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레나스 미술 감상법을 통한 대화중심 그룹지도방안 연구

        조안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하는 21세기에는 많은 정보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 분야에서도 이루어졌다. 다양해진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시각이 필요해졌고, 이는 현 교육현장에서의 문제점과 많은 한계점들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이 학습자 위주의 수용자적 교육방향을 많이 지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최근의 미술동향을 살펴보면 작가와 작품의 관계보다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변화되면서 미술 작품을 보는 감상방법에서도 수용자적 관점을 중요시하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미술 감상수업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식과 강의식의 미술 감상 수업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학생들은 미술 감상 수업이 어렵고 재미없다고 인식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다양해진 정보와 시각적 이미지들만큼이나 미술 감상법에서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차별적인 정보 수용이 아닌 자신만의 비판적 시각과 미적안목이다. 이러한 선별적인 자세로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감상을 수용할 수 있는 미술 감상수업과 학생들의 미적가치 판단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육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에 필요한 수용자적 중심의 대화중심 감상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미술 감상에 있어서 다양하고 발전적인 수업방식을 모색한다. 그 방법의 하나로 대화중심의 그룹지도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대화중심 그룹지도는 심도 있는 대화를 통해 능동적인 자세로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적극적이며 수용적인 자세를 갖게 한다. 시각적 이미지를 글로 표현할 수 있으며 대화로써 수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이러한 수업방향을 통해 학생들은 미술적 심미안을 기르고 자신의 감상을 타인에게 표현할 수 있으며, 선별적 수용의 자세를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레나스의 미술 감상법에서 제시된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그룹지도를 통하여 학생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과 자신감을 회복 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대화중심 그룹지도 방안연구를 통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수업 지도 결과물의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 감상 수업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던 학생들이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미술작품에 대한 느낌을 나누며 교류하였다. 또한 대화중심의 그룹지도를 통한 미술 감상의 과정을 이해하고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미술 감상법을 제안하여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고자 하였으며 발전 가능성에 대해 도모하였다.

      • 지류 문화재 보존처리 시 습식세척 방법에 따른 종이 물성 변화

        조안나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I tested physical properties of aging Hanji according to the methods(Immersion Wet Cleaning(IWC) and Spray Wet Cleaning(SWC) which are used widely in the paper conservation) through measuring folding endurance and tensile strength, IWC time and the number of cleaning.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easuring the basis weight, 1-time-for 10-minutes IWC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rate, because paper fibers could not absolve enough water resulting in extending pores of fibers, so this phenomena makes Hanji thin. the similar tendency also can be founded on density. But, over 2-times-for-30-minutes IWC, the basis weight increased, because there is hysteresis resulting of shrinking of fibers by the movements of water in Hanji. This means that weight loss occurred from the loss of fibers. Second, I investigated chromaticity to measure cleaning power. With aging Hanji, I calculated the △E*ab value which represent alteration of color. The biggest △E*ab value was gained in 2-times-for-10-minutes IWC, and the lowest value was in the 1-time SWC, so I could anticipate that the more times of IWC don't mean the more cleaning power. In view of the result, I could get that the L* value which represent the brightness decreases by th too much IWC time and the number of conservation processing. Third, 2-times-for-30-minutes IWC showed the biggest value of folding endurance and 2-times-for-60-minutes IWC did the lowest value. These phenomenons are quite similar to the density, and this means that in the early parts of experience, the strength of papers increases with hysteresis, but the more loss of fiber was revealed resulting in decreasing of the strength of papers according to the more cleaning times and the number of IWC. When comparing the folding endurance in cases of Mechanical Direction(MD) and Cross Direction(CD), SWC showed similar values in each case, but IWC did not. However, comparatively, 2-times-for-10-minutes IWC showed the similar values in MD and CD cases. By measuring the change of folding endurance according to the directions, which means that there is a transition in direction physical properties, I could find that SWC which showed similar values in each situations, is more stable than IWC, because Hanji has the directional feature. Fourth, tensile strength was stable than folding endurance, 2-times-for-10-minutes showed the lowest values of it, and each case of MD and CD presented similar phenomenons difference with folding endurance. The tensile strengh decreased in MD case except SWC, and in CD case, over 2-times-for-30-minutes IWC, the tensile strenth increased rewulting of straight of fibers. Comparing the folding endurance and tensile strength in MD and CD cases, SWC shows the similar characters, so the physical properties is more stable in SWC. By measuring folding endurance and tensile strength in IWC, 2-times-for-30-minutes IWC was the most stable methods, and whiteness and color difference which represent cleaning power was the highest value. Furthe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rayon, chemical, and synthetic paper whic are reinforcement papers used in paper conservation need to be verified by the scientific experience, and the physical property change of the papers with ink, glue and paste according to the wet cleaning methods also need to be proved, because the paper properties(Hanji) are complex-material artifacts.

