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Two-step Sol-gel 법 기반 TiO2 나노구조체 합성 및 적용을 통한 광전변환 소자 내 전하거동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정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우수한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광전변환소자에서 전자전달 역할을 하는 광촉매로 가장 널리 쓰이는 TiO2 산화물 반도체를 나노막대 모양의 나노구조체로 합성하였고 합성된 나노구조체를 양자점 태양전지 소자에 적용하여 태양전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양자점 태양전지의 경우 광활성체로 사용되는 양자점의 다양한 Trap 현상으로 인해 태양전지 내에서 전자정공 재결합 문제가 발생하여 소자 특성을 저하시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나노구조체의 산화물 반도체 적용이 활발하게 연구 되어왔다. 그 중 1차원 나노구조체의 경우 우수한 결정성과 광활성체와 만나는 계면의 높은 표면적을 바탕으로 양자점 태양전지의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나노구조체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투명산화물전도체 전극 위에 TiO2 나노막대 구조를 직접적으로 성장시켰다. TiO2 나노구조체의 합성 원리와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양자점 태양전지에 적용하여 소자 내 전하거동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자현미경 및 X-ray 회절 분석을 통해서 나노구조체의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표면 분석을 통해 합성 원리를 이해하였다. 나아가 나노구조체를 적용한 양자점 태양전지와 기존 TiO2 나노입자 기반 태양전지와의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태양전지 소자 특성 및 Transient photoluminescence decay 분석을 통해서 소자 내 에서 TiO2 나노막대의 우수한 전하수집 거동을 확인하였다. TiO2 have the high potentials in photo energy conversion with excellent optical, electrical properties. Especially, TiO2 have drawn significant interest in thin film new generation solar cells such as Quantum dot solar cells or Perovskite solar cells because of the high electron transport properties. The Quantum dot (QD) solar cells have been under active research due to their high light harvesting efficiencies and low fabrication cost.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there have been some problems on the charge collection due to the various trap phenomenons of the QD. The modification of advanced TiO2 nanostructure is capable of solving the trap problem by increasing interface area and crystallinity. One dimensional nanomaterials such as nanorods, nanowires, and nanotubes may enhance charge collection efficiency in QD solar cells.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TiO2 anatase nanorod arrays with length of 200 nm by Two-Step Sol-Gel method. The morphology and crystal structure for the nanorod were characteriz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photovoltaic properties for the heterojunction structure QD solar cells based on the anatase nanorod were also characterized.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O2 nanoparticle based QD solar cells, these nanostructure solar cells exhibited better charge collection properties due to long life time measured by transient studies.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TiO2 anatase nanorod arrays are promising charge transport semiconductors for heterojunction QD solar cells.

      • 멀티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정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71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creating a new business ecosystem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and industries in creative way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Companies are respon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integ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to their businesses and utilizing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ir services through cloud computing. With the current explosive popularity of the cloud computing market, the services are also becoming more innovative and variou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vider are getting more distinct. Accordingly, companies are adopting strategies to introduce cloud computing, especially multi-cloud computing, which enables various technologies, in order to maximiz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Using a variety of public clouds at the same time, multi-cloud computing has different purposes and strategies of introduction, operations and management, architecture, shared ID, network, security, etc. compared to a single cloud computing and is hard and complicated to use, so that it requires thorough plans for introduction. Having different purposes of introduction and use methods from a single cloud computing means that multi-cloud computing would have different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However, no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intention to use multi-cloud computing up to the prese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multi-cloud computing for the first time in Korea. Considering that this research introduces multi-cloud computing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s and that it is performed with individuals using cloud comput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loud computing, and comparing preceding studies on multi-cloud computing, a research model that TOE Framework and UTAUT is combined was established. For the analysis, PLS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and 289 questionnaire sheets were analyzed after surveying individuals using cloud computing for 3 months from May to August 2019. As a result of analysis, 13 hypotheses out of a total of 20 were chosen, and 7 were rejected. It was revealed that both parameters of performance expectation and effort expec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ntion to use, while 3 hypotheses in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lti-cloud computing including between relative advantages and performance expectation, between diversity and performance expectation, and between diversity and effort expec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t was also shown that a total of 5 hypotheses in the organizational aspects including between CEO support and performance expectation, between economic feasibility and performance expectation, between economic feasibility and effort expectation, between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and performance expectation, and between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and effort expec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inally, a total of 3 hypotheses i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between competition pressure and performance expectation, between competition pressure and effort expectation, and between institu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expec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s by age (over/under 40s), the group older than 40 showed greater positive effects in the paths between availability and performance expectation, between availability