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人口增加趨勢에 따른 理論的 傾向線의 推定

        崔鍾碩 忠南大學校 1972 論文集 Vol.11 No.-

        In this paper, the writer has estimated a model of the optimun curve by means of math ematical extrapolation based on logistic curue, using the census data since 1955 and mid-year population. The model of the optimum logistic curve of Korean is aasumed to be as follows : Y=53.147/1+1.4759e^-0.05049t Because this estimate is formed by mean of mathematical extrapolation, the expectation can be said to be optimistic, on the assumption that such a stable tendency as that of today will last. There will be a good deal of reliability on postcensal estimate of future population because this estimate is formed using the census data from around the demographic transition to the present day. We can guess at a saturation population by virtue of an estimate of logistic curve. The saturation population of Korea is estimated as 53,147,000 in this paper. We can guess at demographic transition by virtue of an estimate of simple logistic curve. In this paper we have found the fact that the demographic transition of Korea has been rapidly advancing since 1963.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중엽 순창 향리사회의 城隍大神事跡 현판 제작의 배경과 과정

        최종석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7

        본고는 명종 18년(1563) 무렵에 ‘城隍大神事跡’을 제목으로 하는 현판을 제작하게 된배경과 과정을 한층 심화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해서 작성된 글이다. 특히 16세기 중엽에 순창군의 鄕吏 사회가 현판을 처음 제작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한, 구래의 향리층 주도성황제가 위기에 빠진 상황 및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자 한 향리층의 노력을 부각하면서 현판제작의 과정을 파악하였다. 현판 제작의 배경과 과정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학 실천에 열중하였을 인물인 양응정은 군수로 부임한 이후 구래의 향리 주도 성황제를음사라 하여 금단하고 이를 삭망 시에 유교식으로 경건하게 치르는 성황제로 대체하도록 하였다. 순창군의 향리들은 향리 주도의 성황제가 중단된 위기 상황을 타개하는 일환으로 ‘城 隍大神事跡’ 현판을 제작하였다. 현판 작업의 핵심은 성황사 내에 보관되어 온, 고려 후기의 것으로 성황신에게 수여된 職 牒들을 현판에 옮겨 새겨 후세에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일을 통해 순창의 향리사회는 순창 성황신이 예전부터 국가로부터 여러 차례 직첩을 받은 특별한 존재임을 부각하여성황신의 정당성을 확보ㆍ강화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순창의 향리층은 군의土姓인 설씨이기도 하고 동국여지승람 순창군 인물 항목의 첫머리를 장식하는 설공검을성황신으로 삼으면서, 그리고 유교적 가치에서 보더라도 훌륭한 인물인 설공검을 성황신으로 모시면서, 이들 첩문을 새기는 현판에다가 동국여지승람의 설공검 행적도 함께 수록하였다. 또한, 현판 제작의 경위를 밝히는 글에서는 성황신=설공검이라는 등식을 창출하면서 설공검이 고려 후기 이래로 성황신이었다는 새로운 신화를 만들고, 이와 맞물려 설공검이 성황신이 되고서 성황제는 국제로 치러졌고 성황신은 국가로부터 수차례 작첩을 받았다고 하는새로운 서사를 만들어냈다. 순창군의 향리 사회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순창의 성황신인 설공검은 양응정과 같은 이가 보더라도 바람직하고 모범적인 역사 인물이고 과거에 國祭의 대상이었으며 여러 차례 국가로부터 爵牒을 받았던 존재라 칭송하여 성황신의 정당성을 확보ㆍ강화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위기에 처한 구래의 성황제를 구해내고자 하는 순창 향리 사회의 이 같은 노력은 결과적으로는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16세기 중엽 이후로도 향리 주도의 성황제가 존속한 데서 그러하다. 특히 순창 지역 사례에서 눈에 띄는 점은 다른 지역 사례와 달리위기에 빠진 향리층 주도 성황제를 구해내고자 하는 향리 사회의 대응 노력이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사실이라 하겠는데, 이것이 순창 지역 사례의 연구사적 의미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기 鎭山의 특징과 그 의미 - 읍치공간 구조의 전환의 관점에서 -

