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고용유연성 확대는 안전 및 조직성과에 과연 긍정적인가?: 산업안전보건 동향조사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정무헌,박상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1

        So far, there have been some burgeoning empirical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non-regular workers and it’s effect on firm’s performance. However, few have examined the use and effect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context of safety management or safety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n these respects,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ansion of employment flexibility, represented as the ratio of non-regular workers in firm’s workforce and the decrease of full-time status of safety manager, and the safe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firm. To test these relationships empirically, we collected 484 firm’s data by combining data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mpany Survey(2015), Small Business Status Information System(SMINFO), and the Electronic Disclosure System(DART)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xpansion of firm’s employment flexi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employee safety behavior as an aspect of safety performance of the firm, and that employee safety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irm’s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mployee safety behavior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flex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firm.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then discussed. 본 연구는 기업 내 비정규직 비율 및 안전관리자의 겸직 증가 등 기업의고용유연성 확대 양상이 기업의 안전 및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간 국내외 여러 연구들을통해 비정규직 고용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나, 비정규직 근로자의 활용이 조직의 안전관리와 안전성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유연성 확대가 기업의 안전관리와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안전성과의 한 측면인 근로자의안전행동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는 어떤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추가적으로 근로자의 안전행동은 기업의 고용유연성 확대와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15년 산업안전보건 동향조사 자료와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SMINFO),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의자료를 결합하여 484개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고용유연성 확대는 기업의 안전성과의 한 측면인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부(-) 적인 영향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근로자의 안전행동은 재무성과와 정(+) 의 영향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업 내 근로자의 안전행동은 고용유연성 확대와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방안전의식 지표개발 및 국민 소방안전의식 조사 연구

        정무헌,박인선 한국화재소방학회 2015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9 No.4

        본 연구는 국민 소방안전의식 수준에 적합한 눈높이 소방안전정책을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소방안전의식 지표를 개발하고 국민 소방안전의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소방안전의식에 대해 정의를 하고이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예방, 경보, 대피, 소화, 피해확대방지의 5가지 분야로 세분화하여 소방안전의식측정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개발은 파라슈라만(Parasuraman)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국내 · 외 선행연구 자료와 전문가 회의를 거쳐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표를 활용하여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국민 소방안전의식을 조사하였고 이를 분석한 결과대피의식이 가장 낮았고 다음이 소화, 경보, 예방, 피해확대 방지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ational fire safety consciousness (FSC). A FSC survey would help withproper fire safety policy. Indicators to define and measure efficiently the FSC were broken down into five areas: prevention,alarm, evacuation, extinguishing, and damage expansion prevention. The indicators were developed using Parasuraman’smetho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materials and meetings with experts. FSC was surveyed using theindicators on Gallup Ko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show that evacuation is lowest, followed by extinguishing,alarm, prevention, and damage expansion prevention.

      • KCI등재

        학교건물에서 피난훈련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피난안전성 평가

        정무헌,이병곤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2 No.3

        In this study, the evacuation training were performed in a high school building in Cheong-Ju and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program (Simulex). Also numerical analysis of room fire in school building was conducted by fire model (FDS, CFAST) and evaluated the available safe egress time for the safety assessment. As a result, the 8% of total egress persons were failed to escape at evacuation training a nd 4 0% o f to tal egress p erso ns w ere failed t o e scape at S imulex s imulatio n. S imulex p rogram was not reflected the real escape conditions, such as evacuation route, refuge place, etc. 본 연구는 청주소재 ○○ 고교 교직원 휴게실에서 화재상황을 가정하여 FDS와 CFAST 화재모델을 이용하여 화재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전교생을 대상으로 실제피난훈련을 실시하고, 피난프로그램 Simulex를 수행한 자료와 비교하여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제피난훈련은 8%가 피난에 실패하였고 Simulex에서는 40%가 피난에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Simulex는 피난경로, 피난집결지 등 실제피난훈련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소방홍보 만족도와 효과측정에 대한 연구

        정무헌,박인선 한국화재소방학회 2017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firefighting publicity satisfaction (FFPS) and the effects of firefighting publicity (EOFFP) onefficient firefighting publicity (FFP).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FPS and EOFFP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investigation of the FFPS was 58.5 points,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um. The result of EOFFP revealed anincrease in fire safety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fire extinguishing ability was higher than the other item. The mostpowerful FFP method in raising fire safety consciousness was the Internet/Smart phone. Another effective and favorite methodof FFP was the media. Fire safety consciousness did not influence the FFPS but the FFPS had an impact on the EOFFP. 본 연구는 효과적인 소방홍보를 위하여 소방홍보 만족도와 홍보효과를 측정하고 소방안전의식 수준이 소방홍보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소방홍보 만족도는 소방홍보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소방홍보를 접한 국민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58.5점으로 보통수준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홍보 효과를 측정한결과 소방안전의식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중 소화능력의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홍보매체별 소방안전의식의 향상은 인터넷/스마트폰이 가장 높았으나 효과적인 소방홍보매체로는 언론매체를 선호하였다. 소방안전의식수준이 소방홍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으며 소방홍보 만족도는 홍보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형화재에 따른 국민 소방안전의식 변화에 대한 고찰

        정무헌,박인선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fire safety before and after the large-scale fire, and attempt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o reduce the damage to the people and property in the event of a large- scale fire accident,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ng serious accidents caused by fire in the workplace in corpo- rate management.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comparison of the National Fire Safety Consciousnes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Fire Safety Institute in 2014, before many large-scale fires, and in 2019, after many large-scale fires. In order to compare the national fire safety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e fire safety consciousness survey consisting of five indicators including fire prevention field, fire alarm field, evacu- ation field, fire extinguishing field, and prevention of damage expansion field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2019 survey showed that fire prevention indicators fell more than the 2014 survey, but indicators in fire alarm, evacuation, fire extinguishing and damage prevention improved. As a result, the public fire safety consciousness investigated after the large-scale fire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period when large-scale fire accidents were relatively frequ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overnment’s fire promotion policy and concentrate on fire prevention in corporate workplace.

