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소월과 백석 시의 향토성 비교연구

        정정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고에서는 한국시의 중요한 내적 동인이 되고 있는 향토성을 소월과 백석의 시세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소월과 백석은 활동 시기가 20년대와 30년대라는 시간적 차이는 있지만, 식민지 당대의 험난한 삶을 산 동시대인으로서 민족적 삶의 바탕과 전통적 정서의 기틀에 밀접한 시세계를 보여주어, 그 시적 기반이 동일해 보인다. 당대 문단의 주류와 서구사조에 함몰되지 않고,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했다는 점과 그들의 시에 나타나는 토속적 세계의 배경이 되고 있는 고향이 같다는 점에서 비교의 대상이 되었다. Ⅱ장에서는 근대시에서의 향토성의 의의와 전개를 살펴 보았다. 향토성은 식민지 현실에 대응하는 정신적 자세로 민족의 근원적 정서를 시화하여, 일제에 대한 저항과 민족 문화의 확립에 기여했다. 또한 향토성은 전통지향적 시인의 계보를 형성하여 현대시사의 한 주류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향토적 경향을 띤 시의 흐름은 자연친근성과 토속적 경향으로 나누어 전개되는데, 자연친근성이 강한 시인으로는 신석정, 김동명, 김상용 등이고, 토속적 경향이 강한 시인으로는 김영랑, 노천명, 서정주, 박목월 등을 들 수 있다. Ⅲ장에서는 소월과 백석의 향토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한 바 고향의식의 형상화, 소재면에서 향토성의 추구, 시어의 토착어 사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식민지 시대의 기본 정조가 되어 흐르는 고향상실감은 조국의 상실과 연결되어 있다. 소월의 고향은 님이 거주하는 곳이며, 현실에서 잃어버리고 꿈속에서나 만날 수 있는 님 때문에 고향상실로 이어진다. 소월이 추구하는 고향은 현실을 넘어서 있는 초월적 세계, 인간의 근원적 고향인 것이다. 백석의 고향은 유년의 시각으로 재구한 산골마을 사람들과 풍속, 인정, 말이 함께 있는 민속적 고향이다. 실제의 고향을 재현하여 민족의 보편적 고향을 꿈꾸고, 식민지 현실의 부당함을 고발한다. 민족·무속·설화·지명·자연 등 향토적 소재는 민족의 삶의 바탕이 되며, 이를 공유하는 공동체의 유대감을 강화한다. 소월은 향토적 소재를 사용하여 토속미를 강화하고 민족의 보편적 정서를 수용했다. 특히 지명의 시화는 고향상실의식과 맥을 같이하며, 시대의식을 반영하여 민족의 호출을 통한 민족의 구체성을 형성하여 공감을 자아낸다. 백석의 풍속적 소재는 그가 재현하는 토속적 세계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특히 그가 집착한 음식물 관계어는 한국인의 인정과 구수한 삶의 모습과 연결되어 궁핍한 시대의 굶주림을 상기시키고 있다. 소월과 백석은 개인어와 방언을 사용하여 각기 개성있는 목소리로 시어의 폭을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소월은 서울말을 표층으로 하고 평북 방언을 기층으로 하여, 단순하고 평이한 방언의 활용과 개인언어도 사용하여, 민중적 공감을 유발한다. 백석은 표준어를 바탕으로 명사와 감각적인 방언을 사용했다. 있는 그대로의 자연어를 사용하여, 구체적 경험의 세계를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Ⅳ장에서는 소월과 백석의 시세계를 대비하여 특징과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소월과 백석의 한과 서러움의 정조, 토속적 세계에 그 시적 기반을 둔 점, 과거지향성, 향토적 소재에 대한 관심 등 전통지향적 경향은 그들의 정신세계를 공유하는 흐름을 짐작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향토성을 기반으로 하는 소월과 백석의 전통지향적 성격은 일제 식민지체제의 서구지향성에 대응하는 문화적 저항의 자세로 한국시사의 중요한 위치에 서 있다. 소월의 전통지향적 성격과 그 영향을 입은 백석 등 전통주의 시인들의 계보가 현대시사 흐름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 -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

        정정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study has a purpose to identify how the assessment in the education is made to react to the upcoming software education included in the 2015 amended curriculum by centering on research schools, and to do whether the current assessment is adaptive to assess computational thinking. To do this, the current assessments held in the research school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assessment for the learning,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is analyzed through the frame of the performative assessment and proposals for the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this, in the currently held assessment, the study tries to do function as a fundamental data for the upcoming software education by suggesting implication about how an assessment measures not just computational thinking but also improvement of it. The study sets two subjects for inquiry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First, ‘how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held?’ Second, ‘ Is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daptive for the measurement of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To do this, convergent parallel design of mixed methods research is utilized in the study. The teaching guides of 23 research schools are analyzed as quantitative data in terms of 5 criteria : subject, grade, teaching method,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assessment method. How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s done i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chi-square test and how the assessment influences on the assessment method meaningfully is identified through chi-square test in terms of subject, grade, teaching method, and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respectively. The observation data about 11 videos recording classes and the interviews of 3 teachers who work in the research schools are analyzed as qualitative data. Through this, the study identifies the assessment held for the current software education and elicits the aspects and subjects about the assessment. The results of the subject for inquiry is elicited by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e elicited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subject for inquiry ‘ how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held?’ can be summarized in three cases. First,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s held through the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requires observation of students’ performance. Second, the assessment centers on the measurement of the process of students’ performance and it is checked through formative tests utilizing observation and oral tests. The results of them is assessed by the evaluation of test and the teacher provides feedback to students directly or indirectly based on the assessment of process as well as result. Thir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through self-feedback and cooperative assessment among them. To sum up, in the aspect of the assessment for the learn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formative tests based on students’ performance are used. Also, the assessment involving students is held.