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영유아자녀를둔부모의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차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차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 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중요도-실행수준(IPA)의 분석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은 어 떠한가? 2.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차 이는 어떠한가? 3.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실행수준(IPA)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C시와 A시에 위치한 영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 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세~ 5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293명으로, 영유아 부모의 자녀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소미현 등(2013)이 개발한 도구 및 보건복지부의 ‘구강건강을 위한 수칙’을 이봄이 (2014)가 수정·보완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추출하여 본 연구의 목적·대상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IBM SPSS Statistic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중요도-실행수준(IPA) 매트릭스 분석 방법을 실 시하여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을 분석한 결과 구강건강관리영역과 구강건강교육영역 모두 중요도와 실행수준의 순위가 같았다. 구강건강관리영역에서는 ‘자녀가 치아가 아프다고 하면 빨리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게 한다.’문항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간식을 준비할 때 되도록 충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음식을 준비한다.’의 문항 순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교육영역에서는 ‘자녀가 잠자기 전 칫솔 질 하도록 교육한다.’문항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가 간식을 먹 은 후 칫솔질 하도록 교육한다.’의 문항 순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건강관리와 구강건강교육의 두 영역 모두 중 요도 보다 실행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영역의 문항에서는, ‘자녀 의 간식을 준비할 때 되도록 충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음식을 준비한다.’의 문 항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구강건강교육영역의 문항에서는 ‘자녀가 간 식을 먹은 후 칫솔질 하도록 교육한다.’의 문항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실행수준(IPA)분석 한 결과 구강건강교육영역에서 ‘충치는 예방이 중요하므로 자녀에게 칫솔질 방법을 교육한다.’, ‘자녀가 식사 후 칫솔질을 하도록 교육한다.’의 2개 항목들 이 자녀 구강건강교육에 있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이에 비해 행동으로 잘 실 행하지 않는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실행수준을 보이는 2사분면에 위치하여 우선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순위와 차이를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알아 봄으로써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교육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영유아 구강건강, 구강건강관리, 구강건강교육, 중요도, 인식, 실행수준 *이 논문은 2023년 12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자기효능 증진전략을 활용한 탄력밴드 운동프로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근감소증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차선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근감소증과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효능 증진전략을 활용한 탄력밴드 운동프로그램을 10주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한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는 Y시 B종합병원과 B시 O종합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1(n=12명)에게는 자기효능 증진전략을 활용한 탄력밴드운동을, 실험군2(n=12명)에게는 탄력밴드운동을 주 3회 10주간 제공하였으며, 대조군(n=13명)에게는 투석실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교육을 1회 제공하였다. 자료수집은 삶의 질과 근감소증의 지표로 근육지수와 악력, 그리고 신체기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세군 간의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Kruskal-Wallis 검정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정으로는 서로 다른 세 집단 간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검정법인 Kruskal-Wallis 검정방법과 두 집단의 비교는 Mann-Whitney 검정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동일집단의 세 시점간 비교는 Friedman 검정방법으로, 두 시점간 비교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군 간에 각 시점(6주, 10주)별로 근감소증 지표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SPPB로 측정한 신체기능 점수는 10주 시점에서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p=.020), 사후검정 결과 자기효능 증진전략을 활용한 탄력밴드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신체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근감소증 지표인 근육지수와 악력은 시점(6주, 10주)별로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세군 간 영역별 삶의 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 증진전략을 활용한 탄력밴드 운동프로그램이 근감소증 지표인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을 혈액투석환자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거주기간에 따른 식태도와 식생활 관리에 관한 연구

        차선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Dietary Attitude and Meal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Cha, Seon Mi Department of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Choi, Mi Kyeong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dietary attitude and meal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according to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It was conducted a survey about general matters and their physical condition, meal management, cookery, factors having influences on selection of food and formation of their children's eating habits, opinions on Korean food and dietary attitude targeting 220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in and around Geumcheon-gu, Seoul.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ver. 17.0).