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독교 예비부모교육 연구

        최수연 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비부모교육 마리아해리스 수잔존슨 파커파머 영성

      • 처방전달시스템과 퇴원환자분석시스템 정보의 효율적 관리와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진단과 수술 정보를 중심으로

        최수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원 정보시스템을 이루는 하위 시스템인 처방전달시스템과 의무기록관리시스템 정보의 관리 현황을 조사하였다. 의무기록관리시스템 중 환자의 진료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의무기록과의 퇴원환자분석시스템과 처방전달시스템의 진료 관련 기본 정보 입력 항목들을 비교하고 입력 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를 비교함으로써 동일 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의 입력과 관리의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병원 정보시스템의 정보관리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착 단계에 접어든 처방전달시스템(OCS)의 정보를 양질로 관리하기 위해 처방전달시스템에 입력되어지는 진료 정보의 정확성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처방전달시스템(OCS)의 정보와 의무기록 퇴원환자분석시스템에 입력되는 기본항목 42개를 비교한 결과 환자의 기본적인 인적사항이나 입퇴원사항등의 원무과에서 입력한 12개 항목은 함께 공유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13개 항목에 있어서는 공통된 항목을 각각의 업무 프로세스를 통해 입력하고 있었다. 데이터의 입력 및 활용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되는 입력항목은 입력과 관리의 업무로 분리하여 더욱 입력되는 정보의 질을 높이도록 하고 각 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입력되는 항목은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2. 병원 처방전달시스템과 의무기록을 검토한 후 작성된 퇴원환자분석 시스템의 주진단과 수술관련 항목들의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주진단코드의 일치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는 입원경로, 생검 시행 여부, 입력한 의사의 직위, 퇴원 직전의 주진단코드의 삭제여부, 재입원 여부였다. 외래에서 입력된 주진단코드의 일치도는 60%미만으로 나타났다. 외래에서 주진단의 입력이 전문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생각하여 보면 이는 주진단의 개념의 차이가 가장 큰 요인으로 생각된다. 3. 수술관련항목의 일치도는 진단코드의 일치도보다 매우 높았다. 그러나 마취종류의 일치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처방전달시스템에 입력되는 마취종류의 구분과 의무기록 퇴원환자분석시스템에 입력되는 마취종류의 구분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앞으로는 이러한 입력 데이터의 내용의 표준화를 이루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 처방전달시스템 정보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서는 정보의 입력과 관리의 업무를 명확히 구분하여 중복되어 발생하지 않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며, 저장되는 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계속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병원정보시스템을 통해 양질의 정보를 얻어 이를 병원의 경영의 합리화와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용하며,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기관이면서 동시에 연구기관인 대학병원의 기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ormation of 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and MIS(medical record information system of hospital discharge) in HIS(hospital information system). Basic input items and person are compared in OCS and MIS. It is possible to solve how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information input. Quality data makes quality information. So, it is important to take care of quality data in information system, especially in OC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acts of taking care of quality and accuracy.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obtained. 1. 42 data items are compared side-by-side between OCS and MIS. 12 in a total of 42 items are held in two information systems. These are desirable in data management systems. Otherwise, the remainder of the other 30 items are managed with the gathering and storage of data respectively. Since this is inefficient data management, this needs to be improved. 2. This study analyzes the consistency of items related to principal diagnoses and operations of MIS and OCS. A route of administration, biopsy, positions of doctors in charge of the input process, deletion of codes of principal diagnosis right before discharge and readmi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sistency rate of principal diagnoses of outpatients is less than 60%. The important thing to be noted is the difference of principal diagnosis concept. 3. Consistency of operation items is higher than that of principal diagnosis. But consistency of anesthesia is lower than other operation items. This is because classification of anesthesia in OCS is different than it is within the MIS system.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standardization of data input in the future. Finally, the working process should be improved to get data accuracy and to avoid data duplication in OCS. The effective usage of information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and developed. Quality information of HIS will be beneficial in promoting efficiency and rationalization of hospital management.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patients and to maintain our reputation as a quality university hospital as a premiere educational and research facility. It is all important to educate people in charge about of information knowledge to produce quality information of achieving the basic goals of service at a university hospital.

