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서울지역 음악대학 재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사 인식에 대한 실태조사

        조아해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음악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에 이바지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설문 양식인 구글 설문지(Google Form)를 사용하여 연구대상 학생들에게 SNS를 통해 조사하였다. SNS는 위치정보, 해시태그(Hashtag) 정보를 수집하여 배포하였고, 설문양식의 수집은 모바일로 자동 수집되었다. 연구 대상은 총 263명으로 남자 27명, 여자 236명이며 피아노 전공이 28.9%로 가장 많았다. 모아진 데이터는 Microsoft Office Excel 2016을 사용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263명 중 문화예술교육사를 알고 있는 사람은 38%로, 62%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문화예술교육사 지정 교육기관이 있는 이화여자대학교의 경우 60.0%가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해서 모른다고 하였고, 대학 교육기관인 성신여자대학교의 경우 57.3%가 ‘알고 있다’며 연구 대상의 학교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사 대학 교육기관인 경희대학교 응답자 중 85.3%가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해서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대학 교육기관이 아닌 서울대학교 응답자 중 ‘모른다’는 89.7%로 문화예술교육사 대학 교육기관과 아닌 교육기관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화예술교육사 지정 및 대학 교육기관에 상관없이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응답자 263명 중 문화예술교육사를 모르는 163명 가운데 30.1%는 ‘알았어도 취득안 할 것이다’라고 응답하였는데 그 이유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에(53.1%)’로 자격 제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관련 과목을 수강했거나 하고 있는 응답자 59.6%가 ‘취업 준비를 위해’ 자격을 취득하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사 미래에 대한 인식에서 응답자 50% 이상이 취업, 미래 소득, 활용도, 추천 의향 모든 문항에서 높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사 학교 교육기관에 홍보가 더욱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하며, 문화예술교육사에 대한 더 구체적인 교육과정 및 취득 경로 등을 제공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

        조아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유아무용지도자에 연구의 중요성은 인식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외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 사설학원, 문화센터, 공공기관, 기타에서 지도하고 있는 유아무용지도자 남·여 20대 이상 유아무용지도자를 대상으로 2017년 9월 12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55부를 회수, 10부를 제외한 245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법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PASW 18.0 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사용 한 통계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그리고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분석을 통해서 직무요구는 직무스트레스를 거쳐야만 이직의도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무용지도자의 직무요구의 문제를 분석하여 직무스트레스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직무환경 및 직무만족이 개선된다면 유아무용지도자의 이직의도가 낮아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기관 특성 및 유형분석

        조아해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elderly population has increased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such as the development of healthcare technology and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public health. However, as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our country has progressed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has increased, the problem of the elderly care was emerged. Hence, based on the social solidarity principle in the matter of individual and family the long - term care insurance system was introduc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has been recognized as a necessary system, particularly the number of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08. However, the issue of the deteriorated service quality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As a result many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service recipient o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 helper. Yet, few was done in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classify the types of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i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service improvement on the service providers' side.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02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was conducted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area for the empir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class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In addition,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in order to examine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system outcome. Through the factor analysis, 24 individual variables were factorized into 6 factors, and all the home visiting care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6 types based on the factor scores by applying the cluster analysis. Each type of home visiting institu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rate and opinion of accept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s Long-term Care Insurance. Therefore, the need for customized policies is strongly suggested depending on the type differences of home visiting institu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In addition,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RFID transmission rate, the representative's satisfaction rate, and the evaluation rating of the home visiting institutions, by estimating the Tobit regression models.

