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구적 일상생활 프로그램이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재활 동기,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최민경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o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in the view of self-efficiency,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ocial support. Methods : Eight stroke patients who attended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at P hospital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2018 to January 2019 were recruited.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was offered to 8 stroke patients 1 session (at least 1 hours) a day, 5 times a week, for 4~5 weeks. We evaluated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between before and after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turning to society. 목적 : 본 연구는 회복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8년 3월부터 2019년 1월 까지 부산 소재의 P병원에서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을 8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은 1일 1회, 1시간 주 5회, 총 4~5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을 실시 후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이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사회복귀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 미용교육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민경,이유주 한국뷰티경영학회 2015 한국뷰티경영학회지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worker's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beauty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final data were obtained from 215 employees working at the beauty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empirical survey were as follows. Research hypothesis, cosmetic consequences of i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quality of education workers, and ‘competence’ among cognitive elements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the well-organized nature is ‘meaning’ of the job and personal feature. This is concentrated through the educational skills development and training of employees, past spell in the education system indicated a messaging is important. Also, empowerment of competence of the Quality of Life personal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 for both the quality of life, and personal attitude and character, source of job satisfaction been shown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empowerment competence ha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 in quality of life. Finally, it was shown that in order to accomplish empowerment have to focus on the impact of the individual attitude i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empowerment of in beauty education affects the work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service so that we can set the better marketing strategy as well as the beauty service industry's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이 주거공동체 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청주시 사직2동을 중심으로 -

        최민경,황희연,권정주,Choi, Min-Gyeong,Hwang, Hee-Yun,Kwon, Jeong-Ju 한국주거학회 201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3 No.4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importance levels and also an AHP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from Aug 2011 through Feb 2012) carried out in the Sajik 2-dong in the City of Cheong-ju. By quantitatively eliciting the effects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use art programs have 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housings an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objective verification, this study was able to ascertain that local resident festivals had the greatest impacts on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housings in the Sajik 2-dong in the City of Cheong-ju. This is deemed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programs such as local resident festivals, in which various age groups participated, - amidst the unmitigated circumstance of Sajik 2-dong in the City of Cheong-ju (conflicts among the residents on account of redevelopment project) -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 perceptional change of the community and in the resolution of conflicts.

      • KCI우수등재

        근대문화유산관광지의 지각된 진정성과 체험 및 실존적 진정성 간영향 관계 분석: 군산 방문 관광자 중심으로

        최민경,이훈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5

        Touris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modern cultural heritage sites because they hav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ngage living spaces from everyday life. People nowadays seek an authentic life to liberate themselves from negative emotions. Tourists recover from them and live with vitality in everyday life after participating in a tourism experience. Tourists who visit heritage sites are affected by authentic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ceived authenticity, experience,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on modern cultural heritage site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phenomenon. Perceived authenticity was defined specifically as perceived judgment based on objective authenticity. Furthermore, the researcher established the hierarchy for them in the context of the experience perceived by on-site visitors. The research site was Gunsan's cultural heritage sit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naires collected was 330, and 289 were analyzed.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effect of variable relationships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This study employed empirical analysis to assess perceived authenticity. It academically constructs and expands on previously limited concep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experiential tourism content. Finally, the qualitative growth of heritage tourism and change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근대문화유산 관광지는 시대적 의미를 지닌 역사성 있는 장소이자 생활공간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최근 많은 관광자들이 주목하는 관광지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느끼는 불안감, 외로움 등 부정적 감정에서 벗어나 진정성 있는 삶을 살기를 원하며, 관광 활동을 통해 잠시나마 일탈을 경험함으로써 활력을 되찾고 일상을 회복한다. 관광자들은 유산 관광지가 지닌 고유한 정취와 역사적 가치를 지각하고 체험함으로써 진정성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학술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근대문화유산 관광자의 지각된 진정성과 체험 및 실존적 진정성 간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진정성은 근대문화유산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역사적 사실 기반의 진위 여부, 전통성 등과 같이 객관적 진정성에 대한 진정성 지각이며 실존적 진정성은 관광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관광대상과 개인의 주관적 상호 교류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판단이다. 이 연구를 위해 군산시의 근대문화유산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330부 중 28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진정성은 체험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체험 요인은 실존적 진정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진정성은 실존적 진정성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 체험과 관계 체험의 부분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근대문화유산의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고 있는 실무 담당자들에게 관광지의 진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과 실존적 진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체험 콘텐츠 구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한다. 궁극적으로 유산 관광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관광 환경 변화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창의발명인재 유형별 특성 비교 : 청소년 기업영재의 특성을 중심으로