and effort expectation, and between competition pressure and performance expectation. As for the differences by department (IT/non-IT), IT specialized department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in the paths between availability and performance expectation, between availability and effort expectation, and between performance expectation and the intention to use, while non-IT departments showed greater positive effects in the path between effort expectation and the intention to use. With regard to sales volume (under/over KRW 50 billion), companies with a sales volume over KRW 50 billion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in the paths between institu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expectation and between effort expectation and the intention to use, while companies under KRW 50 billion showed a greater positive effect in the path between performance expectation and the intention to use. In the case of the type of business (non-regulated industry/regulated industry), regulated industries revealed greater positive effects in the paths between cost reduction and performance expectation and between cost reduction and effort expectation, while non-regulated industries showed greater positive effect in the path between institu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expectation.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to use multi-cloud computing is high in Korea, and it is the first study that presented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multi-cloud computing, the differences from a single cloud computing, architecture methods, etc.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the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had greater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multi-cloud computing than the 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encouraged multi-cloud computing providers to introduce automated tools for easy operations and management and measures to easily move due to the difficulty of using multi-cloud computing. Furthermore, this research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the academic circle and companies introducing and supplying multi-cloud comput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multi-cloud computing.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과 산업의 창조적인 결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기업은 디지털 기술을 비즈니스에 접목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응 중이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여 기업의 서비스에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서비스도 혁신적이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제공 업체별 특징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변화로 기업은 기술혁신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전략을 가져가고 있다.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은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싱글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는 방식과 도입 목적, 도입 전략, 운영·관리, 아키텍처, 공유 ID, 네트워크, 보안 등이 다르고, 사용이 복잡하고 어려워 도입 시 치밀한 계획이 필요하다. 싱글 클라우드 컴퓨팅과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 목적과 활용 방식이 다르다면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를 것인데, 현재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국내 처음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을 조직적 관점에서 도입한다는 점,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고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점,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특성과 클라우드 컴퓨팅 선행연구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점을 고려하여 TOE Framework와 UTAUT를 결합한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고,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289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20개의 가설 중 13개의 가설이 채택되었고 7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매개변수인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모두 종속변수인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의 기술적 특성에는 상대적 이점과 성과기대 간, 다양성과 성과기대 간, 다양성과 노력기대 간의 3개의 가설이 통계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측면에는 최고경영자지원과 성과기대간, 경제성과 성과기대 간 , 경제성과 노력기대 간, 시도 가능성과 성과기대 간, 시도 가능성과 노력기대 간, 총 5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특성인 경쟁압력과 성과기대 간, 경쟁압력과 노력기대 간, 제도적 지원과 성과기대 간, 총 3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40대 미만/이상) 기준으로 40대 이상의 그룹이 가용성과 성과기대 간, 가용성과 노력기대 간, 경쟁압력과 성과기대 간 경로에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서별(IT전문/비IT) 기준으로 IT전문부서에서 가용성과 성과기대 간, 가용성과 노력기대 간, 성과기대와 사용의도 간 경로에 긍정적이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고, 비IT 부서는 노력기대와 사용의도 간 경로에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매출 규모(500억 미만/이상) 기준으로 500억 미만 기업에서 제도적 지원과 성과기대 간, 노력기대와 사용의도 간 경로에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고, 500억 이상인 기업은 성과기대와 사용의도 간 경로가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업종별(비규제산업/규제산업) 기준으로 규제산업은 비용절감과 성과기대 간, 비용절감과 노력기대 간 경로에 긍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고, 비규제산업은 제도적 지원과 성과기대 간 경로가 긍정적이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의도가 높다는 점을 확인되었고, 문헌조사를 통해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정의, 특징, 장점, 싱글 클라우드 컴퓨팅과의 차이점, 아키텍처 방식 등을 국내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기술적 특징보다는 조직적, 환경적 특징이 높다는 점을 제시하였고, 멀티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제공기업은 운영·관리가 쉬울 수 있는 자동화된 도구와,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을 권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기업, 제공기업, 학계에 실무적이면서도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를 통해 멀티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서비스기업의 변화준비성을 통한 행동유도시스템의 활용이 접점직원의 민첩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업무불확실성의 조절효과

        정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71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전체 산업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에서 기업 간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서비스기업은 고객접점의 직원이 민첩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면 기업은 도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변화준비성, 행동유도시스템, 민첩성 및 성과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를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서비스기업에서 IT 기술을 이용한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준비성에 대한 연구가 개인수준의 변화준비성에 편중되어 기업수준에서의 변화준비성을 살펴보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조직-환경 프레임을 이용하여 변화준비성 구성요인들을 규명하고 다음 변화준비성의 구성요인들이 행동유도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행동유도시스템은 접점직원의 민첩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을 주는 IT 기술로 서비스기업의 접점직원에게 반드시 필요한 수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행동유도시스템과 접점직원의 민첩성 및 성과 간에 어떠한 관계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서비스기업에서 예상하지 못한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접점직원의 민첩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민첩성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접점직원의 민첩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넷째, 환경불확실성이 기업의 민첩성 및 성과에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업무불확실성은 접점직원의 민첩성 및 성과에 차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행동유도시스템이 구성원의 업무불확실성의 정도에 따라 접점직원의 민첩성 및 성과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응답자 자기 기입 방식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기존 연구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측정변수를 선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지를 배포하기 전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변수의 이해정도, 적절성 등을 파악한 후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시비스기업의 직원들 중 행동유도시스템을 사용하고 주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접점직원 419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에 기반을 둔 AMOS 23.