      • 대학생의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

        최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 belief that willpower is a nonlimited resource, on mental well-being. Als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79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drawn from Seoul,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Gyeongsang area. Using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were conducted and structural relations of each variables were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nd mental well-being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self-regulation, personal goal striving, and mental well-being. Also, all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four laten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ll of the paths from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to mental well-being,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were significant. Also, each path from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to mental well-being, and the path from self-regulation to personal goal striving were also significant. Third,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respectively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and mental well-being. In additi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was also significant. Taken together, it was identified that a nonlimited theory about willpower not only direct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ment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increases mental well-being by encouraging one to better self-regulate in the direction consistent with personal goals in everyday life, which in turn helps successful goal str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the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belong in the emerging adulthood, a period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ater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individual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willpower in order to improve the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Moreover, based on the dual-mediated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personal goal str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in devising som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ment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본 연구는 의지력이 한정되지 않은 자원이라고 믿는 비제한 신념이 정서적·심리적·사회적 안녕감을 모두 포함하는 행복의 지표인 정신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과 경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에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잠재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정하였다. 또한 부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변인들의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 정신적 안녕감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측정변인들의 상관 분석 결과, 네 개의 잠재변인들의 측정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정한 결과,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에서 정신적 안녕감,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으로 향하는 각각의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에서 정신적 안녕감으로 향하는 각각의 경로와 자기조절에서 개인적 목표전념으로 향하는 경로 역시 유의하였다. 셋째, 부스트래핑 방법을 실시한 결과,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 개인적 목표전념은 각각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을 차례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의지력이 한정되지 않은 자원이라고 여기는 비제한 신념을 가질수록 일상에서 자신의 목표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기조절을 더 잘할 수 있고, 이는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 성공적으로 전념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결과적으로 정신적 안녕감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인으로서 새로운 사회적 맥락 및 역할을 경험하는 한편, 이후의 삶에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 시기인 성인진입기에 속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적·심리적·사회적 안녕감을 모두 포함하는 행복의 지표인 정신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행복감을 경험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적응적으로 기능하는 것에 더하여,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그 사회에 기여하면서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의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스스로를 N포 세대라고 칭하는 현상은 이들이 미래에 진정으로 바라는 것들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상실해가고 있음을 반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자신의 꿈과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삶에 의미를 부여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의지력이 쉽게 고갈되지 않는 자원이라는 신념은 매일의 생활뿐만 아니라 이들이 미래에 원하는 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장애물을 극복하는데 있어 힘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정신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이 의지력의 속성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신념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의지력에 대한 비제한 신념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과 개인적 목표전념의 매개효과가 확인된 것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정신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하는 데에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오브제의 해체를 통해 본 무의식 표현의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현대미술에서 일상의 사물로 채워진 설치미술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작가들은 개인의 이유와 방식으로 일상의 오브제를 재창출한다. 