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unoff forecasting by using transfer function-noise model and state-space model with Kalman filtering

        차창용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3 국내석사

        RANK : 247615

        물의 순환과정 중에서 인간생활에 가장 밀접한 영향을 주는 것은 유출이다. 따라서 수문학 연구의 주요 관심사는 궁극적으로 유출의 정확한 해석과 예측에 있다. 이러한 경우 강우와 유출자료를 실시간 on-line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강우-유출과정을 비교적 간단한 black-box형태의 입출력 시스템모형으로 구성하는 반면에 필터링이론을 도입함으로써 호우발생시 장차 일어날 홍수유출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실시간 예측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자료는 충주댐유역의 1987년∼1996년까지 발생한 주요 호우사상중 비교적 관측정도가 양호한 22개의 사상으로써 Kriging method에 의한 6시간단위 유역평균강우량과 충주댐의 6시간단위 유입량을 이용하여 모형구성 및 예측을 실시하였다. 모형은 transfer function-noise model과 state-space model을 각각 구성하여 Kalman filtering 기법을 적용하여 예측을 실시, 비교하였다. 모형구성은 범용 통계팩키지인 SAS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Transfer function-noise model의 경우 Box와 Jenkins(1994)의 모형식별법을 사용하여 식별한뒤, 사전백색화 추정법으로 충격반응가중함수를 추정하고, Porte Manteau 검정통계량으로 검정을 실시하였다. State-space model의 경우는 Akaike(1974)의 정준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식별한 뒤 추정 및 검정을 실시하였다. 구성된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간 1단계전 예측을 실시한 결과 transfer function-noise model과 state-space model 모두 비교적 정확한 예측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state-space model이 transfer function-noise model에 비해 다소 과다추정되거나 과소추정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in the circulation of water,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human life is runoff. Therefore, the main focus in hydrology is in accurate analysis and forecasting of runoff. In this case, if we can utilize the rainfall and runoff data in real-time on-line, we could compose the rainfall-runoff process into a rather simple black-box type input-output system model as well as apply the filtering theory, and as a result, forecast the flood runoff with promptitude and accuracy in case of precipitation. In this research, 22 satisfactory rainfall events from the year 1987 through 1996 were chosen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of models and the runoff forecasting in the basin near Chung-Ju Dam. During the process, model formation and forecasting were implemented using six hourly average rainfall in the basin and inflow into Chung-Ju Dam. Transfer function-noise model and state-space model were applied along with the Kalman filtering method for the forecasting and compared to each other. Global statistics package SAS system was used to construct models. Transfer function-noise model was identified by Box & Jenkins'(1994) method. Impulse response function was estimated by prewhitening method. Porte Manteau statistics were used to goodness of fit test. In case of constructing state-space model, Akaike's(1974) canonical correlations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model and the model was estimated and tested a goodness of fit. After conducting the 1 step ahead of real-time forecasting using the composed models, both the transfer function-noise model and state-space model exhibited a rather accurate result. However, state-space model tends to either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the forecast compared to transfer function-noise model.

      • 김수영·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차창룡 중앙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327

