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이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many different peoples therefore, the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y more often meet the on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this moment, for them to improve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and embrace those from various classes and groups based on the idea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minorities and the underprivileged, confusing identity crisis and unfair experience etc. can be the important factor to move forward to the fair society to solve the matter of bi-polarization. To that end, it is the time to need to find out the invisible distortion in their recognition, to make efforts in getting out of the false idea. We need to know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such as what they think the discrimination is, why it occurs and how they think about it, and then we can find the solution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the adolescents experience. Thus, for this study, we studied what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ordinary families think about the discrimination, and get to study their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ncluding how they consider it. Besides, we also studied what affects the discrimination they think about and then tri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ordinary on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affect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Besides, we studied whether the social support controls the relation between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and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or not. In details, we studied how the lower definition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for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ies including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affect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And, we also aimed to find out how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out of social support believed to improve the positive adoption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control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As analyzing how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s and how the social support controls it, we tried to suggest the detailed direction to improve the social adoption of adolescents to live in multiple culture and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mportant to adapting to society and school for them. We sampled 148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ies and 30 on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andomly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weekly church school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mong those from 14 to 19 who live in Seoul and the Kyeonggi province and surveyed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ffect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t also shows that if the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increase which is the necessary ability to live as part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gets higher as well.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s the willingness not to reject or avoid in relating with other groups, not to treat in an unfair way and to actively make relations for mutual exchange and implement them. Universality is the tendency to recognize the fact that we are members of the common world and implement it while not to classify or discriminate the other groups. As the ability to accept the multiple culture is increasing, the correct idea for discrimination gets on the rise, the seriousness of discrimination for the ethical attitude is considered highly and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the sensitivity to find if a certain act to the other group is discriminatory, increases as well. Second, it also shows the result that the parental support, one of the social supports, brings the negative control effect to the 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The parental support even decrease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by suppressing the effect of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t shows that when the negative effect of parental support brings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n an improper way, the negative effect can occur. Third, it also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travelling to the other countries affected the standard of relationship for the multiple culture acceptance negatively. It tells us that the relationship standard of the study subject without the experience to travel abroad i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the experience to travel abroad. It can be explained in this way that due to the quantitative touch rather than qualitative touch such as understanding the other cultures and recognizing the equal relation with the other group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other cultures with travelling abroad, bias or discrimination gets strengthened. Lastly, the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said to be lower than that of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ies. The reason is that 80% of adolescents who don't go to school with lower discrimination recognition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adolescents who go to school out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us, we can get to know that the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this study is different not cause of whether they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r not but cause of whether they go to school or not. Based on this study, we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we ne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education related to multiple culture said to affect the acceptance of multiple culture to improve the standard of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give people more chances to meet foreigners. To that end, we need to increase the related education by selecting it as the official subject for middle and highs school students like the related subjects to be taught in universities which are usually provided by the exist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etc. We also need to increase the chance with which adolescents from both backgrounds meet each other through the related education or programs provided by the exist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Next, we need to provide the correct multiple culture education to parents to change the parental support to show the negative control effect of relationship and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nto the positive effect. We need to expand the related education or programs to parents from ordinary families