        최민경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1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최근 새롭게 떠오른 분야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기업영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영재의 개인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기업영재의 정의 및 개념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허청이 주관하는 ‘지식재산기반 차세대영재기업인 육성사업’ 참여 학생을 기업영재로 정의하고, 이들의 특성을 발명영재 및 발명장학생과 비교함으로써 기업영재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의 발명영재, 발명장학생, 그리고 차세대영재기업인 중 현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226명의 학생이 총 다섯 가지 자료 영역, 즉, 청소년의 주요 정의적․지적․교육․진로(미래 포부) 영역, 생애 목표 및 목표 인식, 창업관련 특성, 발명관련 특성, 기타 개인 및 환경 정보에 관해 332문항에 걸친 자기보고식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차세대영재기업인, 즉 기업영재는 발명인재들이 나타내는 특성을 전반적으로 보유하면서, 기업적 능력 및 특성을 추가적으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영재는 발명영역 및 기타 개인 정보에서는 타 창의발명인재들과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나, 창업 영역과 지적 영역에서는 발명인재보다 뛰어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기업영재 및 창의적 인재 개발 분야에서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Despite recent attention to entrepreneurial gift, there has been minimal empirical research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gif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pecify and conceptualiz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gift from systematic empirical investigation. We operationalized the entrepreneurial gift as students participating in ‘intellectual property based future creative entrepreneurs' administered by Korean patent office, and compared characteristics of the entrepreneurial gift with those of the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A total 22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s the gifted students in invention, intention scholars, or future creative entrepreneurs by Korean patent offic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urvey was designed to measure major adolescent areas such as psychological, intellectual, educational, vocational areas, life purpose and its perception area, innovation-related area, invention-related area, a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result showed that entrepreneurial gift has higher score in entrepreneurial potential,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talented students in invention has. Entrepreneurial gift has similar characteristics in the area of invention-related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hile they showed higher ability in terms of invention-related area and intellectual area. Implications,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영재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과 영재의 상담에 대한 태도가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

        최민경,김세원,소정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6

        영재상담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최근 활성화되고 있지만, 실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구안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의 상담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영재 상담을 방해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영재 상담 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재의 학업 강조 경향성, 학부모의 학업강조 경향성,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및 인식이 영재의 상담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부모의 학업 강조 경향성은 영재의 전문적 도움 추구와 영재의 상담에 대한 일반적 태도 및 인식을 매개로 영재의 상담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영재상담의 실제에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While the importance of needs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has been actively studied, factors tha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in designing counseling programs less have been studied.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counseling for the gifted and talented research by investigating factors which impede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and by suggesting structural model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ental emphasis on academics, personal emphasis on academics,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on gifted youths' inten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s of parental emphasis to academics on gifted youths' intentions toward counseling are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surrounding attitudes for consultat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근대 동북아해역의 이주 현상에 대한 미시적 접근: 부관연락선을 중심으로

        최민경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attempted a microscopic approach to the migration phenomenon in the modern Northeast Asian sea region by focusing on the movement of Koreans and Japanese through Bugwan Ferry. In other words,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Korean and Japanese migrants across the Korea Strait on the Bugwan Ferry, this study wanted to find out what kind of space the Bugwan Ferry was and what events there were.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migration experience was also divided according to the boundaries of 'ethnicit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igration patterns of Korean and Japanese during the modern period differed greatly in their motivation, form and outcome. First of all, in the case of Korean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migration through the Bugwan Ferry before and after forced mobilization varies greatl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30s, the Bugwan Ferry was an object that was difficult to get on, but had to be boarded to continue life, and the movement in chaos was a mixture of hardship, desperation, expectation and prospect. Meanwhile, by the late 1930s and beyond, 'forced' movements through the Bugwan Ferry turned into harsher ones that cross life and death and abound with violence. Next, in the case of the Japanese, the migration experience by the Bugwan Ferry was double-sided and ambivalent. In general, the movement through the Bugwan Ferry meant, first of all, the experience of the Japanese Empire's newest steamer,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possible to experience the pioneering and frustration of life at the same time. The Bugwan Ferry served as a link between Japanese migrants and the land of opportunity, but it was also a means for those who chose their own end of life for various reasons. Like this migration through the Bugwan Ferry itself was a cross of various meanings and emo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given by the ‘boundary’ of the Korean and Japanese people were clear. And this kind of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earlier researches on the Bugwan Ferry, which has been focused on macro-analysis, and enhances the comprehensiveness of related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부관연락선을 통한 한인과 일본인의 이동에 주목하여 근대 동북아해 역에 있어서의 이주 현상에 대하여 미시적 접근을 시도했다. 바꾸어 말하자면 부관연락 선을 타고 대한해협을 건너 이동한 한인과 일본인의 이주 경험에 주목하여 부관연락선 이 이들에게 어떠한 공간이었는지, 그리고 그곳에서는 어떠한 이벤트들이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시기 한인과 일본인의 이주 양상이 그 동기, 형태, 결 과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주 경험에 대한 분석 또한 ‘민족’의 경 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한인의 경우, 강제동원 이전과 이후로 부관연락선을 통한 이동의 경험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1930년대 전반까지 부관연락선은 승선 자체가 어렵지만 삶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올라타야만 하는 대상이었으며 혼란 속에 이루어진 이동은 고됨, 절박함과 더불어 희망, 설렘이 뒤섞인 것이었다. 한편, 1930 년대 후반 이후가 되면 부관연락선을 통한 ‘강제적인’ 이동은 생사를 가로지르고 폭력이 난무하는 보다 가혹한 것으로 바뀌게 된다. 다음으로 일본인의 경우 부관연락선의 이주 경험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부관연락선을 통한 이동은 무엇보다 제국 의 최신식 기선의 체험을 의미했지만 이와 더불어 삶의 개척과 좌절을 동시에 경험할 수 도 있었다. 부관연락선은 일본인 이주자를 기회의 땅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했 지만 다양한 이유에서 스스로 삶의 마지막을 선택하는 사람들을 위한 수단이기도 했다. 이처럼 부관연락선을 통한 이동은 그 자체로도 다양한 의미와 감정이 교차하는 것이었고 특히 한인과 일본인이라는 민족의 ‘경계’가 주는 특징은 분명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은 기존에 거시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부관연락선 연구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하고 관련 연구의 종합성을 높인다는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