      • 와유사상을 투영한 자연휴식공간의 표현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조아해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자연공간’은 연구자에게 삶의 에너지를 얻고 마음을 치유하는 장소이다. 본 논문은 종병(宗炳)의 ‘와유(臥遊)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구성하여 표현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와유’란 종병(宗炳)이 처음 언급한 말로 몸이 늙어 자유로이 산수를 유람할 수 없어 방안에 산수화를 걸어두고 감상하다, 즉‘누워서 즐기다’라는 것을 의미하며, 육체를 벗어난 정신적인 해방을 말한다. 연구자는 현실 사회에 대해 벗어나고 싶은 욕망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벗어날 수 없는 굴레 속에서 우울하고 부정적인 감정들이 생긴다. 그 감정들을 해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잠깐의 쉼이나 휴가와 같은 여행은 연구자에게 큰 힘이 되어준다. 그 곳에는 ‘자연’이 늘 존재하며, 곁에 있어주기에 연구자에게 있어 힐링할 수 있고 긍정적인 쉼을 줄 수 있는 장소이다. 그러므로 자연공간을 ‘휴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하고 작품 안에 그려냄으로써 육체로부터 벗어나 정신적인 휴식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와유’정신을 담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의 ‘자연’과 ‘와유사상’의 연관성을 서술하기위해 연구자는 ‘와유’의 형성배경과 그와 관련된 이론들을 고찰하였으며, 예술적으로 실현된 작품들을 살펴보면서 연구자의 작품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자의 작품은 가보았던 ‘자연풍경’을 모티브로 삼아 추억하고 기억을 되새기는 방법으로 공간을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수묵담채로 실재의 풍경을 담아 그리기도 하고, 수묵과 채색을 혼용하여 표현하다가 채색화로 변화하면서 초현실적인 공간을 담아내었다. 작품에 나오는 소나무나 꽃 등의 자연물을 고유의 색과 크기를 변형·왜곡시키고, 낮과 밤이 공존하는 초현실적인 화면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에 현대적인 놀이의 소재로 등장하는 흔들의자, 오리튜브, 의자, 파라솔 등과 함께 정자, 소나무 등의 과거의 소재들을 등장시켜 현재와 과거의 시간성을 초월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소요하고 거닐기만 하는 장소가 아닌 쉼과 놀이를 함께 할 수 있는 유희적 공간의 의미까지 수용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시점과 구도에서는 연구자가 경험을 통해 느낀 다양한 감정들을 한 화면에 담아내기 위해 전통동양회화에서 등장하는 삼원법(三遠法)과 산점투시(散點透視)를 선택하고, 종적구도와 횡적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와유’정신을 담은 자연 휴식 공간을 이미지화하는데 있어 시각적으로 바라만 보는 공간이 아닌 진정 그곳을 노닐고 유람하며, 소요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작품창작에 임하였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탐구할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고 생각하며, 더욱 다양한 소재와 구성방식의 확장을 통해 ‘와유’할 수 있는 자유로운 화면을 창작하고자 한다. The thesis researcher gains energy for life and heals her mind at ‘natural spaces.’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researcher’s artworks – expressions created by composing surrealistic images – based on Zong Bing’s (宗炳) ‘Wa Yu(臥遊) idea.’ The term ‘Wa Yu’ was invented by Zong Bing; when one’s body is too old to travel and rendered impossible to see natural spectacles in person, one instead hangs landscape paintings in his room and enjoys them; in other words, ‘enjoying while you are lying down’, a psychological emancipation which transcends the physical body. The researcher is brimming with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worldly society. However, as it is impossible to break away from this restraint, depressing, negative emotions are born. Short rests and vacationing expeditions alleviate these weighty emotions and provide enormous strength to her. The ‘nature’ is always there, keeping company with the researcher so that she can heal herself; ‘nature’ is a place that could grant positive rest. Therefore, the researcher defined natural space as the ‘place where one can rest’ and by depicting the space in her artworks, she attempted to imbue her works with the spirit of ‘Wa Yu’, ultimately aiming towards a psychological rest which transcends the body.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edness of ‘nature’ and ‘Wa Yu’ presented in her works, she researched how the theory was initially formed, contemplated related theories, examined artworks that realized nature 'Wa Yu' and comparatively analyzed them against her works. ‘Natural sceneries’ she had visited became her motif, and the researcher restructured space in her works by reminiscing and ruminating on her memories. To capture a surreal space, the researcher often paints real sceneries with ink-and-wash painting, or add color to her monochrome sumi-e, or even transition to full-color painting. She composes surreal paintings by transforming/distorting the color and size of natural objects – pine trees, flowers – and by presenting both day and night in one scene. Also, the researcher attempted to transcend the sense of time, the sense of the present or the past, by mixing symbolic modern toys – porch swings, rubber duck pool tubes, beach chair, and beach umbrella – with old themes such as traditional Asian pavilions and pine trees. Thus, the space depicted in the work is not limited to ‘enjoying in untroubled ease (xiaoyao, 逍遙)’ or wandering, but further incorporates the significance of a leisurely space where one can both rest as well as entertain. Furthermore, to integrate the various emotions she had experienced into a single frame, the researcher chose sanyuan (三遠法, an East Asian painting method where three kinds of viewpoints coexist in one painting) and scattered perspectives (散點透視) for her point of view and perspective, as well as actively employing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sitions. In visualizing a natural resting space imbued with the ‘Wa Yu’ spirit, rather than creating a space which is simply seen with the eyes, the researcher approached her artistic practice with the sincere wish to create a space where one can genuinely leisure, excurse and experience ‘untroubled ease (xiaoyao, 逍遙).’ The researcher finds this subject worthy of continuous research, and by expanding on her materials and manners of composition, she intends to create spaces of freedom where one can ‘Wa Yu'

      • 서울 도심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조아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Research on the need for open disclosure has continued since the 80s to take advantag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public spaces in Korean cities. In 1991,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installation system was implement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Building Act. The system of setting up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was continuously improved, with the mandatory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system for Building Coverage Ratio mitigation, Floor Area Ratio mitigation incentives. Therefore, the number and area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in Seoul City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such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were either poorly utilized or poorly managed as they were designed to be a parking lot or not legally violated.