      • 느린학습자의 오인오독 최소화를 위한 기능성 폰트 개발

        조안나 국민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 with PeachMarket, as a nonprofit corporation where produced contents for slow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functional fonts for slow learners with difficulty in visual and perceptual cognition so that they could read writing and acquire various information without misreading. The functional font was named ‘PeachMarket font’ that was developed and finally made after going through the primary test based on legibility to minimize misreading and the secondary test that focused on readability. ‘PeachMarket font’ which can help slow learners to recognize letters could be a tool to enable them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Prior to the test, the literature review and observation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ir cognitive, learning, verbal,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basic disposition. “Slow learners are calle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erein a person has below average borderline intelligence, not intellectual disability (Hankook Ilbo, March 4, 2021)”. They often confuse similar letters, directions; right and left, top and bottom and find it difficult to draw and trace as suggested; also, they can concentrate on for relatively shorter time than general children and are vulnerable in selective attention, which makes them easily distracted. These attributes set a limitation on the test to present 15 questions only and also, easy-to-read, familiar sentences from the textbooks for slow learners were chosen and reflected into the questions for the readability tes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onts and how to develop them by searching and exploring actual cases of making functional fonts in South Korea and overseas. It’s quite rare to develop personalized functional fonts for minorities who are socially disadvantaged in South Korea. It’s required to find out an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slow learners and perform scientific, reasonable experiments to improve legibility and readability, not just to develop fonts in the same way we have done to develop general fonts. Systemat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partnership with UIT Center in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and eventually, coming up with significant quantitative findings. ‘PeachMarket font (Regular)’ in only one type was made after the primary and secondary tests for 11 month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tests,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and analyze evaluation items for functional fonts designed for slow learners: physical (eye-tracking), behavioral & scientific (misreading), and subjective & emotional (survey, in-depth interview). It turned out PeachMarket font could be characterized by functional grapheme formats which reflect numerical data-driven results and emotional grapheme formats based on conventional or familiar formats for slow learners through the primary and secondary tests. In addition, the font was design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from cognitive aspect under the theme of ‘the single letter design with no misreading’. ‘PeachMarket font (Regular)’ in only one type consisted of 2,780 letters of Hangul, 10 numbers, and 324 punctuation marks. Since the slow learners have not taken English lesson for their cognitive issues, Latin alphabet version was not made. ‘PeachMarket font’ designed in this study will be distributed to special classes at 800 institutions across the country. ‘PeachMarket font (Bold)’ will be further developed. It’s expected to see that ‘PeachMarket font’, which is actual functional font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country, could minimize misreading and help slow learners for their cognition and learning, and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본 연구는 느린학습자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비영리 사단법인 피치마켓과 함께 진행하는 산학공동 프로젝트로, 시지각 인지에 문제가 있는 느린학습자가 오인오독 없이 글을 읽고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폰트를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오인오독을 최대한 줄이는 판독성을 기반으로 한 1차실험과, 가독성을 기반으로 한 2차실험을 통해 개발, 최종 완성된 기능성 폰트는 ‘피치마켓체’라고 명명하였다. 