      • KCI등재

        소방분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 발전방향

        정무헌,이선재,박인선 한국화재소방학회 201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safety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researches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To this end, 929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and Engineering have been sorted by field of study and analyzed for frequency.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fire chemistry and physics,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fire safety design andmanagement, evacuation and human behavior. In contras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uman behavior, firesafety education, or training. This result is discussed in the article,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bjectives a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방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소방분야 연구편중 정도를 분석하고, 화재 인명피해 저감 정책 이슈 및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환경 변화를 반영한 소방안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화재소방학회지 연구분류체계, 국가화재안전기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연구개발사업 분류체계, 4차산업혁명 핵심분야, 인간행동과학 응용 분야 등을 기준으로 소방연구분야 체계를 정립한 후,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 929건을 소방연구분야 체계별로 분류하고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화재화학·물리, 감지 및 소화시스템, 화재안전설계 및 관리, 피난 및 인간행동분야 순으로 많이 연구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감지 및 소화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화설비, 경보설비, 제연설비가 많이 연구되었으며, 화재의 주요 원인이되는 인간의 행동부주의를 줄일 수 있는 소방교육, 훈련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최근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기술과의 융합연구도 매우 드물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결론에서는 사람의 행동부주의를 개선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분야의 연구필요성 등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건축물의 소방훈련 실태에 대한 고찰

        정무헌(Mu Heon Jeong),김윤정(Yoon Jeong Kim),정형모(Hyung Mo Jung),김선규(Sun-Gyu Kim),이선재(Sun Jai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대상물에서 이뤄지는 소방훈련의 실태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방안전관리자 642명과 경험이 풍부한 소방공무원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은 소방훈련의 주기적 실시여부, 필요성, 훈련수준, 훈련방식, 훈련효과, 중점 훈련내용, 소방훈련이 재난대비·대응에 미치는 영향, 소방안전관리자와의협업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를 통해 현재 행해지는 소방훈련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소방훈련의 취약점과 시사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조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fire drills in buildings. To this end, surveys of 642 firesafety managers and 212 experienced fire-fighters wer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covered the necessity of fire drills,excellence, level, training methods, training effects, key training contents, effects of fire drills on disaster preparedness andresponse, and collaboration with fire safety managers. Through the survey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mprehend the currentsituation of fire drills, which, in turn, helped identify weaknesses and areas of improvement in fire drills. In the conclusionsecti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was suggested.

      • KCI등재

        한국 기업 경영진의 안전몰입과 근로자의 안전행동 및 산업재해 발생 간의 관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박상언,정무헌 한국인사관리학회 202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기업 경영진의 안전몰입과 근로자의 안전행동, 그리고 산업재해 발생 간에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는 데 있다. 최근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을 계기로 사회적으로 안전 이슈가 부각되고 있고 또 기업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경영진의 책무와 몰입이 새삼 강조되고 있으나, 실제로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경영진의 안전몰입 요인의 효과성과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해 준 연구는 흔치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대규모 기업표본을대상으로 실시한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영진의 안전몰입과 근로자의 안전행동, 그리고 기업의 산업재해 발생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경영진의 안전몰입이 어떤 메카니즘을 거쳐 기업의 산업재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경영진의 안전몰입과 산업재해발생 간의 관계에서 근로자의 안전행동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경영진의 안전몰입은 근로자의 안전행동과 정(+)의 영향관계에 있으며, 산업재해 발생과는 부(-)의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로자의 안전행동 역시 산업재해 발생과 부(-)의 영향관계에 있을 뿐만아니라, 경영진의 안전몰입이 산업재해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산업재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해 경영진의 안전몰입 요인이 가지는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재확인해준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산업재해 예방은 물론, 기업의 안전경영 수준 제고를 위해 어떠한개선책이 필요한지에 대한 제언과 토론이 함께 제시되었다.

      • KCI등재

        효율적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소방안전관리 보조자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상필,정무헌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7 No.3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생활이 영위되기 위한 건축물은 입지적 환경적 특성의 영향을 받아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되고있다. 이와 같이 건축물에서 보이는 다양성은 보건·위생, 방범, 안전 등 여러 가지 관리적 측면에서 많은 제약을 뒤따르게 하며, 실제 주거, 재실, 작업 등에 있어 안전성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당 명확한 계획수립과 체계적, 현실적 실천이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소방안전관리자 직무와 관련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소방안전관리를 위한 제도개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부 특정소방대상물 중 보조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을 도입하여 소방안전관리의 전문화, 세분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buildings has become larger, more complex and high-rise by the influences of loc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rom the changes of human lifestyles. Such features of the buildings, however, make build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more difficult,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health, security, and safety, etc. In order to secure safety and comfort in dwelling, housing, and working condition,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ystematic plans and practices. Thus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general status of fire safety management on specific buildings, this study mainly analyzed fire prevention manager’s awareness on their works by conducting a survey, and suggested required systematic improvements for efficient fire safety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is concluded that introducing the system to appoint fire prevention sub-managers will promote more professional and classified management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