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인터넷에서 혼잡제어를 위한 개선된 RED 알고리즘

        정규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혼잡상황이 발생한 후에는 네트웍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큐 관리 알고리즘으로 RED(Random Early Detection) 알고리즘이 제시되었으며, IETF에서는 RED 알고리즘을 권고하고 있다. RED 알고리즘은 게이트웨이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그리고, RED 알고리즘의 동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RED 알고리즘에서 사용되고 있는 4개의 매개변수가 게이트웨이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RED 매개변수 분석을 통해서 고정된 매개변수 값을 사용할 경우에는 현재 네트웍 트래픽 상태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잘못된 매개변수 값 설정은 기존의 FIFO 방식보다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ED 알고리즘의 문제점인 고정된 매개변수 값 설정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RED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현재의 네트웍 트래픽 상태에 따라 패킷 폐기 확률 값을 조정하여 게이트웨이에서의 혼잡 상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NS를 이용하여 개선된 RED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위성통신을 이용한 ITS 서비스 방안 연구

        정규정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산업의 경제성장율 둔화로 인한 일자리 부족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이슈화 되면서 대표적인 일자리 창출의 아이템으로 이종산업 간의 융․복합 산업이 거론되고 있다. ITS는 교통산업과 ICT산업이 융합된 것으로 대표적인 융․복합 산업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속도로 톨케이트 주변의 도로의 상황을 살펴보면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 소관이지만 고속도로에 진입하기 위한 톨게이트 주변의 국도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소관으로 되어있어 ITS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통정보의 제공이 원활하지 않아 일부구간의 교통정보가 제공되지 못하는 곳이 있다. 이는 교통정보서비스의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통합적인 교통정보서비스 제공에 미흡한 원인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효율적인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과 구축 및 운용비용 절감을 위해서, 현장의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효율적인 ITS 통신망으로 국도의 집중국사에 집선 되어 있는 교통정보를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교통센터에 전송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의 국내 지능형교통시스템 산업에 향상된 교통정보제공 서비스를 위하여 기존의 광통신망 위주의 유선통신망의 ITS시스템에 부가적인 정보의 수집을 위하여 위성통신망이 보완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TS 산업의 해외 진출시 지상의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의 ITS 도입과 위성통신망으로 ITS시스템 구성이 효율적인 국가에 효과적인 ITS서비스 통신망을 제공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계측 침투수량 분석에 의한 필댐의 안전관리