연구자는 일상의 사물을 재료로 인식하고, 오브제를 ‘해체-조합’하는 개체화 과정의 반복을 통해 무의식을 형상화 한다. 연구자는 주변에서 발견하는 사물의 시각적·촉각적 자극에 따라 오브제를 분해, 변형, 조합하여 의식화한다. 이는 종이와 물감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발견한 물건을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드러나는 오브제의 형상과 물질성을 예술적으로 재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회화와 구별된다. 작품의 재료가 되는 오브제는 공사장이나 길거리에서 우연히 발견한, 버려진 각종 부품과 도구들이다. 나무 조각, 거울, 거즈, 볼트·너트, 렌치 등은 일상을 둘러싼 공간, 가구, 사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연구자가 일상적 오브제를 재료로 사용하는 이유는, 그들이 놓인 공간, 형상과 질감이 잠재된 경험과 기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며, 이 연상을 통해 오브제는 연구자 자신의 신체로, 의식과 무의식의 연결고리로 상징화된다. 또한 작업과정에서 오브제를 묶고-풀고, 붙이고-떼어내고, 채우고-비우고, 연결하고-분리하는 반복되는 행위는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내면성을 표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재료가 갖는 일상성과 작업과정은 작품을 내용적·표현 방법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융의 무의식이론을 근거로 무의식의 개념과 종류, 무의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본 후, 무의식의 상징성을 논할 것이다. 무의식 이론을 펼친 대표적인 정신분석학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칼 구스타브 융(C.G. Jung)이 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억압된 의식으로 한정지었으나, 융은 무의식을 인간이 의식하지 못한 정신세계 전부라고 말하면서 자율성과 창조성을 지닌 에너지로 보았다. 이러한 무의식에 대한 융의 긍정적인 관점으로 인해, 연구자는 무의식을 탐색해야하는 정신적 실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무의식의 개념과 상징성을 살펴 본 후, 연구자 작품에서 드러나는 개인적·집단적 무의식의 내용을 해석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 작품연구에서 중요한 '해체‘ 의 개념정리 후,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과 짐 다인(Jim Dine)의 작품에서 드러난 해체적 측면을 알아 볼 것이다. 니키 드 생팔과 짐 다인은 공통적으로 일상의 사물에 감정을 이입하여 무의식을 형상화하였다. 두 작가 모두 반미학적인 재료를 예술적으로 인식하였다는 점, 오브제가 내포하는 작품의 물리적 해체성 및 심리적 해체성, 그리고 작품을 통해 무의식을 형상화했다는 점은 본 논문에서 니키 드 생팔과 짐 다인을 관련 작가로 선정한 기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내용적· 표현 방법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해리된 의식과 억압된 성적 이미지의 내용을 오브제를 발견·변형하는 전체적인 작업과정분석을 통해 해석하고, 무의식과 오브제의 연계성 및 상징성을 방법론적·심리학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It is no longer unusual to see installations made out of everyday objects in contemporary art. Many contemporary artists for personal reasons and in individual ways recreate common objects as artworks. My work materials are ordinary objects, and I transform them through repetitive dissembling and assembling in order to give a shape to subconsciousness. Guided by the visual and textural qualities of common objects, I conscientize the process of dissembling, transforming, and assembling them. My work is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painting in the respect that I perceive aesthetic appeal in the shapes and textures of found everyday objects, instead of colors and canvases. All sorts of fragmented parts and tools found in construction sites and streets are my work materials. Pieces of wood, mirrors, pieces of gauze, bolt and nuts, and wrenches are commonly found in everyday living space, and they once existed as parts of furniture and manufactured products. I use these ordinary objects because I associate them with memories and experiences as they once were associated with specific space, and their shapes and textures evoke something. My associations turn them into objects of symbolizing my body and linking my consciousness to subconsciousness. Through the process of tying-untying, attaching-detaching, filling-emptying, and connecting-disconnecting objects, I conscientize my subconsciousness so that I can express internal aspects. Thus, the objects’ ordinariness and my working method become th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of my work. Based on C.G. Jung’s theory of subconsciousness, this thesis defines the concept and types of subconsciousness, explains its significance and importance, and then discusses symbolic attributes of subconsciousness. There are two psychoanalysts renowned for their theory of subconsciousness: Sigmund Freud and C.G. Jung. Freud confined subconsciouness to suppression, while Jung defined it more broadly, including all mental activities that people do without being conscious and regarded it as an autonomous and creative energy. Inspired by Jung’s positive viewpoint, I have come to recognize subconsciousness as something that I want to tackle. Thus,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and the symbolic connotation of subconsciousness based on Jung’s theory and analyzes individual and collective subconsiousness reflected in my work. This thesis also discusses works by Niki de Saint Phalle and Jim Dine with reference to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Both artists use and empathize with ordinary objects, with which they represent subconsciousness. The criteria for my choice of the artists are based on that the artists recognize unaesthetic materials as artistic ones, explor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construction of everyday objects, and their works are concern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subconsciousness. Lastly, I analyze the content and representational method of my work. The analysis of the entire work process from discovering to transforming objects is discussed in relation to my work that expresses dissociated consciousness and sexuality. The symbolic meanings and the relationship of consciousness and objects are examined from a methodological and a psychological perspective.

