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s with morphine in fibromyalgia -A case report-

        주유미,신상호,최소정,전진영,성춘호,문호식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7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2 No.1

        The fibromyalgia syndrome (FMS) could be approached by various treatments modalities including education, aerobic exercis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ricyclic antidepressants,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pregabalin, and so on. If other treatments fail, opioids including morphine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the case of a 44-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FMS three years ago, and suffered from severe intractable pain, side effects from other drugs, and opioid tolerance. Administration of morphine via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 resulted in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tient’s pain intensity,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score, and sleep disturbance. Our case demonstrates that an implantable drug delivery system with morphine can be a potential treatment option for refractory fibromyalgia patients.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태블릿기반 사회성평가 개발 및 예비타당도 연구

        주유미,정진욱,김정호,정서원,조선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평가를 개발하고 개발된 각 항목의 예비타당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관련이 있는 사회성 요소들을 선별하고 평가의 구성 개념 을 정립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후 사회성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와 개발된 사회성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발달 아동 32명과 발달장애 아동 16명과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평균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총 3개의 대분류 안에 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지시따 르기, 모방, 주의공유, 전상징기적 지식, 상징행동, 규칙이해, 감정지각, 조망수용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구성 및 과제 적절성을 델파이 조사결과 모든 항목이 CVR .8-1로 나타났다. 사회성평가의 모든 항목에 서 정상발달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수행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1, p = .000). 아울러 K-SCQ 및 SMS 점수와 개발한 사회성 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 .57, p < .0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각 평가항목과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성평가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향후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to evaluate the social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o study the pilot validity of each developed item. Methods: Constructed concepts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were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an expert panel was form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digital assess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 avatar and the logic of the running,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h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and the Social Maturity Test (SMS) were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discriminant validity, a Mann-Whitn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32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nd 16 children with DD. Results: The study results consisted of eight items in three major categories. Detailed items include following instructions, imitation, joint attention, pre-symbolic behavior, symbolic behavior, understanding rules, emotion perception, and perspective taking. As a result of a Delphi survey on the construct concept and task relevance of each item, the CVR of all items ranged from .8 to 1. The test scores between children with TD and D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items of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5.1, p = .00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K-SCQ and SMS scores and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score (-.69, .57, p < .01). Conclusion: In this study,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developed, and the items and composition of the assessment were found to be valid.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examine the level of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태블릿 기반 인지평가를 활용한 발달장애와 정상발달 아동의 인지기능 프로파일 비교 연구

        주유미,박세영,유제광,정진욱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4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를 통해 세부 인지기능의 프로파일을 비교함으로써 본 평가가 진단그룹에 따른 인지기능 상태를 평가하는데 변별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총 80명의 만 4~12세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진단명별로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24명,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D) 20명,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7명, 정상발달 아동 29명이 참여하였다. 태블릿으로 개발된 인지평가는 총 8개 항목으로 공간작업기억, 작업기억용량, 시각적 작업기억, 시지각처리기술, 집행기능(계획), 집행기능(반응억제 및 주의력), 집행기능(억제)의 세부 인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를 시행한 후 진단그룹에 따른 차이를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Jamovi 1.6.23 을 사용하였다. 결과: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지적장애, ADHD 아동의 인지평가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χ²= 22.41, p < .001).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시각 처리기술 및 억제기능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였고, 지적장애 아동은 작업기억 용량, 시각적 작업기억과 반응억제 및 주의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 아동의 경우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지평가 항목이 없었다. 결론:본 연구에서 개발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는 정상발달 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의 상태를 변별함으로써 치료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 KCI등재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주유미,정은화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3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환경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 고, 각 평가도구의 특성 및 평가항목의 세부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부터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Embase, NDSL,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정환경 평가도구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394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 라 11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1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Ⅲ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7편(63.6%)으로 가 장 많았다. 총 11편의 연구에서 사용된 가정환경 평가도구는 10개로 분석되었고,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SAFER-HOME)이 3편(23.1%)으로 가장 많았다. 가정환경 평가를 실시한 전문가는 작업치료사가 9편(81.8%)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부분 의 가정환경 평가도구는 가정의 실외 및 실내 낙상위험환경, 안전 및 재난 대피환경, 약물관리환경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며, 일부 평가도구에서는 환경 내에서 수행하는 작업수행도가 포함되었다. 결론 : 총 11편에서 분석한 10개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는 대부분 가정 내외의 낙상, 안전 및 재난 대피 환 경, 약물관리 환경 등을 평가하고 있었다. 특히 작업치료사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의 경우 환경요소 뿐 만 아니라 환경 내 작업수행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서양식 주 거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형 주거생활양식을 반영하는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item contents, and scoring system of a home safety assessment by systematically reviewing published articles on using home safety assessment tools. Methods: Articles on the home safety assessment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9 were searched using Embase, NDSL, and PubMed database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of the 394 articles, a total of 11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seven (63.6%) articles of the one group pre-and post-group studies of evidence level III were the most common. A total of 10 home environment assessment tools were used in 11 studies, and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SAFER-HOME) was the most commonly applied (23.1%). Occupational therapists (81.8%) were the most frequently asked to assess the home environment. Most of the home environment assessment tools analyzed i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of the home and the outside environment and to promote a safe occupational performance. Conclusion: A total of 10 home safety assessments were analyzed among 11 articles. They generally consist of items related to falls, safety, disaster plans, and medication environments. A home safety assessment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cludes factors regarding occupational performance with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items in a home safety assessment reflected the house and lifestyle of western culture, and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our own culture-based home assess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글판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의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 연구