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the range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assessment and unclear assessment criteria which has to be developed before the test is held. Nowadays, it seems that the assessment of the current software education pursues the assessment for the learning which is the guidelin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there are many points to be complemented. The second subject for inquiry ‘ Is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daptive for the measur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can be summarized in three cases. First, in the software education, it shows that teachers decide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ccording to their understanding of it and they use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 But, it seems teachers still lack the understanding of computational thinking. Second, the assessment of the software education is made by mostly performative assessment. Especially, the assessment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performance. Third, the criteria of the assesment is lack. These criteria has to be develop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teachers for the equality in the assessment and reliability. These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the performative assessment frame and proposals for the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Although teachers must plan and describe the inspection statement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they still lack the understanding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do not describe even the inspection statement. In this circumstance, to some degree, the subject focusing on the process of students’ performance is developed and the assessment of it is made. Lastly, even though teachers have to provide criteria of the assessment called checklist to students, they do not. To put it shortly, teachers has shortage in that they do not understand computational thinking perfectly and do not prepare the plan and develop criteria in advance. According to these results shown above, some proposals are as follows. The criteria of the assessment must be developed clearly in advance to make the assessment be for the learning and be the test to measure computational thinking appropriately in the software education, simultaneously. Before the assessment is made, the criteria must be developed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teachers and it provided to students. Second, the ways to enhance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software education is essential. There is needs to lessen the chaos by suggesting common assessment method and by understanding of both software education and computational thinking. To be specific, such teachers’ training or placement of exclusive teachers can be suggested as concrete solutions. Though the current assessment of software education has problems in aspects of both the assessment for the learning and its appropriateness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the assessment seems to try to follow these two things. Considering this circumstance, the problems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study and the various solutions be treated to care them. Through this, the assessment of upcoming softwa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ust be functional tools to improve the computational thinking over just measurement of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keyword : Computational Thinking, Software education, Assessment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앞으로 운영될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비하여 현재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가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현재의 평가가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지에 대해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연구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를 학습을 위한 평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컴퓨팅 사고력 평가의 적합성을 컴퓨팅 사고력 수행평가 틀과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제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에서 어떠한 개선을 통해 평가뿐만 아니라 향상에 도움이 되는 평가가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앞으로 이루어질 소프트웨어 교육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의 역할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두 번째는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가?’이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의 수렴적 평행 설계를 활용하였다. 양적자료로 23개 연구학교의 수업지도안을 과목, 학년, 수업방법, 컴퓨팅 사고력 요소, 평가방법 5가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빈도분석과 카이검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가 어떠한 평가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과목, 학년, 수업방법, 컴퓨팅 사고력 요소별로 평가방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카이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질적자료는 11개의 수업 동영상에 대한 관찰자료와 연구학교에 근무하는 3명의 교사에 대한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평가에 대한 양상과 주제를 도출하였다. 양적자료와 질적자료에 대한 결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통합하여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는 학생들의 수행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수행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관찰평가, 구술평가를 활용한 형성평가로 이루어졌다. 