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수영·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차창룡 중앙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expressional modality of Korean modern poems' mythological imaginations is classified into two: (1) direct quotation and use of myths; and (2) indirect expression of prototypic structure of myths. Sin Dong-yeop is a typical poet who quotes and uses myths directly, whereas Kim Su-yeong is a typical poet who expresses the prototypic structure of myths indirec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etic mythological imaginations of two representative participatory poets-Kim Su-yeong and Sin Dong-yeop-in the 1960s. Although they have a common point of participatory poets, their mythological imaginations are in stark contrast in a sense of methodology and content. Kim Su-yeong was a poet who pursuing a fundamental principle of viewing and interpreting the world directly. In order to find out such a fundamental principle, he sympathized with objects looked, and then undergone specific experiences in which the object becoming an unexpected being. There are the deifications of natural objects or civilized products in those specific experiences, but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deification of abstract objects. There are such abstract concepts as freedom, love, and poetry in his deification. These three concepts are not individual beings that are independent from the poet, but other names of objects that he pursues ultimately. One of his ultimately pursuing principles is similar to the one and only god. Therefore, his mythological imagination is monotheistic and monistic. Because his life purpose is to find out the ultimate, his imagination is in line with the Christian lineal viewpoint of time, and often equips with tragic beauty. As the Norse mythology, Sin Dong-yeop thinks that the universe consists of a huge tree, and human beings live hanging on the branches of the tree. If there is no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 beings, human happiness cannot be guaranteed. With this view of the world, Sin Dong-yeop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complete harmony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nd regards the nature and human beings as deities. Because he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symbiotic relationship, he prefers the harmony-based femininity to the fighting masculinity. In his viewpoint, human beings are on the way to self-destruction with the conquest of the na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civilization. In order to rescue human beings from destruction, he tries to wake up them. Human beings must realize that they are on the road of destruction and then return to the world in which they were with the universe. The world in which human beings were with the universe is the paradisiacal world in which the god and human beings were in harmony. He establishes the prototype of paradise as the space of hometown in which national prototypic figures live. That returning to the paradisiacal world in the past is regarded as an ideal is based on the circular reasoning viewpoint of time. With the circular reasoning viewpoint of time, the good wins a victory in the end. Therefore, his view of future is optimistic. It is difficult to affirm how much important portion the mythological imagination occupies in their poems. Kim Su-yeong pictured well the lower middle class' consciousness that was based on everyday life and voiced out about real problems after the 4·19 revolution. Since he tried to reach to the ultimate state of poets by getting out of human limits through mythological imaginations he must be paid attention as a poet who pursuing the ultimate divinity. Sin Dong-yeop also must be reevaluated as a poet who had an insight into the impoverished realities of human beings, beyond the firm disposition of crying democracy and national unity. He took human impoverished realities into consideration sincerely, and based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he dearly hoped human beings to be rescued. In addition, based on mythological imaginations, he dreamed to go back to the paradisiacal world, with a universal view of the world. 