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변화준비성의 기술, 조직, 환경요인은 행동유도시스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유도시스템은 민첩성과 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첩성은 성과에 유의한 성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업무불확실성은 행동유도시스템과 민첩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행동유도시스템과 성과와의 관계는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차원에서의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서비스기업에서는 고객접점에 있는 직원의 민첩성이 필요함과 동시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행동유도시스템의 개념을 행동을 유도하는 IT 기술로 확대하여 종업원 개인의 민첩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행동유도시스템이 정보시스템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준비 정도가 종업원의 행동유도시스템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변화준비성에 대한 개념을 더욱 확대하여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술-조직-환경 프레임의 기술변화준비성, 조직변화준비성, 환경변화준비성과 행동유도시스템, 민첩성의 2차 요인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내부에 존재하는 하위 구성개념들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이들 요인들에 대해 통합적 접근을 사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차원에서의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행동유도시스템이 접점직원의 민첩성 및 성과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서비스기업은 행동유도시스템을 구축할 때 부서 간 업무의 연계가 잘 이루어져야 하는 협업, 기존 및 현재 업무의 획득에 도움을 주는 지식획득, 업무의 과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세스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서비스기업이 IT 기술과 같은 행동유도시스템의 확산을 통해 접점직원의 민첩성 및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의 변화 준비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행동유도시스템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꾸준한 관심과 지원을 통해 기술 및 환경변화에 지속적으로 대응하여 IT 기술을 사용하는 종업원의 편의에 맞고 기업 전략에 벗어나지 않는 행동유도시스템을 갖추는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업무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종업원의 민첩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접점직원들의 민첩성을 유발하는 차원에서 수동적인 업무가 발생할 수 있는 직원들에게 새로운 문제해결 상황을 제공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해야 한다. 서비스기업에서 접점직원이 책임감을 가지도록 권한을 이임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연구적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접점직원의 자기 보고식으로 설문을 측정하고 있어 개인의 민첩성 및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원의 민첩성에 대한 평가를 직장 상사가 평가할 수 있게 한다면 보다 정확한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기업의 변화준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직원의 지각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업의 변화준비성을 파악하기 위해 장기간 근무한 직원의 응답을 바탕으로 변화준비성을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인과적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이 달라질 수 있음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민첩성은 처음부터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간의 흐름에 따라 직원이 얼마나 민첩해지고 성과는 얼마나 향상되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본 연구는 2차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지만 2차 요인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이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인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 다섯째, 본 연구는 서비스기업에서 근무하는 영업 직원과 사무실 직원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후 연구에서는 영업서비스 직원과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면 모형의 활용가능성을 넓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With industrial development, the proportion of service businesses in the industries overall, as well as competition within the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continuously. In the midst of such environmental changes, service businesses need to provide agile response to customers through frontline staff in order to stay in competition.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s of change-readiness, affordance system, agility, and performance,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necessary. Also, by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it proposed strategic implications for service firms to reinforce their competitiveness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IT).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hange-readiness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individual level and provided limited understanding of change-readiness on a corporate level.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factors comprising change-readiness by using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framework, and the effects of the factors on affordance system. Second, affordance system is an IT that helps improve agility of frontline employees, and, therefore, is an essential tool for frontline employees in service firms. In that resp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ordance system and agility and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Third, agility of the frontline employee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service firms in responding to unexpected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re-defined the concept of agility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agility on performance of the frontline employees. Fourth, in a similar vein that environmental uncertainty has a moderation effect on agility and performance of a company, job uncertainty is likely to make a difference in agility and performance of frontline employee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effects of job uncertainty on the relation between affordance system and their agility and performanc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proposed in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created using measurement variable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have been proven in previous studies. Prior to distributing the final