결과에 대해서는 결과물평가가 활용되었으며 과정, 결과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교사는 직접 혹은 학생들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셋째, 자기평가, 상호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평가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학습을 위한 평가의 관점에서 분석하면, 학생의 수행을 바탕으로 하는 수행평가와 그 과정에서의 형성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참여하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평가를 실시하기 이전에 개발되어야 할 평가준거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학생의 참여 범위에 있어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현재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는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학습을 위한 평가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보완해야 할 점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가에 대한 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교사들은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요소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평가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까지 교사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가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수행의 과정에서의 이루어지는 평가를 중시하고 있었다. 셋째, 평가의 준거가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평가의 준거는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위해 교사들의 협의를 통해 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 틀과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제언을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가를 계획하고 검사명세서를 기술해야 하지만, 교사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이해도는 아직 부족하며 검사명세서도 기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들의 수행에서 과정 중심의 과제가 개발되어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채점 기준표를 평가 전에 설계하여 학생들에게 공지해야 하지만 이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없었다. 현재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가 과정 중심의 과제를 통해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사들의 이해 부족, 평가 이전의 계획이나 준거 개발에 있어서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데 적합한 평가인 동시에 학습을 위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평가의 준거가 명확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평가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평가 준거를 교사들의 협의를 통해 개발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공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교육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할 뿐만 아니라 공통된 평가방법을 제시하여 혼란을 최소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교사의 연수 혹은 필요한 경우 전담교사를 배치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는 학습을 위한 평가의 관점에서도 컴퓨팅 사고력 평가의 적합성에서도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평가의 방향이 빗나가고 있지는 않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이루어질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평가가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평가하는데 그치지 않고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컴퓨팅 사고력, 소프트웨어 교육, 평가

      • 기독교적 죽음준비교육에 관한 연구

        정정교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적으로 몇 년 사이에 사회적 저명인사의 죽음으로 죽음이 큰 이슈가 되면서 웰다잉 바람이 불면서 죽음준비교육이 급격하게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기독교에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함으로 죽음이 두려움과 공포, 절망과 슬픔이 벗어나 하늘의 소망과 부활의 신앙으로 승화시켜 종말론적인 청지기의 삶을 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II장에서는 죽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밝히기 위한 작업으로 심리학적, 철학적, 의학적 이해와 죽음에 대한 성서적 이해로 구약에 나타난 죽음과 신약에 나타난 죽음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신학적 이해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심리학적 죽음 이해는 인간 스스로 존재의 유한성을 스스로 받아들여 죽어 가는 현 상태를 온전히 인지하고 자신을 객관화 할 때 자신의 삶을 더욱 깊이 있게 바라 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의학적 죽음 이해를 통해서는 죽음이 확정된 시한부 환자나 죽음을 앞둔 말기 환자라 할지라도, 그 환자의 인격이 치료하는 의사나 다른 사람의 그것과 같이 존엄한 인격체임을 알고, 죽음의 존엄성 부여를 위한 노력과 의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철학적인 죽음 이해는 특수한 존재인 인간은 죽음 속에서 존재의 출발점을 찾게 되고, 여기에 이르면 죽음은 우리가 도달할 종착역이 아니라 우리가 실존으로서의 자기를 자각하는 적극적 계기의 의미를 갖게 됨을 알게 되었고, 죽음이 가져오는 정서적 불안과 공포를 합리적인 사고를 통해 극복하려는 입장임을 알 수 있다. 신구약 성경에서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죽음에 대한 사상은 사후에 인간 생명이 그 자신의 어떤 존재 양태로든지 보존되는 것은 유한한 인간 그 자신의 본질적 속성의 결과가 아니라 삶과 죽음의 주가 되신 하나님의 은총의 개입으로 다루고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죽음은 그 이후의 생명이 자동적으로 타계로 옮겨가서 지속되는 천국 생활을 말하는 것으로 은혜로운 생명의 주 앞에서 살게 되는 하나님의 은총임을 알게 되었다. 죽음에 대한 현재까지의 신학적 이해는 죽음보다는 부활사상에 중심을 두고 있기에 죽음을 단순히 분리시켜서 논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부활사상이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을 이루고 또한 그리스도를 통한 죽음의 극복과 승리를 나타내므로 죽음은 다른 큰 의미보다 단지 죄 혹은 악이며 인간에게는 원수로밖에는 이해되지 않았다. 그래서 죽음의 신학적 이해는 성서적 이해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III장에서는 퀴블러 로스의 출생과 성장과정을 살펴보고 그리고 의사가 되어 수많은 말기 환자를 통하여 임상 실험한 것을 가지고 죽음의 5단계 이론을 발표하게 되었다. 퀴블러-로스는 죽음에 대한 환자의 심리 상태를 1단계로 임박한 죽음이라는 현실을 거부하고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단계로 부정단계이고, 2단계로 왜 하필 자기 자신에게 이러한 일이 일어나게 되었는지에 대해 분노를 표현하는 분노단계이고, 3단계로는 불가피한 사실을 어떻게든 연기하려는 시도를 하는 타협의 단계이고, 4단계로는 힘과 희망의 근원이 되는 믿음이나 가치체계의 붕괴를 경험하는 위험한 상태를 말하며 삶의 원칙을 붕괴되어 우울한 상태에 놓이는 단계를 말한다 그리고 마지막 5단계로 이제는 죽음이라는 현실을 거부하지 않고 받아들이며 강정의 공백상태인 수용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설명하였다. IV장에서는 기독교적 죽음준비교육의 이론적 성찰로서 교육목적과 의의는 죽음의 참된 의미를 가르치고 죽음에 대한 바른 태도를 갖게 함으로 삶을 더욱 더 건건하고 신앙적으로 살아가도록 돕는데 교육적 목적이 있으며, 죽음에 대한 전생애적인 교육을 통하여서 죽음을 이해하고 자신의 죽음을 하나님의 손에 위탁하고 남은 삶 속에서 최선을 다하는 청지기적 삶을 사는데 의의가 있다. 교육내용은 하나님의 섭리와 사랑인 참된 죽음의 의미를 가르치며 평소의 모든 삶을 죽음의 문제와 연결시켜 사고하고 행동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 또 교육방법은 예배와 성경공부, 친교, 봉사,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죽음의 관점에서 사고하고 행함을 가르칠 수 있다. 훈련의 관점에서 죽음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독서 토론회를 개최하여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역사적 위인들이 숭고한 죽음의 정신들을 배워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해 새로운 평가를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V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근거하여 기독교적 죽음준비교육의 실제 프로그램으로 8주차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오리엔테이션, 죽음 및 죽음 후의 삶 묵상하기, 삶의 우선순위 및 가치관 재정립하기, 인간관계 점검하기, 임종환자 이해하기, 임종자의 심리적 단계 이해하기, 임관체험하기, 장기, 시신 기증 및 소감문 작성하는 것으로 마무리 될 것이다. 결론으로 VI장에서 논문을 요약하과 7가지의 제언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Ⅶ장 부록에서는 프로그램 자료를 첨부하였다.