      • 영재유아와 일반유아간의 놀이성과 사회성숙도에 대한 차이 연구

        최수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 놀이의 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을 나타내는 사회성숙도가 영재유아와 일반 유아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아 영재유아의 놀이 행동 및 성격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영재유아의 놀이성이 사회적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D 영재교육원에 교육을 받고 있는 영재유아 27명과 경기도 의정부에 소재한 J 유치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일반유아 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D영재 교육원에서의 영재 판별은 부모나 교사의 추천으로 검사신청을 받아서 부모용 영재 행동특성 평정 척도와 카프만 검사(K-ABC)와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전경원)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평가하였다. 영재 판별의 기준은 카프만 검사(K-ABC)에서 상위 10% 해당하는 IQ 120이상, 전경원이 제작한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에서 평균이상, 부모용 영재 행동 특성 평정 척도에서 우수에 해당하는 유아를 판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0)이 제작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번안하여 일부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는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Doll, 1965)을 모체로 하여 우리나라의 배경과 연령 수준에 따라 수정, 보완한 김승국, 김옥기의 (1991)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각 부호화 작업을 거쳐 SPSS10.0( Statistical Package for Science)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은 평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정자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숙도의 차이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집단간을 비교하였으며, t-test를 통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놀이성과 사회 성숙도의 하위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고, 놀이성이 사회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연구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성에서 영재유아와 일반유아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일반유아의 놀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에서 일반유아가 높게 나타났고, 인지적 자발성과 유머감각에서만 영재유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경우 놀이 활동을 통해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을 개발하고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지적 발달을 가능케 하는 기초를 배우게 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학습적인 부분이나 지적인 부분만 강조하여 영재 유아들의 놀이활동을 등한시 한 결과로 보인다. 그 결과 놀이성에서도 지적인 면이나 리더 역할을 보이는 인지적 자발성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면 유머 감각 같은 언어로 표현하는 놀이에서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사회성숙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영재유아의 성숙수준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결과 자조와 작업, 의사소통, 사회화에서 영재유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작업과 의사소통의 경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 유아의 경우 이동, 자기관리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영재유아가 전반적으로 사회 성숙 수준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놀이에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능력을 보는 이동이나 자기관리에서 낮은 것은 영재 유아의 경우 부모의 관심이 주로 아동의 지적능력을 키우는 일이나 학업 발달에만 집중됨으로써 그 밖의 다른 분야는 부모가 해결해 주는 경향이 많음을 시사한다. 셋째, 영재유아 경우 놀이성과 사회성숙도의 상관관계를 보면 전체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사회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사회화와 놀이성의 하위 요인인 즐거움의 표현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이는 놀이성이 높은 유아일수록 사회적 성숙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놀이성이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면 영재유아의 경우 놀이성이 사회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작업과 의사소통에 영향을 많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작업은 놀이 중에서도 아이의 잠재적인 능력을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의사소통의 경우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서 영재 유아의 놀이성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놀이자체에서도 영재유아의 경우 언어로 표현하고 자신의 능력을 표현하는 곳에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in the field of playfulness which show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playfulness and the field of maturity scale which shows social ability. The playfulness and personality of the gifted children is analyzed. Further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playfulness of the gifted children on the social maturity scale is clarified as well as the correlation of the playfulness and social maturity sca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 gifted children educated in D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in Seoul City and 27 ordinary children educated in J Kindergarten in Uijeongbu in Kyunggi Province. In D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he distinguishment of the gifted children is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The valuation measures of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or parents, K-ABC and the test of childrens comprehensive creativity are used to evaluate the children. The gifted children are those who have 120 for IQ, which means to be at the top of 10% in K-ABC. They must be at least in the level of intermediate in the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Also they should be excellent in the valuation measures of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or parents.