        주유미,조선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9 재활치료과학 Vol.8 No.4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obtain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HOME FAST using the translation-back translation process an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Methods : Total three stages were conducted which includes forward translation to Korean, test for degree of understanding of translated version, back translation to English, and then review and proof reading process. 21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understanding of Korean-translated HOME FAST, then some of expressions were modified for better understanding. Korean version was went through back-translation to English.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version and re-translated version were evaluated. Total 75 data from community dwelling elderly group were collected to assess internal consistency. Two occupational therapists simultaneously evaluated for the inter-rater reliability. Results : 11 items of Korean-translated scale were responded as having confused meaning by occupational therapists. There was some modification on expression. In the evaluation of similarity between original version and re-translated version, 3 items were selected as dissimilar items in terms of syntax and 6 items were selected in terms of semantic similarity. After the repetitive modification process, items were obtained conceptual equivalence between two different languages. Internal consistency was .62(KR20) (p<.01) and inter-rater reliability was .97(ICC) (p<.01). Conclusion : Korean version of HOME FAST was finalized through translation-retranslation process. The conceptual equivalence was established and Korean version showed highly reliable. In further study, The modification of items reflecting Korean house and life style should be conducted.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낙상 위험 주거환경 평가인 HOME FAST의 국내사용을 위해 체계적인 절차를통해 한국어로 번안하여 내용이해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한글로 번역된 HOME FAST의 내용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작업치료사 총 21명에게 한글번역본의 이해도 평가하게 하였다. 이후 한글번역본을 역번역 하여 원문과 비교하고 문장구조 및 의미 유사성을평가하였다. 아울러 신뢰도 검증을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낙상 고위험군 노인 75명을 대상으로평가를 진행하고 내적 일치도를 검증하였다. 그중 9명의 대상자의 경우 2명의 작업치료사가 방문하여각각 평가한 뒤 검사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내용이해도 검증 결과에서 11개 문장이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도 검증 결과의 의견을 바탕으로 검증위원회를 통해 구문을 수정하고 한글번역본을 완성하였다. 한글판을 역번역하여 유사성 검증을 한 결과 문장구조에서는 3문항이 유사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고, 의미적 측면에서는 총 6문항이 유사하지 않음으로 평가되었다. 최종적으로 반복적 역번역 과정을 통해한글판 HOME FAST의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한글번역본의 내적일치도는 .62(p<.01)로 나타났고, 검사자 간의 신뢰도는 .97 (p<.01)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체계적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HOME FAST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아울러 한글판의내용이해도를 검증하였고, 내적일치도 및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 KCI등재

        가상현실기반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병행한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의 효과