      • 2014년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입원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후향적 통계분석

        정정교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논문요약 2014년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입원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후향적 통계분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2014년도 일개 한방병원에서 입원 치료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증상 개선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과 치료적 특성을 후향적으로 통계 분석하여 한방 의료 서비스 개선에 도움이 되는 임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에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입원수속을 마친 환자 중 2일 이상 입원 치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와 전화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인구학적 변인과 치료적 변인을 IBM SPSS 21.0을 이용하여 후방제거법을 이용한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과 공분산분석(ANCOVA)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1. 입원치료일수는 통증이 경감되는 정도에 부(-)적 영향을 주어 입원치료일수가 길어질수록 퇴원 이후 통증의 경감 정도를 잘 유지하거나 더 경감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연령은 퇴원 이후 시술이나 수술 등의 서양 의학적 치료를 받지 않을 확률에 부(-)적 영향에 주어 연령이 낮아질수록 한의학적 치료 이후 시술 또는 수술을 받을 확률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부분의 인구학적 변인과 치료적 변인 중 퇴원이후 현재까지 요통 치료를 받는지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인구학적 변인과 치료적 변인 중 일부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1년 이상의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주제어 : 요추 추간판 탈출증, 한의학적 치료, 후향적 통계분석,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공분산분석(ANCOVA)

      • Study on interferometric coherence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natural disaster detection using single and full polarimetric SAR data

        정정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자연 재해에 대한 빠른 대응과 복구를 위해서는 피해 지역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그런 의미로 피해 지역을 탐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SAR 시스템은 기상적 조건과 주야에 무관하게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변화 혹은 피해 지역을 탐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SAR 시스템을 통하여 계산할 수 있는 긴밀도 (coherence)는 지표의 산란체의 움직임 혹은 유전적 성질에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피해를 탐지하기에 적합하다고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긴밀도를 이용한 자연재해의 피해 탐지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탐지하고자 하는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와 비, 눈, 바람과 같은 기상현상, 혹은 식생의 자연적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긴밀도에서는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레이더 신호의 긴밀도가 미세한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징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므로 자연 현상으로부터 발생하는 긴밀도 감소 현상은 피해 탐지 알고리즘에서 오탐지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자연 재해의 영향과 분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지표 특성을 가지는 픽셀들은 자연 현상에 대한 각기 다른 긴밀도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피해 탐지를 위해서는 각 픽셀들에서의 독립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긴밀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이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 역시 긴밀도 기반 피해 탐지 알고리즘의 한계점이다. 특히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에서의 긴밀도의 변화는 더욱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전적 성질을 지니고 있는 산란체들이 식생에서는 수직적으로 분포하며, 파장이 긴 레이더 신호가 이를 투과함에 따라 식생의 상층부부터 하층부 또한 지표면까지 도달되어 산란되어 긴밀도를 감소시키는 체적 긴밀도 감소 현상(volume decorrelation) 때문이다. 획득 시간이 동일하지 않은 두 장의 SAR 영상을 사용하는 repeat-pass 간섭기법에서는 각 식생의 각 부분에서 발생되는 변화 정보(temporal decorrelation)도 동시에 기록되기 때문에 해석은 더욱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중 시기 긴밀도를 이용하여 자연 현상을 해석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변화 탐지 알고리즘으로 확장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정밀한 피해 지역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는 간섭 기법에서의 시간 차이(temporal baseline)이 길 때, 다중 시기 긴밀도(multi-temporal coherence)를 해석할 수 있는 모델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두 번째로는 단일 편파의 다중 시기 SAR 영상에서 관측되는 긴밀도를 해석하고, 모델 파라미터를 추출하며, 결과적으로 피해를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로는 다중편파의 다중 시기 SAR 영상에 대한 해석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긴밀도의 측정과 긴밀도를 결정하는 대표적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시계열 긴밀도 감소 모델을 수식화하였다. 긴밀도 요인 중 첫 번째는 열잡음 긴밀도 감소(thermal decorrelation)로서, 열 잡음 (thermal noise)로부터 기인되며, 각 산란체의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두 번째는 기하학적 비상관성(geometric decorrelation)으로, 두 센서가 다른 위치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때 지상에 투영되는 파수의 스펙트럼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한다. 세 번째 요인은 일반적으로 체적 비상관성 (volume decorrelation)이라 언급되는 것으로 지상의 매질 안에 산란체가 랜덤하게 분포하고 전자파가 이를 투과할 때 발생하는 위상차이에 의하여 발생된다. 체적 비상관성은 식생에서 주로 관찰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RVoG 모델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RVoG 모델은 식생의 잎을 포함하는 체적 레이어와 식생 하부의 지표 레이어를 포함하는 모델로서, 두 레이어에서 결정되는 간섭기법의 위상 및 긴밀도를 설명한다. 마지막 요인은 두 영상 사이에 산란체가 변화할 때 발생하는 시간 비상관성(temporal decorrelation)이다. 픽셀 안의 산란체가 비균질하게 이동하거나, 유전체의 성질이 변화할 경우 발생한다. 