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연골 조직 재생을 위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기반의 하이드로젤 합성 및 평가 : Synthesis and Evaluation of Chondroitin Sulfate-based Hydrogel for Cartilage Tissue Regeneration : 조성연

        조성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주사형의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기반의 하이드로젤을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아크릴레이트와 폴리에틸렌옥사이드-싸이올간의 마이클 형 첨가 반응을 통해 제조하였다.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한 화학적 분석은 FT-IR, 1H-NMR, COSY NMR, 그리고 ESCA를 이용하여 ADH와 acrylic acid의 결합을 확인하였다. 젤화 경향은 전구체에서 젤로 전환되는 유변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며, 젤화 시간은 수분이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온도, pH, 그리고 농도가 젤화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높은 pH, 온도, 그리고 농도가 빠른 젤화 시간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이드로젤의 팽윤성을 평가한 결과 염기성 pH에 담지된 낮은 농도의 하이드로젤이 산성 pH에 담지된 높은 농도의 하이드로젤 보다 높은 팽윤성을 보였다. 팽윤하여 평형상태에 도달한 하이드로젤을 동결 건조하여 형태학적 분석을 전자현미경으로 진행하였으며, 절단면에서 표면 보다 좀더 균일한 다공성 구조를 보였으며, 기공의 크기는 8 ~ 10 um 를 나타냈다. 하이드로젤의 압축 강도는 농도에 따라 1.2 ~ 1.5 MPa를 나타냈으며, 로다민은 약물 모델로 하이드로젤에 담지 하여 방출 평가를 하였을 때, 로다민이 24시간 동안 서방출 됨을 확인하였으며, 낮은 농도의 하이드로젤에서 더 빠른 방출 경향이 나타났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기반의 하이드로젤을 콘드로이티네이즈 ABC 효소로 분해 평가를 24일 동안 진행한 결과 7 % 정도 분해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골세포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표면에 부착된 세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이드로젤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CCK-8 평가에 의해 확인 되었다. 표면과 내부에서 세포 생존성을 분석한 결과 표면과 내부의 세포가 모두 7일간 생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세포 독성 평가를 BrdU, MTT, NR 방법 및 젤 커버링을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모든 평가에서 음성 대조군인 라텍스 보다 훨씬 좋은 세포 생존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합성된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기반의 하이드로젤은 연골 조직 재생을 위한 주사형 하이드로젤로써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반추의 하위유형인 자책 및 숙고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 긍정·부정 과거지향 사고를 중심으로

        조성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반추의 두 하위유형 자책(brooding)과 숙고(reflection), 우울 및 불안 그리고 과거지향 사고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285명의 4년제 사립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반추적 반응 척도(K-RRS), 역학조사센터 우울증 척도(CES-D), Beck 불안척도(BAI), 과거지향 사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억사고 과제(Memory Thinking Task)를 실시하였다. 기억사고 과제는 세 가지 시간주기(1주 전, 1년 전, 5-10년 전)에 따라 과거에 일어났던 긍정·부정 사건을 제한된 시간 내에 가능한 많이 회상하여 보고하도록 한다. 기억사고 과제는 언어 유창성 패러다임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일반적 인지 처리 능력과 수행요소를 통제하고자 언어 유창성 과제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요변인들 간의 관계는 대체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의 두 하위유형인 자책 및 숙고, 우울 및 불안 그리고 부정 과거지향 사고는 서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반추의 하위유형인 숙고는 긍정 과거지향 사고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고 우울은 긍정 과거지향 사고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반추의 하위유형인 자책은 부정 과거지향 사고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숙고는 긍정 과거지향 사고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거지향 사고에 있어 자책과 숙고의 차별적인 특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우울은 긍정 과거지향 사고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불안은 부정 과거지향 사고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넷째, 반추의 두 하위유형(자책 및 숙고) 수준에 따라 긍정⋅부정 과거지향 사고와 우울 그리고 불안의 수준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책과 숙고가 모두 높은 수준일 때, 이 둘은 상호작용하여 부정 과거지향 사고와 우울 및 불안의 수준을 상승시켰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추와 우울 및 불안은 과거 경험을 부정적으로 편향되게 기억한다는 공통된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추는 부정 과거지향 사고 그리고 우울 및 불안과 모두 관련되어 여러 정신장애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위험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반추의 하위유형인 숙고는 적응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나, 반추의 하위유형인 자책과 상호작용하여 부정 과거지향 사고와 우울 그리고 불안을 증폭시키는 부적응적인 측면도 있음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숙고가 적응적인지 또는 부적응적인지에 대한 일관되지 않았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숙고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상담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Acrylic 물감의 옥외폭로시험을 통한 표면 열화분석

