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송상희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와 써니킴 '풍경'이 시도하는 “매체의 재창안”-로절린드 크라우스의 매체미학적 논의에 비추어-

        최수임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3

        This paper examines the landscapes of “reinventing the medium” in the contemporary projection-installation works exhibited in the art museum. Sanghee Song’s Come Back Alive Baby (2017) - a 16 minute-long 3 channel projection installation - and Sunny Kim’s Landscape (2017) - a projection installation on the painting object -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osalind Krauss’ medium concept. Krauss has discussed the possibilities of “the obsolescence” for the medium. She asserts, leaning on Walter Benjamin’s “theorization of the outmoded” related to Surrealist movement, that the obsolescence could have a redemptive role for the medium and the outmoded medium can be reinvented by the conventions derived from the technical support. The slide-tape projection installation by James Coleman is one of such works, according to Krauss. Cinema medium can be seen as an obsolescent medium when the electronic and personal viewing/streaming monitors and mobile machine screens are usual for the movie audience. In this circumstance, cinema as the projected image-space has obtained the opportunity to be reinvented and remembered in the contemporary art gallery. What are the projection installation works in the contemporary museum doing to the cinema as the medium? Could it be said that the cinema medium is being reinvented? Sanghee Song’s Come Back Alive Baby and Sunny Kim’s Landscape are the interesting examples in order to examine it. Come Back Alive Baby presents in the spatial aspect of separation and relation between images, and Landscape in the intermedial-comparative way of distinct media, the possibilities of reinventing the cinema medium in the projection installation. Come Back Alive Baby inquires the montage process of the medium and Landscape envisions the generation of the projection-image/picture as cinema. These can be seen as the attempts to reinvent the medium. 이 글은 프로젝터를 통한 다채널 영상 설치 작품인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와 더불어, 그림과 영상을 독특한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매체미학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써니킴의 <풍경>을 예로, 로절린드 크라우스가 논하는 ‘매체의 재창안’이 동시대 미술관에서 전시되는 영상 작품의 경우 어떻게 시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는 나란히 설치된 세 개의 스크린에 세 개의 프로젝터-채널을 통한 각각의 영상이 16분 동안 동시에 전시되는 다채널 영상 설치 작품이다. 또한, 써니킴의 <풍경>은 꿈 이미지를 그린 회화를 촬영한 영상을 다시 회화설치물 위에 영사함으로써 복합매체 영상을 전시하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은 크라우스적 관점에서 “매체의 재창안”을 실행한다고 볼 수 있을까? 로절린드 크라우스는 낡고 쇠퇴한 것이 비로소 자본주의적 실용적 가치의 굴레에서 벗어나 본연의 미적 가치를 발한다는 발터 벤야민의 논지에 기대, 낡고 쇠퇴한 매체에서 본연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는 관습들을 통해 매체를 다시 창안해 내는 예술적 시도들을 논한다. 전자 모니터 개인 기기 및 스트리밍 등을 통한 영화관람이 일상화된 현재, 영화관의 스크린에 영사되는 이미지로서의 ‘영화’매체는 어느새 낡은 매체가 되어가고 있다. 이때 미술관에서의 영사기를 통한 영상 설치 작품들은 영화 매체에 어떤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을까?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는 여러 스크린-공간에 이미지를 분리하여 연관시키며 영상 매체의 작동방식을 해체 및 재조립하고, 이미지 간의 연대로서의 몽타주를 고찰한다. 써니킴의 <풍경>은 회화와 영상이라는 두 서로 다른 매체를 중첩, 비교시키며 영상이 그림으로부터 구별되며 생겨나기 시작하는 순간의 양상을 되짚어 상상하게 한다.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가 영화 만들기 작업의 중간 단계(편집 과정)로 영화 매체를 되돌려 보인다면, <풍경>은 영상 매체의 발생을 탐구하고 매체의 근원을 그려가며 탐색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Antiobesity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최수임,조인희,한세희,전윤정,최종길,김진선,이제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9 No.1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Salvia plebeia R. Br. ethanolic extracts (SPE) in mice fed high-fat diets (HFD). Male C57BL/6J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normal diet (Chow), high-fat diet (HFD, 45% fat), HFD+SPE 200 (200 mg/kg b.w.), and HFD+SPE 400 (400 mg/kg b.w.). Extracts were administered orally every day for 8 weeks. Increases in body/fat weight and feed efficiency ratio were monitored in all mice. In addition, obesity resulting from feeding HFD to the mice was confirmed by the increase of glucose level,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triglyceride (TG),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very low-density lipoprotein-c, leptin, and adiponectin in blood. The SPE-treated mice gained less body and mesenteric/subcutaneous adipose tissues weights and had lower TG, very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ptin, and glucose level in serum, compared to the HFD group. Moreove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revealed that the size of adipocytes in liver and adipose tiss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SPE,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expression of adipogenesis transcription factors (e.g.,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and lipogenesis-related target genes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lipoprotein lipase, fatty acid synthase,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c) in HFD-induced obese mice was decreased by SPE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 attenuates the fat accumulation in HFD-induced obese mice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activity. Therefore, SPE could be developed as a potential therapy for reduction of body weight and antiobesity intervention.