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physical general matters and dietary attitude (used 5-score Lickertis scale) were calculated and significance test was conducted using ANOVA and Scheffe tes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healthy condition, social general matters, meal management, cookery, factors having influences on selection of food and formation of their children's eating habits and opinions on Korean food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x2-test was conducted for significance testing. The result of analyzing married immigrant women's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was compared by dividing it into 3 categories; 3 years or less, 3~7 years and 7 years or more is as follows. 1. The subjects were 39.1 years old with the height of 159.3cm and the weight of 54.9kg on average. Husbands were 45.6 years old with the height of 170.3cm and the weight of 68.3kg averagely. The shorte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lived in Korea, the greater the age difference was with the husbands. 2. The group with less than 3 years residence period in Korea appeared to be more likely to eat only what they want (p<0.01).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shorter the residence period in Korea, the more irregular the meal time was (p<0.05) while, the longer the residence period, the more regular the meal time has become (p<0.01).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did not seem to have an influence on how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te snacks or dietary supplements after their meals, how much they concentrated on the meal, and how salty they cooked. 3. As married immigrant women live longer in Korea, they become more responsible for their family's dietary food (p<0.001). The group with 3∼7 year residence period in Korea was proven to have breakfast (23.8%) and dinner (71.3%) with family more frequently (p<0.05). Such groups eat white-polished rice lesser, but increases the multi-grain rice ratio (p<0.05) in their meal. All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families love eating meat and th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residence period was again proven to have no impact on cooking methods which were preferred by the families, cooking methods that the subjects felt were difficult, and cooking methods that the subjects were willing to learn. 4. Regardless of the residence period, the subjects in general, considered that nutrition (48.8%) and taste of food (36.9%) were most important. The subjects with the longer residence period appeared to be less influenced by friends when they tried to form dietary habits for their children, but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p<0.01). 5. When answering the questions about the excellence of Korean food, 84.3% of the surveyed recognized the quality, saying that Korean food is highly nutritious (46.4%) and tasty (39.3%) (p<0.05). Thirty-four of the subjects (15.7%) with the opposite opinion said that the food is not good in nutrition and taste. 6. Fifty-seven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nswered that they have received help from an organization to learn how to cook Korean food (28.1%). They mostly learned to cook from their husbands' families. The groups with less than 3 years residence period and the group of 3~7 years residence period learned to cook from people that were originally from the same countries as themselves. The subjects living in Korea for more than 7 years answered that they have learned from Koreans (p<0.05). 7. The longe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lives in Korea, a better Korean cook they become (p<0.001), providing the families with better nutritious food (p<0.001) and a more enjoyable meal time (p<0.05). In addition, the rest of the families become more familiar with food of where the married immigrant women come from (p<0.05). However, as to a question asking how frequentl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make their hometown food, the answers were almost similar in spite of the different residence peri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s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gets longe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become more positive towards Korean food with more open minds to Korean dietary life. The dietary attitude was also told to become more regular. The groups with longer residence periods that were studied, stated that as a parent and a person who is in charge of cooking, they were more responsible for forming the children's dietary habits and offering good food to the families. Follow-up research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how the married immigrant women manage the dietary life and how the dietary habit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ould be effected by two different food cultures of their parents. I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re given an organized and constant food lesson from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ir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e women will adapt themselves to Korean food more quickly. Such government support would also be a help for the married immigrant women to build up a stable and positive dietary attitude.

