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저작습관에 따른 교합력과 안면골격형태의 비교연구

        정미라,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3

        이상적 교합이란 치아의 교합이 저작계의 다른 부분과 기능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중심교합상태에서 양측으로 동시에 균일한 접촉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악골의 양측을 이용한 균형된 저작은 양측의 균등한 견치유도와 기능적 능력에 의해 가능해지지만 교합간섭이나 저작계에 대한 기능적 요구의 감소로 좌우측중 어느 한쪽만을 선호하는 편측 저작양상이 유도되기도 한다. 편측저작은 악골의 발육, 교합 및 안면의 전체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악안면 전체에 형태적, 기능적인 부전을 초래할 잠재성을 가진 증상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저작습관의 분포를 알아보고, 저작습관에 따른 교합력의 차이와 안면골격형태를 비교 연구할 복적으로 시도하였다.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재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저작습관에 따라 양측저작군과 편측저작군으로 나누어 저작습관의분포를 조사하였고, 이 중 두개안면부의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칠만한 질병에 이환되지 않았고 측모가 양호하며 Angle 분류 Ⅰ급의 교합상태를 보이면서 교정치료와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악관절 질환이 없는자 중 양측저작자와 편측저작자 각각 25명을 선정하여 교합력계(MPM 3000)를 이용하여 최대교합력을 측정하고,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여 안면골격형태를 비교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작습관은 양측저작자(68%)가 많았으며, 편측저작자 중 68%는 우측을, 32%는 좌측의 저작을 선호하였다. 2. 양측저작군은 좌우측의 최대교합력이 비슷하였고, 편측저작군은 저작측이 비저작측보다 교합력이 컸으며 특히 여자에서 그 차가 뚜렷하였다. 편측저작군은 양측저작군에 비해 저작측은 교합력이 컸으며, 비저작측은 작았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저작습관에 상관없이 남자가 여자보다 교합력이 컸으며 남자는 여자의 교합력의 약 2배정도이었다. 남,녀를 합한 경우 편측저작군의 저작측은 양측저작군의 교합력과 비슷하였으나 비저작측은 그것보다 작았다. 3. 정모두부반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안면골격형태를 비교한 결과 양측저작군의 좌우측, 편측저작군의 저작측과 비저작측간에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chewing side preference and variations in the maximum bite force and facial morphology according to chewing side preference since unilateral chewing may cause morphologic and functional anomalies. 50 dental students who had no signs or symptoms of masticatory system and Angle's Class Ⅰ relationship in posterior segment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is, 25 in bilateral chewing group(19 male and 6 female) and 25 in unilateral chewing group(10 male and 15 female). Maximum bite force was estimated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more students with bilateral chewing side preference(68%) and unilateral chewing side group consisted of right side preference(68%) and left side preference(32%).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max. bite for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in bilateral chewing group. The bite force of the chewing side was greater in the unilateral chewing group but less in the non-chewing side compared to those of bilateral chewing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Max. bite force of chewing side was greater than that of non-chewing side in the unilateral chewing group(Female : p<0.05). Max. bite force of males was about twice in that of females in both groups(p<0.05). Max. bite force of chewing side of the unilateral chewing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bilateral chewing group, but that of non-chewing side was less than that of the bilateral chewing group. 3. In comparision of the facial morpholog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of the bilateral chewing group and between chewing and non-chewing side of the unilateral chewing group.