considering that they are provided only to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현재 사회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일반가정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 간의 상호작용이 더 빈번해 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청소년들이 개인과 소수자 집단 또는 취약집단에 대한 차별에 관한 생각이나 혼란스러운 정체성, 부조리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다양한 계층과 집단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은 다문화 사회에서 양극화를 해소하고 좀 더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들의 인식 속에 보이지 않는 왜곡을 알아보고 기존의 잘못된 인식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청소년들이 무엇을 차별이라고 생각하는지, 차별이 왜 발생하며 차별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는지와 같은 차별인식에 대해 알아보아야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차별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들이 생각하고 있는 차별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지, 이들이 우리 사회의 차별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청소년들의 차별인식을 알아보고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차별에 어떤 것이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사회를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차별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이 차별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수용성과 차별인식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포함한 일반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 개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이 차별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개인 간, 집단 간의 긍정적 적응능력을 향상시킨다고 연구된 사회적지지 중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다문화 수용성과 차별인식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밝혀내는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차별인식이 어떤 관계가 있고 그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분석함으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과 학교 적응에 중요한 차별인식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4세에서 19세까지의 청소년들을 중·고등학교와 교회 주일학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일반가정 청소년(148명)과 다문화가정 청소년(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보편성이 차별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인 관계성과 보편성이 높아지면 차별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은 타 집단과 관계를 맺고자 할 때 거부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차별적으로 대우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상호 교류 관계를 맺고 실천하려는 의지이고 보편성은 타 집단을 등급화하거나 차별화하지 않고 공통된 세계의 구성원임을 자각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경향이다. 이러한 다문화 수용성의 역량이 높아지면 차별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이 높아지고 윤리적인 태도에서도 차별의 심각성을 높게 생각하며 타 집단에 대한 행동이 차별인지에 대한 민감성인 차별인식이 높아지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둘째,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차별인식의 관계에 사회적 지지의 부모지지가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주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의 효과를 부모지지가 억제하여 차별인식을 오히려 낮추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결과는 부모지지의 부정적인 효과로, 부모지지가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에 부적절한 방향으로 주어졌을 때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 번째는 해외여행의 경험이 오히려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여행 경험이 없는 연구대상자의 관계성 수준이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의 관계성 수준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해외여행에 따른 타문화에 접촉이 타문화의 이해와 다른 집단과의 평등한 관계를 자각하는 등의 질적인 접촉이 아닌 양적인 접촉으로 인해 오히려 편견이나 차별이 강화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차별인식이 일반가정 청소년의 차별인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자 중에 학교에 다니는 청소년에 비해 차별인식이 낮았던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의 80%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인 것이 원인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차별인식은 다문화여부가 아닌 학교의 재학여부에 따라 수준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천적 제언을 하면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보편성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다문화관련 교육의 횟수를 늘리고 외국인을 본 경험을 높이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 등을 통해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을 대학의 다문화 교과목처럼 중·고등학교에서도 교과목으로 선정하여 다문화 교육을 늘려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에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 등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가정 청소년과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함께 하는 기회를 늘릴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차별인식의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인 부모지지를 긍정적인 효과로 변화시키기 위해 부모에 대한 올바른 다문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다문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그 부모에 한정되어 실시되고 있음을 볼 때 일반가정 부모까지 다문화 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이 확대되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로봇활용 덕목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적극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미영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reated a program, with a focus on the virtues that formed the foundation of community life, for children who had low self-esteem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s a result of experiencing difficult community life, and then conducted the virtues program using robots that could talk and give emotional comfort. The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he ac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sever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To begin with, the researcher conducted two tests, CBCL 6-18 and TRF, on third and fourth graders who belonged to a high risk group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hen selected the students whose scores in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were 61T or over. After that, among the selected students, the researcher sorted out the students who had far more difficulty in attaining social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ordinary students and therefore were failing to adapt to school life. Among those students, nine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m and an education worker in the school and the approval of their families. The program carried out in the study consisted of 17 sessions in total. It was conducted in the forms of one to one activity with a robot and group activity with peers. As for research methods employed here,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B design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lf-esteem and ac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the subjects exhibi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steem after participating in the virtues program using robots. Particularly in general self, one of the sub-areas of self-esteem, the subjects' scores in the test after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ir scores before the program. Second, the virtues program using robot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ac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s. Although the frequency of active behavior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the children's active behaviors improved during the meditation period rather than the baseline period. Therefore, the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virtues program using robots conducted in the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he ac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s. 