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playfulness of children, Childrens Playfulness Scale made by Barnett in 1990, translated and revised by Y.H.Kim in 1995 was used.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made by Doll in 1965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sed by S.K.Kim and O.K.Kim in 1991 and renamed Social Maturity Test, which was also appli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statistically calculated with SPSS10.0(Statistical Pachage for Science) after several steps of encoding. In statistical methodology, to measure the reliance of raters, the Pearson coefficients among the raters were calculated. The difference between playfulness and social maturity scale for the gifted and ordinary children was compared using average and standard variance among the groups. Through T-test,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as analyzed. To get the correlation among playfulness and subordinate fields of social maturity scale, Pearsons proportion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pplied. To know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n social maturity scale, many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Generalizing the results abov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layfulness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but generally the playfulness of ordinary children was higher than gifted children. Especially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and expression of happiness, ordinary children got better score than gifted children. Only in recognition spontaneity and humor sense, the gifted had better score. Even though children develop their potentiality and learn the basis of physical, social, ment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through playful activities, Korean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still emphasize the intellectual aspects instead of playful activities. The results in playfulness also showed in intellectual aspect or recognition spontaneity, the gifted children got better score than the ordinary children as well as the verbal expression. Second, comparing the social maturity scale, the gifted children were higher than the ordinary children. The gifted children got higher score in self-dependence, operation, communication and socialization. Especially in 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ordinary children the average score of movement and self-management were high. Even generally the social maturity scale of gifted children were high, in simple play activities like movement and self-management which need skill the gifted children showed low score. The reason was that parents emphasized intellectual ability and in other fields parents would do all for the gifted children. Third, for the gifted children playfulness and social maturity scale generally showed proportional correlation. Socialization, the subordinate element of social maturity scale and the expression of happiness which is the subordinate of playfulnes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al correlation. It means that the higher one childs playfulness is, the higher is his social maturity scale. Fourth, in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n the social maturity scale, for the gifted children playfulness gave much influence on the oper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were the subordinates of social maturity scale. We see that operation as a subordinate of social maturity scale showed childrens potentiality during playful activities. For communication, playfulness gave much influence on the verbal expression. In the process of playing, the gifted children got much influence in the verbal expression and expression ability.

