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해 자연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포란수와 부화율
전제천,강희웅,김병균,조기채,최기호 한국어류학회 2010 韓國魚類學會誌 Vol.21 No.4
To establish a database for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pawning and fecundity of this species. Broodstocks were captured in the area of Gyeokryeolbiyeoldo, Chungnam, Korea in October 2003 and induced to natural spawning. The broodstock consisted of 12 females (34.5~51.0 cm total length and 540~2,200 g body weight) and 23 males (29.0~38.0 cm total length and 310~680 g body weight). Gonad development began in December and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the tail; measurements were made with the naked eye. The tank-held broodstock were reared for 3 months before spawning, which continued for 77 days from January 9 to March 27, 2004. Daylength during the spawning was recorded at the yearly shortest of 9.8~12.1 hours and the water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8.4~12.2℃. The total fecundity was 19,844,000 individuals, among which 15,433,000individuals (77.8%) were produced during the mid-spawning period. The average bloating rate, eggfertilization rate and hatching rate of the total number spawned reached 50.4%, 58.5% and 55.6%,respectively, and 93.8% of the hatched fry appeared normal. The number of total eggs in absolute fecundity per total length was proportional to both lengths, as was the number of total eggs in relative fecundity per total length. The number of total eggs in absolute fecundity per body weight was proportional to body weight as was the number in relative fecundity per body weight except that the number in relative fecundity per gram decreased after a peak in increased body weight at a certain point. 본 연구는 돌가자미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확보하고자 2003년 10월에 충남 격렬비역도 해역에서 자연산 어미를 채집하여 실내에서 자연산란을 유도하고 산란특성과 포란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미는 암컷12마리(전장 34.5~51.0 cm, 체중 540~2,200 g), 수컷 23마리(전장 29.0~38.0 cm, 체중 310~680 g)이었다. 난소의 발달은 12월부터 꼬리쪽으로 길게 확장되어 육안적으로 쉽게확인되었다. 돌가자미 어미는 실내에 수용하여 3개월 후부터 산란을 시작하였으며, 2004년 1월 9일부터 3월 27일까지 77일간 이루어졌다. 산란기간 중 일장은 9.8~12.1시간으로 연중 가장 짧았으며, 수온은 8.4~12.2℃이었다. 총 산란량은 19,844,000개였으며, 산란중기에 15,433,000개(77.8%)로 가장 산란량이 많았다. 총 산란량중 평균부상율은50.4%, 수정률은 58.5%, 부화율은 55.6%, 부화자어의 정상출현율은 93.8%이었다. 전장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전장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포란수(cm 당)의 총 난수도 전장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보였다. 체중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체중당 상대포란수(g 당)의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나, 일정 체중 이상으로 커지면, 오히려 체중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제천,안혜숙,한현섭,강정하,김상규,김응오 한국발생생물학회 2010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9 No.-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해상에서 발생한 Hebei Spirit호 유류오염 사고로 원유 12,547 ㎘가 유출되어 서해안의 167 ㎞에 이르는 해안선이 오염됨으로서 이곳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 어류 등 양식생물들과 같은 유용 수산자원은 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류에 노출된 굴, Crassostra gigas은 외부에서 정상적인 먹이 섭취활동이나 에너지 대사 작용을 하지 못하여 생체량의 감소가 나타나 산란량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유류유출사고 피해지역인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및 소원면 의항리와 유류오염에 노출되지 않은 경기도 안산시 종현동의 참굴 집단을 대상으로 11개의 microsatellite DNA marker를 이용하여 계절적인 차이를 두고 유전적 특성을 비교하고, 유류오염에 대한 참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msDNA 마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유류 오염지역과 비오염지역 굴에 대하여 11개의 microsatellite DNA marker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marker에 따라 대립유전자 수가 19개에서 42개로 매우 다양하였으며, 평균 대립유전자 수는 약 33개, 대립유전자 수 보정치 (Allelic richness)는 약 32개로 모든 집단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형접합체율 관찰값 (Ho)은 경기 9월 집단의 ucdCg-161에서 0.602로 가장 낮았고, 태안 3월 집단의 ucdCg-109에서 0.9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형접합체율 기댓값 (He)은 경기 3월과 태안 9월 집단의 ucdCg-130에서 0.886으로 가장 낮았고, 경기 9월의 유전자좌 ucdCg-133에서 0.972로 가장 높았다. 