questionnaire,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ness of the variable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41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frontline employees who use affordance system and mainly deal with customers; thes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3.0, which 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affordance system. Second, affordance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agility and performance. Third, ag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Fourth, job uncertain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ordance system and agility, but not that between affordance system and performance. On a theoretical leve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proved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that, in service firms, agility of the frontline employees is both necessary and highly important. Second, this study expanded the concept of affordance system to IT that induces behaviors and, thereby, verified its importance on agility of individual frontline employees. Based on this finding, affordance system can be used for proposing a new direction for research on information systems. Third,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ange-readiness of firms on perception of the employees toward affordance system, and the relevant finding can be used for expanding the concept and usage of change-readiness. Fourth,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ary factor analysis regarding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nge-readiness, affordance system, and agility, using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framework, and verified the existence of sub-variables within each variable. In that respect, this study provided a framework for a holistic approach to these factors. On a practical leve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demonstrated that affordance system is a highly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agility of the frontline employees. Service firms need to pay attention to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departments, acquisition of knowledge that is helpful for previous and current tasks, and management of process that is helpful for the business process, when establishing an affordance system. Second, for service firms to improve agility and performance of the frontline employees through expansion of affordance system such as I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fficient change-readiness in technologic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s required. In that respect, to maximize the utility of affordance system, the chief executive officers must provide constant attention and support to help responds to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create an affordance system that is convenient for the employees who use IT, consistent with the corporate strategies. Third,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agility of employee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job uncertainty. Therefore, managers need to help the frontline employees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skills by providing a new situation in which the employees need to find a solution on their own, in order to raise their level of agility. Giving authority and, thereby,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frontline employees in service firms can be a method to achieve this goal. Despite useful implications,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was based 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refore, may not have accurately evaluated agility and performance of individuals. Future research may benefit from having the managers evaluate agility of the employees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of the result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hange-readiness of firms based on perception of the employee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measure change-readiness based on response of long-term employees. Third, this study did not include an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gility is not created instantly and, therefore, future research may look into the improvement of agility and performance in the employee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Fourth, although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ary factor analysis,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is is the most ideal method for the study because there is no established standard for secondary factor analyses. Fifth, this study did not make distinction between sales employees and office employees working for service firm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employee classification in order to expand us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 군 장병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분석에 따른 전력향상방안 연구

        정현석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다문화장병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군 장병들의 다문화 인식과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점차 다문화군대로 전환되는 한국군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에 대한 개념과 다문화인식 관련 이론, 한국군과 외국군의 다문화실태와 갈등사례, 선행연구 등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경기도와 전남지역 육군 일반장병 730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다문화장병을 직접관리하고 있는 간부 8명에 대한 집단 심층면접(FGI)을 통한 통합연구이다. 설문내용은 SPSS를 이용하여 일반장병들의 다문화인식과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 그리고 다문화인식과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분석 및 검증하고, 그 결과와 집단 심층면접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군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장병들의 다문화인식은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수용성, 한국인 인정조건 등 3개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다문화관련 경험 특성에 따라 다문화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인식의 하위영역에서 계급, 학력,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다문화관련 경험이 많은 장병일수록 다문화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장병들의 군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장병, 다문화군대, 다문화병영정책의 3개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다문화관련 경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장병에 대한 태도는 부사관과 병사들의 태도가 긍정적이며, 다문화군대에 대한 태도는 영관장교, 상·원사 등 부대의 관리자 계층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다문화정책에 대한 태도는 계급이 높을수록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학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종교를 보유한 장병이 종교를 보유하지 않은 장병들에 비해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다문화관련 경험 특성에 따라서는 다문화가정과의 교류, 입대후의 다문화교육 및 활동 경험이 많은 장병일수록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장병들의 다문화인식이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문화장병에 대한 태도는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적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긍정적일수록, 한국인으로 인정받기 쉽다고 느낄수록 긍정적이다. 