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정정애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in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 and thereby improving learners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as the three factors were the primary variables that determined the effect of home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and actualized well-round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60 students who included boys and girl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in their fifth and sixth grades, and the middle schoolers were in their second and third yea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 Parenting Attitude Inventory(Oh Seong-sim?Lee Jong-seung, 1982), Academic Self-Efficacy Inventory(Kim Ah-yeoung?Park In-yeoung, 2001), Achievement-Goal Orientation Inventory(Hyeon Ju, et. al, 2005)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ventory(Kwoun Hyung-ja?Jung Jung-ae, 200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3.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group were obtained, and whether there were any intergroup gaps was investigated. A post-hoc comparison analysis was utilized, an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test and F-test were implemented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ce. The hypotheses formulated in the study were as below: 1.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gender. 2.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 3.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bling. 4.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 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family environments. 5,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chievement-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6.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migh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s and girls looked at the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of their parents in a little positive manner. But the parents of the bo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irls in hostile, controlling, irrational and achievement-oriented parenting styles, which were all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s for self-regulated learning by gender, the girls excelled the boys in that regard, which showed that the girls were more active and positive than the boys. Second, concerning parenting attitude by the grade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found their parents to be more affectionate and rational, and the middle schoolers considered their parents to be more hostile, nonachievement-oriented and irrational. The former was ahead of the latter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proved that the school children had more academic expectations and performed tasks better than the middle schoolers. In terms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the former was very excellent in mastery approach, and the latter scored higher in performance approach.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siblings, there was a broad gap in test preparation between the learners who had a sibling(s) and the others who hadn't. It seemed to indicate the psychology of the learners, which meant they were sensitive to school grades. Fourth, as to the impact of family environments, the students whose family environments were better found their parents to have a more positive parenting style, whereas those whose family environments were worse considered their parents to have a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e group from the upper classes had a better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others from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As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gap in starting studying, keeping on studying and test prepar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nd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Fifth, the subfactors of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a strong cor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It denoted that the positive thinking and selfregulation of the learners were closely linked to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and that their response depended on the parenting style of parents. Sixth, as for the parenting style of fathers, an achievement-oriented paternal attitude exercise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regulated learning, followed by affectionate one. In the event of mothers, an affectionate maternal attitude was most significantly influential, followed by achievement-oriented and autonomous styles.