        조성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경우, 아크릴 물감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래 정확한 명칭은 아크릴릭 물감이다. 아크릴릭 물감이 처음 소개된 시기는 1970년대 말이나 이 시기에는 아크릴릭 물감체계의 극히 일부분인 기본 색상만이 소개되고 일부 작가에 국한되어 이용되었다. 아크릴릭 물감은 외국과 국내에서 공업생산물로 접하고 있으며, 다양한 회사와 이름으로 그 조제법과 원료를 달리하여 생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크릴릭 물감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적인 배경지식과 외국학술지 그리고 국내의 페인트 도막구성과 성분을 참고하여 아크릴릭 물감의 성분이 바탕 층에 흡수되어 일으키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기본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시료에는 국산 알파제품으로 전문가용으로 알려진 골드물감을 선정하였다. 그 중 안료의 성분에 따라 무기 안료 (Titanium White, Black, Cadmium Red, Cadmium Yellow, Raw Sienna), 아조계 유기안료(Phthalo Cyanine Blue), 유기안료(Dioxinazin Violet) 총 7가지 색상의 물감을 선택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바탕 층 시료는 예술작품에 다수 사용되는 canvas(아마+합성섬유 혼용), 문화재분야의 보존처리 시 마감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적송), 에폭시수지(L-30)를 바탕 층으로 각각의 시료를 제작하고 지면에서 ∠90°, 동.서.남.북 4방위에 설치하였다. 현미경 촬영을 통한 물성 변화와 색차계를 이용하여 △E*ab값을 수치로 제시 하였다. 색차별 방위별 △E*ab 값을 평균화 하였을 때 canvas(아마+합성섬유 혼용) < 에폭시수지(L-30) < 목재(적송) 순으로 그 중 목재(적송) 바탕 층에서 동(4.91), 남(12.88), 북(7.47) 3개의 방위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목재 표면의 경우 섬유질의 노출정도가 열화 요인으로 작용하여 섬유질 노출이 많은 거친 표면에서 더 열화가 빨리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안료가 바탕 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기안료보다 유기안료를 이용한 Phthalo Cyanine Blue(938) - 12.88 에서 높은 △E*ab 값이 측정되었다. 이로써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바탕 층과 사용한 안료의 종류에 따라 표면의 열화의 활성화 정도가 다르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통적으로 변화된 바탕재질은 8월부터 크게 관찰되었다. 이는 평균적으로 6월부터 기온, 초상온도, 이슬점온도, 상대습도, 강수량, 일조시간의 기상변화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문화재 보존 분야에서 보존처리 후 마감 재료로 사용되는 아크릴릭 물감에 환경요인과 바탕 층에 따른 변화가 있음을 제시 하였다. 향후 세부적인 연구를 통하여 문화재 보존에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Although known as acryl paint in Korea, originally its exact name is acrylic paint. The period acrylic paint was first introduced was in late 70s, however, only a small fraction of primary colors of the acrylic paint system was introduced in this period and its use was confined to a few artists. Acrylic paints are dealt as industrial products in foreign and domestic countries, and is being produced under various company names with different production method and raw materials. To understand acrylic paints, this paper intends to build the underlying data by identifying the problem being caused as the components in acrylic paints are absorbed to the support referr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foreign journals and domestic paint coating composition and ingredients. The selected samples were from a domestic product from Alpha called Gold paint, known for professionals. Within the product, total 7 types of paint colo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of the pigment which were inorganic pigments (Titanium White, Black, Cadmium Red, Cadmium Yellow, Raw Sienna), azo organic pigment (Phthalo Cyanine Blue), and organic pigment (Dioxinazin Violet). Canvas (mix of flax + synthetic fiber), used in art work many times, wood (pine wood), used as finishing material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cultural property field, and epoxy resin (L-30), were used as support to make each samples for the experiment, and were installed at 4 bearing points, North, South, East, and West in right angles from the ground. Using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and color-difference meter through the microscope shooting, △E*ab values were numerically presented. When averaging the △E*ab value by colors and directions, the figures appeared to be higher in canvas < epoxy resin < wood (pine wood) order, and among them, they were high at 3 bearing points in East (4.91), South (12.88), North (7.47) on the wood(pine wood) support. These results were identified to progress degradation more quickly on rough surfaces with lots of fiber exposure as the degree of fiber exposure acted as the degradation factor in case of wood surfaces. In addition, as a result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igments on supports, higher △E*ab value was measured at Phthalo Cyanine Blue (938) - 12.88 using the organic pigment rather than inorganic pigments. Accordingly, the result was derived that the activation degree of degradation on surfaces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support and pigments used as well as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ommonly changed background material was significantly observed from August. This was identified to be due to the climate change of temperature, grass temperature, dew point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rainfall, and sunshine hours from June on averag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posed that in acrylic paints, used as finishing materials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in cultural assets conservation field, there is a chang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support.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conserving cultural assets through further detailed studies.