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that must be created for the role of resting place in the urban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As both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must be satisfied, research on ways to improve and utilize various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are needed. Recently, people often solve their leisure, shopping, culture, and relaxation at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all at once. The trend is that we want the most activity with the least amount of time. In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ctivities such as leisure, shopping and cultural facilities are already available. Unlike internally activated by these necessary activities, there is a lack of outside communication and amenities. In the past, the outer space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was built for investment efficiency, but has recently changed to bring people together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has been proved as well. Accordingly, as a method of research, firstly, the definition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and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was reviewed and the importance of the outer space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was identified. Seco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prepared by examining the importance and spatial plan of the outer space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nd drawing out the role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of the open space by substituting them for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Thir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Building Act in 1991, the topic changed from the quantitative problem solving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to the qualitative problem solv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completed after 2000s, its transitional period, was investigated and the methods of improvement were laid out. The following is a presentation on the direction of spatial use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First, the role of maintenanc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exemplified by the IPark Mall. The space above has been changed to a community space for citizens by improving from a square-type public space to a cantilever-type public spac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and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that have already been designed can be developed through sufficient maintenance and form changes. Secon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landscape environment, it can become a place for citizens to relax or a place of law because of blindness. The use of landscaping as a shield for subway vents and trash cans is an integrated and usable space in the functional areas. However, the landscape is surrounded by benches, and if people block their view, it becomes a smoking area for smokers. This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the height, layout and distribution area of the planned landscape for landscaping. Third, as shown in the case,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consists of square type, pedestrian deck, bedside type (Sunken), and park, excluding the differentiated cantilever type. Square type open space is a place where activities such as promotion events, meeting squares, and cultural events are acceptable. In order to activate these squares, efforts such as improving many community activities and adding eventful elements. If planned in the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measures for the use of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in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the activities of the outer space will be linked to the lower floors of th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s the public improvement of public spaces will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and citizens. Such lower floors activations will bring about a whole building activation.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using The privately owned public open spaces site of a complex commercial building in downtown Seoul. With the development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in Korea, the use of outer space and open space is increasing. However, due to insufficient maintenance of facilities and a lack of community facil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more specific foundations and improvements are needed. 도시의 환경개선과 공공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80년대부터 공개공지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고 1991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공개공지 설치 제도가 실행되었다. 공개공지 설치 제도는 일정 면적의 건축물에 공개공지 의무화와 그에 따른 건폐율,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계속된 법적 개선을 통하여 서울시 공개공지의 수와 면적이 급격하게 증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공개공지 시설이 주차장으로 활용되거나 법적으로 위배 되지 않을 만큼의 자투리 공간으로 설계되어 활용도가 낮거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 도시환경의 휴식처 같은 역할을 위해 조성되어야 하는 공개공지가 미흡한 실정이다. 공익(公益)과 사익(私益)을 모두 만족시켜야하는 만큼 여러 가지 공개공지에 대한 문제점 개선과 공간 활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근 사람들은 복합 상업 시설에서 여가, 쇼핑, 문화, 휴식 등을 한 번에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도심 내에서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대한의 활동을 원하는 추세다. 복합 상업 건축물에서는 이미 여가시설과 쇼핑시설, 문화시설 이 설치되어 복합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설들에 의해 활성화된 내부와는 달리 외부에서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소통 및 편의시설이 부족한 현실이다. 과거에는 복합 상업 건축물의 외부공간은 투자 효율성을 위하여 건설되었지만 최근에는 집객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합 상업 건축물의 공개공지 중요도 또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공개공지와 복합 상업 건축물에 대한 정의를 고찰하고 복합 상업 건축물 외부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복합 상업 건축물 외부공간의 중요성과 공간계획을 고찰하고 이를 공개공지에 대입하여 현 공개공지의 복합 상업 건축물에서의 역할을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셋째, 91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공개공지의 양적인 문제 해결에서 질적인 문제 해결로 화두가 바뀌게 된 과도기 기간인 2000년대 이후의 완공 된 복합 상업 건축물의 공개공지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개선 방법을 정리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도출된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의 공간 활용 방향 제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유지관리 및 환경개선에 대한 역할은 아이파크몰을 가장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황량했던 광장형 공개공지에서 켄틸레버형 공개공지로 개선하여 상부 부분은 전망대로 활용하는 등 시민 및 방문객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광장주변의 조경을 재배치하는 등의 개선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현재 설계를 마친 공개공지와 복합 상업 건축물도 충분한 유지보수 관리를 통하여 발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경환경의 구성방식에 따라 시민들이 휴식을 하는 공간 또는 시야의 차폐로 인하여 범법의 공간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지하철 환기구나 쓰레기통에 대한 차폐로 조경을 활용하는 점은 기능적인 부분에서 통합되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지만, 조경이 벤치를 둘러싼 형태를 하고 있어 사람들의 시야를 막는다면 공개공지 민원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흡연자들의 흡연구역으로 낙인 된다. 