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most significantly affected by mastery approach, followed by performance approach,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voidance. Thus, parenting styl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to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former three had an impact on the latter. It proved that learners should not merely be forced to study and get good school grades, and that motivation and target setting are crucial. In order to help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arners lead a more active and autonomous life at home and school,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from diverse angles. If necessary, parent educa 본 연구는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의 성취효과와 전인교육의 과제를 달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인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 규명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적극적인 개선과 촉진 및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 필요한 교육 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과 중학교 2, 3 학년 남?여학생 총 860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부모양육태도」(오성심?이종승, 1982),「학업적 자기효능감」(김아영?박인영, 2001),「성취목표지향성」(현주 외, 2005),「자기조절학습」(권형자?정정애, 2007)이다. 정리된 자료는 SPSS/WIN 13.0 Version으로 전산처리 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기초자료의 파악을 위해 각 집단별 연구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차이분석과 사후검증 및 단순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가설과 관련 통계치들은 의미수준 p<.05에서 t검증과 F검증을 하였으며 설정된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3.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형제 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4.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은 가정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5.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6.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애정에서만 약간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 이외에는 모두 부정적 하위요인인 적대, 통제, 비합리 비성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조절학습의 성별차이에서는 여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보아 자기조절학습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능동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의 학교급별 차이 분석결과 애정과 합리에서는 초등학생이 높고, 적대, 비성취, 비합리는 중학생이 높게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에서 초등학생이 높게 분석된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에 대한 기대감과 행동수행이 중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입증해 준다. 성취목표지향성은 숙달접근에서 초등학생이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수행접근은 중학생의 평균이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형제 수에 따른 차이분석은 형제가 있는 학습자의 경우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인 시험준비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성적에 민감해진 학습자들의 심리상태가 반영된 결과로 추측되어 진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결과 가정환경의 상집단은 긍정적인 하위요인에서 평균이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에 가정환경의 하집단은 부정적인 하위요인에서 평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 하 집단에 비해 상집단이 높게 분석되었다. 자기조절학습의 분석결과는 상집단과 중집단, 상집단과 하집단별로 공부시작, 공부지속, 시험준비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 하위요인 간에는 밀접한 상관이 있다. 이것은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자기조절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매우 상관이 높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습자의 반응도 매우 다르게 보여 주는 결과이다. 여섯째, 부모양육태도 중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는 성취와 애정의 순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는 애정, 성취, 자율의 순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에서는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행회피 순으로 자기조절학습에 의미 있는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자들의 자기조절학습에 매우 밀접한 관련과 영향력을 시사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들에게 획일적인 공부와 성적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내적인 동기부여와 목표설정이 더욱 중요함을 입증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초ㆍ중학교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의 향상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교육과 상담을 통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학습자들의 이해와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도와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써 많은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의 바람직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고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효과적인 발달에 적극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Corpus 기반 구동사 연구 :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와의 비교