      • KCI등재
      • 이하선에 발생한 샘종성 관 증식 : 1례 보고 A case report

        최수임,정수진 인제대학교 백병원 2002 仁濟醫學 Vol.23 No.5

        Adenomatous ductal proliferation is a recently described morphologic entity by Yu and Donath in 2001. It occurs in the major salivary gland, mainly parotid or submandibular gland, and accompanied by salivary gland tumors or chronic inflammation. Adenomatous ductal proliferation is different from acinar adenomatoid hyperplasia of the minor salivary gland showing clusters or lobules of mucinous acini. The patient was a 53 years old female and left parotid gland was removed because of palpable mass. On gross examination, a well demarcated mass with usual gross findings of pleomorphic adenoma, measuring 2.Ocm in diameter. Microscopically the parotid mass was of pleomorphic adenoma, and a small, unencapsulated nodule, measuring 0.2cm, was noted beside the main mass. The nodular lesion consisted of closely packed ductular structures intermingled with acinar cells in the periphery. Neither cellular atypia nor mitoses were found.

      • KCI등재

        정의하기와 이름짓기를 통한 도형의 이해 고찰 : 초등학교 4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최수임,김성준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4

        초등학교 4학년 수학은 도형 영역에서 다양한 개념들이 동시에 등장하는 시기로, 특히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과 같은 평면도형의 경우 그 개념이 총체적으로 학습되는 시기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학습한 도형 개념들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정의하기’ 서술형 평가를 실시하고, 또한 그들이 갖고 있는 비형식적인 지식을 살펴보기 위한 ‘이름짓기’(naming) 서술형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도형의 개념정의와 개념이미지를 분석하고, 각각의 특징 및 반복해서 등장하는 오개념과 그 원인을 분석하여 도형을 학습하고 지도하는 과정에서 생각해볼 유의점을 제안하고 있다. 더불어 학생들의 이름짓기 활동을 통해 도형의 어떤 요소에 가장 먼저 주목하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그들이 인식하지 못하거나 빈도가 낮게 나타난 수학적 성질과 개념을 살펴보고 동시에 학교수학에서 도형 학습을 통해 갖게 되는 비형식적 지식을 고찰함으로써 도형 영역의 학습 지도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세계-몸을 쓰는 영상-증언으로서의 다큐-매체성:<쓰나미 후에 오는 것들>과 '겨울의 눈빛' : 장-뤽 낭시 '영화의 증거'의 관점에서