      • 丁若鏞의 『易學緖言』『鄭康成易註論』 飜譯 硏究

        차선미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 research into Commentary of Jeong Gang Seong on Zhouyi (鄭康成易註論) authored by Dasan Jeong Yak Yong (丁若鏞: 1762~1836) and excerpted from his work Yeokhakseoeon (易學緖言) or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Zhouyi'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his view of Zhouyi. Dasan was a bureaucrat and one of the early pragmatists who accepted the Western thoughts and Catholicism during the later period of Choseon Kingdom. Owner of innovative mindset, he left behind lots of works despite repeated ups and downs in his life course. Zhouyisijian (周易四箋), collection of his view of Zhouyi theories, is, among others, his foremost academic achievement and might be called as his complete compilation of Zhouyi theories, to be summed up as Yeokrisabeob (易理四法) or Four Rules of Zhouyi, the theoretical base of which is rooted in Sangsuyeok (象數易) or Zhouyi Theories of Form and Number in Han Dynasty, China. Dasan once cited Yeokhakseoeon in the introduction of Zhouyisijian, declaring it as his theoretic base and criticizing, on the other hand, representative Zhouyi scholars in the history of Yijing. Included in the preface of Yeokhakseoeon was A Commentary to Lee Jeong Jo's Collection, which was a review of Zhouyijibhae (周易集解), a collection of Li Jeong Jo (李鼎祚) who was a scholar in Tang Dynasty, China and criticized the theories of the Sangsuyeok scholars of Han Dynasty, China. In A Commentary to Lee Jeong Jo's Collection, Dasan claimed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rely on such commentary in order to have a clear grasp of the real feature of Zhouyi, suggesting that his theoretic soil had been nourished on the ground of Sangsuyeok of Han Dynasty. He recognized in part theories of Jeong Hyeon (鄭玄) from a critical viewpoint by inserting Commentary of Jeong Gang Seong on Zhouyi in his book while criticizing that, due to Dogayeok (道家易) of Wang Pil (王弼) who, called a second scholar of Jeonghak (鄭學) as well as progeny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coexisted with Jeong Hyeon but was opposed to him, proper transition of Zhouyi history was suspended. Moreover, Dasan also asserted in Chu-Hsi Boneuibalmi (朱子本意發微)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is and Chu-Hsi's view of Zhouyi's Sang (象) or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Zhouyi theory. Chu-Hsi Boneuibalmi is an annotation of Chu-Hsi's Zhouyiboneui (周易本義) and had been used as textbook at government schools of Yuan, Ming and Ching Dynasties in China for over six hundred years. Zhouyi (周易) or The Book of Changes was completed thanks to the contributions of by Bokhee (伏羲), a male god in the prehistory of China who was said to depict trigrams or gua (卦) in the period when letters were not invented, King Wen (文王) who wrote interpretation for trigrams (卦辭), Zhougong (周公) who recorded Hyosa (爻辭) or Strokes, and Confucius who made The Ten Wings (十翼) in Zhouyi. Yijing, so completed,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changes in its status as the royal science for Chinese imperial family by scholars of various schools throughout the history. Sangsuyeok (象數易) during the Han Dynasty, particularly, was renowned as a fortune-telling book, with articulated symbols of changes developed and detailed in a unprecedented manner. At last, Dasan too agreed to Chu-Hsi's logic of Sang (象) which claimed that 'Zhouyi is essentially a fortune-telling book', justifying by thus the theoretical argument of Yeokrisabeob (易理四法), which could be summed up as Transition (推移), Hyobyeon (爻變), Hoche (互體), and Material Phenomena (物象) as a way to interpret Zhouyi. According to this logic, Zhouyi is Sang, Sang is then nature and nature is, in turn, change. That is, Zhouyi is a science of changes that determines symbols. In Gyesajeon (繫辭傳), it is argued that Sang is appeared, Yi is appearance (易者, 象也), and Sang