      • KCI등재
      • 개방교육(Open Education)에 關한 硏究 : 英國 幼兒敎育 發達史를 中心으로

        정미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1977 교육 연구 Vol.- No.46

        어떤 敎授媒體가 授業現場에 도입될 때에는 그것의 效率性과 經濟性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敎授媒體가 단편적인 授業資料의 하나로 제시되어 學習者에게 示威나 일시적인 動機誘發을 주는데 그치고 있으며 시행착오의 과정으로 사용되어 敎授一學習過程에 혼란을 주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本 論文에서는 兒童의 全人的 發達을 도모하고 특히 個性과 個人差를 존중하는 학습 형태로 發展된 개방 교육(Open Education)의 定義, 敎育課程 組織의 特性을 살펴보고 이 敎育을 發展시킨 理念的 背影을 敎育思想의 변천과 社會의 要求와 연관시켜 검토해 보고 개방 교육이 授業現場에 적용되어 나타나는 長點과 授業의 質을 높이기 위해 이루어져야 할 諸條件들을 추출하였는데 그것들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 개방 교육은 아동의 知的 情緖的, 社會的 面을 고려한 敎育으로 兒童의 자유 선택과 高度로 個別化된 學習에 의해 行動의 變異를 일으키는 敎育形態로 스스로의 經驗을 통하여 人間成長의 방향을 잡아주는 過程이다. 2. 學級은 從的 集團으로 多角的인 人間關係經驗과 유동성있는 日課로 아동의 興味와 能力이 존중된다. 3. 敎師는 兒童을 관찰하고 도와주는 보조자로서 父母와의 교류와 이해를 통하여 일관성있는 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개방 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 兒童을 볼 수 있고 도와 줄 수 있는 有能한 敎師敎育의 問題가 매우 크다. 그리고 學習環境의 빈틈없는 구성과 이에 따른 父母의 협조와 이해가 要請되는 것이다. 이러한 敎育은 어느 思想家에 의해 改革된 理念이 아니라 時代的 變遷에 따라 思想의 융합으로 나타난 산물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本 論文에서는 英國의 幼兒學校 發達史를 검토해 가면서 오늘날의 개방 교육이 이루어진 과정을 살펴보고 그 特性과 組織 등을 살펴 보았다. 本 硏究는 國內·外의 문헌과 硏究資料를 토대로 한 문헌 연구임을 밝혀 둔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혈중 비타민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2010-2015)

        정미라,하영미,양승경,조정의,채여주,한상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Factors Associated with Vitamin D Defici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Ⅵ (2010-2015)Mira Jung, Yeongmi Ha, Seungkyoung Yang,Jeongeui Cho, Yeojoo Chae, & Sangmi Han Abstract: In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vitamin D defici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ged 16-18 through the 5th and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s for the research method, 16,418 people who measured vitamin D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53,829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rom 2010 to 2015, and a total of 326 people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conten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vitamin D deficienc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by age and vitamin D defici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ged 16-18 through the 5th and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onfi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ly high school students' vigorous physical activity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vitamin D deficiency. High school students who engaged in vigorous physical 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0.51 times lower risk of developing vitamin D deficiency than those who did not. In order to solve the vitamin D deficiency in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practice rate at school and develop a program to strengthen moderate or more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engage in regular physical activity. Key Words: Vitamin D Deficiency, High School Studen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Exercise, Rate 고등학생의 혈중 비타민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5∼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2010-2015)정 미 라*ㆍ하 영 미**ㆍ양 승 경***ㆍ조 정 의****ㆍ채 여 주*****ㆍ한 상 미******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제5차 및 6차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16-18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타민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총 53,829명의 피험자 중 비타민 D를 측정한 16,418명을 선정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총 326명을 최종 분석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제5차 및 6차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16-18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령별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특성과 비타민 D 결핍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타민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결론 및 제언: 고등학생은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이 비타민 D 결핍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격렬한 신체활동을 실천하면 실천하지 않는 것보다 비타민 D 결핍이 발생할 위험도가 0.51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이고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강화하기 위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비타민 D 결핍, 고등학생, 국민건강영양조사, 신체활동, 실천율 □ 접수일: 2022년 10월 11일, 수정일: 2022년 11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한영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anyeong Univ.)** 공동저자 1, 경상국립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건강과학연구원(Co-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공동저자 2,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Co-author, Professor, Kyungnam Univ.)**** 공동저자 3, 거붕백병원 간호이사(Co-author, Chief Nursing Officer, Geoboong Baik Medical Center)***** 공동저자 4,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Co-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교신저자,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yeongnam Geochang Univ., Email: y2k2509@nate.com)