다문화군대와 다문화병영정책에 대한 태도는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적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긍정적일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한국인 인정조건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집단 심층면접(FGI) 결과 다문화장병을 직접관리하고 있는 간부들은 일반장병들의 다문화인식 향상, 다문화 교육과 활동, 다문화장병 관리 등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국군의 대응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장병들의 다문화인식을 개선하고, 군 다문화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 시스템 개선, 다양한 다문화관련 활동 확대 등 군내 다문화 수용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장병의 복무여건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차원의 종합발전계획과 부대별 시행계획이 필요하며, 각종 법규의 정비, 다문화장병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체계와 군내 다문화가족 지원, 병영 환경개선 등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장병의 복무활성화를 통해 한국군의 전력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장병 등 소수자 특기를 개발하여 적재적소에 활용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의 간부선발을 확대하며, 사회통합을 선도할 통합프로그램 운용 등 다문화군대에 대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문화장병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군 내에서 장병들의 다문화인식과 군 다문화에 대한 태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도출한 연구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한국군의 다문화 병영정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가 육군부대 위주의 분석으로 한국군의 전체를 표본으로 하지 못한 점과 다문화장병이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한국군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부대를 대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Korean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their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following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soldiers with a view to deriving the countermeasures of the Korean military that is gradually becoming a multicultural military. To that end, first, the concept of multiculture, theori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ctual states of multiculture and cases of conflicts in the Korean military and foreign armed forces, and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research problems were s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The study method was an integrated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ith 730 general soldiers in the army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ith eight officials who firsthand manage multicultural soldiers. With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their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was analyzed and verified using SPSS and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FGI, the Korean military's countermeasures were presente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was analyzed centering on three areas: social distance to immigra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nditions for recognition of Korean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e related experiences. In the sub-areas of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ranks, education levels, and religions held and soldiers with more multiculture related experiences were shown to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multiculture. Second, general soldiers'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ree areas: multicultural soldiers, multicultural military, and multicultural military service policies and the result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e related experiences. Th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soldiers were positive among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and th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military were shown to be more positive among managers of troops such as field officers, master sergeants, and sergeant majors. Th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policies were shown to be more negative among those with higher ranks. The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ducation levels but were shown to be more positive among soldiers with a religion compared to soldiers with no religion.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e related experiences, the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were shown to be more positive among soldiers with more experiences in exchange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after enrollment. Third, the effect of general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on their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was examin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eral soldier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soldiers were more posi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to multicultural soldiers felt by them was shorter, whe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more positive, and when they felt that being recognized as South Korean was easier. Their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military and multicultural military service policies were more positive when the social distance to multicultural soldiers felt by them was shorter and whe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more positive but the conditions for recognition as South Korean had no significant effect. Fourth,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officers who were firsthand managing multicultural soldiers presented diverse opin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general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vities, and management of multicultural soldi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cy proposals for the Korean military's counter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general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enhance their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a base for acceptance of multiculture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military by improving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s and expanding diverse multiculture related activities. Second, legal and institutional bases for ensuring the service conditions of multicultural soldiers should be prepared. To this end, military level general development plans and implementation plans by troop are necessary and advance preparation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systems to identify and manage multicultural