is an imitation of form (象也者, 象也). As man can not survive without nature, he judges Sang at every moment of his life. In the morning, man would foretell the day's weather by watching the heaven's Sang. His judging is just telling his fortune. As Chu-Hsi (朱熹) said that Zhouyi is originally a fortune-telling book, Zhouyi has made progress by judging Sang only to tell fortune. Jeong Yak Yong was a pragmatist in the later part of Chosun Kingdom whose foundation was owed to Neo-Confucianism and he had thus deep root of doctrines of Chu-tzu seen in his theory. While Zhouyi was regarded as virtues of filial duty as well as loyalty by the advocates of Neo-Confucianism, the scholar who accepted the modernism as early as in such old-fashioned society as Chosun Kingdom with innovative mindset found changes in Zhouyi from the start. Such academic inclination of his seemed to force him to search for new changes in Neo-Confucianism of Chosun Kingdom which set too dominant value on Euiriyeok (義理易) alone. Jeong Yak Yong thus laid down his logical foundation by receiving Chu-Hsi's thought of Zhouyi based on the concepts of Form and Number from Sangsuhak in Han Dynasty and, from thereon, he tried to develop and reinterpret his logics toward Zhouyi. Yeokrisabeop was just the product of his accomplishments in this respect. Simply put, Zhouyi is philosophy of Sang. Jeong Yak Yong mapped out the philosophy of Yi (易哲學) of his own under the name of changes, growth and innovation realized through Sang of Zhouyi by observing the nature surrounding his place of exile that had never ceased to change in the manner of Yeokrisabeop, different from the static way of interpreting Yi that had continued to dominate the academic circle for several hundreds of years. 본 논문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저서인 ??역학서언(力學緖言)?? 중, ?정강성역주론(鄭康成易註論)?을 번역 연구하여 다산의 역학관(易學觀)을 연구하였다. 다산은 조선(朝鮮) 후기(後期) 관료를 지낸 선비로서 일찍이 서양 문물과 천주교를 받아들인 실학사상가(實學思想家)였다. 개혁적인 사상가로서 부침(浮沈)을 겪으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중에서 다산의 역학관(易學觀)을 집대성한 ??주역사전(周易四箋)??을 남겼다. ??주역사전??은 역리사법(易理四法)으로 요약되는 다산의 ??주역(周易)??에 대한 해석서인데, 그 이론적 근거가 한대(漢代) 상수역(象數易)을 기초로 하고 있다. 다산은 자신의 ??주역?? 해석의 이론적 근거로 ??역학서언??을 ??주역사전??의 서론 형식으로 저술하여 역학사(易學史)에 대표적인 역학자들을 비평하였다. ??역학서언?? 첫 머리에 ?이정조집해론(李鼎祚集解論)?이 실려 있는데, ?이정조집해론?은 당대(唐代) 이정조(李鼎祚)가 한대(漢代) 상수역 제가(諸家)의 설을 모아놓은 주역집해(周易集解)에 대한 논평이다. 다산은 ?이정조집해론?을 통해 ??주역??의 본령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아야 할 전적(典籍)이라 말함으로써 자신의 이론적 토양이 한대(漢代) 상수역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두 번째로 정학(鄭學)으로 불리며 왕학(王學)으로 불리던 왕필(王弼)과 공존하며 대립하던 정현(鄭玄)의 ?정강성역주론?을 실어 그의 이론을 비판적 수용하며, 한편으로 왕필의 도가역(道家易)으로 인해 올바른 역학사(易學史)의 전승(傳承)이 단절되었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주자본의발미(朱子本意發微)?를 통해 주자(朱子)의 상(象)에 대한 역학관(易學觀)과 자신의 역학관이 다르지 않다고 주장한다. ?주자본의발미?는 주자(朱子)의 ??주역본의(周易本義)??에 대한 평론으로 ??주역본의??는 원(元), 명(明), 청(淸)나라 육백년 동안 관학(官學)의 교재로 활용되었던 문헌이었다. ??주역??은 문자가 만들어지기 전 복희(伏羲)가 괘를 그리고, 문왕(文王)이 괘사(卦辭)를 지었으며, 주공(周公)이 효사(爻辭)를 쓰고, 공자(孔子)가 십익(十翼)을 지어 완성되었다. 이렇게 완성된 ??주역??은 시대를 거치면서 제왕의 경학으로써 또는 제가의 학자들에 의해 많은 변화를 거친다. 특히 한대(漢代) 상수역은 ??역(易)??의 점서(占書)로써 가진 변화의 상징이 폭발적으로 세분화 되며 발전하였다. 결국, 다산(茶山)은 ‘??역??은 본래 점치는 책이다’라는 주자의 상(象)의 논리를 자신의 논리로 받아들여 역리사법(易理四法)의 이론적 당위성을 부여한다. 역리사법(易理四法)은 ??역?? 해석을 위한 방법론으로 추이(推移), 효변(爻變), 호체(互?), 물상(物象)으로 요약된다. ??역??은 상(象)이고, 상(象)은 자연이며 자연은 변화이다. ??역??은 상징(象徵)을 판단하는 변화의 학문이다. ??계사전(繫辭傳)??에 이르기를 상(象)은 드러나 보이는 것이고, 역이란 상이며(易者, 象也), 상(象)이란 형상(形象)을 본 뜬 것(象也者, 象也)이라 말한다. 인간은 자연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순간마다 상(象)을 보고 판단한다. 아침에 눈을 떠 날씨가 좋을 것인지, 나쁠 것인지를 하늘의 상(象)을 보고 판단한다. 판단이 곧 점(占)을 치는 것이다. 주희(朱熹)가 ??역??은 본래 점치는 책이라 말했듯이 ??역??은 점(占)을 치기 위해 상(象)을 판단하며 발전을 했다. 정약용은 주자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받아들인 조선말의 실학자로서 주자학의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었다. 성리학을 섬기던 선비들이 바라보는 ??주역??은 충효의 덕목이었다면, 근대 사상을 일찍이 받아들인 개혁적인 선비가 바라본 ??주역??은 변화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인 성향이 의리역(義理易)으로 치중된 조선의 성리학(性理學)에서 새로운 변화를 찾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한대(漢代) 상수학의 상(象)과 수(數)의 개념을 토대로 주자의 역학사상(易學思想)을 받아들여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고, 자신의 논리를 새롭게 재해석하여 전개하고 있다. 그렇게 해서 완성된 이론이 역리사법인 것이다. ??주역??은 상(象)의 철학이다. 정약용은 변화무쌍한 유배지 자연의 상(象)을 바라보며 수백 년 동안 이어온 정태적인 ??역?? 해석방법에서 벗어나 역리사법이란 이론으로 ??주역??의 상(象)을 통해 변화와 생성, 그리고 개혁이라는 역철학을 실현하였다.