본 연구는 공동체 삶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자아존중감이 낮은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적 위안과 대화가 가능한 로봇을 활용하여 공동체 삶의 기반이 되는 덕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한 후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더불어 우울,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가 심한 아동의 적극적인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3,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정서·행동문제의 고위험으로 선별된 아동을 대상으로 CBCL 6-18과 TRF를 실시한 후 두 검사 모두에서 내·외현화 영역 점수가 61T점 이상인 아동을 1차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일반아동에 비해 사회성 기술과 학업 등의 어려움으로 학교 부적응을 겪는 아동까지 포함하여 아동을 2차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아동 중 담임교사와 교내 교육복지사의 추천과 가족의 동의를 얻은 아동으로 최종 9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총 17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로봇과의 1:1활동과 로봇과 더불어 친구와 함께하는 그룹활동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연구 설계 방법은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며, 적극적 행동 증진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한 연구 설계 방법은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로봇활용 덕목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전 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자아존중감 4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일반적 자아인 경우 사전 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두 번째, 로봇활용 덕목프로그램은 정서장애 아동의 적극적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었으며, 프로그램 구성 유형에 따라 적극적 행동 발생 횟수는 차이가 났지만 기초선 보다 중재 기간 동안 적극적 행동이 증진되는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로봇활용 덕목프로그램은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장애 아동의 적극적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교교육의 기본 목표는 학생의 학업과 행동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즉, 학생이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하는 데 있어서 학업과 행동은 가장 핵심적인 두 축을 이룬다. 최근 통합교육의 양적 확산과 질적 제고가 강조되면서 일반학급 상황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학생의 학업적, 행동적 어려움들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수업참여뿐만 아니라 학급 전체의 수업을 방해하고 교사를 소진시킨다. 이러한 문제행동이 지속될수록 학업적 수행은 더욱 저조해지고, 그에 따라 학업적 저성취의 문제도 심각해진다.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들 대부분이 심각한 학업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학업적 요구보다는 행동적 요구를 더 우선시함에 따라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 대상의 연구들은 행동 지원에 편중되어 왔고, 이들을 위한 학업 지원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자기조절 전략개발(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모델은 여러 장애 유형의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와 관련하여 높은 중재 효과를 입증하여 왔으며, 최근 증거 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s; EBP)로서의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특히 SRSD 모델은 쓰기에 대한 전략 개발과 함께 자기조절 절차에 대한 교수가 명시적으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정서․행동장애 및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에게 더욱 적합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들에게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실행하여 이것이 대상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인천 시내 17개 공립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생 22명으로, K-CBCL 점수, KISE_BATT 점수, 장애유형, 학년, 성별 등을 기준으로 짝짓기 기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SRSD 모델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게는 SRSD 적용에 대한 안내나 정보 제공을 하지 않았다. 실험은 약 6개월 간 중재 준비, 사전 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SRSD 쓰기 중재를 위한 준비 단계에서는 교사 연수와 관련 양식 협의가 이루어졌고, 실행 단계에서는 배경지식 개발하기, 토의하기, 시범 보이기, 기억하기, 협력적 쓰기, 독립적 쓰기의 6단계 SRSD 교수적 절차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였다. SRSD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이 쓴 글을 사전과 사후에 각각 3편씩 수합하였다. 수합된 글들은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와 어절 수를 세고 글의 질을 채점하여 각각의 평균을 산출하였다. 평균 점수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각 1회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하여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의 변화에 대해서는 캠코더로 녹화된 수업 장면을 직접관찰한 결과와 교사가 작성한 행동평가일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직접관찰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발생률과 행동평가일지에 의한 수업참여행동 평정 점수는 사전․사후 각 2회의 결과에 대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실험집단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글쓰기 능력은 글에 포함된 내용요소의 수, 어절 수, 글의 질 점수의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글쓰기 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은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다. 셋째, 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를 받은 실험집단의 수업참여행동이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접관찰의 결과와 행동평가일지의 결과 모두 중재 후의 수업참여행동이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위영역에 있어서는 직접관찰의 결과는 지시 따르기, 주의집중 하기, 과제수행 하기 영역 모두 향상되었으나, 행동평가일지의 결과에서는 지시 따르기와 과제수행 하기 영역은 향상되었으나 주의집중 하기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조절 전략개발(SRSD) 모델을 활용한 반성적 쓰기 교수가 외현화된 정서․행동 문제를 가진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글쓰기 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수업참여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외국 선행연구에서의 SRSD 모델을 국내 초등 특수학급 학생에게 적합한 형태로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말의 음운 특성과 특수학급 학생의 인지적 특성에 맞추어 SRSD 모델의 교수 전략과 자료를 변형하여 적용하였고, 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초등 특수학급 학생의 학업적 어려움과 행동적 문제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중재 방안으로서 SRSD 모델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fundamental goal of education in school is to develop students' learning and behavior. These two are the most essential core components for students to lead a successful school life. As the quantitative spreading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clusive education have been emphasized, students’ academic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o be taken care of in general classroom situation are getting highly diversified. In particular,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not only have difficulties in their classroom engagement but also disrupt the whole classroom atmosphere, and exhaust their teachers. As problematic behavior continues, the students show poorer academic performance and subsequent low academic achievement issue is getting serious. Although students who exhibit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have low academic achievement issue at the same time, behavioral approach has been prioritized over academic approach and accordingly,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while very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on academic interventions. In connection with this,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SRSD) model has been proved as a highly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in terms of writing for students