어내고 있는 것이다. 김유정은 어머니에게도 이성에게도 사랑받지 못하는 삶을 살았는데, 이는 여성에 대한 콤플렉스로 이어져 작품의 남주인공들의 행동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희화화된 무기력한 남주인공, 또는 여성을 마음대로 조종하는 남주인공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는 작가의 현실 속에서 여성과의 관계에서 축적된 욕구불만이 표출된 증거로 볼 수 있다.4장에서는 교과과정 텍스트로 활용되고 있는 작품인 ‘봄봄’과 ‘동백꽃’이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현재의 교육 방법이 지니는 한계성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현 교과과정에서 김유정 소설의 감상의 주안점은 서정성과 해학성이다. 교과과정에서부터 김유정에 대한 고정적인 시각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교과서는 학습자에게 절대적인 위치에 있으며 교과서를 통하여 배운 것은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준거 역할을 한다. 즉, 김유정 작품에 대한 최초의 인식이 되는 교과서를 통한 학습은 김유정을 ‘서정성을 지닌 해학작가’라는 틀 속에 가두게 된다. 이러한 한계성은 김유정 소설이 보여줄 수 있는 많은 것들을 놓치게 만든다. 그리하여 그가 살던 시대와 그의 삶이 작품을 형상화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드는 학습과제가 요구된다. 이는 주요 학습과제로 제시되어 있는 해학성과 표현방법 등을 학생들로 하여금 더욱 자연스럽게 내면화 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matter of connection between Kim, Yu-Jeong''s life and his novels. It is to examine the wit, a complex as an author, and the matter of prostitution on his novel. In addition, this paper aims at making a study of the limitation of his novel as a text in a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s and also suggesting an alternative.The characteristic of an author can be perceived by various studies on his literary works. Kim, Yu-Jeong and his novels were being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circumstances of 1920~30''s.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he aspect of the author''s life expressed on his novels to understand his works thoroughly.In chapter 2, I studied about the lacks, for example, of his mother, a failure in love affair, and a severance between his brothers and sisters. These kind of lacks are connected to a desire for his writing novels. Besides, his unfortunate lif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is works richer. His wishes for being satisfied on his novels are the same as other writers, even though those wishes will be hardly realized in real lives.In chapter 3, I studied an autobiographical point of view, the matter of the wit, and that of prostitution. Kim, Yu-Jeong describes his innocent and dull heroes and heroines humorously in his works. He shows us the bitterness of the lower classes'' lives in the colonial period conversely through his humorous expressions. Kim, Yu-Jeong lived without his mother''s love and was never loved by women. It made him get a complex to a woman and had a effect on the patterns of heroes in his novels. He described some heroes as spiritless men humorously and others as dictators in their family lives. These are clear proofs of his unsatisfied desires in connection with women.In chapter 4, I studied how ‘봄봄’ and ‘동백꽃’ in curriculums were used as texts and considered the limitation of current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current curriculums, the main points of teaching are lyricism and humor. Students'' fixed ideas are to made in this way. A textbook has its own authority and makes the students believe all descriptions are true. Therefore a textbook has the power to play a important role as a standard among students. In other words, students cannot but regard Kim, Yu-Jeong as ''a lyrical writer with humor'' by this kind of education. The limitation like this makes students miss so much important facts and less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students think about the way how the author''s life and circumstance were connected with his works. In this way, students can learn the sense of humor and the way of expression which were presented as the objects of a study.

      • 초등학생의 교사지지,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주영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교사지지, 자동적 사고, 발표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동적 사고와 교사지지가 발표불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았다. 아울러 교사지지가 발표불안을 감소시킬 경우 구체적으로 어떤 지지 유형을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아 교육 현장에서 교사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교사지지, 자동적 사고, 발표불안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교사지지, 자동적 사고는 발표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지지와 자동적 사고의 하위 요인 중 어떤 요인이 발표불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으로 수원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14학급 남녀 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발표불안 검사지, 자동적 사고 척도, 교사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교사지지, 자동적 사고, 발표불안 발표불안과 자동적 사고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교사지지와 발표불안, 교사지지와 자동적 사고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발표불안과 자동적 사고, 교사지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동적 사고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다. 발표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동적 사고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나 교사지지 또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발표불안과 자동적 사고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사회불안인지가 상관이 가장 높았고, 적대적 인지가 상관이 가장 낮았다. 발표불안과 교사지지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평가적 지지가 상관이 가장 높았고, 물질적 지지가 상관이 가장 낮았다. 자동적 사고와 교사지지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평가적 지지가 가장 상관이 높았고, 물질적 지지가 가장 상관이 낮았다. 넷째, 교사지지와 자동적 사고가 발표불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지지와 자동적 사고 모두 발표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동적 사고가 교사지지 보다 발표불안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교사지지, 자동적 사고의 하위요인이 발표불안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발표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동적 사고 중 사회불안인지이고 그 다음은 교사지지 중 정보적 지지이며, 그 다음은 자동적 사고 중 적대적 지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교육 현장에서 아동의 발표불안을 낮추기 위한 교사 지지적인 환경으로 교사의 평가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를 제공해야 하며, 교사 스스로가 학교 현장에서 아동들에게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지원임을 지각하고 꾸준한 자기 연수와 계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