한국 현대시의 신화적 상상력의 표출 양상은 두 가지로 대별되는데, 신화를 직접 인유하는 방식과 간접적으로 신화의 원형구조를 표출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신동엽이 신화를 직접 인유하는 시인의 전형이라면, 김수영은 간접적으로 신화의 원형구조를 표출하는 시인의 전형이다. 본 논문은 1960년대의 대표적인 참여시인인 김수영과 신동엽 시의 신화적 상상력을 살펴보았다. 참여시인이라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시인의 신화적 상상력은 방법론적인 면뿐만 아니라 내용상으로도 매우 대조적이다. 김수영은 세계를 바로 보고 해석할 수 있는 근본적인 원리를 추구한 시인이었다. 근본적인 원리를 찾아내기 위해 그는 바라보는 대상과 교감하게 되고, 교감하다보니 대상이 예기치 않은 존재가 되는 특별한 체험을 하게 된다. 그 특별한 체험에는 자연물의 신격화도 있고 사물 또는 문명의 산물에 대한 신격화도 있지만, 그에게 중요한 것은 추상적인 개념의 신격화이다. 그가 신격화한 추상적인 개념은 ‘자유’와 ‘사랑’과 ‘시’이다. 이 세 개념은 별개의 존재라기보다는 김수영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김수영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그 하나의 원리가 곧 ‘유일신’과 같은 것이니, 신화적 상상력의 측면에서 그의 상상력은 유일신론적이고 일원론적인 것이다. 궁극적인 것을 찾는 것이 일생의 목표가 되기 때문에 기독교적인 직선적 시간관과 통하며, 그럼에도 기독교적인 신의 세계를 ‘순진하게’ 믿지 않기 때문에 그의 미래관은 비관적이다. 신동엽은 북유럽 신화에서처럼 우주가 거대한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류는 그 나뭇가지에 매달려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우주와 인류가 공생하지 않으면 인류의 행복이 보장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관을 토대로 신동엽은 자연과 인간의 혼연일체를 중시하고, 자연과 인간을 모두 신으로 여기게 된다. 공생을 중시하게 되니, 투쟁적인 남성성보다는 조화를 근간으로 하는 여성성을 중시한다. 신동엽이 보기에, 인간은 근원을 잊어버리고 자연을 정복하는 문명을 건설함으로써 멸망의 길을 걷고 있다. 멸망의 길을 가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신동엽은 각성을 촉구한다. 우리가 멸망의 길을 가고 있음을 깨닫고 과거 인간과 우주가 함께했던 세계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과 우주가 함께했던 세계는 신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었던 낙원의 세계이다. 낙원의 원형을 그는 민족의 원형적 인물들이 사는 고향의 공간으로 설정한다. 과거 낙원의 세계로 돌아가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 것은 순환론적 시간관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말해주며, 순환론적 시간관에 따르면 결국에는 선의 편이 승리하게 되므로 신동엽의 미래관은 낙관적이다. 신화적 상상력이 김수영과 신동엽의 시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그들의 시세계를 설명해주는 핵심적인 영역에 속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김수영이 소시민 의식을 정직하게 그려내면서도 참신한 현대성을 구현한 모더니스트 시인이거나 현실문제에 날카롭게 대응한 참여시인으로서의 면모뿐만 아니라, 신화적인 상상력을 통해 우주의 근원에 해당하는 궁극적인 신성에 대해 깊이 탐구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새로이 주목해야 한다. 신동엽의 경우에도 민주주의와 통일을 부르짖었던 강직한 참여시인의 면모를 넘어서 인류의 피폐한 현실에 대해 진지하게 통찰하는 한편, 그 역사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류의 구원을 간절히 소망했고, 신화적 상상력을 발현하여 범우주적인 관점에서 낙원의 세계로 돌아가고자 하는 꿈을 꾸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 초기 「열반경」의 不退法 연구

        車昌龍(東明) 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359

        붓다의 열반을 기록한 경전은 크게 초기 열반경과 대승 열반경으로 나뉘는바, 초기 열반경의 초입에는 붓다가 설한 국가를 위한 불퇴법과 비구들을 위한 불퇴법이 수록되어 있다. 초기 열반경의 판본으로는 빠알리본과 산스끄리뜨본, 한역 다섯 종류, 그리고 티베트어역본이 있다. 이중 본 논문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 빠알리본 Mahāparinibbānasutta, 에른스트 발드슈밋트가 편집한 산스끄리뜨본 Mahāparinirvāṇasūtra, 佛陀耶捨와 竺佛念이 번역한 長阿含經의 遊行經, 白法祖가 번역한 佛般泥洹經, 역자 미상의 般泥洹經, 義淨이 번역한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제35권 중 열반경에 상응하는 부분 등이다. 이들 여러 판본에 수록된 불퇴법의 내용은 전체적으로는 유사하면서도 세부적으로는 조금씩 다르다. 이 논문은 우선 이들 여러 판본에 수록된 불퇴법의 내용을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써 붓다의 가르침의 참 의미를 찾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삼았다. 아울러 불퇴법 의 설법 배경과 함께 오늘날의 입장에서는 이 가르침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II장에서는 재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을 검토하였다. 