with a variety of disorders and recently, its usefulness as evidence based practice (EBP) was acknowledged. The SRSD model has been proved particularly 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or at risk for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EBD), as it explicitly combines self-regulation procedure and writing strategy developm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influences that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may have on the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students having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The participants were 2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ttended 17 special classroom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11 people in each group, through a pairing process based on their K-CBCL scores, KISE_BATT scores, type of disabilities, grade, and gender. The SRSD model was appli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information or guidance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bout 6 months in the order of intervention preparation,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In the preparation phase, teacher training and relevant format discussion were conducted, and in the intervention phase, instruction was given according to the 6-step SRSD instructional process; background knowledge developing, discuss it, model it, memorize it, support it, and independent performance. In order to investigate influences that SRSD-based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may have on the writing ability of the participants, 3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collected writing samples were evalu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and the number of words and by scoring the quality of writing to calculate their average score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see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hanges of writing ability. Self-efficacy tests were giv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an independent t-test for two independent samples was performed regard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control group. For changes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data obtained from directly observing a classroom scene through the video clips and from daily behavior report cards completed by teachers were analyzed. Direct observations and teacher ratings 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their average scores were calculated. T-test for a dependent sample was carried out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riting ability, evaluated by comparing average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contained in their writing, the number of words, and the quality of the writing, in experimental group where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was giv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in all of three categories. It is verified that the writ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of self-efficacy between experimental group where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was given and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enhanc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room engagement behavior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experimental group. Both direct observations and teacher ratings verified that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after intervention was improved in a significant level. For sub-testing category evaluation, direct observation results showed that following instruction, paying attention, and performing tasks were all improved, but teacher rating results only showed the improvement of two sub-testing areas, i.e., following instruction and performing tasks, and paying attention area didn’t exhibit any significant improvement. SRSD writing instruction in this research was design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modified according to Korea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 based on SRSD model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writing ability, self 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 of students with externalized 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s proposing the usefulness of SRSD model as an intervention procedure capable of addressing the academic difficulties as well as behavioral problems of students in elementary special classrooms.

      • 사무직 근로자의 업무능률향상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 사무용 슬리퍼 디자인 중심으로

        진미영 부경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who sit for a long time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centered on slipper desig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esign of preferred slippers and the effect of slippers on work ability for office workers who work wearing slippers for more than 6 hours a day. The age group of the survey respondents was the most in their 30s. Unlike slippers worn in everyday life, functional factors such as cushions and acupressure were most preferred and considered features when purchasing office slippers. The slippers mostly worn in the office were priced between 10,000 won and 30,000 won, and the same price range was preferred for office slippers that are likely to be purchased in the future. Regarding a survey using a 5-point scale, where a higher score indicates greater satisfaction, the question of whether wearing office slippers helps improve work efficiency compares to wearing regular shoes and whether wearing office slippers increases satisfaction with the work environment received the most responses at 4 points. In addition, for the question of whether wearing office slippers has a positive impact on foot health while working, the highest score of 5 points was selected b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ults, we proposed a slipper design with universal design for office workers. Universal design refers to a product design that anyone can easily use. The slipper design proposed through this study is designed to widen the toes to make it easier for all office workers to wear, prevent socks from getting wet in humid places such as the bathroom, or be more formal. In addition, considering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survey, the price range of slippers desired, and the difference in salary according to title and occupation, we proposed an insole-replaceable slipper design that can satisfy everyone to wear comfortably. With this design, you can replace the introduction function and color according to the price range. The proposed universal design office slipper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and greatly improve work efficiency for those who work in the office for a long time. We recommend actively utilizing the slipper applies with universal design as a way to guarantee the health of office workers while improving work efficiency.