      • 전통공예 기술의 디자인 상품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공예 산업 진흥을 위한 한·일 정책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차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예는 우리의 생활 속에서 그 지역의 오랜 문화적 특성과 전통을 중심으로한 특산물부터 고도의 제조과정을 통한 고급 지향적인 패션 산업까지 그 형태나 유형이 다양하게 변화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공예품들 중에서 최근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기 시작한 것은 우리 고유의 전통을 살리며 보존하고 유지하는 전통적 공예와 공예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국의 다른 나라들은 이미 그들의 선조 때부터 전해져 내려온 전통적 공예기술이나 기법을 전승하고 보존하여 현대화하여 고급스러운 상품으로 발전시켜 다른 나라에선 볼 수 없고 구입 할 수 없는 고유한 상품으로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 특히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근접한 나라로써 우리와 유사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 그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대를 이어가며 전통적인 공예품과 공예기술을 계승하여, 마치 일본의 전통적 공예 이미지가 동양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것처럼 일본의 전통적인 소재를 고급화 시켰고, 그 결과 우리나라를 통해서 전수된 많은 전통적 기술, 공예품이 마치 일본 고유의 상품인 것처럼 여겨 지고있다. 일본의 식기는 옻칠 기법을 이용한 식기로 전통 옻칠기법으로 생산된 식기들이 고가인 것을 감안하여 현대의 음식 습관에 맞게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카슈라는 재료를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의 식기를 보급하므로 써 자연스럽게 전통적인 공예품이 현대 생활 속에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 이미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공예품들은 해를 거듭하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지만 일본의 국가적인 지원이나 정책 등에 비해서 많은 부분이 미약하다. 본 논문은 일본의 전통적 공예품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이나 진흥단체, 산지 특화되어 있는 사례들을 조사해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실정을 비교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전통공예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전통적 공예품을 발전하여 세계적인 상품으로써 나아가고자 한다. Industrial craft s has been changing in various ways with it s forms and types, r anging from special product s focused on their regions cultur al features and tradition to high quality- oriented fashion industry . Among these product s of industrial art s, those of traditional industrial art s that maint ain our original tr adition are gaining attention as the new subject of interest . In other countries, they tr ansmit and keep their skills and technique of traditional industrial art s and develop them into quality product s . T hose product s are high value added because they cannot be found or purchased in other countries . In case of J apan, especially, they have similar culture to our s , but they made their industrial craft s into high- class product s that seem to represent the orient al image by passing down and developing J apanese product s of industrial art s . As a result , lot s of J apanese industrial art s product s transmitted by Korea are considered as their original ones . T aking J apanese tableware for example, J apanese people distribute low price t ableware using Kasue for convenient use considering tableware varnished with traditional lacquer are expensive. T herefore, product s of traditional industrial craft s are being used in modern life. Already, product s of Korean traditional industrial craft s have changed for many year s , and they are not well developed and distributed yet compared to Japan ' s national support and policy . T his paper aims at examining cases of national support , promotion groups and special product s of regions in Japan to compare it with those of Korea. Also, it has a purpose to suggest some plan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 ' s traditional industrial craft s, and to make those product s of industrial craft s into world- famous ones .