soldiers,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military, and improvement of barrack environments are necessary. Third, the fighting power of the Korean military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 activation of multicultural soldiers' services. In particular, mid- and long-term measures to be prepared for the multicultural military should be devised such as developing the specialities of minorities such as multicultural soldiers and utilizing the specialities in right places, expanding the selection of officers from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operating integrated programs that will lead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as a study that empirically analyzed Korean soldiers' recognition of multiculture and their attitudes toward military multiculture in the reality where multicultural soldiers are increasing in the Korean military and derived counter measures and is regar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military's multicultural military service polici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id not use samples from the entire Korean military as it conducted analyses centering on the army and that multicultural soldiers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Therefore, hereafter, the subjects of studie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ose from diverse troop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ilitary can be reflected.

      • 동료지도학습이 수학학습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

        정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수학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자로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학원의 중학교 3학년 수학 학습부진아를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실험집단은 동료지도학습을 실시했으며,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지도학습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동료지도학습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흥미도에 통계상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동료지도학습을 통해 지도자와 학습자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점을 공유하고 교과의 내용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in low-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degree of interest on ma-thematics. The participants of peer tutoring are low-achievers on mathematics in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ying in a private academy in Daegu. The selected students are set up a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peer tutoring, the control group took the general class which is teacher centered. The established resul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improvement for mathematics low-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under peer tutoring.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samp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for mathematics low-achiever's interest. Third, the mathematics low-achiever showed considerable improvement on learning subject content and sharing common problems by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guide and learner through peer tutoring.

      • 외국인 근로자의 개인별 성격적 특성·오류 요인과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

        정현석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Since the mid-1960s, Korea has been in the category of traditional labor-power exporting countries that send workforce abroad, such as Germany and the Middle East. In the meantime, by running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and the Olympic Games, we have escaped the job of maintaining the livelihood by focusing on the labor power through the growth of cultural national sentiment. The construction sit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occupations. The shortage of workers seeking construction sites in response to social conditions and public consensus has intensified. In order to secure insufficient workers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foreign workers from various nationalities including foreign industrial trainees and illegal aliens were recruited. In recent years,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has been increasing at construction sites due to rising wage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foreign workers, status of residence and employment. And the cause and effect of the stress felt by foreign worker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tatus of foreigners' employment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e legal system, the general employment permit system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special employment permit system.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and outbreak trends of foreign workers were analyzed and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ress felt by foreign worker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atigue, error factors, and psychological safety factors of workplace were presen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disasters according to the stress felt by foreign workers were presented.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오랜 관습에 따라 대부분 부모들은 자신은 하찮은 일을 하여도 자식들은 안전하게 사무실에서 일을 하며 살았으면 하는 직업귀천 의식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화적 생활관습에 따라 요즘 젊은 세대의 경우 신체적인 활동이 많은 건설현장 기피로 이어지고 있어 젊은 건설근로자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보다 더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건설현장의 인력난은 갈수록 더 심각해져가고 있어 어쩔 수 없이 일부 고령의 근로자들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곧 근로활동의 능률저하와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 건설회사는 물론 근로자에게도 많은 부담이 되고 있어 어쩔 수 없이 부족한 대체인력 확보를 위해 외국인근로자들이 하나 둘씩 현장에 투입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근로시간 단축과 임금인상, 노사관계 등의 사회적인 분위기에 편승하여 외국인근로자들의 건설현장 채용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투입된 외국인근로자들의 경우 문화적, 언어적 이질감에 따라 겪는 어려움과 건설현장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고충은 물론 안전사고 유발 우려도 높아지는 등 사회적 지지와 관심이 한층 요구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정의 및 분류, 체류 및 고용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였고, 외국인 근로자가 느끼는 스트레스의 원인 및 영향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 건설업의 외국인 고용현황, 법제도, 국내 건설업의 일반고용허가제 및 특례고용허가제 등을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건설업 분야에 있어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재해 현황 및 발생추이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외국인 근로자가 느끼는 스트레스에 대해 137명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재해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인특성, 피로, 오류요인, 직장 심리적 안전성 요인에 따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외국인 근로자가 느끼는 스트레스에 따른 재해발생 특성을 연구제시 하였다.