초기 열반경에 는 국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만이 설해졌지만, 앙굿따라 니까야의 「천신품(Devatā-vagga)」31~34경은 재가 불자를 위한 불퇴법을 설하고 있다. 국가를 위한 불퇴법은 자주 모이고 모임도 많을 것, 화합할 것, 법을 준수할 것, 연장자를 공경할 것, 여성을 함부로 대하지 말 것, 탑묘에 예배할 것, 수행자를 공경할 것 등으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빠알리본과 산스끄리뜨본의 내용은 거의 유사한 반면에 한역경들에는 중국 전통사상 특히 유교사상이 가미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가 신도의 불퇴법은 수행자들을 친견할 것, 정법 듣기를 즐길 것, 계를 지킬 것, 승가에 대한 믿음이 클 것, 결점을 찾거나 비난하지 않는 마음으로 법을 들을 것, 외도에 보시할 곳을 찾지 않을 것, 정법을 닦는 승가에 보시할 것 등이다. 재가 신도의 불퇴법은 재가와 승가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승가가 여법하게 바로 서면 재가 신도의 믿음도 증장될 것이고, 믿음이 증장될 때 재가 신도도 퇴보하지 않고 발전하기 때문이다. III장에서는 승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을 검토하였다. 이 불퇴법은비구들에게 설한 내용이지만, 사실상 비구・비구니・사미・사미니 등 승가의 모든 공동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승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은 재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에 비해 매우 다양하게 설해졌다. 빠알리본의 경우 칠불퇴법 5종과 육불퇴법이 1종임에 비해, 산스끄리뜨본과 한역본들의 경우는 칠불퇴법이 6종이고, 유행경의 경우는 육불퇴법이 2종이다. 첫 번째 칠불퇴법은 공동체 유지를 위한 법으로 국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과 거의 유사하다. 두 번째 칠불퇴법은 수행자들의 생활규범이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칠불퇴법은 五根․五力․四念處․四正勤․七覺支등 수행과 관련된 것이며, 다섯 번째 칠불퇴법은 無常, 無我, 不淨 (asubha), 위험(ādīnava), 버림(pahāna), 탐욕 제거(virāga), 소멸(nirodha) 등의 想(sannā)을 닦을 것 등이다. 한역본에만 있는 여섯번째 칠불퇴법은 불법승과 戒・定・부모・不放逸등 일곱 가지를 공경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육불퇴법의 첫 번째는 이른바 六和敬法으로 몸의 업으로 자애를 유지할 것, 말의 업으로 자애를 유지할 것, 마음의 업으로 자애를 유지할 것, 법답게 얻은 물건을 동료 수행자들과 나눌 것, 계를 구족할 것, 바른 견해를 구족할 것 등이다. 유행경에만 있는 두 번째 육불퇴법은 부처님・법・승가・계・보시・천상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른바 六念處에 해당한다. 재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이 승가에도 유용하듯이, 승가 공동체를 위한 불퇴법도 재가 공동체를 위해서 유효하다. 또한 붓다 시대의 불퇴법이 오늘날에도 꼭 지켜야 할 가르침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가 있다. 초기 열반경의 초입에 등장하는 불퇴법은 그 시대의 정신을 충분히 반영한 것이지만, 오늘날의 여러 공동체에도 거의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가르침이다. 이들 불퇴법을 지키는 공동체는 붓다의 가르침대로 번영이 있을 뿐 쇠퇴란 있을 수 없으므로 모든 공동체를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불퇴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record the Sakyamuni Buddha’s Nirvana are divided broadly into the early Nirvana-sutra and Mahayana one. The introduction part of early Nirvana-sura describes two kinds of conditions of a community’s welfare(CoCW), each for a country preached by the Buddha and for Bhikkhus, respectively. The versions of early Nirvana-sutras include Pali, Sanskrit, Tibetan, and five kinds of Chinese translated versions, of which, this study reviewed Mahāparinibbānasutta, a Pali version, Mahāparinirvāṇasūtra, a Sanskrit version edited by Ernst Waldschmidt, Chinese The Buddha’s Last Travel Sutra(遊行經) from The Long Āgama(長阿含經) translated by Buddhayaśas(佛陀耶捨) and Chufonien(竺佛念), Chinese The Great Parinirvana-sutra(佛般泥洹經) translated by BaekBeobJo(白法祖), Chinese Parinirvana-sutra(般泥洹經)by anonymous author, and the part equivalent to Nirvana-sutra from the Chinese version of Mūlasarvāstivādavinaya Kṣudrakavastu(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vol. 35 translated by Yijing(義淨). The contents of CoCW described in these various versions have overall similarities and also slight differences in terms of detail.