        주유미,정은화,유제광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병행한 가정환경개 선 서비스를 제공하였을 때 일상생활 안전 및 낙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 9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은 총 4회기에 걸쳐 제공되었으며 가정을 방문하여 주거환경 평가 및 수정을 진행하고 수정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훈련을 진행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센터로 방문하여 가상현실 환경 내에서 일 상생활동작 훈련을 하였다. 아울러 일상생활활동 중재의 일환으로 운동 처방 및 코치를 제공하였다. 결과 : 중재 전·후 가정 내 안전 및 낙상 위험요소는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est(HOME-FAST) 평가 결과 평균 6.2(SD ± 3.9)에서 11.7(SD ± 3.7)로 개선되었다(p = .00). 낙상 관련 행동요인은 Falls Behavioural Scale(FaB) 평가 결과 97.8(SD ± 3.9)에서 103.1(SD ± 6.2)로 향상되었고(p = .02), 활동특이적 균형 자신감은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ABC)평가결과 496.6(SD ± 303.7)에 서 742.2(SD ± 315.7)로 향상되었다(p = .02). HOME-FAST, FaB, ABC 모든 평가에서 서비스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가정 내 낙상 예방 및 낙상 위험 행동요인의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낙상에 대한 균형 자신감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시행한 혼합형 중재 모델의 가정환경개선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가상현실기반 일상생활활동 중재를 병행한 가정환경개선 서비스 모델을 통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낙상 예방과 일상생활에서의 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작업치료 중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viding a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service with virtual-reality-based intervention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ommunity dwelling on the safety and prevention of falls of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provided services to 9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living in the community. The program was provided over a total of 4 sessions, and home visi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and modif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aily life training was then conducted to adapt to the modifie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ubject visited the center and trained daily life movements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In addition, exercise prescriptions and coaches were provided as part of the intervention of daily activities. Results: The home safety and fall risk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mproved from an average of 6.2 (SD ± 3.9) to 11.7 (SD ± 3.7) as a result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est (HOME-FAST) (p = .00). In addition, the behavioral factors of a fall risk improved from 97.8 (SD ± 3.9) to 103.1 (SD ± 6.2) in the Falls Behavioural Scale (FaB) (p = .02), and the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improved from 496.6 (SD ± 303.7) to 742.2 (SD ± 315.7) in the Activity-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p = .02).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evaluations of HOME-FAST, FaB, and ABC,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preventing falls in the home, improving fall risk behavioral factors, and an improvement of balance confidence during a fall was confirmed. In addition,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service of the mixed delivery model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xtremely high.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will be effective for preventing falls and reducing safety accidents during daily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ly through a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service model combined with virtual-reality-based intervention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대상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의 효과 : 예비연구

        주유미,이현숙,정은화,김지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3

        목적 : 본 연구는 일상생활재활 모델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에게 제공한 가정환경개 선 서비스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예비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정신장애인 가족 단체를 통해 모집된 만성 정신장애인 6명이 참여하였다. 각 대상 자별로 기초사정, 가정환경개선 및 일상생활 중재, 후속조치의 내용으로 총 3회기의 중재를 적용하였으 며, 대면과 원격의 혼합 전달모형으로 제공되었다. 제공된 중재서비스의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캐나다작업수행척도, 주거환경영향척도, 서비스 만족도 설문을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참여자들의 작업수 행 관련 변화 및 주거환경 영향인자의 변화를 평균값 비교 및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중재서비스 이후 모든 참가자들의 COPM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대상자 중 2명이 보인 향 상도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이었다. 가정환경개선 중재 전후 주거환경 영향인자의 전체 점수 변화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Z = -2.201, p = .028). 총 5가지 측면에 대해 10점 만점으 로 조사한 서비스 만족도에서 참가자들이 응답한 평균 점수는, 위험환경 개선이 6.5점, 무질서환경 개선 이 7.8점, 일상생활 수행 개선이 8.8점, 전반적 서비스 만족도가 9.1점, 서비스 지속 희망은 9.1점인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신장애인 대상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주거환경 영향인자를 변화시키고 작업수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of an occupational therapy (OT) service involving home modification for community dwelling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Methods: Six participa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rough an organization of the parties concerned. The OT service provided to each participant consist of three sessions: a basic assessment, home modification and ADL intervention, and a follow-up.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a mixed face-to-face and remote delivery model. COPM, Residential Environment Impact Scale (REIS), and a Service Satisfaction Questionnaire (SSQ) were used as pre- and post-measurement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 COPM score for both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re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for all participants. Changes in the total score of the REI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Z = -2.201, p = .028). The participants showed a medium-to-high satisfaction in general for the SSQ, which was scored out of 10 points for each area (elimination of risk factors, 6.5; satisfaction with clean up, 7.8; help in everyday life, 8.8; satisfaction with home modification service, 9.1; and hope of service continuation, 9.1, on average).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home modification OT has a positive effect for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 KCI등재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값과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점수의 상관관계 분석