      • 여말선초 淫祀·異端 비판과 성리학 사회의 실현

        최수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려 말기는 사회 내부의 모순이 심화되는 혼란한 시기였다. 이 시기에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왕실부터 민간까지 제사가 성행하였다는 것이다. 당시의 종교인들은 세태가 혼란한 틈을 타 彌勒을 사칭하고 백성을 착취하였다. 신진사대부들은 이러한 고려의 제사체계를 비판하였다. 그들은 국가위기의 원인으로 “풍속이 교란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이처럼 풍속이 교란한 까닭은 제사가 무분별하게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신진사대부들의 비판의 대상은 크게 불교와 민간제사로 축약된다. 그들은 특히 祀典에 기반을 두지 않고 승려나 무당들이 主祭한 제사들은 일절 금지시키고자 하였다. 신진사대부들은 이러한 제사들을 淫祀 및 異端으로 지목하고 비판하였다. 淫祀란. 신분에 따라 제사하는 대상이 다른데, 제사를 드려서는 안 되는 대상에도 불구하고 제사 드리는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국가와 민간에서 거행되는 제사 중 祀典에 따르지 않은 제사는 모두 淫祀로 규정되었다. 異端이란 유교와는 다른 체계적인 교리를 갖춘 종교를 말한다. 異端에는 불교와 도교가 모두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異端 비판’이라 함은 불교에 대한 비판을 일컫는다. 신진사대부들은 불교는 그 교리가 초현실적이며, 出家를 권장함으로서 人倫을 부정하고 三綱五倫의 질서를 헤치는 종교라고 지적했다. 신진사대부들의 淫祀·異端 비판은 단순히 ‘요망한 제사’에 대한 정비가 아니었다. 그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것은 성리학적 이상사회였다. 신진사대부들에게 유교는 正學이며 그 외의 사상은 배척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논리 아래 이루어진 개혁은 성리학에 의거한 새로운 사회인 조선의 건국으로 이어졌다. 조선 초에도 성리학적 질서를 실현시키기 위한 노력은 계속 이어졌다. 신진사대부들은 구체제를 부정하고 비판함으로서 새로운 국가 건설에 대한 명분을 세우고자 하였다. 때문에 祀典을 정비하고 淫祀·異端을 배격하는 데에 집중하였다. 또한 淫祀·異端을 대체하는 제사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따라 ??朱子家禮??를 기반으로 한 제사체계가 전면적으로 시행되었다. 고려 말부터 조선 건국 초까지 이루어진 淫祀·異端 배격은 신진사대부들이 성리학을 전파하는 데에 있어서 禮制의 개편 과정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는지를 시사한다. 淫祀·異端 배격은 고려 말에는 개혁정책의 일환이었으나, 조선 건국 이후에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성리학적 질서를 실현시키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 검도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만족도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최수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검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선수만족도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분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검도지도자들이 선수들을 지도하고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율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자 검도선수들을 대상으로 우수팀과 비우수팀으로 나누어 256명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 분석, 이원변량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검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선수만족도에 차이가 있다. 검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의 차이는 우수집단이 훈련과 지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민주적 지도행동은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고, 권위적 행동에서는 중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선수 만족도의 차이는 우수집단이 과제수행만족, 심리적 만족 모두 높은 만족도를 나타났다. 둘째, 검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은 선수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훈련과 지시행동만이 경기력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선수만족도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은 과제수행만족변인이 경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심리적 만족도에 비해 자신의 운동기술을 개발하는데 제공받았던 기회나 과제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경기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리더십유형에 따라 선수의 만족도는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과제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경기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민주적 지도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과제수행만족과 심리적 만족 변인 모두 경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권위적 지도행동 수준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선수들 모두 과제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경기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리더십유형에 따라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기력에는 차이가 있다. 훈련과 지시행동 수준에 따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기력의 차이는 없고, 고등학생의 경우 지도자들이 민주적 리더십을 적게 발휘하는 집단의 경기력 수준이 높으나 중학생은 민주적 리더십을 많이 발휘하는 집단의 경기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1) To determine the influences that the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in kumdo instructors have on the play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2)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in the instruction types and the player satisfaction between superior and inferior groups (3) To explore the ways for the ideal instruction-behavior models for kumdo instructors Data were collected on 256 men kumdo play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perior and inferior teams. To prove the hypothesis, three methods wer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1) Player satisfac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leadership types of kumdo instructors. Superior groups showed higher adaptability and performance in training than inferior groups. In democratic training atmospheres, high school players showed higher adaptability and satisfaction; in authoritative atmospheres, those of middle school did. Superior group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performance and task taking. (2) The leadership types of kumdo instructors affect the performance of players. Training and instruction-behavior positively affect player performance; the variance of task taking satisfaction also affects it. Compared to ment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from both developing performance techniques and taking the tasks more affect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3) Depending on the types of leadership, the degree of player satisfaction varies in player performance. Both groups of higher and lower levels of training and instruction-behavior showed higher performance bas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ask taking. In the democratic instruction-behavior groups, the variances of the task taking and mental satisfaction all positively affected the player performances. However, in authoritative groups, only the task taking satisfaction affected player performance. (4) There are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high and middle school players depending on the leadership types. In terms of training and instruction-behavior,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high and middle school players. For high school players, those under democratic leadership showed higher degree of performances; for middle school players, those under authoritative leadership showed higher degree of performances.