이에 따라 공개공지 조경에 대한 계획 조경의 높낮이, 배치, 분포면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복합 상업 건축물의 공개공지는 사례에 나타나듯 차별화 된 켄틸레버형을 제외하면 광장형, 보행자 데크, 침상형(썬큰), 쌈지공원 순으로 구성되어있다. 광장형 공개공지는 판촉행사, 만남의 광장, 문화의 장등에 대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광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개선 및 이벤트 적 요소를 구성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위에 제시한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 공간 활용 방안의 방향으로 계획한다면, 공개공지의 공적인 기능 향상으로 방문객들과 시민들의 왕래가 증가하게 되어 외부공간의 활동이 복합 상업 건축물 저층부까지 연결될 것 이다. 복합 상업 건축물의 저층부에는 일반적으로 판매시설이 위치해 있고 건물 전체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면 대지 내의 공개공지가 상업적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해당시설만 방문했던 방문객들은 공개공지에서 활성화 된 커뮤니티 활동으로 인하여 물건만 사고 돌아가는 것이 아닌 외부 활동을 즐기고 그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돌아가는 발전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시 공개공지의 양적인 문제 해결에서 질적인 문제 해결로 화두가 바뀌게 된 과도기 기간의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서울 도심내의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의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국내 복합 상업 건축물이 발전됨에 따라 외부공간과 공개공지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시설의 유지관리 미흡, 커뮤니티 시설과 문화 활동의 부족 등으로 인해 공개공지 보수 및 유지관리, 공개공지내의 조경 배치에 대한 이해,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유아무용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 및 운동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아해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유아무용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성지능 및 운동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6세 유아 30명을 연구대상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그룹(n=15)과 대조그룹(n=15)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그룹은 통합적 무용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대조그룹은 전통적 무용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두 그룹은 주 1회 40분의 수업시간으로 12주 동안 유아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아무용프로그램에 따른 감성지능 및 운동창의성의 발달정도를 검토하기 위해 감성지능검사(정서지각, 정서의 사고촉진, 정서이해, 정서조절) 및 운동창의성 검사(유창성, 상상력, 표현력, 융통성, 방향성 독창성)는 3회(사전, 중간, 사후)의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자료처리가 이루어졌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에 성비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둘째, 감성지능과 운동창의성 검사지의 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해 Lawshe의 내적 타당도 산출공식을 적용하여 조사문항별로 CVR(Content Validity Ratio)을 구하였다. 셋째, 감성지능과 운동창의성 검사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넷째, 유아무용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유아의 운동창의성 및 감성지능에 발달의 변화정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검사시기를 독립변수로 한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 27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p<.05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무용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감성지능의 발달 정도에서, 전통적 무용프로그램은 감성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지각 중 이야기의 발달 정도에서 통합적 무용프로그램 집단보다 더 높은 발달의 정도를 나타냈으며, 시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달의 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감성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의 사고촉진 중 감각적 표현에서도 통합적 무용프로그램 집단보다 더 높은 발달의 정도를 나타냈으며, 시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달의 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유아무용프로그램 중 전통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감성지능의 발달에 있어서 정서지각의 이야기, 정서의 사고촉진 중 정서의 감각적 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사료된다. 유아무용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감성지능의 발달 정도에서, 통합적 무용프로그램은 감성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지각 중 얼굴표정에서 전통적 유아무용프로그램 집단보다 얼굴표정의 발달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달의 정도가 나타났다. 또한, 감성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의 사고촉진 중 정서의 사고촉진에서 전통적 유아무용프로그램 집단보다 정서의 사고촉진의 발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달 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통합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감성지능의 발달에 있어서 하위요인인 정서지각 중 얼굴표정, 정서의 사고촉진 중 정서의 사고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유아 무용프로그램별 감성지능의 발달정도를 검토한 결과, 유아의 감성지능 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달의 정도를 나타낸 하위요인은 정서지각, 정서의 사고촉진의 2개 하위요인만으로 나타났다. 향후 감성지능의 종합적 발달을 위해서는 하위영역인 정서이해와 정서조절의 발달을 함께 도모하는 구체적인 유아무용프로그램 구성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유아무용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운동창의성의 발달 정도에서, 전통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운동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상상력, 표현력과 신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융통성, 방향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통합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운동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상상력, 표현력과 신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융통성, 방향성, 독창성이 전통적 유아무용프로그램 집단보다 더 높은 발달의 정도를 나타냈으며, 또한 운동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상상력, 표현력과 신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융통성은 시기에 영향을 미쳤고, 신체창의성 하위요인인 독창성은 집단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운동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과 신체창의성의 하위요인인 방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유아무용프로그램 중 통합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운동창의성의 발달에 있어서 하위요인인 유창성, 상상력, 표현력, 융통성, 방향성, 독창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유아 무용프로그램별 운동창의성의 발달정도를 검토한 결과, 유아의 운동창의성 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달의 정도를 나타낸 하위요인은 유창성, 상상력, 표현력, 융통성, 방향성, 독창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운동창의성의 발달을 위해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사료된다. 셋째, 전통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12주 프로그램을 통해 반복적인 움직임 수업과 지도자의 말 리듬, 클래식 발레 음악이 유아의 감성지능을 높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중 선생님을 바라보고 움직임을 반복하는 것에 있어 움직임을 습득하고 표현하는데 자신감이 생기며, 음악을 듣고 말 리듬을 들으면 아이들이 말하면서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이 유아에 감성에 자극을 준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통합적 유아무용프로그램은 12주 프로그램을 통해 놀이, 동요, 소도구를 사용하였다. 