      • 지역기반 벽화프로젝트 활동이 가족공동체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충남 보령시 궁촌 1동의 두 가족을 중심으로

        조성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벽화프로젝트 미술체험이 참여가족의 삶에 미친 변화와 지역수준에서 공동체의식이 함양되었는지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정부와 지방 자치단체에서 주도한 벽화사업은 일회적이고 이벤트(event)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벽화사업은 대개 미술가와 주민의 유대감과 상호작용이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실행되어 왔기 때문에 벽화를 단순히 그린다는 행위에 의의를 둘 수밖에 없었다. 또한, 대부분의 벽화는 미술가가 주도하므로 주민의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을 증가시켰다. 한편, 벽화사업은 또 다른 문제를 일으켰는데 지역주민은 일방적인 벽화사업이 마을 분위기를 저해시킨다며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왜냐하면, 벽화가 짧은 기간에 완성되어야만 하므로 벽화업체가 주민에 의도와 다르게 벽화를 제작하기 때문이다. 이는 애초에 정부가 예술가들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을 하였기 때문에 벽화가 예술가들의 돈벌이로 전락해왔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대개 프로젝트별 사례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미술가와 주민이 진정한 유대감과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행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행연구에 접근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가 논의한 중심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지는 문화 소외지역인 보령시이며 A가족(3년 2개월 거주)과 B가족(7년 10개월 거주)을 나누어 연구를 실행하였다. A가족은 평생교육기관에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였다. 따라서 주민과의 교류나 의사소통이 적었다. 또한, 지역문화에 대해 알지 못했고 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전시가 있는지도 몰랐다. 반면, B가족은 평생교육기관에 일정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이웃과의 교류가 있으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문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고 보령시에 남다른 애정을 보여 주었다. 이처럼 지역에 대한 애착감은 A가족보다 B가족이 높았다. 둘째, 연구 방법론은 커뮤니티 중심의 실행연구(community-based action research, CBAR)를 적용하여 연구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가족들은 삶의 질이나 행복수준이 상이하므로 벽화작업 과정에서 얻은 경험 또한 다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경험을 보다 면밀하게 기술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연구일지, 현장메모와 같은 수집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녹음과 녹화를 병행하였다. 셋째, 벽화제작 과정이다. 본 연구자는 참여가족과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형성하였으며 실제로 A가족은 베란다 벽화, B가족은 담벼락 벽화를 제작하였다. 참여가족의 자녀는 벽화작업에 적극 참여할 수 없으므로 아동 미술활동을 진행하여 본 연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역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미술전시장에서 전시회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비정형화된 심층면담을 실행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정리, 분석, 해석하여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였다. 이상의 연구목적과 절차에 따라 진행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은 벽화라는 생소한 매체를 경험하고, 벽화작업 과정에서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해 공통적인 대화를 함으로써 행복과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이 미쳤다. 따라서 벽화제작을 통해 가족이 반복된 일상과 한정된 대화에서 벗어나, 다른 환경에서 공감된 이야기를 함으로써 행복을 느꼈고, 이와 같은 경험은 가족의 공동체의식과 유대감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연구자와 가족들은 지역과 연계하는 목적으로 활동 전반의 기록물을 미술전시장에 전시함으로써 보령시민과 소통을 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전시안내원을 하면서 자신들이 창작한 결과물을 소개하는 절차를 통해 지역과 연계하려고 시도했으나 지역 시민이 단, 한 명도 관람하지 않았다. 이상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행복감과 유대감을 증진하고 벽화제작 활동을 통해 공통된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벽화제작에 의한 미술체험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역과 연계하는 전시활동은 가족의 공동체의식을 이끌어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연구자는 연구전반에 반성적 고찰을 수행하면서 자신을 평가하고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이끌어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실행한 벽화프로젝트는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전반적으로 우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더욱 발전적인 후속 연구를 위해 벽화프로젝트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차원에서 전체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공동체 미술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참여가족과의 개인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데 그쳤다. 따라서 지역의 전체 주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동체 미술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지역과 주민이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벽화체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서로 다른 집단 사이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두 가족은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벽화를 제작하므로 서로에 대한 소통은 적었다. 가족수준의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넘어 보다 넓은 범위의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참여자 집단간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지역기반 벽화프로젝트는 행복한 경험을 제공하고 이것이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앞으로 이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 이어져 벽화프로젝트를 통하여 가족과 지역수준에서 소통할 수 있는 미술체험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되기를 바란다.