평균 이형접합체율 관찰값 (Ho)과 기댓값 (He)은 각각 0.762~0.798과 0.948~0.952로 계절적, 지리적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다형성정보지수 (PIC)에서도 경기 3월 집단의 ucdCg-130에서 0.871로 가장 낮았고, 경기 9월 집단의 ucdCg-133에서 0.966으로 가장 높았으며, 각 집단의 평균은 0.940~0.944로 계절적, 지리적인 차이는 없었다. Hardy-Weinberg equilibrium (HWE)에서는 태안 9월 집단의 ucdCg-130에서 유의한 이탈이 나타나 유전적 불균형의 징후가 보였다. 대립유전자 빈도를 바탕으로 계산되는 Linkage disequilibrium (LD)을 기초로 한 유효집단크기 (Ne)에서는 경기 9월 집단이 76,395마리로 가장 높았는데, 이것은 genetic linkage, 재조합률, 돌연변이율, random drift, non-random mating 등을 포함하는 여러 원인과 집단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과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각 집단의 유효집단의 크기는 비오염 지역의 경우 3, 5월 집단이 각각 753마리, 1,494마리로 나타났으나, 오염지역의 경우, 3, 5, 9월 집단이 현재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각 450마리, 660마리, 546마리로 매우 낮게 나타나 비오염 지역에 비해 다양성이 현저하게 낮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집단에 대한 유전적분화에 의해 야기되는 아집단내의 이형접합체율의 감소정도를 나타내는 FST를 유의차 검정 (P<0.05)에 의한 P값을 반영하여 각 집단 간을 비교한 FST 값에서는 태안 5월 집단이 경기 3월, 5월, 9월 집단 그리고 태안 3월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대립유전자 빈도를 근거로 하여 Nei's genetic distance에서는 0.1035~0.1497로 나타났으며, 태안 5월 집단에 비교적 높은 수치가 보였다. UPGMA와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계통수를 만들어 참굴 집단 간 유연관계를 확인한 결과, 계절적, 지리적인 집단 간의 특별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계절적, 지리적인 집단 사이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류오염이 산란에 미친 영향 파악을 위해 유전적 특성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전제천,김진희,박영제,강희웅,정재승,정의영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2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ies and ultrastructures of the sperm nucleus and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are the vase shape and long cone shape, respectively. Spermatozoa are approximately 45-50 μm long including a sperm nucleus (approximately 2.60 μm long), an acrosome (about 0.63 μm long), and a tail flagellum (approximately 44-47 μm in length).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ight and left basal rings in the acrosomal vesicle of this specie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and also the anterior apex part of the acrosomal vesicle shows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al vesicle were found in Pectinidae and other several families in subclass Pteriomorphia.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 in most species in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In addition, the satellite fibres are found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this species, a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pecies of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Accordingly, structut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found in the acrosomal vesicle, four mitochondria in the sperm midpiece and the appearance of the satellite fibers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C. (S.) swiftii in Pectinidae (subclass Pteriomorphia), can be employed for phylogenetic and taxonomic analyses as taxonomic key or a significant tool.