느린학습자의 글자인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치마켓체’는 그들이 세상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도구가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실험 진행에 앞서 문헌연구와 관찰을 통해 느린학습자의 인지적, 학습적, 언어적, 사회 및 정서적, 행동적 특성과 기본 성향을 이해하였다. 이지선(2021.03.04)에 따르면 “느린학습자는 지적장애는 아니지만 평균 지능보다는 낮은, 경계선의 지능을 가진 ‘경계성지적지능(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이라고도 불린다(한국일보, 2021.03.04).” 비슷한 글자를 자주 혼동하거나, 상하좌우를 혼동하거나, 제시된 모양을 보고 그대로 따라 그리기 어려워한다. 일반아동과 비교하면 주의집중 시간이 비교적 짧고 강도가 약하며, 선택적 주의집중이 약하기 때문에 산만해지기 쉬운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험 설계 시 항목은 15문항으로 제한하였고, 가독성 실험지문 또한 느린학습자의 교재에 사용하고 있는 쉽고 익숙한 문장을 채택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기능성 폰트 개발 사례를 파악하여 기능성 폰트의 특징과 폰트 개발방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경우 사회적 약자인 소수를 위한 맞춤형 기능성 폰트를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드물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폰트 개발과 동일한 방법으로 폰트를 개발하는 것이 아닌, 느린학습자만의 특성을 파악하고 고려하여 판독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내 UIT센터와 협업하여 체계적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유의미한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2차 실험을 거쳐 11개월이라는 기간을 통해 ‘피치마켓체’ 레귤러(Regular) 한 종이 완성되었다. 1, 2차실험은 세 차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선정된 느린학습자를 위한 기능성 폰트 평가항목을 토대로 물리적(아이트래킹), 행동·과학적(오인오독), 주관·감성적(설문조사, 심층인터뷰)으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피치마켓체는 1, 2차 실험을 통해 수치화된 데이터 중심의 결과치를 반영한 기능형 자소형태와 느린학습자 특유의 익숙한 혹은 친근한 형태에 기반한 감성형 자소형태가 공존한다는 큰 특징이 있다. 또한, 인지적 측면에서 혼동을 줄이는 폰트 디자인으로 ‘오인오독이 없는 낱자 디자인’이라는 명제를 세우고 폰트를 디자인하였다. ‘피치마켓체’ 레귤러(Regular) 1종의 구성은 한글 2,780자, 숫자 10자, 문장부호 324자가 포함된다. 인지가 어려운 영어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아 라틴 알파벳은 개발하지 않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피치마켓체’는 전국 800여 기관 특수학급에 보급할 예정이다. 추후 ‘피치마켓체’ 볼드(Bold)도 개발할 계획을 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진정한 의미의 기능성 폰트인 ‘피치마켓체’로 오인오독을 최소화하여 느린학습자들의 인지와 학습에 도움이 되고 교육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마을만들기 주민활동가들의 확장학습경험 : '마주넷' 사례를 중심으로

        조안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민활동가들이 마을만들기 활동을 통해 학습하고, 변화하며 성장하는 과정의 특성을 확장학습의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마을만들기, 마을공동체 현장의 주민활동가들은 다양한 배경과 중층적 관계로 얽혀있는 마을공동체 구성원들과 지속적 상호작용을 하며 일상의 많은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성장하고 있다. 또한, 주민활동가가 속한 활동체계가 주민활동가와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장의 현상을 이해하고 탐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마을만들기 주민활동가들의 활동 경험에 나타난 확장학습 과정의 특성 및 양상은 어떠한가? 첫째, 주민활동가들의 활동과정에 드러난 경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그들은 어떤 변화와 성장을 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마을 활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탐구된 확장학습의 특성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주민활동가들의 활동에 나타난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체계와 목표, 각 요소들의 전환적 확장이 일어났다. 마을만들기 주민활동가들이 처음 활동을 시작했을 때와는 역할, 생각, 태도 목표가 전환적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확장된 역할과 관계는 더 큰 역할수행과 관계로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지역의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의 극복을 위해 공동체 상호관계를 활용하는 매듭 엮기(knot working)가 활발하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영역의 활동가들은 경계 넘기를 통해 수평적 관계에서 필요에 따라 결합하고 분리하고 공유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협력적이고 창발적인 문제해결 과정으로 매듭 엮기가 발현되었다. 이는 활동과정에서 새로운 관계망이 형성되었고 신뢰를 바탕으로 형성된 관계망을 통해 기존 활동을 유지, 발전시키고 새로운 활동체계를 만드는 협력적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이끌어 주며 마을 활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서로 돕는 줄탁동시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있었다. 마을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과 마주할 때 서로 응원하고 새로운 경험으로의 확장을 지원하는 상호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함께 학습하고 마을 활동에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하는 형태를 보였다. 필요의 충족과 성장을 위한 어미 닭의 헌신하는 마음처럼 친밀한 관계 형성을 기반으로 서로를 배려하고 있었으며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활동을 전개해 나가고 있었다.