      • 불가사리를 이용한 액상 칼슘비료의 제조와 이의 시용이 채소의 생장과 성분에 미치는 영향

        정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5

        칼슘은 인체에 중요한 무기질 성분이며 칼슘의 99%는 뼈와 치아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칼슘은 인체 내에서 신호전달과 효소활성 조절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근육의 수축과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심장박동의 조절 및 혈액응고 작용 등에 관여한다. 인체는 매일 1,500 mg의 칼슘을 흡수해야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곡류, 채소, 육류 및 해산물 등의 음식물을 통하여 칼슘을 섭취한다. 다. 칼슘은 질소, 인 및 칼륨과 함께 식물이 많은 양을 필요로 하는 4대 무기성분이다. 이들 무기성분은 식물이 다량 필요로 하므로 토양에서 천연적으로 공급되는 양으로는 작물생육에 부족되기 쉬우므로 비료로 공급한다.최근에 불가사리의 주성분이 칼슘이며 다양한 유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어(박, 2003; 조 등, 2003) 불가사리를 천연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불가사리의 골편에는 탄산칼슘(CaCO3) 성분이 다른 광물질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함유되어 있어 일반 농업용 칼슘비료 및 원예용 칼슘비료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었다(Facteau, 1982; Fisher and Bennett, 1991; Huber, 1984; Paliyath et al., 198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 천연자원인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작물에 이용 가능한 친환경 칼슘비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칼슘비료가 몇 가지 채소작물의 생장과 생산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 정서조절 전략과 인지적 반응성의 관계 : IRAP 측정을 중심으로

        정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정서조절의 반복적인 실패는 다양한 정신병리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우울장애의 경우 우울의 발병뿐만 아니라 재발 및 반복과도 관련이 있다는 근거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수준에서 습관적인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 증상과 인지적 반응성에서 차이를 나는지 확인하고, 그 차이에 대한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암묵적 수준에서 슬픈 기분을 유도하여 인지적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인지적 재평가 성향과 표현 억제 성향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40명(억제 18명, 재평가 22명)을 표집했다. 명시적 수준에서 호소하는 증상과 인지적 반응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측정을 실시했다. 암묵적 수준에서는 인지적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분유도 전후에 IR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명시적 측정에서 억제집단은 재평가집단보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더 많이 호소하고 더 높은 인지적 반응성을 보였다. 암묵적 측정에서 표현 억제 성향집단은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보다 슬픈 기분에 민감한 인지구조를 보였다. 또한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은 부정적인 상황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으나 표현 억제 성향집단은 그렇지 않았다. 특히, 표현 억제 성향집단은 기분유도 후 긍정적 정서반응 편향이 감소했으나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은 기분유도 후 오히려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조절 전략의 습관적 사용이 인지적 반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 가상커뮤니티에서 지식공유의 선행요인과 성과

        정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2000년 이후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에서 일어나는 많은 현상들이 인터넷 속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동호회와 같은 커뮤니티 역시 인터넷으로 들어오고 그 성장 또한 빨라지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의 상당수가 업무 및 학업에 필요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 가상커뮤니티를 이용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가상커뮤니티에서의 지식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움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온라인에서는 많은 가상커뮤니티가 생성되고 그 활동역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가상커뮤니티가 성과를 얻지는 못한다. 가상커뮤니티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상커뮤니티내에 많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하며 많은 지식보유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활발한 참여가 필요하다. 사용자의 참여를 활발히 하기 위해서는 “왜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과 지식공유를 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가?” 그리고 “어떤 환경이 지식공유를 촉진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식공유가 결국 어떠한 성과를 가져오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커뮤니티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촉진시켜주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행동의 원인을 분석하는 사회인지이론과 어떤 환경이 지식공유를 촉진하는가를 설명하는 사회자본이론을 이용하여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며 이러한 지식공유가 성과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인지이론의 개인 특성이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자본이론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이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가상커뮤니티에서의 지식공유가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가상커뮤니티에서 지식공유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가상커뮤니티에서 성취도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하기 전에 가상커뮤니티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용자 5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다음 구성개념과 측정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하였고 응답자에게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는 설문문항은 보완 수정하였다. 