운동창의성이 하위요인 모두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유아가 새로운 학습 도구에 흥미를 가지고 탐색하는 시간을 지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응용하는 것으로 유아의 자유로운 신체움직임이 운동창의성을 높여 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감성지능의 요소인 얼굴표정과 정서의 사고촉진, 정서이해 가 높았다. 이러한 이유는 유아들이 수업 시간 안에 서로 함께 움직임을 만들어 내거나 같이하는 활동들을 통해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아무용프로그램에 따른 유아의 감성지능 및 운동창의성의 발달적 특징을 감안하여, 전통적 무용프로그램과 통합적 무용프로그램을 병행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infant dance programs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tor creativity in infants. To this end, 30 6-year-old infa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5) and a control group (n=15).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n integrated danc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a traditional dance program. The two groups conducted a 12-week infant dance program once a week for 40 minutes. In order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tor creativity through infant dance programs,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thought promotion,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 control) and Motor creativity tests (fluency imagination, expression, flexibility, direction originality) were conducted three times. The following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gender homogeneity between groups. Second, in order to review the valid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tor creativity tests, Lawshe's internal validity calculation formula was applied to obtain Content Validity Ratio (CVR) for each survey item. Third,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tor creativity tests. Fourth, in order to review the degree of development change in infant motor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infant dance program,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using the test perio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ll statistical analyses use the SPSSver.27 statistical program, and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through infant dance programs, traditional dance programs showed a higher level of development than integrated dance program groups in terms of story development among emotional percep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among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sensory expression showed a higher degree of development than the integrated dance program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development in timing. Therefore, among infant dance programs, traditional infant dance programs are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expression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stories of emotional perception, and thoughts of emotion. In terms of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of infants according to the infant dance program, the integrated dance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development in timing and group as facial expressions were found. In addition, among the promotion of emotional thinking,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thinking wa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infant dance program group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evelopment in timing. Therefore, the integrated infant dance program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acial expressions in emotional perception,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n promoting emotional thinking.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by infant dance program, only two sub-facto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future, for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infant dance program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control, which are subordinate areas. Secon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infants' motor creativity through infant dance programs, traditional infant dance program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fluency, imagination, expression and physical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infant dance program showed a higher level of development than traditional infant dance program groups in terms of fluency, imagination, expression, and body creativity. However, fluency, a sub-factor of Motor creativity, and direction, a sub-factor of physical creativ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To summarize the above, it is believed that the integrated infant dance program among infant dance programs affects fluency, imagination, expression, flexibility, direction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Motor creativ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egree of motor creativity development by infant dance program, fluency, imagination, expression, flexibility, direction and originality were found to be the lower fact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velopment. Therefore, the integrated infant dance program is considered a suitable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Motor creativity. Third, the traditional infant dance program has been confirmed to have increa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through repeated movement classes, instructor's language rhythm, and classical ballet music through a 12-week program. Looking at the teacher during class and repeating movements gives confidence in learning and expressing movements, and listening to music and listening to the rhythm of words stimulates infants' emotions. The integrated infant dance program used play, children's songs and props through the 12-week program. As Motor creativity was high in both sub-factors, it is confirmed that the free movement of the infant has increased Motor creativity by naturally creating and applying movements through time for infants to explore new learning tools. In addition, facial expressions, emotional thinking promotion and emotional understanding, which are elem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high. This reason seems to have been enhanced by activities in which infants make movements together or work together during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hat combines traditional dance programs and integrated dance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tor creativity through Effective infant dance program plan.