      • 혈액투석시 투석액 속도가 투석적절도와 피로에 미치는 효과

        차선미 동아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혈액투석시 투석액 속도가 투석적절도와 피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ialysate Flow Rate on Dialysis Adequacy and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간호학과 차 선 미 지도교수 민 혜 숙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시 투석액의 속도가 투석적절도와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반복측정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시 일개 종합병원에서 말기신부전으로 주 3회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혈액투석시 각각의 대상자에게 투석액의 속도를 동정맥루에서 빠져나가는 혈류속도의 2배, 500ml/min, 700ml/min으로 적용하여 투석액 속도별로 주 3회 1주일 동안 적용하는 것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8월 28일부터 9월 19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으로는 각 투석액 속도별로 3차 혈액투석 전, 후 혈중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이하 BUN), 투석 후 체중, 투석 중 제거된 초여과량을 측정하여 Kt/Vurea(이하 Kt/V)와 요소감소율(Urea Reduction Rate, 이하 URR)을 산출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피로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시 투석액 속도에 따른 Kt/V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투석액 속도에 따라 Kt/V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28, p=.007). 사후검정 결과 투석액의 속도가 700ml/min 일 때가 혈류속도의 2배와 500ml/min 때 보다 Kt/V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2. 혈액투석시 투석액 속도에 따른 URR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투석액 속도에 따라 URR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11.83, p<.001). 사후검정 결과 투석액의 속도가 700ml/min 일 때가 혈류속도의 2배와 500ml/min 일 때보다 URR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3. 혈액투석시 투석액 속도에 따른 피로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F=.46, p=.636). 본 연구결과 혈액투석시 투석액의 속도를 700ml/min으로 하였을 때 투석적절도(Kt/V, URR)가 혈류속도의 2배, 500ml/min으로 적용했을 때보다 의미있게 높아졌다.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시 투석액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투석적절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임상에서 적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주요어 : 혈액투석환자, 투석액 속도, 투석 적절도, 피로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와 만족도에 따른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의 차이

        차선미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국가의 제도적인 정책과 산학협동체계가 절실히 요구되는 현시점에서 직업교육훈련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진국의 경우, 직업교육훈련을 통하여 직업기초능력을 강화하고 진로탐색능력을 제고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연구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한편, 진로발달이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면서 평생직업교육도 강조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청년층은 대학졸업 후 바로 취업하기가 쉽지 않아 학교에서 배운 전공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며, 일자리를 얻는다 해도 대부분은 1년 미만에 노동시장을 이탈하여 반복실업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보다 높은 현실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청년실업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대학생의 재학 중 직업교육훈련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직장체험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직장체험을 통하여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진로결정과 취업준비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장체험, 직업기초능력 및 진로탐색능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아울러 직장체험 만족에 따라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이 달라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동부에서 실시하는 청소년직장체험프로그램 중 연수지원제에 관한 효과성을 검정하기 위해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와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장체험, 직업기초능력 및 진로탐색능력에 관한 이론들을 개관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 관한 다음 모형을 설계하였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그리고 이 모형에 내재한 가설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1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1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2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수리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3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기술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4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5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6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자원활용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7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8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정보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1.9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조직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2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진로탐색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2.1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자기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2.2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직업탐색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2.3 : 대학생의 직장체험 여부에 따라 진로준비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1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의사소통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2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수리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3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기술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4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5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6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자원활용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7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8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정보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3.9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조직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4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진로탐색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4.1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자기이해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4.2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직업탐색능력에 차이가 있다. 가설 4.3 : 대학생의 직장체험 만족도에 따라 진로준비능력에 차이가 있다 상기 가설들을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총 874명 중 연수지원제 참가를 통한 직장체험 경험이 있는 대학생 452명과 그렇지 못한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장체험 경험자 중 직장체험 만족도가 높은 집단 199명과 낮은 집단 200명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은 9개 영역 57개 하위요소, 진로탐색능력은 3개 하위요소들을 측정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총 28개의 가설들 중 가설 4.1과 가설 4.3을 제외한 26개 가설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재학 중 직장체험을 가진 대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대학생들보다 직업기초능력이 높은 경향을 띠었다. 둘째, 직장체험이 있는 대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 보다 진로탐색능력이 높았다. 