        The expressional modality of Korean modern poems' mythological imaginations is classified into two: (1) direct quotation and use of myths; and (2) indirect expression of prototypic structure of myths. Sin Dong-yeop is a typical poet who quotes and uses myths directly, whereas Kim Su-yeong is a typical poet who expresses the prototypic structure of myths indirec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etic mythological imaginations of two representative participatory poets-Kim Su-yeong and Sin Dong-yeop-in the 1960s. Although they have a common point of participatory poets, their mythological imaginations are in stark contrast in a sense of methodology and content. Kim Su-yeong was a poet who pursuing a fundamental principle of viewing and interpreting the world directly. In order to find out such a fundamental principle, he sympathized with objects looked, and then undergone specific experiences in which the object becoming an unexpected being. There are the deifications of natural objects or civilized products in those specific experiences, but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deification of abstract objects. There are such abstract concepts as freedom, love, and poetry in his deification. These three concepts are not individual beings that are independent from the poet, but other names of objects that he pursues ultimately. One of his ultimately pursuing principles is similar to the one and only god. Therefore, his mythological imagination is monotheistic and monistic. Because his life purpose is to find out the ultimate, his imagination is in line with the Christian lineal viewpoint of time, and often equips with tragic beauty. As the Norse mythology, Sin Dong-yeop thinks that the universe consists of a huge tree, and human beings live hanging on the branches of the tree. If there is no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human happiness cannot be guaranteed. With this view of the world, Sin Dong-yeop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complete harmony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nd regards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s deities. Because he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symbiotic relationship, he prefers the harmony-based femininity to the fighting masculinity. In his viewpoint, human beings are on the way to self-destruction with the conquest of the na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civilization. In order to rescue human beings from destruction, he tries to wake up them. Human beings must realize that they are on the road of destruction and then return to the world in which they were with the universe. The world in which human beings were with the universe is the paradisiacal world in which the god and human beings were in harmony. He establishes the prototype of paradise as the space of hometown in which national prototypic figures live. That returning to the paradisiacal world in the past is regarded as an ideal is based on the circular reasoning viewpoint of time. With the circular reasoning viewpoint of time, the good wins a victory in the end. Therefore, his view of future is optimistic. It is difficult to affirm how much important portion the mythological imagination occupies in their poems. Kim Su-yeong pictured well the lower middle class' consciousness that was based on everyday life and voiced out about real problems after the 4·19 revolution. Since he tried to reach to the ultimate state of poets by getting out of human limits through mythological imaginations he must be paid attention as a poet who pursuing the ultimate divinity. Sin Dong-yeop also must be reevaluated as a poet who had an insight into the impoverished realities of human beings, beyond the firm disposition of crying democracy and national unity. He took human impoverished realities into consideration sincerely, and based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he dearly hoped human beings to be rescued. In addition, based on mythological imaginations, he dreamed to go back to the paradisiacal world, with a universal view of the world. 한국 현대시의 신화적 상상력의 표출 양상은 두 가지로 대별되는데, 신화를 직접 인유하는 방식과 간접적으로 신화의 원형구조를 표출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신동엽이 신화를 직접 인유하는 시인의 전형이라면, 김수영은 간접적으로 신화의 원형구조를 표출하는 시인의 전형이다. 본 논문은 1960년대의 대표적인 참여시인인 김수영과 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참여시인이라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시인의 신화적 상상력은 방법론적인 면뿐만 아니라 내용상으로도 매우 대조적이다. 김수영은 세계를 바로 보고 해석할 수 있는 근본적인 원리를 추구한 시인이었다. 근본적인 원리를 찾아내기 위해 그는 바라보는 대상과 교감하게 되고, 교감하다보니 대상이 예기치 않은 존재가 되는 특별한 체험을 하게 된다. 그 특별한 체험에는 자연물의 신격화도 있고 사물 또는 문명의 산물에 대한 신격화도 있지만, 그에게 중요한 것은 추상적인 개념의 신격화이다. 그가 신격화한 추상적인 개념은 ‘자유’와 ‘사랑’과 ‘시’이다. 이 세 개념은 별개의 존재라기보다는 김수영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김수영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그 하나의 원리가 곧 ‘유일신’과 같은 것이니, 신화적 상상력의 측면에서 그의 상상력은 유일신론적이고 일원론적인 것이다. 궁극적인 것을 찾는 것이 일생의 목표가 되기 때문에 기독교적인 직선적 시간관과 통하며, 그럼에도 기독교적인 신의 세계를 ‘순진하게’ 믿지 않기 때문에 그의 미래관은 비관적이다. 신동엽은 북유럽 신화에서처럼 우주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류는 그 나뭇가지에 매달려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우주와 인류가 공생하지 않으면 인류의 행복이 보장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관을 토대로 신동엽은 자연과 인간의 혼연일체를 중시하고, 자연과 인간을 모두 신으로 여기게 된다. 공생을 중시하게 되니, 투쟁적인 남성성보다는 조화를 근간으로 하는 여성성을 중시한다. 신동엽이 보기에, 인간은 근원을 잊어버리고 자연을 정복하는 문명을 건설함으로써 멸망의 길을 걷고 있다. 멸망의 길을 가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신동엽은 각성을 촉구한다. 우리가 멸망의 길을 가고 있음을 깨닫고 과거 인간과 우주가 함께했던 세계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과 우주가 함께했던 세계는 신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었던 낙원의 세계이다. 낙원의 원형을 그는 민족의 원형적 인물들이 사는 고향의 공간으로 설정한다. 과거 낙원의 세계로 돌아가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 것은 순환론적 시간관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말해주며, 순환론적 시간관에 따르면 결국에는 선의 편이 승리하게 되므로 신동엽의 미래관은 낙관적이다. 신화적 상상력이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그들의 시세계를 설명해주는 핵심적인 영역에 속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김수영이 소시민 의식을 정직하게 그려내면서도 참신한 현대성을 구현한 모더니스트 시인이거나 현실문제에 날카롭게 대응한 참여시인으로서의 면모뿐만 아니라, 신화적인 상상력을 통해 우주의 근원에 해당하는 궁극적인 신성에 대해 깊이 탐구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새로이 주목해야 한다. 신동엽의 경우에도 민주주의와 통일을 부르짖었던 강직한 참여시인의 면모를 넘어서 인류의 피폐한 현실에 대해 진지하게 통찰하는 한편, 그 역사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류의 구원을 간절히 소망했고, 신화적 상상력을 발현하여 범우주적인 관점에서 낙원의 세계로 돌아가고자 하는 꿈을 꾸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