      • LDA 기법을 이용한 버스 승객의 이동패턴 분석

        조아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를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기법들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특히 교통 분야에서 발생하는 교통 빅데이터(교통카드 데이터, ATMS 데이터 등)의 분석결과를 교통 정책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교통 데이터 분석 기법을 기존의 단순 빈도 분석 기법에서 복잡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확장하여 교통 데이터 속에 숨어있는 의미를 파악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데이터에 대하여 토픽모델링 기법 중의 하나인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청주시 버스 승객들의 이동패턴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교통카드 데이터의 하차 결측치를 추정하고, LDA 기법을 적용하여 이동패턴을 추출하였다. 또한 LDA 분석으로 도출된 값을 측정값으로 하여 추출된 이동패턴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주시 버스 승객들의 이동패턴을 파악하도록 한다. 이동패턴은 도시 계획,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 버스 노선 신설 등 다양한 교통정책의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ransportation big data generated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has been widely used in the transportation policies making and efficient system management. Bus passengers' mobility patterns are useful insight for transportation policy maker to optimize bus lines and time intervals in a city. We propose a new methodology to discover mobility patterns by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We first estimate the bus stations where the passengers get-off because the transportation card data don't have the get-off information in most cities. We then applies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topic modeling technique, to discover mobility patterns of bus passengers in Cheong-Ju city. To understand discovered patterns, we construct a data warehouse and perform multi-dimensional analysis by bus-route, region, time-period, and the mobility patterns(get-on/get-off station).

      • Synergistic effects of graphene/silicon/carbon nanotube hybrid composites for lithium-ion battery anode

        조아해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그라핀/실리콘/탄소나노튜브(G/Si/CNT) 복합체는 분무건조법과 CVD 방법으로 제조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계층구조를 가지며 표면이 탄소로 코팅된 구형의 G/Si/CNT 복합체가 제조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리튬이온의 탈·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실리콘의 부피변화를 완충합니다. 또한 CVD 공정으로 그라핀 옥사이드(GO)가 열환원되어 만들어진 그라핀은 기존에 탄소 나노튜브를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된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뿐 아니라 다공성 Si/CNT 사이를 메꾸고, 각 재료를 연결하며 전기전도성을 향상시켰습니다. 그라핀의 넓은 가장자리로 인해 리튬이온의 전도도가 증가합니다. 또한 표면에 증착된 탄소는 구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안정한 고체전해질 계면(SEI)를 형성하고 실리콘 단독으로 쓰일 때보다 안정적인 전지거동을 나타냅니다. Chap 4에서는 적절한 탄소 증착량을 찾기 위해 700, 760, 800, 1,000 ℃의 다양한 온도에서 CVD를 진행하여 적절한 CVD 온도를 찾았습니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0.1C에서 초기 비용량 2,512 mAh/g과 초기 쿨롱효율 81.2%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또한 100 싸이클 이후에도 약 800 mAh/g의 고용량, 안정적인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율특성(6C) 평가에서도 용량 1,600 mAh/g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고출력 특성을 나타내었습니다. 이것은 그라핀이 없는 샘플과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계면활성제(SDBS)를 사용한 샘플에 비해 고용량, 안정적인 수명 특성 및 우수한 고출력 특성을 나타내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라핀/실리콘/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의 구조 및 형상을 제어하여 리튬 이온전지 전극재로 적용하였을 때, 기존 소재 대비 월등한 성능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The graphene / silicon / carbon nanotube (GO / Si / CNT) composites were prepared by spray drying method and CVD method. Through this process, a spherical GO / Si / CNT composite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a carbon-coated surface is produced. This structure facilitates the insertion and de-insertion of Li ions, and buffer changes in the volume of silicon. Instead of using an additional surfactant to disperse the carbon nanotubes, graphene was used to fill the porous Si / CNT framework and reduced by CVD process to connect the materials from a graphene oxide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it also increases the conductivity of lithium ions due to its wide edges. In addition, the carbon deposited on the surface not only helps to maintain the spherical shape but also forms a stable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and exhibits more stable