      • 엘리엇의 ‘음악하기’를 적용한 다문화교육 교수-학습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조안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rapi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we are now facing a new era of the global world.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inflow of information and influences from different cultures of the world, we need to develop a new and broader educational paradigm. The theory of cultural pluralism in education is one of the many forms of such a new paradigm. Koreans have historically maintained a cultural homogeneity which tended to reject, rather than accept, inputs from outer cultural influences.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his attitude can result in national isolation. Thus we need to shift our ways of thinking to suit this new age of cultural relativism.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foreign laborers, and North-Korean refugees, we desperately need an environment which can embrace multiplicity of cultures. Cultural pluralism in education aims to nurture in students an attitude that acknowledges pluralism in terms of ethnicity, religion, age, and gender and helps them learn to respect the value of foreign cultures. Music is an especially important tool for learning cultural pluralism. It should allow students to accept a variety of cultures and understand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cultural pluralism in music education' and provide specific lesson plans based on the activistic educational theory proposed by Eliot. For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cultural pl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examined, as well as the concept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Present study will examine activistic music educational theory of Eliot applied to real class situation, based on which some lesson plans can be devised. Cultural pluralism in education is difficult for actual application, due to lack of case-examples and field data. As globalism is becoming more and more universal, it is advisable that students today learn to acknowledge cultural pluralism, for which studies on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 methodolog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ere will be more and more interactions occurring between cultures. Therefore students, who are responsible for constructing the future,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acknowledge and accept such pluralism in order to create a truly global and harmonious world.

      • 부부갈등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조안나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 호소문제인 대인관계문제에 초점을 두어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문제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변인들 간의 관계, 부부갈등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3개교를 임의 선정하여 총 17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부부갈등,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부갈등은 성별, 부·모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은 모 학력에 따라, 대인관계문제는 가정월수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대인관계문제는 부부갈등의 내용 차원만 제외하고 대부분 정적상관을 보였다. 반면 부부갈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특히 빈도 차원이 상관이 없었으며 각 하위 간에도 비교적 낮은 상관을 보였다.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문제는 대부분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자아탄력성의 대인관계와 활력성이 비교적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부갈등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낮고, 감정통제가 있을수록 대인관계문제의 통제지배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낮고, 부부갈등의 위협이 있을수록 대인관계문제의 자기중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활력성과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문제의 냉담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활력성이 낮고 부모 간 갈등에 대한 대처효율성이 있을수록 대인관계문제의 사회적 억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문제의 비주장성도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활력성이 낮고, 낙관성이 있을수록 크게 영향을 미치며, 과순응성은 자아탄력성의 활력성이 낮을 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문제로 호소하는 대인관계문제에 부부갈등 중 특히 부모 간 갈등상황에서의 위협과 적절한 대처능력이 의미 있는 요인이며, 개인이 가진 적응유연성 변인인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중요한 설명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College student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ego-resilience on Interpersonal problem. The subjects were 179 1th, 2th grade in thre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collected by twice surve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Grych(1992)'s