일반적인 repeat-pass 간섭기법의 경우 시간 비상관성이 매우 우세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식생의 경우 체적 비상관성과 시간 비상관성이 동시에 우세하게 나타난다. 식생에서 관찰되는 체적 비상관성과 시간 비상관성을 동시에 설명하는 RMoG 모델이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차이를 가지고 있는 repeat-pass 간섭기법에서 관측되는 긴밀도 모델을 고안하였다. 시간 비상관성을 다루는 RMoG 모델은 두 영상의 시간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산란체의 이동이 시간 비상관성을 발생시키는 주된 요인이라는 가정하에 제작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공위성 SAR는 수 일 이상의 시간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다중 시기의 SAR 영상을 다룰 경우, 각각의 시간 차이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이 경우 시간 비상관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을 산란체의 이동만으로 설명하는 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고안된 모델은 지표에서의 변화를 산란체의 이동과 유전체의 성질 변화가 결합된 상태로 가정하였으며, 식생의 체적 부분은 산란체의 움직임이 체적에서의 시간 긴밀도를 감소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다중 시기의 SAR 영상으로부터 계산된 긴밀도는 시간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긴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시간 차이가 길 경우 매우 크게 나타날 수 있지만, 이전의 모델은 시간 차이가 짧은 경우를 가정하였기 때문에 그 영향이 중요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모델에서는 기존 모델과는 다르게 두 영상의 시간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긴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지수 형태의 함수를 지표 와 체적 레이어에 각각 도입하였고 이를 시간 종속적 긴밀도(temporally-correlated coherence). 즉, 체적과 지표의 두 레이어 상에서 각각의 시간에 따라서 감소하게 되며, 이는 특정한 시간 차이에서 긴밀도가 형성되었을 때 특별한 현상이 없을 경우 예측될 수 있는 값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 예측되는 값과 실제 관측값과는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는 시간 독립적 긴밀도(temporally uncorrelated-coherence)로 해석하였다. 체적과 지표의 시간 긴밀도 감소 현상은 전체 긴밀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지표와 체적의 비를 도입하여, 각각의 효과가 전체 긴밀도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화하였다. 3장에서는 제안된 모델을 기반으로 단일 편파의 다중 시기 SAR 영상에 대하여 긴밀도 변화 탐지 알고리즘의 해석이 고안되었다. 본 방법은 일본의 키리시마 화산의 2011년 화산 폭발로 발생하였던 화산재를 탐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본 목적을 위하여 단일 편파의 ALOS PALSAR 영상이 사용되었다. SAR 영상을 이용하여 시간 차이가 다양하게 긴밀도가 제작되었다. 사용한 multi-looking은 32 look으로 긴밀도의 바이어스가 비교적 작음을 의미한다. 또한 픽셀의 대부분에서의 열적 비상관성(thermal decorrelation)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나타났으며, 기하학적 비상관성(geometric decorrelation)은 common-wave spectral filtering을 사용하여 감소되었다. 또한 대상 화산은 식생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체적 비상관성(volume decorrelation)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체적 비상관성은 식생의 높이, 식생의 수직적인 구조, 두 레이더 센서의 기선거리(spatial baseline)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식생의 물리적인 파라미터는 연구에서 수정할 수 있는 변수가 아닌 반면, 다중 시기에서 만들어 진 영상은 다수의 기선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선거리에 대한 조건이 설정함으로써 체적 비상관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RVoG 모델을 기반으로 계산된 결과 ALOS PALSAR의 경우 약 1000m의 기선거리를 가지고 있을 때 체적 긴밀도는 약 0.94 이상이 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체적 긴밀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됨을 의미한다. 앞서 2장에서 제안된 긴밀도 모델의 파라미터의 추출을 위하여 자료는 화산 폭발 전의 간섭쌍과 화산폭발 전후의 간섭쌍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우선 화산 폭발 이전의 긴밀도에 대한 해석 및 이해를 위하여 긴밀도 모델이 적용되었다. 모델 파라미터에서 중요한 것은 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미터의 수와 관측 값의 수로, 관측값이 충분할 경우에만 정확한 모델 파라미터 추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일 편파의 다중 시기 영상을 다루는 경우 미지수의 개수가 더 많기 때문에 정확한 모델 파라미터 추출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특성을 이용한 가정을 바탕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모델 파라미터 추출의 첫 번째는 지표대 체적비 및 시간 종속적 긴밀도의 추정으로 이는 두 지수 형태의 곡선 적합(curve fitting)으로 수행되었다. 본 결과로부터 추출된 각 픽셀의 특징적 시간 상수(characteristic time constant)는 그 픽셀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긴밀도의 안정성을 보이는 상수로, 높을수록 긴 시간 차이에도 긴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인공적인 구조물이나, 식생이 없는 나지(bare soil)에서 높은 값을 보임을 알 수 있으며, 반면 식생이 있는 픽셀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추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 독립적 긴밀도를 추정하였으나, 이 때 미지수가 관측 값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파라미터 추정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표와 체적에서의 시간 종속적 긴밀도의 비를 이용하여 각 픽셀 및 각 시간차이를 갖는 긴밀도에서 체적과 지표의 시간 비상관성 중 우세한 현상을 탐지하여 우세하지 않은 현상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즉, 만약 지표의 시간 종속적 긴밀도가 체적의 시간 종속적 긴밀도보다 그 효과가 크다면, 시간 독립적 긴밀도가 주로 지표로부터 기인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의 긴밀도는 지표의 긴밀도와 체적의 긴밀도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 이 때 체적의 긴밀도의 바람에 의하여서도 쉽게 변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영향이 거의 무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시간 차이가 짧을 경우 식생이 긴밀도에 주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시간 차이가 긴 경우 지표가 우세하게 긴밀도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은 가정을 통하여 시간 독립적 긴밀도를 추출하였다. 각 픽셀에서 관찰되는 긴밀도의 현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 재해가 포함되지 않은 자료의 시간 종속적 파라미터의 히스토그램을 제작하였고, 이를 기반의 자연 재해가 기존에 발생하였던 자연 현상이 가능성을 계산하였다. 반대로 이 수치는 자연 현상이 아닐 확률을 의미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ALOS 자료를 사용하여 화산재가 쌓여있을 확률도를 계산하였다. 