cell behavior than silicon alone. In chap 4, CVD was performed at various temperatures of 700,760,800,1000 ℃ to find the proper amount of deposited carbon, and the proper CVD temperature range was found through this experiment. Therefore, this compound exhibited an initial specific capacity of 2512 mAh/g and an initial coulombic efficiency of 81.2% at a current density of 0.1 C. Also, after 100 cycles, it showed a high capacity of about 800 mAh/g and stable lifetime characteristics, and also showed excellent high output characteristics while maintaining the capacity 1600 mAh/g even in the rate characteristic (6 C) evaluation. It exhibited high capacity, stable lifetime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high-power characteristics compared to samples using graphene-free samples and conventional, widely used surfactants (SDBS). As a result, whe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arbon / silicon / carbon nanotube composite material were controlled and applied to a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material, superior performance and durability were improved compared to existing materials.

      • 양하(Zingiber mioga R.)의 부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과 생리활성

        趙雅露 順天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proximate components, mineral components,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amino aci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the different parts of Zingiber miog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isture content in the floral axis was highest by 94.94%, while crude protein (2.38%), crude fat (1.36%) and crude ash (1.97%)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root. And crude fiber was shown highest content by (3.56%) in the leaf of Z. mioga. 2. Among mineral components, Na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floral axis and stem while K was the highest in the root, leaf, and shoot. 3.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found to be the main free sugars in the all parts of Z. mioga. The total content of free sugars was high in order of fructose> glucose> sucrose. 4. Regarding to organic acids in the floral axis, root, leaf, stem and shoot of Z. mioga, the main component was oxalic acid and its contents were 42.52mg%, 28.17mg%, 105.53mg%, 229.48mg%, and 16.74m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acetic acid and fumaric acid in the root were low, while the amount of acetic acid in the leaf part was low. 5.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in the floral axis, root, leaf, stem and shoot part of Z. mioga were 33.42mg%, 4.90mg%, 110.77mg%, 1.96mg% and 37.89mg%, respectively.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and valine were highly distributed in the most parts of the plant. 6.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n the parts of Z. mioga were α-pinene, β-pinene, α-Phellandrene, β-Phellandrene, α-Terpinene, β-Terpinene, cis-Ocimene, 1,3,7-Octatriene, and δ-3-Carene. 7.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in the floral axis, root, leaf, stem, and shoot part of Z. mioga were 2.34mg%, 2.38mg%, 2.42mg%, 2.30mg% and 2.31mg% respectively. 8. Total flavonoid contents in the floral axis, root, leaf, stem, and shoot part of Z. mioga were 0.80mg%, 0.97mg%, 2.75mg%, 0.73mg% and 0.88mg% respectively. 9.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floral axis, root, leaf, stem and shoot part were 64.84%, 84.69%, 84.86%, 47.31% and 28.12%, respectively. 10.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floral axis, root, leaf, stem and shoot part were 37.51%, 59.03%, 61.67%, 24.47% and 35.95%, respectively. The leaf par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s such a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1. The polar solvent extracts from the parts of Z. mioga showed low antimicrobial activities in general, but the nonpolar extracts showed high activities on six bacteria. The floral axis and root parts had high activities on the all bacteria tested; the floral axis showed the high activity on gram negative bacteria while the root part on gram positive bacteria. 