CPIC, Block & Kremen(1996)'s Ego-resilience, Horowitz(1988)'s Interpersonal problem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perceived Interparental conflict, Ego-resilience, Interpersonal problem to difference befollowed by population statistics a specific of a college stud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parental conflict which reveal that sex distinction and an academic of parents. Also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go-resilience which reveal that an academic of mother, and Interpersonal problem a home an income. Second, Interparental conflict had significant have something to do with Interpersonal problem. always excepting contents of Interparental conflict. Interparental conflict had significant have nothing to do with Ego-resilience. Also Ego-resilience had significant have something to do with Interpersonal problem, particularly Interpersonal and refreshing. Finally, menace and a step efficiency of Interparental conflic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 Also Ego-resilienc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problem. This result implied that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menace and a step efficiency of Interparental conflict, Ego-resilience.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학교현장과 미술교사들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를 중심으로

        조안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학교현장과 미술교사들의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2020년 4월, 대한민국 학교교육 역사상 유래 없는 온라인 개학이 최초로 실시되었다. 모든 학교의 학사일정과 교육계획의 방향이 바뀌었으며, 교실에서 이루어지던 대면 수업 방식은 온라인상에서의 원격 수업으로 전면 전환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은 평소에 흔히 겪을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이 아닌, 특수한 상황이며, 일시적 유행이 아닌 장기전이 예상되는 비상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연구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학교의 변화와 원격 수업으로 인한 미술교사들의 심리 및 수업의 변화적 측면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는 총 네 가지로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학교현장의 상황은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 이후 미술교과의 원격 수업은 수업 유형, 방식, 내용 등에서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온라인 개학으로 인해 미술교사가 처한 상황은 어떠하며,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넷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교육환경 변화를 대비하여 미술교과에서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이며, 교과 방향성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 이다. 연구 방법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한 학교 상황 속에서 어떤 현상들이 드러나는지를 탐구하고, 학교현장 미술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 방법을 따른다. 특히 레이더의 해석주의 패러다임을 따르며, 연구 방법론으로 반 마넨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기조로 한다. 연구 대상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 ‘온라인 개학’과 ‘원격 수업’ 경험이 있는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로, 설문조사 연구 참여자 104명과 심층 인터뷰 연구 참여자 4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 중 핵심 연구 참여자는 27명이며, 본 논문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현장감 있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연구 데이터 분석 및 해석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구 데이터 분석을 위해 이중 전사 및 메모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정리하고, 세그멘팅 과정을 통해 개방코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차마즈의 패턴 코딩방법을 사용하여 심층코딩을 진행하였다. 데이터 해석은 반 마넨의 ‘의미 해석적’ 측면과 ‘현상 기술적’ 측면을 사용한 해석학적 현상학을 기조로 하여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교현장의 상황과 원격 미술수업의 양상,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학교현장의 상황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교육정책 및 교육부 방침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 계획이 전면 수정되었으며, 총 4차례에 거쳐 신학기 개학이 연기되었다. 이후 2020년 3월 31일, 교육부의 마지막 4차 휴업 명령 및 온라인 개학으로의 발표를 기점으로 단위학교에서는 모든 학사일정을 조정하였으며, 2020년 4월 9일 원격 수업으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미술교과 원격 수업의 양상은 유형별로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이 82.69%로 1순위를,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이 11.54%로 2순위를, ‘실시간 쌍방향 수업’이 2.88%로 3순위를 차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운영한다고 답한 연구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이유와 이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인터뷰 자료 등의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들을 ‘콘텐츠를 제작하는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어 구별하였다. 