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易姓革命의 구체적 서사와 그 함의

        정다함 조선시대사학회 2015 朝鮮時代史學報 Vol.72 No.-

        The existing frame works of south Korean historiography have substantialized Confucian identity of early Joseon as the destined course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into its early modern stage. And This trend has hindered the historians of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from understanding Confucianization as a process of re-construction and re-invention of a tradition from the view point of constructive approaches. Critically reviewing the existing frame works of south Korean historiography on early Joseon history and literature, this study seek to understand how Yi Seong-gye’s taking over the Koryeo throne that could have been defined as usurpation and violation of one of the most salient principle of Confucian political theory, have been re-defined and re-invented as paradoxically satisfying Confucian universal values and conceptual frame of changing Heaven’s mandate(革命). 언어나 민족 정체성의 측면에서 고유한 한국적 기원을 설정하고, 그것이 끊임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진화하여 결국 당대 유교문명의 보편가치를 충분히 자기 정체성 안에서 구현하는 수준으로 발전했으며, 이는 결국 韓國 역사발전의 필연적 결과물이라고 당연시하는 기존 시각의 인식론적 한계(민족주의적/근대편향적/서구중심주의적/유교근본주의적인) 때문에, 『龍飛御天歌』에는 분명히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설명되지 못했던 다음과 같은 텍스트들이 존재한다. 『용비어천가』의 텍스트 안에서, 친명적 성향의 정치세력이 건국했다는 조선에서 왕실은 그 선대가 오랜 동안 元의 官職을 승습한 사실을, 어떻게 그리 당당히 밝힐 수 있었을까? 유교적 문명론의 위계질서에 입각한 “野人”에 대한 편견이 강했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龍飛御天歌』는 王業이 “野人”의 땅에서 시작되었다고 당당하게 드러낼 수 있는 것일까? 文을 위주로 하는 儒敎 사회라는 일반적인 이해와는 달리, 고려에서의 이성계의 활약상이 제시되는 가운데, 수위 높은 폭력(그것이 賊의 폭력이던 이성계의 폭력이던)이 주된 테마로 노골적으로 묘사되고 있는 것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고려왕의 명을 어기고 쿠데타를 통해 왕을 폐위시키고 정권을 차지한 이성계가 오히려 고려왕실과 삼한을 재건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는 것은 어떻게 이해하야여할까? 이성계의 혁명을 정당화한다는 『용비어천가』에서, 심지어 자신이 위기에 빠진 상황에 조차도 고려왕실에 대한 반기를 들기를 거부하며 끝까지 충성을 다하는 것으로 이성계가 그려지는 것은, 어떻게 이해하여야할까? 이런 내용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龍飛御天歌』 안에서 서로 연결된 하나의 서사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용비어천가』의 텍스트가 담고 있는 구체적 내용들을 기존의 시각 밖에서 다시 읽어내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 다시 읽기를 통해,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려 朝鮮을 세우고 이를 유교적 관점에서 정당화했던 과정을 한국사라는 역사발전의 필연적 결과물이라고 본질화시켜 이해하는 관점의 한계를 넘어, 거꾸로 『용비어천가』라는 역사 쓰기가 바로 그러한 정당성을 창출하고 그 정당성의 담지자로서 조선왕실이 가지는 정체성을 발명하는 작업에 다름 아니었다는 점을 새롭게 이해해 보려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中國(듕귁)”과 “國之語音(나랏말ᄊᆞᆷ)”의 사이 - 鮮初 漢文·漢吏文·漢語와 訓民正音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정다함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60