        최종석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5 No.-

        This paper investigated historical situation that mountains at the back of Eubgi(邑基), centering on geomantic guardian mountain, in large numbers appeared as Jinsan(鎭山) since the Late Koryo and Early Choson. The distribution aspec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Jinsan in the Choson dynasty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China and Koryo society. In the aspect of distribution, unlike only few regions setting up Jinsan in China and Koryo society, the majority of local regions established Jinsan in the Choson. In relat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a large number of Choson dynasty Jinsans were mountains at the back of Eubgi(邑基), centering on geomantic guardian mountai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oson dynasty Jinsan were related with the fact that, during the Late Koryo and Early Choson, the local affairs centers(治所) were located and city structure was conversed in large local regions, influenced by geomantic principle. In other words, large local regions chose geomantic guardian mountain as Jinsan, imitating the capital city structure of Koryo and Choson. 본 연구는, 여말선초 시기 전국적인 治所의 이동과 이와 맞물려 진행된 읍치 공간 구조의 전환 속에서, 다수의 지방 군현이 都城을 모방하여 풍수적 主山을 중심으로 한 邑基 배후의 山을 鎭山으로 선정하는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선시기 진산의 분포 양상과 공간적 특징은 중국 및 고려와 상이하였다. 분포 양상의 경우, 중국과 고려에서는 일부 군현에만 진산이 분포하였지만, 조선시기에는 대다수 군현에 진산이 선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 특징의 측면에서는, 중국 · 고려와 달리, 조선시기 진산들 가운데 다수가 풍수적 主山을 중심으로 한 邑基 배후의 山이었다. 분포 양상과 공간적 특징에서 보이는 조선시기 진산의 역사적 성격은, 여말선초 시기 치소가 산성 형태의 治所城에서 평지로 이동하였고, 적지 않은 군현의 읍치 구조가 도성을 모방하여 풍수적 원리를 반영한 채 전환된 사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개경과 이를 계승한 한양은, 중국 그리고 고려 지방 군현과 달리, 전형적인 풍수적 형국을 갖추고 있었고, 이러한 도시 구조 속에서 풍수적 主山 혹은 祖山을 진산으로 선정하고 있었다. 고려의 지방 군현은 개경과 달리 치소가 산성 형태의 치소성 내에 위치하는 등 풍수적 형국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당시 풍수적 主山을 중심으로 한 邑基 배후의 山을 진산으로 선정할 수 없었다. 그러다 여말선초 시기를 경과하면서 치소가 산을 후면에 두면서 평지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졌고, 外官(官) 주도의 지방지배질서가 대두 · 강화되었으며, 이러한 지방지배질서의 전환과 맞물려 읍치의 공간적 구조는 도성을 모델로 하여 재편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지방 사회는 개경 · 한양을 모방하여 풍수적 주산 혹은 조산을 진산으로 대거 선정하고 있었다.

      • KCI등재

        의미분석법을 활용한 불교이미지에 관한 연구 - 종립대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최종석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69 No.-