교육부에서는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이라는 하나의 분류체계를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이 유형을 다시 ‘콘텐츠 제작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콘텐츠 제작형 수업’과 ‘기존 콘텐츠 수업’의 두 부류로 구별한 까닭은 각 연구 참여자들이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을 선택한 동기 및 이유가 판이하게 다르고, 수업 준비 과정이 다르며, 결과물 또한 상이하기 때문이었다. ‘콘텐츠 제작형 수업’을 선택하여 수업을 진행한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발을 위하여’, ‘교사 고유의 수업설계 및 교사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질의 미술과 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에’, ‘교사로서의 사명감 및 학생과의 라포 형성을 위하여’, ‘대면 개학 이후 수업 및 평가의 연계성을 위하여’, 총 다섯 가지 범주의 이유로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여 원격 수업을 진행하였다. ‘기존 콘텐츠 수업’을 선택하여 수업을 진행한 연구 참여자들은 ‘콘텐츠 준비의 효율성 때문에’, ‘콘텐츠 제작의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기존 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기 좋아서’, ‘온라인 개학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콘텐츠 제작보다 자료활용 및 해석이 중요하기 때문에’, 총 다섯 가지 범주의 이유로 기존 콘텐츠를 활용하여 원격 수업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과제 수행 중심 수업’을 운영하는 연구 참여자들이 밝힌 수업유형 선정 이유는 ‘대면 수업과 같은 방식으로 인한 편리성 때문에’, ‘평가적 측면의 효율성 때문에’, ‘혼란을 최소화한 원격 수업 적용을 위하여’로 총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2.88%의 연구 참여자만이 선택하여 운영하고 있었는데, 원격 미술수업에서 실시간 쌍방향 수업 운영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위해 갖추어야 할 환경이 다른 유형의 수업보다 복잡하기 때문이다. 둘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교사와 학생 모두가 정해진 시간에 온라인 플랫폼에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접속 지연이 발생할 경우 수업 진행이 어려우며, 그로 인한 수업시간 배분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경우 출석체크를 위해 온라인상에서 얼굴을 공개해야 하는 부담감이 존재하며, 자신의 얼굴이 캡쳐 및 공개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한 기피현상 때문이다. 넷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은 경우에 따라 다른 유형의 수업에 비해 발생하는 데이터 비용이 추가될 수 있어 학생의 가정환경에 따라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본 연구의 설문조사가 실시된 2020년 4월~5월은 온라인 개학 실시 초기 단계로, 시기적으로 실시간 원격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환경 구축이 미흡했기 때문이다. 미술교과 원격 수업의 변화적 측면을 살펴보면 온라인 개학 이전 대면 수업에서 주로 미술 표현활동 및 체험·표현·감상을 모두 반영한 수업을 진행해왔던 교사들이 원격 수업으로 환경이 바뀜에 따라 주요 수업 영역을 ‘감상’으로 변경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설문조사 결과 원격 수업 이전 대면 수업에서 감상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답한 연구 참여자는 단 1%에 불과했는데, 원격 수업에서는 53.8%의 연구 참여자들이 감상중심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답하는 등의 설문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다. 온라인 개학 이후 미술교과의 방향성 측면은 이념적 측면과 실제적 측면으로 나누어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념적 측면에서는 ‘미술교과 목표 및 지향점’과 ‘표현 중심 교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실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평가의 변화 모색’과 ‘대면 수업 및 원격 수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대해 살펴보았다. 원격 수업에 대한 미술교과의 이념적 측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삶과 연계되며, 미술활동을 통해 자아를 표현할 수 있고, 창의성 및 감수성을 길러 타인과 소통할 수 있도록 체험·표현·감상 영역이 조화를 이루는 미술수업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현장 미술교사들의 지향점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원격 수업이 하나의 계기가 되어 미술수업에서 ‘감상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모습 또한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대면 수업에서 그동안 수업시수 부족과 수행 평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흘해왔던 감상 수업에 대한 반성과 이를 보완·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원격 수업을 바라보는 시각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원격 수업에 대한 미술교과의 실제적 측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술교과의 실제적 과제는 ‘기존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평가의 변화를 모색’하는 것과 ‘대면 수업 및 원격 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학교현장의 상황과 원격 수업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차원에서 원격 수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예산 확보 및 편성. 둘째, 원격 수업을 위한 각 학교별 교실환경 구축을 통한 지역별, 학교별 교육격차 해소. 셋째, 온라인 개학 및 원격 수업에 적합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넷째, 원격 수업 미술과 평가 가이드라인에 대한 고민 및 연구를 통한 평가방법 제시. 다섯째, 원격 미술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저작권 확보 및 관련 학교 저작권법 수정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의 폭발적인 증가 및 학교 감염의 위험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실시된 온라인 개학이라는 상황 속에서 중·고등학교 미술교사들이 맞닥뜨린 상황을 조사하고 탐색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등교개학이 재개되고 난 이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등교개학이 실시된 이후에도 여전히 코로나19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교내 확진자 발생 추이에 따라 대면 수업과 원격 수업이 병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후의 상황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학교 미술교육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미래 미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있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사회적 이슈에 관한 모션디자인 연구