      • 정서적 방임의 세대 간 전이에 관한 한 연구 : 애착이론을 중심으로

        최수연 서울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focuses on attachment theory over metastasis of emotional negligence between generations. Emotional negligence refers to lack of emotional interaction and support, and inability to meet love needs. Emotional negligence is caused by failing to create emotional bond between parent and children among many other factors. That is, emotional negligence occurs according to attachment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ren. Emotional negligence may cause negative effects and serious problems just as other abuses and metastasizes between generations. While such emotional negligence is growing continuously and causing problems, public awareness toward seriousness of emotional negligence is weak.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looked into various viewpoints and factors of emotional negligence and its effects to reconsider the seriousness of weak public awareness over emotional negligence and its metastasis between generations, suggesting that emotional negligence should be viewed as the basis of abuse and negligence. The research examined the development of parent-children attachment phase by phase and types based on attachment theory as emotional negligence is seen as failure of building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ren, and also the effects of attachment in childhood on the attachment in adulthood and attitudes of parenting to suggest that emotional negligence metastasizes between generations. The research also suggested therapeutic solutions to redefine and restructure ‘internal working model’ by taking care of clients who experienced emotional negligence and avoiding metastasis between generations by experiencing stable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 and counselor or between the family.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emotional negligence has negative effects just as other abuses and negligence do and can be viewed as the basis of abuse and negligence as emotional negligence is due to lack of emotional support and love from parents. Second, emotional negligence is caused by unstable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ren and this can affect internal working model. The effects of internal working model last even until adulthood and this affects parenting behavior for children. In other words, emotional negligence between parent and children is supposed to occur and such environment is provided and handed down to next generation. Third, there is a need to redefine and restructure internal working model formed by initial experiences through experiencing stable attachment in the client-counselor and emotional communication that changes attachment relationship in the family in order to get out of emotional negligence. As this thesis views emotional negligence as the basis of abuse and negligence and identifies that there is possible metastasis between generations, I hope there will be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new awareness on emotional negligence. And I also expect that there will be various research on solutions to the problems.