셋째, 직장체험을 한 대학생 중 체험 시 만족한 대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는 진로탐색능력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상기 요약은 현행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 연수지원제가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또한 재학 중 연수기관에서 다양한 직장체험을 통해 취업에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진로탐색능력을 향상시켜 취업준비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이는 나아가, 일시적인 청년실업대책보다는 대학생 스스로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면, 노동시장진입을 수월하게 하고 사회적응력 또한 향상시켜 근무환경 부적응이나 적성불일치로 인한 이직 발생률도 줄 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연수지원제가 더욱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향후 노동부와 학교, 기업체간의 유기적인 협조체제가 더욱 요구된다. 이 제도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연구도 요망된다. 나아가,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고 청년실업을 줄일 수 있는 학문적 노력도 요구된다. 본 연구가 이러한 노력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human resource fulfilling industrial needs. Advanced countries, therefore, exert much effort for enhancing basic occupation abilities and career search abilities through occup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however, do not offer sufficient experiences to increase such abilities. In addition, there are very few studies of relationships among work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basic occupation abilities, and career search abilities. Moreover,there exist little research about how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work experiences relates to such abilities as well. Fortunately, the Ministry of Labor has developed occupational experience programs and supported college or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u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empiric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work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s basic occupation abilities, and career search abil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related literature and designed a research model as follow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Based on the model, this study generated the following hypotheses: H 1: College students' basic occup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1: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2: College students' arithmetic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3: College students' technological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4: College students' self 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5: Colleg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6: College students' resource utiliz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7: College students' human rel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8: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1.9: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2: College students' career search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2.1: College students' self understand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2.2: College students' occupation search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2.3: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k experiences. H 3: College students' basic occup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1: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2: College students' arithmetic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3: College students' technological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4: College students' self management and development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5: Colleg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6: College students' resource utiliz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7: College students' human rel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8: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3.9: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4: College students' career search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4.1: College students' self understanding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2.2: College students' occupation search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H 2.3: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bilities differ depend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work experience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874 college or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all hypotheses were accepted except hypothesis 4.1 and hypothesis 4.3. In sum, firstly, college students who have work experiences during their schooling tend to have higher basic occupation abilities than those who have not. Secondly, college students who have work experiences tend to have higher career search abilities than those who have not. Thirdly,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experiences tend to have higher basic occupation abilities than those who were not. Finally,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experiences tend to have higher career search abilities than those who have lower satisfaction. This summary implies that the training program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Labor is effective to increase basic occupation abilities and career search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industries should be increased. This study further implies that Korean college and universities should increase practice-oriented education and training.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his study may provide a framework for such future studies.

      • 옥수수 수염 분말의 입자크기별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차선미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s according to different particle size of corn silk.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was classified into 5 groups. By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sis and color difference, the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observed. The particle size of the samples 198.17㎛, 178.27㎛, 85.48㎛, 27.4㎛ and 20.97㎛, respectively. The lightness color pigments were increased when the particle size was decreased. The contents of free sugar contents (Fructose, Glucose, Galactose, Sucrose, Maltose) of corn silk were analyzed using a HPLC.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samples was 2.01, 2.02, 2.06, 2.26 and 2.26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amples was 21.00, 21.75, 22.90 24.35 and 23.67% , respectively.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rolox and Fe(II) in corn silk were measured by FRAP assay, TEAC assay. TEAC value of samples was 2.36, 2.81, 3.20, 3.36 and 3.44μmol TE / g DW, respectively. FRAP value of samples was 11.67, 12.80, 13.43, 13.85 and 15.95μmol Fe(II) / g DW, respectively. Total phenolic content, FRAP assay and TEAC assay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increased.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increas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note betwee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