      • 하나님 나라와 잔치공동체 : "잃은 아들"의 비유를 중심으로

        조성연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약성서에서 나타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하나님 나라’일 것이다. 이 글은 예수가 말했고, 삶을 통해 나타냈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성서에서 하나님 나라로 비유되는 중요한 단어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잔치’이다. 따라서 잔치의 특징을 살피고 이것이 왜 하나님 나라와 연결되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 글의 시작에 앞서 ‘잃은 아들’의 비유에 대한 연구사를 소개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예수가 말했던 이야기 중 하나인 ‘잃은 아들’의 비유를 중심으로 주석 작업을 진행한다. 누가복음 15장 18절에서 등장하는 ‘세리와 죄인들’에 대한 해석들을 하고 있으며, 청중이었던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하고 있다. 이 비유에서 등장하는 아버지, 첫째 아들, 둘째 아들의 관계들을 해석한다. 누가의 특수한 편집을 밝히며, 누가의 편집의도가 비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피고 있다. 또한 그에 따르는 누가의 의도를 서술하며, 비유의 본연의 색을 찾으려고 시도한다. ‘잃은 아들’의 비유를 주석하며, 예수가 말했던 비유의 초점과 의미에 접근한다. 비유 속 첫째, 둘째 아들과 아버지의 관계, 아버지의 마음에서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찾는다. 또한 첫째 아들의 모습을 통해 잔치에 참여하지 않고, 함께 즐기지 못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한다. 오늘날 사회의 문제점과 교회공동체의 문제점들을 말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공동체가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교회공동체의 방향을 모색하며, 교회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 있다.

      • 내과계 중환자실에 장기간 입원한 노인환자들의 예후

        조성연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노인 인구가 점차 증가하면서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노인 환자의 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연속해서 30일 이상 치료 받았던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및 예후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내과계 중환자실에 연속해서 30일 이상 입원했던 65세 이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임상적 특징과 사망률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총 5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73.7±6.5세이었으며, 남자가 36명 (67.9%), 여자가 17명 (32.0%)이었다. 중환자실로 입원하게 된 주된 이유는 급성호흡부전이 30명 (56.6%)으로 가장 많았으며 신경계 장애 14명 (26.4%), 패혈증 10명 (18.9%), 위장관 출혈 2명 (3.8%) 순이었다. 평균 APACHE II 점수는 26.5±4.3이었다. 중환자실 평균 입원 기간은 54.6±30.2일 이었으며 기계환기의 평균 기간은 43.9±24.2일 이었다. 사망한 환자는 30명 (56.6%)이었으며 사망과 관련 있는 인자는 APACHE II 점수 (p=0.005)와 수혈 (p=0.002) 등이었다. 결론: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30일 이상 장기간 치료를 받은 노인 환자들의 가장 많은 입원 이유는 호흡부전이었으며 사망률은 56.6%이었고 사망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APACHE II 점수와 수혈 등이었다.