양하의 부위에 따른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등 유용성분 분석과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양하의 부위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양하의 부위에 따른 수분 함량은 94.94%로 꽃대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2.38%, 1.36%, 1.97%로 뿌리가 가장 높았고, 조섬유의 함량은 잎이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양하의 부위에 따른 무기성분 함량은 꽃대와 줄기에서는 Na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뿌리와 잎, 새순에서는 K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3. 양하의 부위별에 따라 유리된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나타났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fructose > glucose > sucrose 순으로 나타났다. 4. 양하의 부위(꽃대, 뿌리, 잎, 줄기, 새순)의 주요 유기산은 oxalic acid로 나타났으며, 각각 42.52 mg%, 28.17 mg%, 105.53 mg%, 229.48 mg%, 16.74 mg%의 함량을 보였다. 뿌리에서 소량의 acetic acid, fumaric acid 함량을 보였고, 잎에서는 소량의 acetic acid 함량을 보였다. 5. 양하의 부위(꽃대, 뿌리, 잎, 줄기, 새순)의 총 아미노산함량은 각각 33.42 mg%, 4.90 mg%, 110.77 mg%, 1.96 mg%, 37.89 mg%의 함량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양하의 아미노산은 alanine, glutamic acid, proline, valine의 함량이 높았다. 6. 양하 부위(꽃대, 뿌리, 잎, 줄기, 새순)에 따른 주요향기성분에는 α-pinene, β-pinene, α-Phellandrene, β-Phellandrene, α-Terpinene, β-Terpinene, cis-Ocimene, 1,3,7-Octatriene, δ-3-Carene등 이 검출되었다. 7. 양하의 부위(꽃대, 뿌리, 잎, 줄기, 새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면 꽃대의 함량은 2.34 mg%, 뿌리 2.38 mg%, 잎 2.42 mg%, 줄기 2.30 mg%, 새순 2.31 mg%로 잎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8. 양하의 부위(꽃대, 뿌리, 잎, 줄기, 새순)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면 각각 0.80 mg%, 0.97 mg%, 2.75 mg%, 0.73 mg%, 0.88 mg%로 나타나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시료에 비해 2~3배 정도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ABTS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9. 양하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꽃대 64.84%, 뿌리 84.69%, 잎 84.86%, 줄기 47.31%, 새순 28.12%로 잎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10. 양하의 부위별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는 꽃대는 37.51%, 뿌리 59.03%, 잎 61.67%, 줄기 24.47%, 새순 35.95%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의 결과와 같이 잎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11. 양하의 부위에 따른 항균활성은 극성의 추출물에는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고 비극성의 추출물에서 활성을 보였다. 꽃대와 뿌리에서는 6종의 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그람음성균은 꽃대가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항균성을 보였고 양성균에서는 뿌리가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

      • 초급 한국어 교재의 어휘 빈도와 어휘 반복 및 반복 간격에 관한 연구

        조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초록 한국어 초급 교재의 어휘 빈도와 어휘 반복 및 반복 간격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조아임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초급 교재에 제시된 어휘들이 교재 안에서 얼마나 반복되고 있는지, 그 빈도수는 충분한지 초급 한국어 교재 6종을 분석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어 교육의 외연이 넓어지고 교육의 수요도 증가하면서 다양한 교재의 개발이 활발해졌고, 이에 따라 어휘 교육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교재에서 어휘를 다루는 방식은 한국어 교육 초창기와 비교해 큰 변화가 없다. 특히, 한 번 출현한 어휘가 후행 단원에서 몇 번이나 다시 출현하고 적절한 반복 간격을 보이는지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거의 없다. 교재는 가장 중심이 되는 학습 도구이고 체계적인 어휘 학습이 되도록 하는 기본 자료가 된다. 어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자료가 되는 교재 안의 어휘가 잘 학습되도록 구성되어 교재 안에서 어휘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Nation(2011), Nagy(1988), Baddeley(1986) 등 여러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휘를 학습하고 그 어휘가 완전히 학습자에게 내재화되기까지는 여러 번의 반복 학습이 필요하다. 특히 반복 학습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 방법으로 초급 교재의 어휘 반복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은 교재에서 효과적인 어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어휘를 제시하였는지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떤 어휘가 교재 전체에서 어느 정도의 빈도로 출현하고 최초 출현 후 다른 과에서 얼마나 자주 반복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반복의 간격이 효율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고는 한국어 교재에서 어휘의 반복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휘의 빈도수는 충분한지 초급 교재들을 중심으로 이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어휘 빈도와 어휘 반복을 정확히 인지하기 위해서 교재의 본문 뿐 아니라 교재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6종의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오는 실질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 빈도, 반복 횟수, 반복 간격을 정량화하였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이상적 기준으로 설정한 빈도수 6 이상, 반복 횟수 3 이상, 적절한 반복 간격을 고려하여 어휘 반복을 분석하였다. 앞으로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어휘 반복과 반복 간격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