        This Study is Buddhism image of student for University Sponsored under the religious organization, using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of Osgood. particularly. This study has differentiation as factor construct characterial technique for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discussed draw and verification for factor of potency, activity, and evaluation dimension, perception for each Buddhism image by character factor technique, and comparison for each dimension(factor) and general character by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① image of Buddhism construct of potency factor, activity factor, and evaluation factor, ② ranking of factor is evaluation>potency>activity, and ③ through mean comparison by general character of university, significant the school & potency factor(of Buddhism image), the sex, the age, the school, the grade, the religion & activity factor(of buddhism image), and the age & evaluation factor(of Buddhism image). 본 연구는 오스굿(Osgood)의 의미분석법을 활용해 종립대학 학생들의 불교이미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요소구성 특성별 측정법 중에서 의미차별법에 의한 연구로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특성용어를 통한 불교이지미의 하위 차원의 능력, 활동성, 평가 차원의 요인 검증과 도출해 보고, 특성용어를 통한 불교이미지에 대한 차원별 인식을 검토해 보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원별 비교를 통해 불교에 대한 종립대학의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불교이미지는 능력, 평가, 활동성 차원으로 크게 대별하여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 > 능력 > 활동성 순으로 불교이미지에 대한 차원 간 순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인구특성상 평균비교를 통해 소속 학교 집단 간에 나타나는 불교이미지 중 능력 차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성별, 연령, 학교, 학년, 종교 집단 간에 나타나는 불교이미지에서는 활동성 차원에서 유의미하며 연령 집단 간 불교이미지에서는 평가 차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조선초기 ‘邑城’용어의 출현 및 읍성의 유형

        최종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7 동방학지 Vol.138 No.-

        The Coinage of ‘Ŭpsŏng’ and Types of Fortification where there was Chiso(治所) in the Early Chosŏn Choi, Jong-suk* The term of ‘Ŭpsŏng’ was coined in the Chosŏn dynasty. During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dynasty, there were a significant shift within fortifications placed around Chiso(治所) depending on their locations and roles. In this context, the term of ‘Ŭpsŏng’ was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the newly constructed fortification from the previous ones. There were two types of Ŭpsŏng in the Early Chosŏn: one using the previous KoryŏChiso-sŏng(治所城) and the other newly constructed since the Late Koryŏ. The former located largely in mountains was minor in numbers and it number decreased. The latter around town was majority and this patter became prevalent.

      • KCI등재

        조선초기 越境地의 인식과 발생에 관한 재검토

        최종석 조선시대사학회 2012 朝鮮時代史學報 Vol.62 No.-

        This thesis is about the discourse and occurrence of Wolgyeongji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s result is as follows. 1. Wolgyeongji extinction was recognized as Sollen, and Wolgyeongji was recognized as attendant problem to the uniformity of Kunhyen郡縣(counties and prefectures) terri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2. Wolgyeongji discourse discover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ble to appear until after the changeover of local dominant order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dynasty. 3. Wolgyeongji occurr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environment, the changeover of local dominant order. 본고는 조선시대 越境地를 둘러싼 인식을 ‘역사화’하는 작업의 차원에서 조선초기 월경지 담론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니, 그 결과는 이러하다. 곧 현실적인 처리 방안에 있어서는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어도, 월경지의 소멸은 당위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월경지는 보다 상위의 문제인 토지와 인구를 기준으로 한 군현(강역)의 균일화에 附隨되어 이것의 달성을 위한 제 조치의 일환으로 군현의 병합․분할 등과 같은 맥락에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런데 조선초기에 보이는 이러한 식의 월경지 담론은 통시대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군현 간의 강역이 균일화되어야 한다는 군현 인식을 전제로 소위 합리적인 군현 질서가 작동되는 고려말기, 구체적으로는 공양왕대 이후에야 배태․통용될 수 있는 時代格을 지닌 것이었다. 조선초기 월경지 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이와 긴밀히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월경지 발생의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사례 면에서 보자면 월경지는 조선초기에 와서야 확인되는데, 그 동안의 연구에서 조선초기의 월경지는 그 이전 시기에 이미 발생하여 당시까지 존속한 遺制로 간주되어 왔다. 곧 월경지는 1018년(현종 9) 군현제 개편 이후로의 지방제도 변동 내지 고대․고려시대 동안에의 타 경내로의 이주에 의한 새로운 취락 형성 등을 원인으로 하여 조선초기 이전에 발생하였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이들 요인이 고려시대 지방지배질서 하에서는 월경지 발생의 필요충분한 것으로 작용하지 못하였음을 규명하였다. 특히 속현의 主縣化․移屬과 같은 군현제 변동을 원인으로 한 월경지 발생을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사실을 논증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과거에 지방제도 변동 등의 요인으로 인해 월경지가 발생할 수 있었음에도 월경지로 현실화되지 못해 오던 곳이, 전환된 지방지배질서라는 새로운 환경이 갖추어지는 조선초기에 와서야 새로이 ‘월경지로 거듭났을’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검토 결과에 의거하자면, 조선초기 월경지는 고대․고려시대 동안 발생한 것이 당시까지 유제로서 존속한 것이 아니라, 여말선초 시기 지방지배질서의 전환 속에서 발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월경지 발생과 조선초기에서와 같은 월경지 담론은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관계로, 전환된 지방지배질서의 산하에서 과거에 월경지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일에도 불구하고 월경지로 간주되어 오지 않던 곳이 새로이 ‘월경지로 거듭나는’ 한편으로, 새로이 거듭난 월경지는 합리적인 군현제 운영의 지향 속에서 발생 당시부터 문제가 되는 것으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 韓國의 人口重心과 그 移動에 관한 硏究 : 1990年 人口總調査 結果分析 1990