        최수임 영상예술학회 2015 영상예술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다큐멘터리의 매체성을 장-뤽 낭시의 ‘영화의 증거’론의 관점에서 고찰하면서, 영상 이미지가 세계와 맺는 관계에 대한 이해로부터 다큐-미디올로지를 사유한다. 낭시가 논하는 영상 이미지의 ‘증거’로서의 작용은 어떻게 일어나며, ‘보기의 윤리학’이 다큐-미디올로지를 어떻게 이룰 수 있을까? 이 논문은 낭시의 영화 이미지론이 다큐멘터리 매체를 어떻게 비추어주는지 살펴보며,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관한 다큐멘터리 및 그와 연관된 문학 텍스트를 매체학적/비교문학적으로 분석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외딴 격리의 삶을 살고 있는 사고지역 사람들을 영상으로 증언하는 미야케 교코의 <쓰나미 후에 오는 것들>과,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관한 만들어지지 못한 어느 다큐멘터리에 관한 생각으로부터 고리 원전사고라는 가상의 사태를 상상해 쓰인 박솔뫼의 소설 겨울의 눈빛이 고찰 대상이 된다. 장-뤽 낭시가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그리고 삶은 계속된다>를 보며 ‘영화의 증거’를 논했을 때, 다큐적 영상매체의 이미지가 지닌 ‘증거’로서의 역할은 영화미학의 사실주의 이론 너머로 새롭게 떠올랐다. 영화 이미지는 삶과 세계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증명하는 매체라는 것이다. 그 이미지를 봄으로써 타자성 속에 머물렀던 먼 삶은 우리에게 와서 지금 여기의 세계에 ‘접촉’한다. 접촉 속에서 함께 대화하며, 그를 통해 영상은 ‘눈빛’과 접촉하는 ‘눈빛’이 된다. 미야케 교코가 자신의 고향인 나미에 마을을 멀리 런던에서부터 찾아가 자신의 이모를 만나 함께 살피며 영상으로 담아 보여준다면, 박솔뫼는 미처 볼 수 없었던, 만들어지지 않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관한 다큐멘터리에 관한 생각에서 시작해, 그러한 사고가 바로 ‘우리’의 일이 될 수도 있다는 어떤 ‘접촉’ 속에서 가상의 고리 원전 사고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소설 속에서 묘사하고, 그것을 자신의 일처럼 가까이 그려본다. 우리가 직접 찾아갈 수 없는 어떤 곳들에서, 다큐멘터리 영화의 영상이 우리에게 온다. 그것은 우리와 만나고 접촉하며, 우리에게 세계의 증거로서 작용한다. 그때 우리는 비로소 먼 곳의 외딴 삶들을 우리와 무관한 것이 아닌, 우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우리의 삶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영화는 그렇게 세계에 참여하며, 우리를 세계에 참여시킨다는 것이 장-뤽 낭시의 ‘영화의 증거’론이다. 다큐멘터리는 오늘 그렇게 세계의 몸을 영상으로 쓰며 증언하는 주체적이고 매개적인 매체로 인식될 수 있다. 잠겨 있는 먼 곳을 열어 친밀하게 느끼게 하고 그럼으로써 타자성 너머 ‘함께-있음’으로 우리를 열어내는 다큐-매체성은 영화가 우리에게 무엇을 증언하는지 일깨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diality of documentary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Jean-Luc Nancy’s The Evidence of Film, focusing on Kyoko Miyake’s documentary Beyond the Wave (2013) with Bak Solmay’s novel Snowlight of the Winter (2013). Jean-Luc Nancy suggests that film medium functions as the evidence of the world, more precisely, as the exposure on to the bodily world. The cinematic image as the evidence is the aesthetic presence, that enables the viewer to look at and touch ‘the real’ of existence, especially the remote lives. Beyond the Wave (Surviving the Tsunami:My Atomic Aunt/ Meine Tante aus Fukushima), the documentary which carries away the life of people in Fukushima area, after the nuclear plant catastrophe, and Snowlight of the Winter, the novel which talks about the virtual documentary on the (unhappened) nuclear plant catastrophe in Korea, are from this perspective co-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consider the process of action of documentary medium, in light of Nancy’s thought of film. In Nancy’s thought of film, the real in the film is understood as the access to the real itself. Documentary is, in this sense, the active medium, which opens up the truth of the world. The documentary images carry away the real to the viewers and let them feel the others close to themselves. This process is also to explain in the consideration to Nancy's thoughts of corpus and community, for the evidence of film enacts the being-with and touching, which compose the docu-medi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