        This paper examines how fifteenth century Chosŏn ruling elites tried to use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to establish the royal house’s authority, which basically was the process of translation of the universal civilization of “Sinitic World” into Chosŏn’s soil. Conspicuous in early Chosŏn historical accounts is the dynasty’s preoccupation with language. King Sejong showed obsessive devotion to learning the spoken language of China proper. Diplomatic language of Hanliwen was a active component of study too. And ultimately, the Chosŏn phonetic alphabet (Kr. Hunminchŏng’ŭm 訓民正音) was systematized. However, because of the discourses on "National Language" in modern Korea, the central question – why the period saw such attention bestowed on learning Chinese and at the same time an attempt at creation of Chosŏn indigenous writing system – has not been answered by those scholars keen to understand the two phenomenal language issues as polar opposites, and to cast them as an inherent contradiction impossible to explai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perspective that transcends nationalism. In fact, the two functions Chosŏn alphabet served were to actualize the Ming court’s Shengjiao 聲教 through propagation of the Ming standardized language transliterated into the indigenous language, and to spread Chosŏn’s own sŏnggyo 聲教 with its indigenous language. These two roles, from a nationalist perspective, appear contradictory, but in reality, they shared a reciprocal relationship in the overall political scheme, with one being unable to do without the other.

      • KCI등재
      • Self-healing Gelatin-Oxidized Sodium Alginate/Poly(acrylamide) Double Network Hydrogel

        정다함,주상우,김선목,김철구,정선호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Self-healing hydrogels have drawn significant attention because they can respectively result in longer lifespans and highly enhanced mechanical performances than classical hydrogels. Here, a self-healable double network hydrogel was developed using reversible imine formation network between aldehyde groups of oxidized sodium alginate (OSA) and amines of gelatin (GLT) chains as the first and poly (acrylamide) (PAAm) as the second network covalently crosslinked by allyl β-cyclodextin ether (ACE). The self-healable double network hydrogel held its loading energy, unloading energy, and ability to dissipate energy constant despite 10 cycles of compression tests at 80% strain. Besides, the mechanical strength was higher than a double network hydrogel for which N,N′-methylenebisacrylamide (MBA) is used as a second network crosslinker.

      • 조선 초기의 ‘征伐’: 천명, 시계, 달력, 그리고 화약무기

        정다함 문화사학회 2011 역사와 문화 Vol.21 No.-

        The Logic of Zhengfa: Warfare, Calendar, Clock, and Firearm Weapon in 15th-Century Chosŏn Daham Chŏng(Hanyang University) This paper is to rethink 15th century Chosŏn’s warfare against Jurchens with transnational perspective. Unlike Korean historians’ views that underestimate those wars as self-defense, which originated from nationalists historiography’s hereditary victimhood on “foreign invasion”, those wars were clear representation of the political idea Early Chosŏn created on its position in Northeast Asian interstate order, which situated Chosŏn high above Jurchens. Basically, those wars were defined as “war for punishment and correction of world order”, Zhengfa(Kr. Chŏngbŏl), by the bipolar rhetorics of the language of Universal Empire, which Chosŏn kings dared to appropriate. Accordingly, on the other side of physical violence of war, Chosŏn’s egocentric rhetorics which kept bipolarizing the heavenly mandated punisher and the convict, were repeatedly represented. Along with proclamation of war, it was emphasized Jurchens have belonged to Chosŏn since the dynastic founder. Then, Chosŏn kings were described as benevolent parents, and Jurchens were inevitably characterized with immorality of parricide. It was those particular rituals and traditional sciences which symbolized this vertical hierarchy in this war. From the departure of armies, via battle fields, to their returning to the capital, powerful combination of traditional rituals and sciences including clock, calendar, and firearms, kept justifying physical violence of war, by representing the imagined hierarchy under heaven where divine legacy of Chosŏn king ruled and Jurchens should obey. Through this warfare, Chosŏn kings ultimately tried to build up its “Lesser Suzerain” status in Northeast Asia vassalizing those Jurchens, in a periphery of the bigger frame of Ming Sinocentric East Asian order.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지방정부 문화정책 추진역량 비교 연구: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퍼지셋 분석