      • 환경호르몬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인식조사

        최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현재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환경호르몬에 대한 교육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교육 프로그램 또한 미비하다. 환경교육은 다학문적이고 간학문적인 특성이 있지만 어느 학문보다도 환경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큰 과목이 바로 과학이다. 특히 환경호르몬의 내용은 STS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환경교육과 관련이 많은 과학 교과를 통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교육 교재의 개발에 앞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과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10학년 과학 교과서 7종의 환경 관련 단원 분석을 통해 교과서 내 환경호르몬의 내용을 살펴보았고, 고등학교 학생과 과학교사들의 환경호르몬에 대한 인식과 교육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 환경호르몬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성별, 계열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설문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 고등학생 204명과 과학교사 26명으로 설문지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정, 상관분석, 빈도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 환경호르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환경호르몬은 탐구 활동 중심이었으며, 내용별로 보면 자료해석이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토의의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교과서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고 환경호르몬에 대한 설명이 단순하여 교과서만으로는 학생들이 환경호르몬에 대해서 학습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환경호르몬에 대한 정보를 주로 대중매체나 학교 수업을 통해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호르몬에 대해 대부분 관심을 가지고 환경호르몬이 사람에게 위험한 물질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직접 관련된 활동에 참여하는 것에는 적극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호르몬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정적관계를 보이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태도 점수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환경호르몬 교육을 통해 태도 변화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환경호르몬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환경호르몬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교재의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다섯째, 고등학생과 과학교사의 설문지 응답 결과, 두 집단 모두 환경호르몬의 지식 내용 중에서 환경호르몬 문제의 해결방법과 인체 내 작용 방법 등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영역에 대한 내용의 환경호르몬 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며, 수업 자료로는 학생들은 영상물, 사진, 만화, 애니메이션과 같은 시청각 자료를 선호하였고 교사들은 영상물이나 인쇄매체를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gainst the endocrine distruptors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of textbook. In order to obtain some learning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science curriculum of endocrine distruptor, Environment chapter in seven kinds of science textbooks for the 7th curriculum were analyzed. Particularly, inquiry activities was by three dimens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inquiry content dimension, inquiry process dimension and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204 person high school students and 26 teachers who are located in Seoul and Kyoungki-Do is. The test tool of this research is the question item which asks the recognition against an endocrine distruptor education 57 question item for students and endocrine distruptor education reinforcement plan is composed with 26 question item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correlation analysis, frequency study in tyhe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seven textbooks contain various learning material and provide us further reading, students can be interested in the text. In analysis of inquiry content dimension, inquiry activity of seven textbooks is the largest part of text. 'data interpretation' is the highest part, next, 'discussion' is taken up the second highest part. Thus, we can learn that the textbooks, deal with through various inquiry activities, accord with objective of the 7th curriculum. Students obtain informations about endocrine distruptors mainly through mass media like TV, radio or lesson in school. Most of them are interesting to endocrine distruptors and they think that endocrine distruptors are very dangerous for man. But they don't want to participate in activity of endocrine distruptors education positively. As compare the recognition and behavior against the endocrine distruptor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of nature department are more statical relation than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The recognition against the endocrine distruptors education of high school scientific teachers appears high score and they think to need education program of endocrine distruptor or developing textbook for endocrine distruptor education. Both students and scientific teacher prefer to image data for endocrine distruptor education of science class.

      • 놀이를 통한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 지도방안

        최수연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interests of early education in music are increasing steadily, so musical education is important enough to emphasize. Doctor Benjamin Bloom of Chicago Universit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arly education, because 80 percent of learning ability is formed before the age of eight. Especially musical education is highly related to other education. Emotion is stabilized through music, emotional stability brings cognitive development, besides cognitive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moral intelligence. So, with these things, infants have a rising effect of an aesthetic sense. Like other education, infants who have been closed at hand since young are familiar with music, develop the musical ability fast, and have high emotional quotient. Peoples' Interests and passions in music are amazing, but the ways of musical education are not developing. It's true that adults implant difficult musical concepts in infants' hea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interest. The educator Bruner, using the spiral theory, insisted that any knowledge should be taught at a proper level. Therefo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 corresponding with learners' thinking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educational effect should be maximum. Infants are still immature cognitively and developmentally. To achieve the effective education of infant, we should considerate infants' developmental degree, circumstance, the teachers' quality. With the harmony of these elements, the educational effect will be great. It's hard to evaluate some teaching principles based on specific measurement instruments, but this study is showing and specifying an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real experience of infants' cognitive and bodily development. The followings are the main contents. First, this study is about the general developmental feature, Piaget's main notion of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and each stage's feature, and the importance of general musical feature and education of infants. Second, this is about the notion and feature of play, the relation between play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per circumstances of infant music. Third, integrating above all, this study divided musical plays which are appropriate to infants into rhythm play, sound play, musical game, song play and impression play, and formulated a teaching plan. Through this study, it becomes to know that musical development is remarkable in infancy and to know that it's very important to conact various musical experiences depending on developmental stages. The former infants' musical experience and notion affect the next stage. Therefore teachers should offer infants the field of learning to go through lively music with pleasant minds and develop exciting activities. At the time infants feel and experience exciting activities, they will find music attractive. The aim of true infants' musical education is to find internal musical abilities in mind, and potentiality and imagination when infants sing favorite children's songs or move hands and legs unconsciously when listening to exciting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