한국 서해산 웅어, Coilia nasus 암컷의 성숙과 산란
전제천,강희웅,이봉우 한국발생생물학회 2009 발생과 생식 Vol.13 No.2
웅어 Coilia nasus의 생식소중량지수(GSI), 비만도지수, 난소발달, 군성숙도, 포란수를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조직학적 관찰 및 형태측정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와 비만도지수는 2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해지는 6월에 최대에 이르며, 그 후 산란이 일어나는 7월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GSI와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난소의 성숙 및 산란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암컷의 난소발달 단계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초기성장기(2~3월), 후기성장기(3~4월), 성숙기(5~6월), 완숙 및 산란기(6~7월), 회복 및 휴지기(12~1월). 본 종의 성숙과 산란은 고수온-장일장인 6~7월 사이에 일어났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 이상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 개체는 전장 24.1~27.0cm이었으며, 30.1cm 이상에서 전 개체가 산란에 참여하였다. 절대포란수에 있어서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전장 및 체중이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상대포란수에 있어서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전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이들 난수는 최대 체중(126.0~150.0g)에 도달하면 상대포란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능성 소화불량이 말초성 구안와사 환자의 호전도에 미치는 영향
전제천,박재연,김민석,윤경진,최유진,이참결,노정두,이은용 대한침구의학회 201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med to know the effect of functional dyspepsia on the prognosis of peripheral facial paralysis Methods : We divided 42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who had admitted at Semyung University Chung-ju Oriental Hospital into two groups, The A group which had Functional Dyspepsia, and The B group which didn’t have Functional Dyspepsia. Then we applied acupuncture, physical therapy, herb medicine to the patients. The effects of treatment was evaluated by Yanagihara’s unweighed grading system. Results : A group’s improvement index which is measured by Yanagihara’s unwei ghed grading system was lower than B group’s improvement index. Conclusions : Through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he patients recovered significantly. The patients who has functional dyspepsia recovered slowly than the patients who has not functional dyspepsia.
태안반도 기름 유출사고 이후 인근해안에 서식하는 굴 (Crassostrea gigas) 간췌장 (digestive gland) 의 미세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전제천,강세원,백문기,정지은,신윤경,박영제,한연수,이용석 한국패류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7 No.1
The unwanted artificial oil-spill has severely contaminated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world.level of contamination has so far been monitered by various indicator species including mussel, oysters, flounder, and cockle. In this study, we decided to use the oyster as a model organism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ngesbeingexposed to the artificial oil-spill in the coastal areas in Taean, Korea.The oyster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l sites (Sindu-ri, Uiwang-ri, Jonghyeon-dong, Ansan and Uihang-ri) exposed to various levels of pollution after an oil spill in Taean. Microscopic analysis of the hepatopancreatic microstructure in the digestive gland from the collected oysters show that the swelling, whorl, and destruction phenomenon of the nuclear membrane, a well-known microstructure induced by heavy metal exposure, was observed. Nuclear body (Nb), anothertypical characteristic of contamination or infection were also observed in some samples.necrosis was observed in tissue samples collected from the area with a high degree ofoil pollution. In addition, parasite-like particles (virus, perkinsus) were observed in most sampl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oil contamination in the oyster habitatsinfluences the cytopathological changes in Crassostrea gigas.
전제천,김봉석,정의영,김진희,박갑만,박성우 한국발생생물학회 2009 발생과 생식 Vol.13 No.2
기수산 2배체 일본재첩(Corbicula japonica)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의 미세 구조적 특징을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세포학적 조사 결과, 기수산 2배체인 일본재첩의 정자 길이는 약 55이다. 정자 두부(길이 약 12)는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약간 구부러져 있다. 정핵 길이는 7.90 , 첨체 길이는 약 2.70 이다. 정자의 핵과 첨체의 형태는 각각 긴 화살 모양과 길다란 원추 모양을 나타낸다. 본 종(체외수정, 자웅이체, 난생종 Spermatogenesis an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erm of brackish water diploid Corbicula japonica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Based on the cytological studies, the spermatozoon of this species (brackish water diploid) C japonica is approximately 55 in length. The sperm head (about 12 long) is elongated and tapers with a slight curve. Sperm nucleus is about 7.90 long, and the acrosome is about 2.70 long: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 nucleus type and the acrosome shape of this species are a long arrow-like type and long cone-like shape, respectively. The sperm head of this species (external fertilization, dioecious and oviparous species) is partially modified from that of the primitive type, as seen in triploid Corbicula species (internal fertilization, hermaphrodite and ovoviparous species), reported by some authors. However, this species produces uniflagellate spermatozoa, unlike freshwater triploid hermaphroditic clams being possessed of partially modified biflagellate spermatozoa. Diploid C japonica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being possessed of a short midpiece containing four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centrioles.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and from uniflagellate sperm cross sectioned, in particular, wing-like axonernal lateral fins are observed, as seen in external fertilization fis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