        정규정 서울市立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normal heavy rain over recent years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has brought unexpected catastrophe. As a response to control flood and to secure sustainable water usage, growing demand of dam is a global trend. Recent survey in South Korea showed that the fill type dam accounts for 96.5%, in the majority, over the total large dams (1,171 fill type dams out of 1,213 total large dams). Since the causes of accident and failure are different among the dam types, a special access to the assessment of dam safety depending on the dam types is needed.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complexity in the dam type and varying incident causes, an attentive safety management is essential in fill dam. According to the recently completed survey report, the causes and the percentage of the fill dam's failure during operation were the piping, 48.7% and the overtopping, 47.0%, which accounted for 95.7% of the dam failures. Also, the slope sliding and the earthquake were 1.7% and 4.3% of the fill dam failure, respectively. This results implicate that leakage and piping through the dam body and foundation should be treated as the important issues in dam maintenance aspects. In order to manage the safety of dams, ongoing maintenance is essential. Up to now, dam safety evaluation has been performed by the safety diagnosis using periodic visual inspection, instrumentation data analysis, drilling and geophysical methods. Because visual inspection, drilling and geophysical methods are insufficient for identifying internal behavior of dam, instrumentation and data analysis are continually being expanded. Measurement system has been installed and operated in advance in order to prevent leakage and piping problems at domestic large dams. In recent years, acquiring a continuous monitoring data becomes feasible by the development of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nd automation. To monitor the dam leakage and piping, the quantity of water leakage and the related measurements such as the quantity of rainfall, reservoir water level, etc. are measured at the same time. In the water leakage monitoring of fill dams, the detection of abnormal water leakage directly is difficult due to the effect of outside factors such as the component of rainfall inherent in the observation value. Therefore, quantitative dividing methods of influence factor should be developed, and the method to confirm whether the dam is operated safe or not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m. This study consis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time series data, the identification of influence factors to the leakage quantity using numerical modeling the hydrograph separation method, and the leakage prediction and forecast by time-series models.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evaluate the dam safety for the two dams, Juam and Imha. First, from the basic statistics, i.e. rainfall-reservoir water level versus leakage water quantity correlation analysis, leakage quantity variation trends were analyzed. Second, the direct run-off and the baseflow through the dam body, side abutments, and base of the dam, separated from the measured leakage quantity using HYSEP and PART hydrograph programs was executed. Also, the influence ratio of each factor was calculated using 3 dimensional flow model. Third, the predictability of the transfer func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he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was evaluated by using the difference of forecast and prediction. Fourth, the applicability of the hydrograph separation and the time series analysis to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of fill dam was investigated using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wo dams obtained by the monitored data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procedure to evaluate the monitored data would be applied efficiently to manage the fill dams rationally. Keywords : fill dam, leakage and piping, measured leakage quantity, safety management of dam 근래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호우는 예상치 못한 큰 재난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효율적 홍수통제 및 지속적인 물 사용량의 증가로 인한 수자원의 확보는 국가적인 중요 관심사이며, 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에 따라 신규 댐 건설과 더불어 기존 댐에 대한 안전관리가 또한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 최근 조사된 한국의 대댐은 1,213개소며 이 중 댐형식상 필댐은 1,171개소로 전체의 대부분인 96.5%를 차지하고 있다. 댐의 손상 및 붕괴는 댐 형식별로 원인이 다르므로 댐의 형식을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필댐은 콘크리트 댐보다 형식이 복잡하고 손상 원인도 다양하여 안전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필댐의 손상 및 파괴 원인에 대한 최근 분석 결과, 시공이 완료된 이후 공용 중에 붕괴된 사례를 붕괴 원인별 백분율로 나타내면 파이핑과 월류가 각각 48.7%와 47.0%로서 전체의 95.7%를 차지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사면활동과 지진이 각각 4.3% 및 1.7%로 확인되었다. 이는 댐체 및 기초지반을 통한 누수와 파이핑에 의한 파괴가 큰 비중을 차지하며 댐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할 파괴유형임을 나타내고 있다. 댐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댐에 대한 안전성평가는 일반적으로 정기적인 외관조사, 계측자료 분석과 시추조사, 물리탐사법을 이용한 안전진단으로 수행하여 왔다. 댐체의 내부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관조사와 시추조사, 물리탐사법은 미흡한 점이 있어 계측에 의한 댐 안전성평가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 대형 필댐은 누수와 파이핑으로 발생할 수 있는 파괴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계측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최근 계측기 및 통신시설 발달로 계측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연속적인 관측자료 취득이 용이해지고 있다. 댐에서 누수 및 파이핑을 감시하기 위한 계측항목은 침투수량과 관련 영향 요소인 강우량, 저수지수위 등이다. 필댐의 침투수량 계측값은 강우 성분 등의 외부 요인 영향으로 직접적으로 이상 누수 발생을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댐 침투량 영향 인자를 정량적으로 구분, 해석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통하여 향후 댐체 및 기초지반을 통한 침투수량 변화를 예측하여 누수 및 파이핑에 대한 댐의 안전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암댐, 임하댐 2개 대상 댐의 침투수량 계측자료에 대하여 시계열 계측자료의 통계적인 특성분석, 수문곡선분리법과 수치모델링을 활용한 침투수량 인자별 구분, 시계열 모형을 활용한 침투수량 예측 및 평가, 개발된 방법의 댐 안전관리의 적용성 평가 단계로 구분된다. 첫째, 기초통계값과 강우-댐수위-침투수량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침투수량의 변동추세를 평가하였다. 둘째, 수문곡선분리법 중 HYSEP와 PAR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우 직접침투와 댐체, 양안 및 댐기저를 통한 기저침투를 분리하였으며, 3차원 지하수 유동모델을 이용하여 댐수위 변화에 따른 댐체, 양안, 댐기저의 침투수량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셋째, 시계열 모형인 전이함수, 인공신경망, 지지벡터기계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여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forecast와 prediction 예측기법의 차이를 이용하여 침투수량의 변동특성을 평가하였다. 넷째, 2개 대상 댐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댐별 침투수 거동 특성을 비교하고, 수문곡선분리법, 시계열 분석법이 침투수 안전관리 방법으로 적용가능한 방법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계측 침투수량 분석절차는 향후 댐의 합리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필댐, 누수와 파이핑, 계측 침투수량, 댐 안전관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