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nuine meaning of the Buddhist teachings by investigating each content of the CoCW described in these version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the teachings, in addition to the background of the preaching about CoCW, in light of the contemporary thinking. In part II, CoCW for lay communities are considered. While the early Nirvana-sutra preaches only CoCW for national communities, 31-34 sections of “Devatā-vagga” from Aṅguttara Nikāya preach also CoCW for lay devotees. The CoCW for national communities are summarized simply as frequent meeting and gathering, harmonization, abiding by rules, respecting the elders, prohibition of reckless treating of women, praying at stupa, and respecting Buddhist practitioner. While the contents of Pali and Sanskrit versions were almost similar, the Chinese translated versions were influenced by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especially the Confucian. The CoCW for lay devotees includes seeing the Buddhist practitioner with respect, enjoying listening to orthodox teaching, abiding by disciplinary rules(sila), strong belief in sangha, listening to preaching without trying to find flow or criticism, doing charitable act(dana) only to Buddhist but not other religion, and doing charitable act(dana) to sangha studying Buddha’s teaching. The CoCW for lay devotees suggests that the lay and sangha communitie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sangha communities in concordance with Buddha's teahcing is likely to induce enhancement of belief from lay communities and this, in turn, develop them without regression. In part III, the CoCW for sangha communities is reviewed. This CoCW is a teaching for bhikkhus, however, applicable to all communities in sangha including bhikkhu, bhikkhuni, sāmaṇera(skt. śrāmaṇera), and sāmaṇerī(skt. śrāmaṇerī). The CoCW for sangha communities is taught in more various ways compared to one for lay communities. While the Pali version describes five kinds of seven CoCW(7CoCW) and one kind of six CoCW(6CoCW), the Sanskrit and Chinese versions state six kinds of 7CoCW and, in Chinese The Buddha’s Last Travel Sutra, two kinds of 6Cocw are described. The first 7CoCW is a rule to maintain community and almost similar with the CoCW for national community. The second one is a living standard. The third and fourth ones are related to discipline such as five sensory faculties, five powers,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four efforts, and seven enlightenment factors. The fifth 7CoCW includes impermanence(anitya), no self(anatta), no contention(asubha), danger(ādīnava), abandonment(pahāna), absence of desire(virāga) of greed, studying conception(saññā) such as disappearance(nirodha). The sixth 7CoCW that stated only in Chinese translated version states respect for seven things including the Buddha, his teaching, sangha, disciplinary rules(sila), concentration of the mind (samadhi), parents, and diligence. The first 6CoCW, so-called six points of reverent harmony, states maintaining benevolence by bodily action, maintaining benevolence by verbal action, maintaining benevolence by mindful action, sharing things obtained in a legitimate way with peer practitioners, perfection of disciplinary rules(sila), and perfection of right opinions. The second 6CoCW described only in The Buddha’s Last Travel Sutra, calls for thinking of the Buddha, teaching, sangha, disciplinary rules, charitable act, and heaven which are six foundations of mindfulness. Just as the CoCW for lay community is useful for sangha, the CoCW for sangha community is useful for lay communities. The another significance is in that the CoCW in Buddha era is also teachings that should be abided also in this era. Although the CoCW stated in introduction part of early Nirvana-sura reflects the spirit of the era, it is also a universal teaching applicable without little change to various communities of current time. The compliance with these CoCWs prospect continuously without any decline according to the Buddha's teaching, suggesting that, for survival of a community, the efforts to comply with these CoCW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