설문조사는 현재 네이버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 가상커뮤니티 11곳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각 가상커뮤니티의 관리자들과 협의한 다음 2011년 4월 6일부터 15일까지 가상커뮤니티 상에서 직접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72개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인지이론의 개인 특성은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이론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 모두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가 성과변수인 성취도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성취도가 충성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인지이론의 개인 특성과 함께 사회자본이론의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 자본을 모두 사용하여 지식공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함과 동시에 지식공유와 성과와의 관계를 함께 검증하였으며,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을 2차 요인으로 정의하여 지식공유의 주요 요인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상커뮤니티의 관리자가 가상커뮤니티를 발전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표본과 함께 다양한 연령계층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가상커뮤니티의 분류와 가입기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향후에는 이러한 가상커뮤니티의 가입기간과 분류를 고려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 21st century has introduced new society phenomenon, which grew at tremendous rate. For example, many online users, including companies, proactively use the Internet as a mean of getting the necessary knowledge. Not all, however, these virtual communities get the successful results. In order to have desired outcomes, the users of these virtual communitie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extensive information. To stimulate the active involvement, we need to research on the knowledge sharing by asking two questions, "why do online users spend time and make efforts to share knowledge?" and "what kind of environments motivate the users to share knowledge?" This paper will study factors that stimulate the users' active participation by the social cognitive theory to analyze individual behaviors and social capital theory to analyze the environments that may facilitate the knowledge sharing. Based on these two theorie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virtual community users. In detail, this paper will study the following five subjects. First, the effects of individual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Second, how does social capital theory impacts on knowledge sharing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hird, how does the knowledge sharing impact on achievements of the users in the virtual communities. Fourth, how the knowledge sharing does affects the user loyalty of the virtual communities. Lastly, it will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r achievements and loyalties of the virtual communities. In the preparation of the survey, the research interviewed 50 online users who are actively participate in virtual communities to make the survey questionnaires more credible and reliable.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most 11 active virtual communities in Naver.com. The total of 172 questions was asked and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April 6th to 15th of 2011 with consensus of the administrators of the virtual communities. Based on the survey, tins study concludes as following. The individual behavior of social cognitive theory has significant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the structural, 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s of social capital theory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Also, knowledge sharing has shown the significant effect on achievement and users' loyalty and achievement of the users will eventually influences users' loyalty. From this research, some valuable points were presented: personal characteristics in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relational capital in social capital theory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knowledge sharing;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on virtual communities have been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performance has been verified;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is defined to be second order factor which is a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sharing have been verified.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amples with more diverse demographic to enhance objectivity. It is noted that some discrepancies may exist due to the timing difference of users' registration. Therefore, it will improve the study by considering the registration period and classification of virtu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