        정정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Corpus-based Study of English Phrasal Verbs in COCA, BNC, and EBS English Textbooks for CSAT Jung, Jungae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itutional and combinatorial features of phrasal verbs in English through the corpora of BNC, COCA, and EBS CSAT(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English textbooks(hereafter, EBS textbooks), so that it will lead to helping ESL learners in Korea to learn them more easily and effectively. In addition, the uses of phrasal verbs of BNC and COCA will b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BS textbooks to check whether the latter are authentic or no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COCA and BNC which are considered to represent American and British English respectively, and employed Liu(2011)’s analysis of phrasal verbs in BNC and COCA to do deeper research. From Liu(2011), the high-ranked 150 phrasal verbs in frequency were ado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hrasal verbs in order to explain which verbs and particles are combined to form phrasal verbs, and how they are combined. And for the comparison with the two corpora for the study of phrasal verbs, I built the corpus of the EBS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CA and BNC show similar results in the distributions of the verbs and particles, which constitute phrasal verbs(hereafter, PVs); it implies that British and American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ing PVs. And the PVs in the EBS textbooks show similar tendencies in use as those of COCA and BNC. Second, PV-constituting verbs and particles are foun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the verbs with high frequency mostly describes activities; come, go, take, and get are most productive verbs, which represents movements of something/someone from or to the speaker or changes of states: 2) out of PV-constituting particles, up, out, on, back, and down’ ar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y share such characteristics as indicating positional and directional movements; 3) the four activity verbs and the five particles, discussed up to now, are all movement- or change-related so that they are combined easily and productively to form PVs which express a great variety of movements and changes. Third, the EBS textbooks show similarities in PV uses with COCA and BNC in association with the order of the high-frequency PVs, which can be assessed to be that they are authentic en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PV-learning and teaching. First, it is necessary that learners should learn properly not only the basic uses of those activity verbs which generate phrasal verbs productively, but their expanded/figurative uses.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y should learn the basic uses of those particles which participate productively in generating PVs, which should lead to expanding the figurative uses for PVs. Thereby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why and how a verb and a particle are combined. When learners study those PV-constituting verbs and particles, on one hand, and PVs as their combinations, on the other, they should be offered with authentic example sentences with particular contexts, and asked to figure out their (basic and figurative) uses contextually from the basic meanings of each verb and particle. For this purpose, data-driven learning methods can be a good approach; EFL learners can be encouraged and motivated to investigate and discover the characteristic uses of PVs through authentic example data from corpora for themselves.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구동사(phrasal verbs)의 형태적 특징을 파악하여 그 결합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고,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의 구동사에 대한 진정성(authenticity)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Liu(2011)의 COCA와 BNC의 150개 고빈도 구동사를 연구의 바탕에 두고, 이것을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의 구동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첫째, COCA와 BNC의 고빈도 구동사를 동사와 불변화사로 분리하여 그 분포를 알아보았고, 그 결과를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의 구동사를 구성하는 동사와 불변화사의 분포와 비교 하였다. 둘째, 고빈도로 나타나는 동사와 불변화사의 특징을 파악하여 두 성분의 결합 관계를 알아보았다. 셋째,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의 구동사의 종류와 분포를 COCA와 BNC의 고빈도 구동사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CA와 BNC의 고빈도 구동사를 형성하는 동사와 불변화사의 분포와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의 고빈도 구동사의 동사와 불변화사의 분포는 유사하였다. 둘째, 고빈도 구동사를 이루는 동사는 ⑴모두 일상생활의 활동을 의미하는 활동 동사로 이루어졌다. 그 중에서도 구동사를 가장 많이 형성하는 4개 동사 come, go, get, take에 초점을 두고 동사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go는 출발을 come은 도착을 의미한다. come은 맥락에 따라 화자, 청자 또는 제 삼자가 중심인물이 될 수 있어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go보다 구동사 생성력이 높다. come과 go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움직임을 강조하고, 구동사 get은 위치가 변화된 결과를 강조하며, take는 ‘영향권에 두다’라는 행동의 종결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고빈도 구동사를 형성하는 ⑵불변화사를 보면, up, out, on, back, down 다섯 개의 불변화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up과 out이 전체의 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불변화사 up과 out의 공간적이고 위치적인 이동은 움직임을 나타내는 활동 동사와 결합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뚜렷하게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on, down, back이 up, out 다음으로 생산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⑶4개 동사 come, go, get, take와 5개 불변화사 up, out, on, back, down의 결합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인간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동작 go, come과 일상생활의 활동을 나타내는 활동 동사와 움직임과 방향, 위치 이동을 나타내는 불변화사 up, out, down, back 그리고 움직임과 계속의 의미를 가지는 on과 결합하여 구동사가 많이 생성된다. 