      • KCI등재
      • KCI등재

        헤겔과 현대성 문제 -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

        정미라 범한철학회 2007 汎韓哲學 Vol.47 No.4

        Hegel und das Problem der Modernität in der ≪Pänomenologie des Geistes≫ Mila Chung Hegel ist wohl “der erste Philosoph, der die Moderne problematisiert hat”, welche auf die vom solipsistischen Denken herrührende Absolutheit des modernen Subjekts und das diesem Subjekt (transzendental?) immanente Vernunftprinzip gegründet ist. Hegel hat nämlich die Gefahr der dem Prinzip der modernen Subjektivität innewohnende Destruktivität und Gewaltsamkeit gewittert, während er zugleich die Idee der ‘Moderne’, welche sich im ‘Prinzip der absoluten Subjektivität’ ausdrückt, als ein zentrales Moment seiner Philosophie thematisiert hat. Die ‘Modernität’ stellt für Hegel ein neues Prinzip der Gesellschaft, und zugleich eine Idee dar, welche im Sinne des Aufbewahrens und der Überwindung aufgehoben werden soll. Die kritische Distanz zur Modernität bei Hegel manifestiert sich systematisch in der “Phänomenologie des Geistes” als einem seiner wichtigsten Werke. Die vorliegende Arbeit will hauptsächlich die in der “Phänomenologie” sich manifestierende ‘Kritik der Moderne’ rekapitulieren und aufgrund dessen der aktuellen Bedeutung dieser Kritik nachgehen. Dadurch will die Arbeit die Argumentation von Hegel in bezug auf das Problem des Anderen und der Differenz, welche bislang in der Hegel-Forschung relativ vernachlässigt ist, wieder beleuchten und ein Stück weiter thematisch machen. 문】헤겔은 유아론적 사유를 통해 형성된 근대적 주체의 절대성과 이러한 주체에 선험적으로 내재해 있는 이성의 원리에 근거한 “현대를 문제시한 최초의 철학자이다.” 즉 그는 ‘절대적 주체성의 원리’ 속에 표현된 ‘현대성’의 이념을 자신의 철학의 중심내용으로 받아들이지만, 동시에 현대적 주체성의 원리에 내재한 파괴성과 폭력성의 위험을 감지한다. 따라서 ‘현대성’은 헤겔에게 있어서 새로운 사회의 원리이면서, 또한 보존과 극복이라는 의미에서 지양(Aufhebung)되어야 하는 이념이다. 현대성에 대한 헤겔의 이러한 비판적 거리두기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중의 하나인 정신현상학에서 체계적으로 표현된다.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현대성’ 비판을 재구성하고 이러한 비판의 현대적 의미를 찾아보는데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자기 동일성에 근거한 현대적 주체에 대한 헤겔의 비판을 추적함으로써, 헤겔이 실천철학적 이념으로 제시하고자 했던 타자에 대한 인정에 토대를 둔 ‘동일성’의 개념을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필자는 헤겔의 철학적 사유 속에서 ‘차이’에 대한 억압적 요소만을 간취해냄으로써 헤겔 철학의 종언을 선언하는 탈 현대론적 사유의 한계를 드러내고, 동시에 헤겔 연구에서 도외시되었었던 ‘타자’와 ‘차이’의 문제에 대한 헤겔의 논의들을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재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효과

        정미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 긍정심리자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Y시와 S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먼트(r=.610, p<.001), 학업탄력성(r=669, p<.001)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탄력성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8.7이었다(F=19.4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기 위해 학업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academic resilie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ing students in the three colleges located Y and S city and 20 April 2019 to 10 May 2019.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0.0. progra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r=.610, p<.001) and academic resilience(r=669, p<.001).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academic resilience predict 58.7%(F=19.47, p<.001)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ademic resilience increase education program for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 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정미라,이미나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 인지적 자기조절,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4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변인간의 직접효과와 관련하여,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는 인지적 자기조절과 정서조절곤란 및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자기조절은 양육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정서조절곤란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와 관련하여,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는 인지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미라,홍소영,권정윤,박수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애착증진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효과에 대한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64로써, 중간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d=.64, 95% CI .45-.84, p<.05). 또한 애착증진 프로그램은 실험기간, 유아연령, 애착대상, 비디오 분석여부, 실험장소, 접근방법과 관계없이 유아의 애착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활동, 시범, 관찰, 피드백과 같은 다양한 교수방법을 적용한 애착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안정된 애착 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유아의 애착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활동만 제시하기 보다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ttachment enhancement program for children in order to deliver the conclusion of its effectiveness in general. This meta-analytical review analyzed a total of 14 study results of thesis, dissertation, or journal articles that was published, from 2000 to 2010,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attachment enhancement programs for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weighted mean effect size of .64. It means that the attachment enhancement program for children had medium size of effectiveness for enhancing children's attachment.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attachment enhancement programs for childre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variable of teaching method. The effect of the attachment enhancement program using multiple teaching methods such as activity, modeling, observation, and feedbac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ne of using only attachment enhanc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