      • 치주질환자의 구강내 세균 변화를 통한 전문가 치주예방관리의 효과 평가

        진미영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치주질환자의 구강내 세균 변화를 통한 전문가 치주 예방관리의 효과 평가 연구배경 및 목적 : 치주질환은 여러 미생물에 의한 다중 감염이자 치아 지지조직의 염증성 질환이다. 치주질환 원인균은 그람음성 혐기성 세균으로 배양이 까다롭기 때문에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으로 세균의 분포와 수를 조기에 진단하여 심각한 치주염으로 진행될 수 있는 내인성, 외인성 요인들을 제거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전문가 치주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경남 창원시 소재의 G 치과 병원 치주예방센터에 내원하는 치주질환자 중에서 3개월마다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주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집단(Supportive Periodontal Treatment) 38명을 대조군, 치근면 활택술을 4회 시행한 집단(Periodontal Treatment) 35명, 치근면 활택술와 전문가 치주예방관리를 4회 시행한 집단(Professional Preventive Care) 36명을 최종 선정하여 2019년 4월 25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 조사와 1인의 치과의사가 시행하는 구강검사 및 임상 치주지수 검사, 타액을 이용한 가글로 구강 세균검사를 집단 간 처치 전, 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통계 패키지 SPSS(ver 25)를 이용하여 chi-square test, 분산분석, ANCOVA, 사후검정은 bonferroni 기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집단 간 처치 전과 후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copy 수 평균 변화량에서 전문가 치주예방군은 P. gingivalis 773.62±1198.09에서 241.40±430.40으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T. forsythia는 295.40±481.76에서 48.74±73.56로 처치에 따른 세균의 copy 수가 감소하였고 T. denticola는 179.92±305.71에서 53.96±80.15로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A. actinomycetemcomitans은 55.26±39.20에서 15.12±21.91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전문가 치주예방관리를 통하여 치주질환 원인균의 균주 자체가 완전히 사멸되는 것이 아니라 치주질환 원인균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치주질환자는 세균의 조기집락군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전문가 치주 예방관리를 주기적으로 받음으로써 심각한 치주질환으로 이환되지 않도록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심단어 : 치주질환, 전문가 치주예방관리, P. gingivalis, T. forsythia

      • 각시붕어에서 젖산탈수소효소 활성도의 일주기 변화

        진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일종인 잉어과의 각시붕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Light-Dark(LD)조건으로 어류에서 근육의 젖산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 EC 1.1.1.27) 일주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12L:12D(06:00-18:00 ; Light)의 광주기에서 LDH 활성도는 20:00에 가장 높은 화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시점보다 06:00와 15:00에서 비교적 높은 상태를 보였다. 12L:12D조건에서 빛을 완전히 차단한 DD(Constant Darkness)조건으로 전환시킨 1일에 전반적인 활성도의 양상은 변함이 없었으나 1시간씩 구간이 지연되었다. 같은 시점에서 비교해 보면 LD조건일 때 보다 전반적인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그러한 현상은 2일과 4일에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증가로서 상태가 지속되면 원래의 활성수준으로 감소하였다. DD조건의 기간이 4주이상이 되면 14:00에서만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다른 양상을 보임으로써 내생적인 일주 리듬이 존재함과 동시에 LDH 활성리듬을 조절함을 알 수 있다. 원 상태의 12L:12D 조건이 아닌 14L:l0D로 DD 조건에서 다시 LD 조건으로 변화시키면 앞으로 구간이 전진되었으며, LD의 활성 리듬을 되찾는 것으로 보아 포유류나 다른 설치동물에서 뿐만 아니라 어류에서도 환경요인인 빛은 일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Zeitgever로 생각되어지며 또한 일주시계는 광주기 및 빛이 존재하는 시간에 의존적이다. Circadian change of LDH activity of skelectal muscle were examined in the Korean endemic small fish on various light-dark conditions. In a 12L:12D(light onset 06:00)condition, LDH activity was highest at 2000h with two peaks at 0600h and 1500h and lowest at noon in fish. When the environment changed from 12L:12D to DD (Constant Darkness), phase delayed about 1 hr on the following day and shift was continued on day 2,4 without change of LDH activity pattern. However, the activity of LDH increased. This temporary increasing of LDH activity fell down to LDH level of 12L:12D condition under the contineous darkness. On maintaining the fish in dark for 4 weeks, LDH activity was appeared to only one broad peak at 1400h dismiliar to the other condition. It seems that endogeneous circadian rhythm presented itself and regulated LDH activity rhythm. Upon transferring the fish from DD to 14L:1OD condition, phase-advanced shift occured and was similiar to LDH acivity pattern of 12L:12D cycle after a time. These data suggest that light, one of the environmental fators, may be the most effective zeitgever which can regulates circadian rhythm in fish as well as mammalian and rodents. Moreover, circadian clock may depend not only on time of light representation but the photoperiod, as well, in Korean endemic fish, Rodeus uykii.

      • 의료서비스 선택과 의료정책 인식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상급종합병원 집중화 현상을 중심으로

        진미영 부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centration and centralization of medical resources increase healthcare expenditures. Consumers have right to choose the best healthcare providers under any circumstances. It leads the concentration of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Understanding consum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 hospitals is a fundamental basis for efficient and effective hospital management, especially in very competitive industries such as large hospitals in Korea. Tertiary hospitals were compared in terms of hospital choice and satisfaction factors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health policy. In order to figure out correlations between patient's hospital choice and health policies it is important what are influencing the factors of choice and which policies are enforcing. The results showed low correlation between hospital choice and health policies.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choice were significantly influencing patient's satisfaction in three factors: freshness of medical equipments, medic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care. Recognition on Health Care Policy was too low to show the correlations with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cho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