        주유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2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감각처리기능은 지각 및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작업수행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아동의 경우 감각처리 문제로 인해 두드러지는 기능장애를 나타내지만 성인의 경우 살아가면서 감각에 적응하거나 그냥 무시한 채 지내기 때문에 흔히 감각처리기능을 간과하게 된다. 하지만 감각에 대한 생리적 특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불편한 감각자극으로 인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인의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은 일상생활에 기반을 둔 감각처리기능을 설문형식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이런 설문형식의 평가는 응답자의 주관이나 그 외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결과의 타당도가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 점수와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측정한 촉각역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일부 영역 (촉각 처리영역)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네 가지 항목(저등록, 감각민감, 감각추구, 감각회피)의 점수를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얻어진 개인의 촉각역치 값과 비교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 중 저등록 및 감각추구 항목은 촉각역치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감각민감 및 감각회피 항목의 경우 촉각역치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나 촉각의 역치가 높을수록 저등록 항목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 촉각의 촉각역치가 높을수록 감각등록이 적으며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저등록 관련된 설문문항이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측정값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설문문항의 타당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is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sensory processing based on daily activities. Self-questionnaire commonly tends to be bias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so its validity is low.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tactile threshold measured from cognitive behavioral experiment. Methods : The tactile threshold was calculated by tactile detection task and tactile stimuli were provided with the consistent current stimulator. The tactile threshold was compared with results of tactile processing items in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Scores in Low Registration and Sensation Seekin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actile threshold and scores in Sensory Sensitivity and Sensation Avoiding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actile threshold. Among them, only Low Regis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 questions in Low Registration(Tactile Processing)are highly correlated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sensory inflow is less, if the tactile threshold is high.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Challenging Behavior) 완화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주유미,강수라,고기훈,지석연,유제광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3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OT) as a way to alleviate challenging behavior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uly 2022 was searched in Pubmed, CINAHL, ERIC, Cochrane Library, EMBASE, and RISS. The search terms were “Behavioral disturbance” OR “Problem behavior” OR “Maladaptive behavior” OR “Aberrant behavior” OR “Behavioral abnormalities” OR “Challenging behavior”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OR “Autism” OR “Intellectual disability.” Both Korean and English were used. The searched literature was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ICO format. Results: A total of 14 papers were selected for review. Sensory therapy, play therapy, and therapeutic mediation therapy approache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challenging behaviors, but demonstrated no improvements in other functions. A cognitive learning approach and a positive behavior support approach were effective in alleviating challenging behaviors and improving the school performance. In addition, parental education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in children, although there was a limit in extending the therapeutic effects on improving their daily life function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various OT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mediate challenging behaviors. Future research should highlight the generalized effects in daily life and school performance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the mitiga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 KCI등재

        경도치매 환자를 위한 그림책 활용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의 임상 유용성 연구

        주유미,Ju, Yumi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경도치매 환자 5명을 대상으로 총 5회기의 시각화 기억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전후 단어 기억력, 전반적 기억력검사, 및 우울감검사를 시행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행 후 전반적 기억력의 향상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우울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 기억력에 있어 일부 대상자는 인출 및 재인의 향상을 보였고 일부 대상자는 변화가 없거나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일부 경도치매 환자의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우울감이 감소하는 정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그룹 인지치료 모델로 널리 활용되길 바라며 더 많은 대상자 수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tocol for the visualized memory training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and evaluate its clinical utility. A total of 5 sessions were conducted for 5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Rey-Kim II, GDS-Short, word test were conducted to observe its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s overall memory was improved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all depression was also improv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of word memory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s' degenerative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visualized memory training program using the picture book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mory to some extent and had an emotional effect of reducing depression in mild dementi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ts effects in larger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