        정다해(鄭多該),박나라(Park, Nara)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 추진역량을 연도별로 비교・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범위 사례를 유형화하고 소속 정도에 대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과 퍼지셋 이상형분석(fuzzy-set ideal types analysis)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정책 추진역량으로서 행정역량(광역문화재단 규모, 광역문화재단 코로나19 피해 지원 사업 비중, 광역시도 인구 10만 명당 문화기반시설 수), 재정역량(광역시도 재정자주도, 광역시도 문화예산, 광역문화재단 예산), 정책수요(광역시도 예술인 수, 광역시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를 지표로 삼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정책 추진역량의 속성에 따라 도출된 8개 유형별 차이와 연도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광역자치단체 간 정책 추진역량이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나는 유형의 공통점과 모든 지표가 결핍된 사례를 확인함으로써 정책 추진역량이 어떠한 조건에서 어느 수준까지 달성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문화 분야에서 코로나19 피해를 지원하는 데 요구되는 정책 추진역량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연도별, 사례별로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문화예술계의 피해를 파악하고도 체계적인 정책을 설정하거나 지속할 수 있는 사업 추진이 어려웠던 지역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러한 결핍을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실증적 근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the policy capacity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to promote cultural poli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To categorize mid-range cases and assess the degree of belonging, we conducte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and fuzzy-set ideal types analysis. Specifically, administrative capability (size of cultural foundations, percentage of COVID-19 support projects of cultural foundations,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s per 100,000 people), financial capability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culture budget of metropolitan/ provincial governments, culture budget of cultural foundations), and policy demands (the number of artists, cultural event/exhibition visitation rates) were examined. As a result, eight distinct types of cultural policy promotion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rganiza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it was possible to empirically determine the conditions and level of capability required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ed us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and compare the polic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required by local governments to counter COVID-19’s damaging effects on the culture sector. Toward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is deficiency in the future, we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reas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systematic policies and continue projects within the arts and culture community.

      • 2P-84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and swelling property of superabsorbent hydrogel based on Carboxymethyl β-Cyclodextrin/Carboxymethyl Cellulose

        정다함,주상우,( Hu Yiluo ),조은애,정선호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In this study, a carboxymethyl cellulose (CMC) hydrogel containing carboxymethyl β-cyclodextrin (CMCD) was designed to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swelling capacity of the superabsorbent CMC hydrogel. We synthesized cellulose (CEL), cyclodextrin/cellulose (CD/CEL), CMCD/CEL, CMC, CD/CMC, and CMCD/CMC hydrogels and their intrinsic mechanical strength and swelling capacity were evaluated. The structures and morphologies of all those hydrogel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equipment. The storage modulus of the CMCD/CMC gel was nearly 8-fold higher than that of the CMC gel and maintained a high swelling ability. We also investigated the drug loading capacity and release properties using tetracycline as a drug model. CMCD/CMC hydrogels also showed the most effective tetracycline loading capacity with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Furthermore, this new hydrogel is a nontoxic, and bio-friendly, suggesting that it can be effective as a drug delivery system.