그 이유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활동 동사는 방향, 위치의 이동을 의미하는 불변화사와 결합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또한 이런 직접적 운동방향을 나타내는 불변화사가 ‘경로’나 ‘종점(결과)’ 혹은 ‘경로 다음 종점’을 표현하므로 다른 의미 영역으로의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더하여 이 결합은 의미적으로도 타당할 뿐만 아니라 생동감 있는 모습을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셋째, COCA와 BNC, 그리고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와의 구동사 분포와 출현률, 순위가 유사하여, EBS 수능연계 영어교재가 구동사 사용 측면에서 진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COCA가 EBS보다 고빈도 구동사 출현률은 10% 더 높았고, BNC가 EBS보다 10% 더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동사 교수와 학습에 있어서 활용을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사의 구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구동사를 빈번하게 생성하는 활동 동사를 최대한 많이 학습하는 한편, 그 동사의 기본 의미가 내포하는 바를 충실히 익힐 필요가 있다. 여기에 구동사 생성력이 높은 불변화사의 문자적 의미를 익힌 후에, 그 은유적 확장을 예문과 함께 학습한다. 그러면 한 동사와 한 불변화사가 어떠한 이유로 만나 결합되었는지를 이해 할 수 있다. 동시에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 있는 학습 자료를 사용하여 문맥의 상황이 적절하게 주어진 상황에서 문맥 속에서 구동사의 은유적 확장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코퍼스를 활용한 데이터 중심 학습 방법(Data-Driven Learning)을 수업에 적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로써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자가 구동사를 적극적으로 학습하여 습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오쇼 변형 타로를 활용한 통찰명상의 내적경험에 대한 질적분석

        정정애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찰을 도와주기 위한 수행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모든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 사고, 신체, 감각, 의도, 등의 매 순간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으로서 수행할 수 있는 통찰명상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일반인들에게 명상이란 어려운 주제이며 쉽게 행할 수 없는 일이라는 인식이 있으며, 명상경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인수행형태의 연구와 명상초보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수행 형태의 연구는 있지만 통찰명상에 도구를 사용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 발견의 도구이며, 그림과 우화가 곁들여진 오쇼 변형 타로를 활용한 통찰명상에서 어떤 내적경험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하였으며, 그에 따라 연구문제에서 제기한 대상자의 내적경험을 현상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와 K시에 거주하는 여성4명으로 대상자들은 1주일에 5회 이상의 통찰명상을 실시하고 명상일지에 기록하였다. 주 1회 경험보고를 위한 면담을 가졌고 총 12회를 실시하고 면담내용 전 과정을 녹음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가 경험한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Giorgi의 기술현상학적 분석 절차를 따르고자 하였다. 분석절차는 먼저 면담내용을 축어록으로 정리하였고 명상일지와 축어록을 읽으면서 의미단위를 분석해냈다. 이러한 도출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연구 문제 오쇼 변형 타로를 활용한 통찰명상에서 대상자는 어떤 내적경험을 하는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몸에 대한 내적경험으로는 몸에 대한 불편함이 일어남, 신체상태 각성, 감각이 살아남, 새로운 신체적? 감각적 경험을 하면서 몸과 마음이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정서에 대한 내적경험으로는 부정적 정서가 일어남, 기분이 예민해짐,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 감정투사, 억눌린 정서인식, 자신의 부정적 감정 투사, 정서적 평온감을 경험하면서 내면의 나와 만남, 신께 감사함으로 이어졌다. 경향성 각성으로는 방어기제패턴 각성, 행동패턴 각성, 언어패턴 각성으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험으로 이어졌다. 대인관계패턴 인식으로는 자신의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를 하면서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인식하게 되었다. 삶에 대한 각성으로는 관찰하는 힘 증가, 일상에 대한 각성이 일어나면서 삶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일어나고 삶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오쇼 변형 타로를 활용한 통찰명상의 내적경험이 도구 없이 행한 통찰명상과 유사한 반응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고 오쇼 변형 타로가 통찰명상에 접근할 수 있는 효율적인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 Enantiosperation on a tert-butylcarbamoylquinine-silica hybrid monolithc column by capillary electrochromatography

        정정애 嶺南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capillary electrophoresis (CE)에서 좋은 카이랄분리능을 나타낸 카이랄선택제 첨가제인 quinine (QUI)를 함유한 silica monolithic column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capillary electrochromatography (CEC)로 산성 카이랄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하였다. TMOS, AcOH, VTMS, polyethylene glycol(PEG), AIBN, t-BuCQUI를 함유한 sol solution을 용융실리카capillary에 주입하여 sol-gel법으로 silica monolith (SM) 구조를 생성한 후 카이랄선택제를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sol solution에 카이랄 선택제인 QUI의 유도체 (t-BuCQUI; tert-butylcarbamoylquinine)를 함께 넣어 한 번에 유기-무기 혼성 monolithic column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quinine-silica hybrid monolith (QN-SHM) capillary column으로 거울상 이성질체 분리를 시도하였으며, polar organic(PO) 이동상 조건에서 이동상 내 acetic acid (AcOH)의 함량, acetonitrile (ACN)의 함량 AcOH함량에 따른 전해농도를 변화시키며 대표적으로 분석물인 flurbiprofen 의 머무름과 분리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적 CEC 분리 조건을 결정하였으며, 최적분리조건에서 아홉 가지 산성 카이랄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성공적으로 분리하였다.