        조안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디어의 발달로 대중화된 모션디자인의 사회적 이슈 전달 능력 검증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모션디자인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질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문제들을 다루는 사회적 이슈는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사회적 이슈에 관한 모션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모션기법을 활용한 모션디자인 콘텐츠를 사회적 문제의 분류체계에 맞추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 사례를 통하여 사회적 이슈를 알리고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 제작된 콘텐츠가 어떤 모션그래픽의 구성 요소로 제작되었는지 분석하였다. 글의 목차로 우선 모션디자인의 개념과 모션디자인의 표현기법(일러스트레이션, 인포그래픽, 무빙 타이포그래피, 시네마그래프, 몽타주)을 정리하고 선행연구의 모션그래픽 구성요소를 사회적 이슈 콘텐츠에 맞게 재구성하여 ‘구조적 측면’ (움직임, 이미지, 텍스트, 사운드)과 ‘내용적 측면’ (내러티브, 인터랙티브, 수사, 기호)으로 구성하였다. 사례는 Vimeo 사이트로부터 Social Issue(사회적이슈)라는 키워드로 검색된 4,268 개의 비디오와 이를 바탕으로 각 비디오가 제공하는 연관 링크를 따라 탐색하여 추가된 비디오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학자 헨슬린(James M. Henslin)의 분류체계에 부합하는 대표 사례만 남기고 버리는 방식으로 축소 정리하여 12개의 대표 사례를 표집하였다. 표집한 사례는 헨슬린(James M. Henslin)의 사회문제 분류체계에 맞춰 ‘사회적 상황에서 일탈행동’, ‘사회적 불평등’, ‘사회변화 및 거대문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모션디자인을 분석하여 구조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의 구성요소 중 어떠한 그래픽 요소가 주로 쓰이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모션디자인 콘텐츠는 구조적 측면의 구성요소와 내용적 측면의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상호보완적으로 쓰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활용도는 달랐다. 사회적 이슈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텍스트요소를 많이 활용하며, 구성된 이야기에 맞는 적절한 이미지요소와 움직임요소를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이슈 내용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쌍방 커뮤니케이션 방법인 인터랙티브요소가 포함된 콘텐츠는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시간 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이미지요소, 기호요소, 수사요소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 모션디자인 콘텐츠가 사회적 이슈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있어 어떠한 양상을 띠는지를 알려준다. 향후 미디어의 발달과 보급에 따라 모션디자인 콘텐츠는 더욱 확산 될 것이며 무의식중에 대중의 관심을 끄는 모션기법 또한 콘텐츠 개발과 가공의 측면에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타진할 것임에 따라 이 연구가 제공하는 정보와 시사점은 매우 중요하다. This study verified the capability of motion design to deliver social issues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paper analyzed the case of motion design using motion expressive techniques and motion graphic contents such as 'Illustration,' 'Infographics,' 'Moving typography,' 'Cinemagraph' and Montage. First of all, it summarizes the concept and kind of motion design and reconstruct the motion graphic elements of previous researches base upon the contents of social issue. The graphic elements were categoirzed into 'morphological aspect' (movement, image, text, sound) and ‘communicative aspect’ (narrative, interactive, investigation, symbol). The case is drawn from 4,268 videos retrieved from Vimeo site using a keyword ‘Social Issue’, and extra videos provided by the related links of the videos. After collecting the videos, 12 representative cases were sampled by weaving out similar or identical ones. The sampled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James M. Henslin's classification system as 'deviant behavior in social situation', 'social inequality', 'social change and big problem'.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investigated which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morphological and communicative aspects were mainly used in motion design. In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onal design contents dealing with social issues utilize morphology aspect and communication aspect intertwined and complementally. However, the utilization of each elements was different. In order to convey the information of social issues, many text elements were utilized, and appropriate image elements and movement elements were used. However, in providing social contents, it showed that there is not enough content including interactive elements. Also, in order to convey a lot of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image elements, symbol elements, and investigation elements were common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how current motion design contents convey social issues to the public. Motion design contents will spread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media in the future. The motion technique that attracts the public's attention unconsciously will also explore possibilities of content development and processing in terms of infinite possibilities, which will be vital in the industry.