      • KCI등재

        조선 태종대 世子와 明 帝女의 혼인 논의와 그 정치적 맥락

        정다함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5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ost-1945 south Korean historiography where Korean historians began undertaking their sacred mission to rewrite their “own” history of their “own” nation state as an independent and self-contained national history, main stream historiography of Chosŏn history has largely overlooked the discussions on the marriage between Chosŏn royal house and Ming imperial house in early Chosŏn and their meanings. Going beyond this nationalist master narrative of the post-1945 south korean historiography, this paper seeks to rethink the discussions on the marriage between Chosŏn's crown prince and Ming emperor's princess in king T'aejong's reign and seeks further to reconsider their meanings within this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of early Chosŏn where the kings and the Yangban ruling elites continuously represented them in many different ways by recalling and redefining the past of the marriage between Koryŏ royal house and Yuan imperial house. 조선 초기 태조대와 태종대에, 조선 왕실과 명 帝室 사이의 혼인 논의가 진행된 것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하였다. 아마도 그 이유는, 해방 이후의 한국사 연구가 근대국민국가 역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고려후기 고려와 몽고의 관계를 최대한 “자주적”으로 재정의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 중 하나가 원 제실과 고려 왕실의 혼인 관계였다는 사학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선초 태조대와 태종대 명 제실과의 혼인 논의는, 공민왕대 이후에서 鮮初까지의 “대외관계”를, 元을 중심으로 설정되었던 동아시아의 광역적 통치질서로부터 고려가 벗어나는 과정과 명에 대한 조선의 “사대”가 지니는 “자주성”에 주로 초점을 맞춰 설명해 왔던 통설과는 달리, 그러한 과거의 광역적 통치질서 자체가 이 시기의 특정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다시 재구성되고 조선도 그 질서에 다시 연동되는 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앞으로 우리가 그 의미를 더욱 고민해보아야 할 지점을 제시해준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해, 조선 태종대 세자와 명 帝女 사이의 혼인 논의가 어떠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전개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피는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혼인 논의가 진행된 태종 3년의 역사적 맥락과 다시 이 논의가 재개되는 태종 7년의 역사적 맥락을 비교/검토하되, 그 사이에 발생한 조선 조정에서의 권력구조의 변화와 두 혼인 논의의 추이를 연동시켜 분석함으로써, 태종대 세자와 明 황제 딸의 혼사 논의를 보다 맥락적으로 이해하려 한다. 나아가 태조대 조선 왕실과 명 제실 사이의 혼인 논의와도 비교해 그 역사적 의미를 파악해보려 한다.

      • KCI등재

        우왕대 호발도(胡拔都)의 재침과 동아시아 광역적 통치질서의 재구성 그리고 경계인 이성계

        정다함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7

        Hobaldo(胡拔都 Qubatu)'s invasion on Koryŏ northern frontier in King Wu’s reign and Yi Sŏnggye’s victory against it have merely been understood so far as a simple battle between Jurchen aggressor Hobaldo(胡拔都) and patriotic Koryŏ general Yi Sŏnggye. However, in doing so, much more contingent and much more complicated historical context around this historical event, has been almost unexplained. Going beyond the existing nationalist perspective, this paper seeks to rethink Hobaldo(胡拔都)'s invasion in King Wu’s reign and Yi Sŏnggye’s engagement to defeat it, by putting them together with Ming court’s demand to return formal Yuan Liaodong residents previous Koryŏ king Kongmin’s expeditionary forces including Yi Sŏnggye’s warriors have taken from Yuan Tongnyŏng Commandery, Ming Dingliaowei commandery(定遼衛)’s instigation of Liaodong Jurchen forces such as Hobaldo(胡拔都) against Koryŏ, Koryŏ King Wu’s need to be recognized as the legitimate successor of King Kongmin and “tributary” by Ming imperial authority, and Yi Sŏnggye’s tricky position as the powerful warlord of Koryŏ frontier with hybridity his family has obtained by crossing the borders among Koryŏ, Mongol, and Jurchen societies. 우왕대 호발도의 고려 재침은, 그간 외세와 우리라는 이항대립을 본질화하는 민족주의적 역사관에 입각해 고려를 침략한 여진족 호발도를 고려인 무장 이성계가 격퇴한 일로만 이해되어져 왔다. 이러한 비판적 문제의식에 입각해 이 연구는 우왕대 호발도의 고려 재침과 이성계의 대응을, 횡단경계적(transnational)이고 변경사적인 관점으로 새롭게 조명한다. 공민왕대와 우왕대에 걸친 두 차례 호발도의 고려 침입을 관통하는 동아시아의 광역적 통치질서 재구성 과정에 유의하며 우왕대 호발도 고려 재침을 재조명함으로써, 이 연구는, 당시 高麗와 明과 北元과 女眞 사이에서 어떻게 그 광역적 통치질서를 이루는 경계들이 끊임없이 재구획되거나 흔들리고 있었으며, 그렇게 요동치는 경계들 ‘사이’를 이성계와 호발도와 같은 遼東과 高麗 東·西北面 변경의 ‘경계인’들은 또 어떻게 부단히도 횡단하려 했었는가에 대해, 살피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