결과의 검증은 실제 현장 조사를 통하여 획득된 화산재의 두께와 영역 밀도 (area density)와의 비교를 통하여 진행되었다. 검증 결과는 두께로 약 5 cm 이상, 영역 밀도로 약 10 kg/m2 이상의 화산재가 쌓인 지역에서 상관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재해에 대한 변화를 탐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긴밀도 모델을 이용하여 다중 시기의 다중 편파 SAR 영상을 활용하여 자연 재해 탐지 알고리즘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9년부터 2015년까지의 15장의 UAVSAR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서 발생한 2015년의 산불 중 하나인 Lake fire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긴밀도 영상에서 산불에 의한 긴밀도 감소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식생 지역의 자연 현상에 의한 긴밀도 감소 현상과 복합적으로 발생하였기 때문에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영상의 진폭 영상을 이용한 자연 재해 탐지에도 산불 탐지할 만큼 민감도가 충분하지 않았다. 3장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 지역에서 긴밀도나 진폭만을 사용해서는 정확한 피해 지도를 만들기 어려웠으며, 그러므로 긴밀도 모델을 적용한 피해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었다. 3장에서 제안된 모델 해석 방법과는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인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UAVSAR 자료가 다중 편파를 가지고 있으며, 공간 기선 거리가 거의 0에 가깝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단일 편파 자료에서는 매개 변수의 값이 관측값보다 많았지만, 다중 편파의 경우 관측값이 더 많다. 그러므로 모델 파라미터 추정에 필요했던 가정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간 기선거리가 거의 0에 가깝다는 것도 체적 비상관성을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관측된 긴밀도는 거의 시간 비상관성과 관련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모델 파라미터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로는 지표와 체적에 대한 긴밀도 영향을 분리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긴밀도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시기 영상마다 다른 최적화 벡터를 상정하는 MS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관측할 수 있는 긴밀도가 최대치가 되게 만드는 편파와 그와 수직하는 편파를 찾을 수 있으며, 모델 해석과 연관시켰을 때 최대치가 되는 긴밀도는 지표의 변화에, 최소화되는 긴밀도는 체적의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시간 종속적 긴밀도에 해당하는 변수인 특징적 시간 상수를 추출하였으며, 지표대 체적비 역시 계산하였다. 단일 편파 추정 방법과 다르게 다중 편파 영상에서는 모든 편파의 긴밀도를 이용하여 체적과 지표에서의 시간 종속적 긴밀도를 추정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체적과 지표에서의 시간 독립적 긴밀도를 동시에 추정하며 3장과는 다른 것은 이 과정에서 가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과정을 통하여 추정된 파라미터 중 시간 독립적 긴밀도는 시간 종속적 긴밀도로부터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파라미터로써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를 이용하여 각 픽셀에서 과거 동안 발생하였던 자연 현상이 긴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산불은 비교적 강한 긴밀도 감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통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확률적인 피해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산불의 경계 부분의 자료와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한 검증 결과을 통하여 긴밀도만을 이용하여 피해 지역을 추정하는 방법보다 오탐지률을 줄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 사용된 모델 파라미터 추정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이전의 검증이 진행되어 왔던 RMoG 모델과 상대 비교를 진행하였다. RMoG의 체적과 지표 부분의 시간 비상관성 함수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델의 시간 종속적 긴밀도와 시간 독립적 긴밀도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비교한 결과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단일 편파와 다중 편파를 사용한 모델 파라미터 추정 결과와 재해 탐지 결과도 비교하였다. 모델 파라미터 추정의 경우, 단일 편파에서 추정된 결과가 다소 작음이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단일 편파(HH)가 지표와 체적 사이의 산란 중심에서 기록된 것으로 그 원인을 추정해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탐지 방법에서의 정확도는 다중 편파를 사용하는 방법에 우세하게 나타났지만, 거의 유사한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피해 탐지 알고리즘은 자연 현상에서 비롯되는 긴밀도 감소 현상을 분석하여 자연 재해로부터 발생하는 현상을 구별하여 피해로 규정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알고리즘 보다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다중 편파 간섭계 SAR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다중 편파에 기록되어 있는 다른 산란 중심에서의 변화를 이용하여 체적 및 지표에서의 변화를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피해를 탐지하였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은 다수의 자연 재해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픽셀의 긴밀도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다양한 지표 타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물리적인 해석을 병합하여 피해의 심각도를 정량화 할 수 있은 가능성 역시 존재 하며, 향후 발사될 인공위성의 미션에서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For rapid response and efficient recovery, the accurate assessment of damaged area caused by the natural disaster is essential. SAR system has been known as a powerful and effective tool for estimating damaged area due to its imaging capability at night and cloudy days. One of the damage assessment methods is based on interferometric coherence generated from two or more SAR images, namely coherent change detection. The interferometric coherence is a very sensitive detector to subtle changes induced by dielectric properties and positional disturbance of scatterers. However, the conventional approaches using the interferometric coherence have several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damage mechanism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providing the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These limitations come from the complicated mechanism determining the coherence. A number of sources including the sensor geometry, radar parameters, and surface conditions can induce the decorrelation. In particular, the interpretation complexity of the interferometric coherence is severe over the vegetated area, due to the volumetric decorrelation and temporal decorrelation. It is a remaining problem that the decorrelation caused by the natural phenomena such as the wind, rain, and snow can come along the decorrelation caused by natural disaster. Therefore, a new accurate approach needs to be designed in order to interpret the decorrelation sources and discriminate the effect of natural disaster from that of natural phenomena.