        崔鍾碩,장은선 충남대학교 1991 忠南科學硏究誌 Vol.18 No.2

        Migration of population in Korea would be assumed to have been characterized by the transition of an external migration period into an internal migration period around 1950. In the present research to analyze the population redistribu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1955 and 1990, when the inter-regional migration in Korea had been in full swing. And then, we should like to make it clear that we have applied statistical method in dealing with this problem as follows: 1) We have relied upon the Census report for the population statistics material. 2) We have employed a map of the R.O.K. which is reduced to 1/50.000. 3) We have considered Gu.Si and Gun to be the same level in size and have dealt with them as unit region. 4) The center of population has been obtained,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unit region(X_ij, Y_ij) and the population p_ij of the concerned: ?? To sum up, the population-center in Korea could be pointed out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s shown on Table 2,3 and Fig.1. 5) It can be said to be linear. 6) It can be said to have the vector of population-center advancing toward on Seoul.

      • 多變量解析에 있어서 變數選擇의 수법

        崔鍾碩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77 學術硏究誌 Vol.4 No.2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impossible in case of n≤p+1 between sample numbers n and the number of independent variables p. The fact can be easily found in the natural and social phenomena. In this research, the technique of variables selection has been dealt with by the method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n be made by selecting necessary variables in the order of the magnitude of factor loading value, from the factor loading matrix, γ(z_(k),χ_(i)=(Cov(z_(k), χ_(l)/△표참조△원본을 참조하세요 of principal component z-(k) and principal characteristics x-(i). This procedure is considered as a better method for saving time and expenses then and other methods.

      • 韓國의 人口移動에 관한 硏究

        崔鍾碩,林裁鶴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7 忠南科學硏究誌 Vol.14 No.2

        Several projects for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s since 1960's have brought a tremendous change in the whole nation socially, economically as well as geo-demographically Since 1970's advanced industrialization with high technology, achieving a big economic development, has accelerated urbanization, which on the other hand resulted in a serious lack of labor in the rural area. This serious unbalanced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area has caused not only political and societal gap between the two areas but also the inefficient use of the land. We, with a very dense population, think that the above problems could be solved partly through strong policies of restraint on population growth and on population migration into the urban area. This study has been done as a base for the policies in the followings. 1. In order to observe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migration, we analyze time series intra and inter-migration and total migration. 2. To investigate the cyclic phenomenon, seasanal variation analysis on one-year base is considered additionally. 3. We investigate, in macro sense,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by showing the migration trend based on the center of population gravity and that of geographic gravity. 4. We specially focus on the population moving problem toward the metropolitan area. 5. We end up this study with the possible suggestions for the policy making on the population problem after discussing some predictions of migration tr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