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신지체아의 부모와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조인수,김환규 한국발달장애학회 2000 발달장애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 부모들이 경험하는 정서적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신체증상을 알아보고 스트레스와 신체증상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중재효과를 맡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1999년 5월부터 7월까지 4개의 특수학교, 4개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총 555명을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의 사용도구는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다차원적 대처 척도(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한국판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신체증상척도 등 4가지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정신지체아 부모는 상태분노, 특성분노 및 분노표출, 우울이 높았고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 철수, 고집, 체념 및 자기비판에서 높았다. 신체증상에서는 불면증과 심장질환 증상이 심했으며 대처방식으로는 종교적 지원 추구가 두통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처방식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적극적 망각, 자제, 긍정적 비교, 체념, 자기비판, 정서적 진정, 정서적 지원 추구가 불면증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처방식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소극적 철수, 정서표출, 자제, 실질적 지원 추구, 정서적 지원 추구가 소화장애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처방식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끝으로 심장 질환 증상에 대하여는 적극적 망각, 자제, 종교적 지원 추구가 효과적인 대처방식임을 암시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정신지체아동들이 높은 수준의 정서적 스트레스와 비효과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부모로부터 부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실제로 우울한 부모의 자녀들일수록 심리 사회적 기능에서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정신지체아 부모들은 전반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전환교육 계획수립과 과정

        조인수 大邱大學校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所 2000 특수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전환교육의 개념정립과 전환교육 형태, 전환교육구성, 전환교육 계획수립에 관한 내용을 주로 탐색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교육 계획은 개개인의 욕구에 맞게 융통성있게 개발되어야 하며, 일차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성인의 역할을 학생들이 감당하게 되는 상태로의 변화를 말하며, 이것을 촉진하는 과정은 학교 프로그램, 성인기관 서비스 및 지역사회 내의 지원을 포함해야 한다. 둘째,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는 고용중심이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전체적인 면으로 학교 서비스, 전환교육계획, 사후중등교육 서비스 같은 단계로의 이동을 필요로 한다. 셋째, 개별화 전환교육계획수립의 과정은 전환교육 계획팀의 구성, 전환회의 개최, 전환교육계획시행, ITP의 수정·보안 및 평가, 종료회의 개최 등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transition education, it's model, organization, and plann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transition services should be based upon the individual student's needs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preferences interests, which means a change in status form behavior primarily as a student to assuming emergent adult roles in the community. its can be promotes as postsecondary education, adult services, and support in community. Second The result of the ITP program is be needs a shift to the following including outcome-oriented process, school-based service, ITP Planning, a postsecondary education service for a comprehensive transition service phase. Third The process of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ning requires that organizing ITP te am for all transition-age students, holding full transition meeting, implementing of ITP planning, updating the ITP annually, and holding an exit meeting.

      • KCI등재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에 따른 조사도구 개발

        조인수,이윤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2

        특수학급의 올바른 수업 실행 구성요인은 교육과정(구성체제와 운영), 수업(설계와 실행), 진단ㆍ평가 및 중재수업 3개 영역으로 상호 연계되어야 올바른 수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관련문헌을 분석하여 설문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은 구성체제(교육과정 구성 지식, 교육과정 효과) 교육과정운영(교육과정조정, 적용, 연계) 5개 구성요인 22개 문항, 둘째, 수업은 수업설계(수업설계 모듈, 방법) 수업실행(수업실행 과정, 방법, 결과) 5개 구성요인 22개 문항, 셋째, 진단평가 및 중재수업은 진단평가(적용, 지원, 결과활용) 중재수업(모듈, 중재 수업) 5개 구성요인 21개 문항 총 65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설문문항의 신뢰도(Cronbach’s값)는 .61에서 .91로 비교적 높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된 수업실행 구성영역과 문항들은 특수학급 수업실행의 효율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in instructional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instruction itself,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Research Instrument Device structure factor in teaching performance at special class. Three questionaries, curriculum with 22 from 24 questions, instruction with 22 from 24 questions, and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with 21 from 24 questions were developed by researcher. 90 special class teachers over the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liabilities of the three questionaries were ensured. The VIF(variation inflation factor), Cronbach alpha, Durbin-Watson, t-test, Chi-square, co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follow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dicated the corelation among the curriculum, instruction itself, diagnosisㆍ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struction in the level of the theoretical knowledge. However the level of the special class teachers’ theoretical knowledge and performance knowledge were not same.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current academic situation, and life function based design were core factors in the instructional performance structure in special class. Therefor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utilized in the model of the instructional performance structure in specia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