      • Program annotation : J. J. Froberger Pour de clavecin 中 'Suite VI', J. -N. -P. Royer 'Pie<ces de clavecin', J. S. Bach 'Sonata nach der Violinsonate a-moll BWV 964'

        조성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the research for the analysis of ‘SuiteⅥ’ from Pour de Clavecin (J. J. Froberger), ‘Pièces de Clavecin’ (J. -N. -P. Royer) and ‘Sonata nach der Violinsonate a-moll BWV 964’ (J. S. Bach), focusing the characters of composers and works‘SuiteⅥ’ from Pour de Clavecin (J. J. Froberger) consists of Lamento in token of respect to the memory of Ferdinando Ⅳ, ‘Gigue’, ‘Courant’ and ‘Sarabande’‘Pièces de Clavecin’ (J. -N. -P. Royer) is the only piece that Royer composed for Clavecin in his life, using the effect of thick harmony, one of his characters. ‘La Zaïde’ and ‘La Marches des Scythes’ originates from his opera, and ‘Le Vertigo’ has the most thick and huge sound. ‘Sonata nach der Violinsonate a-moll BWV 964’ (J. S. Bach) is the piece arranged from ‘Violin solo Sonata BWV 1003’ for a harpsichord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J. J. Froberger Pour de Clavecin 中 ‘SuiteⅥ’, J. -N. -P. Royer ‘Pièces de Clavecin’, J. S. Bach ‘Sonata nach der Violinsonate a-moll BWV 964’에 대해 작곡가와 작품중심으로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J. J. Froberger Pour de Clavecin 中 ‘SuiteⅥ’은 Froberger가 Ferdinando Ⅳ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작곡된 ‘Lamento’가 포함된 모음곡으로, ‘Gigue’, ‘Courant’, ‘Sarabande’를 포함하고 있다. J. -N. -P. Royer ‘Pièces de Clavecin’은 Royer의 유일한 Clavecin을 위한 곡집으로, Royer의 특징인 두꺼운 화성의 효과를 추구한 곡이 많다. ‘La Zaïde’ ‘La Marches des Scythes’는 그의 Opera에서 유래되었으며, ‘Le Vertigo’는 Opera에서 유래되지는 않았으나 가장 두껍고 큰 음향을 가진 곡이다.J. S. Bach ‘Sonata nach der Violinsonate a-moll BWV 964’는 그의 ‘Violin solo Sonata BWV 1003’을 하프시코드 곡으로 편곡한 작품이다.

      • UV 경화용 은 나노 잉크와 페이스트의 제조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성연 한양대학교 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전자 부품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극 재료로서 사용 가능한 금속 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은 나노 입자는 무선전자태그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초소형전자기계기술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박막 트렌지스터 (Thin Film Transistor, TFT), 태양 전지 (Solar Cell) 등에 전극 재료로 사용 되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네오데칸산은화염 (Silver Neodecanoate, AgND)을 자일렌 용해시켜 은 용액 잉크 (Silver Complex ink, Ag-CI)를 제조하였다. 은 용액 잉크에 페닐히드라진을 가하여 네오데칸산은화염을 은 나노 입자로 환원시켰다. 은 나노 입자를 자일렌에 분산시켜 은 입자 잉크 (Silver Particle ink, Ag-PI)를 제조하였다. 은 용액 잉크는 네오데칸산은화염이 유기 용매 내에 안정하게 용해되어 있어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은 입자 잉크는 은 함량이 증가할수록 은 나노 입자가 유기 용매 내에서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함량이 20 wt%인 은 용액 잉크와 은 입자 잉크를 제조하여 폴리이미드 필름 위에 스핀코팅하고 UV 경화하였다. UV 경화 방법은 기존의 열로 소성하는 방법과는 달리 폴리머 기판에 손상을 적게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다. 경화 거리 (잉크가 코팅한 필름과 UV 램프 사이의 거리)가 10 cm일 때 4 분 동안 경화하면 은 용액 잉크와 은 입자 잉크로 제조한 은 필름의 면저항값은 각각 0.03 Ω/□, 0.07 Ω/□로 측정되었다. 은 용액 잉크를 사용한 경우 UV 경화하면 네오데칸산은화염에서 네오데칸산염이 탈착되면서 은 입자로 환원된다. 그리로 생성된 은 입자들 사이의 응집 현상이 일어나 약 500 nm 이상의 입자를 형성한다. 은 나노 입자와 입자들 간에 상호 충진(necking)으로 인하여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은 입자 잉크는 경화 거리가 감소하고 경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은 용액 잉크와 마찬가지로 은 입자 사이에 응집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은 입자 잉크는 은 입자가 응집(necking)되는 정도가 증가할수록 전도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경화 거리가 감소하고 경화 시간이 증가할수록 전도성이 향상되었다. 기존의 열에너지를 가하여 소성하는 방법과 달리 UV 경화 방법은 고온 소성은로 인한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UV 경화 방법은 향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산업에도 응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