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development of the temporal decorrelation model to interpret the interferometric coherence observed in multi-temporal SAR data. Then, the coherence model is extended to be applied to the damage mapping algorithm for single- and fully-polarimetric SAR data for detecting the damaged area caused by volcanic ash and wildfire. The coherence model is designed so that it explains the coherence behavior observed in the multi-temporal SAR data. The noticeable characteristic is that the interferometric coherence tends to decrease as the time-interval increases. Also, the coherence for multi-layer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t contributions of each layer. For example, the volume and ground layer can affect the total coherence observed in the forest area.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stic condition and physically interpret the coherence, the coherence model proposed in this research includes several decorrelation sources such as temporally correlated dielectric changes, temporally uncorrelated dielectric changes and the motions in the two layers; i.e. ground and volume layer. According to the proposed model, the coherent behavior of each layer is explained by exponentially decreasing coherence (temporally-correlated coher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coherence and the temporally-correlated coherence is interpreted as the temporally-uncorrelated coherence. The ground-to-volume ratio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s of temporal decorrelations in ground and volume layer. Suggested model is applied into the coherent change detection for multi-temporal and single-polarized SAR data. The method is evaluated for detection of volcanic ash emitted from Kirishima volcano in 2011 using ALOS PALSAR data. The criterion of the spatial baseline is calculated based on the Random Volume over Ground model to minimize the volumetric decorrelation. The model parameters are extracted under the several assumptions, and then the historical coherence behavior is analyzed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method. By comparing the changes of model parameters between the reference pairs and event pairs, the probability of surface changes caused by volcanic ash is defined. The in-situ data, which measure the depth and area density of volcanic ash, is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probability maps for determining the threshold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The correlation is found over the area where the depth of the volcanic ash is more than 5 cm and the area density is more than 10 kg/m2. The temporal decorrelation model is also used for change detection using multi-temporal and fully-polarimetric interferometric SAR data. By introducing polarimetric and interferometric SAR data, the assumptions used in the method for single-polarized SAR data are reduced and the changes of two layer can be estimated separately. The approach is applied to detect the burnt area caused by the Lake fire, in June 2015 using UAVSAR data. Even though, coherence analysis shows the loss of coherence due to the fire event, the temporal decorrelation caused by the natural changes is mixed with the signal of the event. In order to apply the coherence model and extract the model parameter, here, the three steps are proposed; coherence optimization, temporally-correlated coherence estimation, and temporally-uncorrelated coherence estimation. Then, the extracted model parameters are used for the damage assessment using the probability determination based on the history of natural phenomena. The final generated damage map shows higher performance than the damage mapping method using coherence only. Also, the comparison result with the RMoG model shows high agreement, which implies the extraction of the model parameters is reliable.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that the more accurate delineation of damage area can be expected by isolating the decorrelation caused by the natural disaster from the effect of natural phenomena. Moreover, a distinguishable benefit can be obtained that the changes over ground and volume layers can be assessed separately by utilizing the multi-temporal full-polarimetric SAR data.