      • 온맘부모교육 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의사소통, 갈등대처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정애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effects on communication, conflict coping skills and self-esteem of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was reconstructed and conducted for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liv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All twenty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after explanation o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parts of ten member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rogram, which consists of a total 8 sessions, 180 minutes per session, and a session per week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y treatments were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during same period of time. The scales us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esting were the Communication Scale, the Conflict coping Skills Scale and Self-esteem Scale.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the select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PSS/WIN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results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statistical methods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group members based on experience reports and program evaluations of the participants was performed in parallel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 conflict coping skil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the self-esteem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On-mom parents education coach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coping skills seif-esteem.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주산학습과 문장제 문제해결력 사이의 관계

        정정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산 학습의 파급 효과가 문장제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문장제 문제해결은 대부분의 아동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며, 문제해결교육이 수학적 사고를 신장시켜주고 문제해결력을 배양시킨다는 점에서 문제해결교육에 관한 연구는 꼭 필요하다. 문제해결교육에 관해 연구한 Shizuko Amaiwa(天岩靜子)(2001)는 주산학습이 문장제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게다가 Dexiang Tang(1996)은 몇 명의 초등학생들이 주산식 암산을 통하여 복잡한 수학문제를 빠른 시간 안에 푼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머리 속에 주판을 그려 놓고 그 머릿속 주판을 이용하여 합을 이끌어 내며, 크고 복잡한 수의 합도 주산식 암산을 이용하여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林壽郎(はゃし としお)(2000)에 의하면 주산식 암산은 머리 안에서 주판을 조합하고 분해해가며 연산을 진행해 가는 것으로, 아날로그 뇌인 우뇌 단련에 큰 도움이 됨을 밝혔다. 河野貴美子(かわの きみニ)(2001)에 따르면 주산학습은 눈앞에서 주판알이 움직이므로 더하고 빼기의 이미지와 십진법과 자릿수 찾기를 이해하기 쉽다고 하였다. 자리값은 수감각을 발달시키며, 이미 NCTM(1989)에서 자리값의 이해가 매우 중요함을 밝힌 바 있다. 또한, Van Lehn 등(1980)도, 자릿수의 개념을 어린이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Dienes block에서 주판으로, 주판에서 필산으로 진행해가는 순서가 적절하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Shizuko Amaiwa(1987)는 주판은 Dienes block에 비해 추상도가 높고, 1자리의 주판알, 10자리의 주판알, 100자리의 주판알이 모두 같은 크기임에도 놓여진 위치에 따라 2가 되기도, 20이 되기도 한다. 필산의 경우도, 같은 숫자가 쓰여진 위치에 따라 2를 의미하기도 하고 20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주산을 기초영역(base domain)으로 이용하는 것은, 필산을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과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에서 1980년대 후반부터 점차 사라져간 주산교육을 끊임없이 연구해 왔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다시 주산교육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학습경감이라는 차원에서 수판셈 내용을 삭제했다. 이는 수판을 이용한 셈이 단순한 계산능력에만 그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제 주판을 이용한 주산교육은 계산 도구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자는 주산학습과 문장제 문제해결력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산교육의 이수 여부에 따른 문장제 문제해결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문제해결능력에서 문제해결전략과 수학과 내용 영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문제해결을 잘 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그 이해 과정에서 문제의 표상을 가지게 됨으로 이와 관련된 문제회상능력을 살펴보기로 하였다. 문제회상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수학적 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주산의 학습 여부에 따라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이 어떤 차이를 보이며,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이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과 7차 수학과 내용 영역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2. 주산의 학습 여부에 따라 문제회상능력이 어떤 차이를 보이며, 아동의 문제 회상능력은 문제해결전략과 7차 수학과 내용 영역이 달라지면 어떻게 변화하는가? 3. 주산의 학습 여부에 따라 문장제 문제해결능력과 문장제 문제회상능력간의 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아동의 문장제 문제해결능력과 문제회상능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 주산의 학습 여부가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수학적 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했으며 부분에 따라 Pearson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에 있어 주산의 학습 여부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산을 학습한 집단이 문제해결능력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었으며, 문장제 문제해결을 할 때 전략에 따라 차이점을 보이기도 했다. 즉, 주산을 학습한 학생들은 식만들기와 거꾸로 풀기, 그림그리기, 표만들기와 수형도 그리기 전략 부분에서는 주산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들과 별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나, 예상과 확인, 규칙성 찾기와 단순화하기 전략을 사용하는 문제에서 주산을 학습한 학생들이 더 문제해결력이 높은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수학과 내용 영역별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6가지 영역 중 도형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즉,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는 주산을 학습한 학생들이 문제해결능력에서 더 뛰어났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문제회상능력에 관해서는 주산의 이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또한 문제해결전략에 따른 문제회상능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본 결과 문제해결전략의 차이에 따라 문제회상능력이 영향을 받는지는 알 수 없었다. 