      • 영어 학습자의 시험 불안과 학습동기가 영어 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안나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불안감이라는 정의적인 요인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으로, 이론적인 배경은 이전에 연구되어진 선행 연구들과 학습 이론에 대해 토론해 보았다.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가 갖는 영어 학습 동기, 불안감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학습 동기, 불안감은 고등학생의 영어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년과 성별 요인이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불안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는 현재 익산 A 고등학교 2학년 8개 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여 진행했다. 결과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불안감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영어 학습 동기는 학업 성취도와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다. 즉 영어 학습 동기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동기가 높을수록 영어 학습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는 동기 요인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수업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영어 학습 불안감은 학업 성취도와 부적인 상관 관계에 있었다. 불안감이 낮을수록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가 느낄 수 있는 불안 요인을 알아내어 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강화시키고 불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학습 태도의 하위 영역 중 영어 학업 성취도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던 교과 학습에 대한 학습 동기를 강화하기 위해 학습자 중심의 소재와 자료 등으로 구성된 교육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영어 학습 동기의 강화를 위해 학습활동의 과정이나 결과에 대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셋째, 고등학생의 단계상의 특징을 고려하여 불안감을 최소화해야 한다. 특별히 고등학생은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불안감 요소가 더 클 것이다. 이에 여러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오류 상황들에 대해 교사가 적절히 반응하여 학습자가 당황하거나 좌절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하겠다. 넷째, 영어 학습 동기를 높이고 불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사는 흥미롭고 다양한 소재와 교수법으로 틀에 얽매인 영어 교육보다는 좀 더 활기차고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즐거운 수업으로 만들어 가야한다. 다섯째, 영어 교과 학습에 대한 태도 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는 남학생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여 적용해야 한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반영한 동기 유발과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남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st Anxiety and Learning Motivation in English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following major questions as follows: 1.What kinds of motivations and Test anxieties in learning English do high school students have? How do motivation, anxieties influence on English learners? 2.What kind of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motivations and anxiet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English achievem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mental and extrinsic motivation are greater than the integrative and intrinsic ones for most of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of Entrance Exam for College. Second, male students has shown higher level of English classroom anxiety than female students in the total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to be made as following. First, teaching English in high school in Korea is still directed to prepare student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English language learning process more motivated the teachers need to develop the programs which can maintain students' interest and goal. And the teachers need to know the motivational trend of their students'. They are required to make their students hav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English subject and to let them realize that English is now part of our real life and a potential asset in their future life. Second, the teacher should adjust teaching process to learners' ability so that they can take part in class activities, and make them recognize that through proper learning instructions, English is an interesting and exciting subject, not scaring nor burdensome.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learners themselves should have the self-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make up a concrete goal in learning English for themselves, and act on the learning goal which is proper for it. The researcher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motivation in English learning, and further studies on them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