      •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도침요법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 무작위배정, 대조군 비교, 평가자 맹검, 임상연구

        정정교 대전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ABSTRACT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on Lumbar Disc Herni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Assessor-Blinded, Clinical Trial Jeong Jeong Kyo Dept. of Korean Medicine (Acupuncture & Moxibus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im Young Il, K.M.D., Ph.D.) Objective As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symptoms due to lumbar disc herniation (LDH) is increasing in Korea, conservative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LDH have been spotlighted.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n the use of acupotomy for the treatment of such patients, most of them are only case stud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otomy to those for manual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LDH. Methods This study was plann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assessor-blinded, clinical trial. Ninety-six patients diagnosed with LDH wa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acupotomy group or the manual acupuncture group at a 1:1 ratio. Participants in both groups received a total of four-sessions of interventions over 2 weeks. An effectiveness assessment based on the outcomes on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Roland 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RMDQ), Modified-Modified Schöber Test (MMST), EuroQol Five Dimensions Questionnaire (EQ-5D), and Patient Global Impression of Change (PGIC) was conducted at baseline and at 2, 4, and 6 weeks post-randomization (baseline, 2W, 4W, 6W). The primary outcome was the mean change in the VAS for back and/or leg pain 4 weeks post-randomization. Adverse events was recorded at every visit. Results The acupotomy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VAS, RMDQ, MMST and EQ-5D, and the manual acupunctur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VAS, RMDQ and EQ-5D, compared baseline value. At 4W, the acupotomy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MST and PGIC compared to the manual acupuncture group.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decrease on the VAS of ≥30% (moderate 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upotomy group at 6W than in the manual acupuncture group. In addition, RMDQ showed significant changes with time (week), and RMDQ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cupotomy group at 6W than in the manual acupuncture group. Any intervention-related adverse events were not severe. The post-treatment pain that a few subjects complained was almost the same number in both groups and all subjects complaining of pain recovered without any sequelae. Conclusion Compared to the manual acupunctur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symptoms of LDH, the acupotomy treatment showed not a significant but a relatively valid effect and also showed a similar safety. Key words: Lumbar Disc Herniation, Acupotomy, Acupunctu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isual Analogue Scale.

      • 실업계 고등학교 보통교과 교사와 전문교과 교사간의 실업교육 가치성향 비교연구

        정정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placed on vocational education by specialist subject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In order to address this goal,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Is there a difference of value that specialist subject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place on voca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intrinsic and outstanding educational goals? 2. Is there a difference of value that specialist subject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place on voca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educational content? 3. Is there a difference of value that specialist subject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place on voca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learners demands? 4. Is there a difference of value that specialist subject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place on vocation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role and the abilities of the academic staff? The research used as its subject, 199 teachers working in seven 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Gyeoungnam provinc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pecialty subjects (agriculture, industry, and commerce) of each institution, a survey targeting all academic staff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a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enquiries that considered teaching objectives, learners, teachers and educational content. The values for vocational education are humanitarianism, functionalism, new job orientation and critical theory. These values were measured with eight educational factors. The survey itself is a re-configuration of Sangjun Mas The Teachers Value Placement and Immersion into the Society of Vocational High school. (2004). The re-configuration enabled the original survey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is research. Data-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the 21st of March to 31st of March 2005. Data was returned through post and the researchers visits made to research locations. Out of 235 surveys issued, 208 were returned. However, for the final analysis only 199 responses were used and others discarded due to their content being not fully being answered or the lack of sincerity of the responses. The statistical accuracy of the questionnaire proved to be high, scoring Alpha=. 875 on the Cronbach scale. SPSS 10.0 for Windows was utilized for analysis. Using this program the teachers value scale on each subject area and statistics were calculated in terms of frequency of selection and proportion (%). The level of consideration for all analysis was judged to be at a standard 0.05. The research results in the theme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n the intrinsic and outstanding goal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specialist subject teachers Functionalism had the highest value and new jobs (M=4.06, M=3.90), humanitarianism (M=3.35, M=2.82) and critical theory (M=3.14, M=2.63) appeared on the list. In contrast, for ordinary teachers, new jobs (M=4.06) had the highest rating value for intrinsic educational objectives and functionality (M=3.68) had the highest rating for outstanding educational goals. Humanitarianism and critical theory followed on the list. 2. In the area of demand for learners, specialist subject teachers placed the highest value on new jobs (M=4.01, M 4.270). Following new jobs on the list were critical theory, functionalism and humanitarianism. In comparison, in the case of ordinary teachers critical theory (M=3.94) and new jobs (M4.19) appeared on the list. 3. In the teachers area, for the specialist subject teacher. New jobs (M=4.31, M=4.230) had the highest rating and functionalism was second. Humanitarianism and critical theory each had different ranks. For the ordinary teacher, new jobs also had the highest rating (M=4.46, M=4.13) and functionalism once again took second place. Humanitarianism and critical theory followed on the list.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are minut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ist subject teacher and the ordinary teacher, in the area of teaching but overall, both displayed an inclination for new job in terms of educational value. 4. In the area of educational content, the specialist subject teacher seemed fundamentally to place a high value on new jobs (M=4.08) but in reality they called for a highest value to be placed on Humanitarianism (M=3.59). They displayed a different scale for value in this case. Functionalism followed on the list. In addition, ordinary teachers placed a high rating of value on new jobs also (M=4.03) but the highest rating went to Humanitarianism (M=3.68) for the demand of educational content. . Drawing a comparison against the value of vocational education, using the data above, specialist subject teachers placed the highest value on new jobs (M=4.04). Subsequently, functionalism followed with a M=3.81 score. Critical theory (M=3.28) and Humanitarianism (M=3.27) followed on the list. In addition, new jobs were placed highest on the value table, in the case of ordinary teachers, with a M=3.22 rating. Functionalism (M=3.74), humanitarianism (M=3.22) and critical theory (M=3.21) followed. That is, statistically the value-scale was not at all dissimilar, both sides placing a high value on new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