수학과 내용 영역에 따라 문제회상이 차이가 나는지 조사해 본 결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만 주산 이수 여부에 따라 문제회상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아 볼 수가 있었다.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는 주산을 이수한 집단이 더 문제회상을 잘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주산교육 이수 여부가 문제회상능력과 문제해결능력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명치 않았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과 문제회상능력 사이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합하여 조사해 보면 문제회상능력이 높으면 문제해결능력도 높았음을 알 수가 있었다. 넷째, 주산교육의 이수 여부는 수학적 태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수학적 태도가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해본 결과 수학적 태도는 문제해결능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자세히 들어가서 수학적 태도 중 본인의 태도(1-40문항)와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봤을 때 P=.054로써 분명치 않으나 10%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이다. 본인의 태도와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은 31%의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주산 이수자와 비이수자는 상관관계가 분명치 않았다. 그리고, 주변 사람의 수학적 태도와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간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about a spinoff of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affecting word problem solving. Word problem solving is the section which is hard, and most children do and study about problem solving education is just necessary in having let problem solving education lets you expand a mathematical thinking and culture problem solving ability.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is saying that affects word problem solving the Shizuko Amaiwa(2001) which studied on problem solving education. The researcher who saw in this was going to recognize what kind of relation was between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and wor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selected the following study problem. 1. What kind of difference does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show according to education of abacus calculation and how does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differ for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a change of content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2. What kind of difference does problem recall ability show according to education of abacus calculation? If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content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change, how does problem recall ability of a child change? 3. What kind of difference has relation between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ntence problem recall abilities according to education of abacus calculation? and what kind of relation has sen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oblem recall ability of a child? 4. Education of abacus calculation is how in mathematical attitude do affect ? and mathematical attitude is how in problem solving ability do affect? I executed T-test in order to analyze this study problem and examin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a par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is positively affecting in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group where learned abacus calculation got the results to be more better than in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a difference in a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contents for mathematical education problem solution ability according to learning abacus calculation. The second, I was not able to find out a difference learning abacus calculation on problem recall ability. Also, I was not able to know whether problem recall ability was affec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that problem solving was strategic. In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An abacus calculation group appeared only in regularity and function domain by playing a problem recall more well. The third, it was indistinct whether learning this abacus calculation educational affected correlation between problem recall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However, problem solving ability was able to know that it was high if it combined an experiment group with a control group and tried to examine and if problem recall ability was high. The fourth, learning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is particular in mathematical attitude and turned out what did not affect. Also, mathematical attitude is particular i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urned out what did not affect. Sinking more in detail, correlation with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was not clear attitude of the person oneself, and it was able to know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attitude and word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a surrounding person.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 The first, this study results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turned out by affecting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Therefore,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must be preceded in a child and th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before a development of abacus calculation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paper and pencil computation gets used. The second, subsequent study about problem recall ability along contents for mathematical education and problem recall ability according to a problem solving strategy must be performed. The third, it is thought that the study that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person oneself affects word problem solving in quality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