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교수·학습 방안 연구

        전윤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for learners who are beginners in writing poetry to engage in creative poetry writing with interest. Creative poetry writing is a process of knowing the joy of creation through expression and gaining insight. The goal of teaching poetry writing is not to train professional poets, but to experience the joy of producing literary works and derive growth of learners through creating poetry. As learners are beginners in writing poetry, it is not necessary for them to go through a professional poetry writing course. The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uses poetry writing education as a means of understanding poetry. Poetry writing education began in earnest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it was not applied in real school lessons. High schools could not allot time for creative poetry writing due to education for entering university. In doing so, poetry writing has been regarded as being difficult and uninteresting by learners. Creative poetry writing in itself should be a meaningful educational activity. To this e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reative poetry writing should be prepared to be applicable to school field. The methods should reflect learner traits in secondary school level and enable learners to create poetry by doing activities to make learners express themselves and feel the joy of creat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In this regard, teacher should provide a phased process from finding poetic objects for learners to create poetry which can gain sympathy from both writers themselves and readers. The process should include steps of reflecting on themselves, finding poetic objects, wring a poem, and polishing the poem. The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ing: Chapter Ⅱ discusses changing aspects of teaching poetry writing sugges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poetry writing education was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and have showed process up to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 status of creative poetry writing eduction was not improved in school field and I will examine its reason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chapter Ⅲ, I will analyze poetry writing teaching models. Providing measures to make up for limitations, I will suggest a poetry writing teaching model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It will begin by making leaners find out poetic objects(material, subject matter) in ‘finding poetic objects through observation’ step, and then go through ‘conversation with poetic objects’, ‘sensory imagery of poetic objects’, and ‘associating experience and objectifying poetic objects’ steps. Using these steps, I will suggest a creative poetry writing model which learners may engage in interestingly and which is also meaningful. In chapter Ⅳ, I will introduce an example of actual lesson applied by the above model that learners went through steps of creative poetry writing and wrote variety of poems. I will present learners’ works which stand out and discuss measures to make up for limitation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s an overall process of creative poetry writing through searching of poetic objects. Through this, I seek a counterplan of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learners of secondary school level, who create poetry for the first time, to be able to approach to creative poetry writing easily. I expect this study to invigorate poetry writing education in school and make learners take interests in creative poetry writing. I believe the creative poetry writing method through searching poetic objects will make it possible. 시 창작이란 표현을 통해 창작의 즐거움을 알고 통찰에 이르는 과정이다. 따라서 시 창작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가 시를 창작해 보는 과정의 즐거움을 체험하게 하는 것이 그 첫 번째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시 창작을 통해 세계를 관찰하고 자아가 지각한 세계의 모습을 시적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을 통해 타인과 세계에 대한 공감을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속 자아의 모습을 인식하고 자아를 성찰하여 결국에는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시 창작 교육의 목표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시 창작 교육은 시의 이해를 위한 도구적 활동에 머무른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시 창작 교육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고등학교에서는 여전히 대학 입시를 위한 교육에 치우쳐 시 창작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시 창작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다수의 학생들이 각종 백일장에 참여하다 보니, 시는 그 능력을 타고난 사람만이 쓸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특히 백일장에서 정해진 주제로 시를 쓰다 보니,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시 창작에 흥미를 잃기도 했다. 시 창작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교육 활동이 되어야 한다. 표현의 즐거움이 동반된 가치 있는 교육 활동이어야 한다. 또한 시를 쓰는 창작주체인 학습자가 시 창작의 중심이 되도록 교육해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시로 써 내고 싶은 대상을 스스로 발견해 보는 경험으로 창작이 시작되어야 한다. 시 창작에 흥미와 관심을 먼저 가질 수 있어야 좋은 작품이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적 대상은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소재와, 시적 발상을 촉발하는 모든 대상을 일컫는 말로, 학습자가 시적 대상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아와 세계를 언어로 표현하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적 대상을 통한 시 창작 교수 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Ⅱ장에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시 창작 교육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 창작 교육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후 2009,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시 창작 교육은 조금씩 진보된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시 창작 교육의 위상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다.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서술 방식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기존의 시 창작 교육 모형을 분석하여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먼저 시적 대상과 관련한 체험을 중심으로 시 창작 교육을 시도한 모형과 대화와 이미지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모형을 분석해 보았다. 이 모형에서는 학습자와 교사 간 대화를 통해 시를 써 나가도록 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시적 대상과 학습자 간의 대화로 그 방법을 바꾸어 적용해 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를 창작하도록 한 점을 참고하여,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를 창작해 보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시적 대상의 발견’을 첫 단계로 제시하였다. 시적 대상을 발견하기 위해 학습자가 교정을 거닐면서 자신과 닮은 사물을 찾아보도록 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을 돌아보는 동시에 세계를 자세히 관찰하였다. 관찰의 방법으로 ‘가만히 바라보기’, ‘대상을 그려 보기’ 등을 제시하였다. 다음 단계에는 시적 대상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적 대상과의 대화를 제시하였다. 이때 학습자는 앞서 발견한 시적 대상과 상상적 대화를 하게 된다. 대상과 나눈 대화를 대화문으로 모두 쓰게 하는데 그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정서와 내면을 표출하게 된다. 시적 대상을 탐색하면서 학습자는 자신의 내면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다음 단계로는 ‘체험 연상’을 제시하였다. 체험문을 쓰기 전에 기존에 찾은 시적 대상을 마인드맵의 중심에 놓고 자유연상을 하도록 하였다. 그 중 자신의 체험과 관련한 단어를 선정하도록 하고, 그 중 하나를 골라 체험문으로 써 보도록 하였다. 체험을 쓸 때에는 일기나 편지를 쓰듯이 형식에 얽매임 없이 쓰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시를 쓸 재료를 마련하고 난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시적 대상의 재탐색 및 시 창작’을 하도록 하였다. 재탐색이란 시적 대상을 다시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찾은 시적 대상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보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시적 대상의 재탐색과 동시에 시 창작을 하도록 하기 위해 세 가지 유형의 활동을 진행했다. 먼저 ‘대화문을 활용한 시 창작’으로, 앞서 시적 대상과의 대화를 기록한 대화문을 활용하여 시를 창작하는 것이다. 대화문에 있던 문장을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고, 바꾸어 쓸 수도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시적 대상을 다시 한 번 탐색하게 된다. 다음 유형으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시 창작’과정을 제시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떠한 상을 그려내고 있는지를 감각적 이미지로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인간은 복잡한 세계를 감각기관을 활용하여 단순화하며, 그것을 언어로 창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지각 방식을 정립하기 때문이다. 이때도 앞서 발견한 시적 대상을 활용하여 그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그림을 먼저 그리도록 하였다. 또한 앞에서 쓴 체험문을 바탕으로 연상되는 그림을 그리는 것도 허용하였다. 그림을 그리면서 학습자가 기존의 시적 대상에서 또 다른 시적 대상을 연상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주었다. 이렇게 설정된 시적 대상을 중심으로 감각적 이미지와 관련한 여러 가지 질문에 답을 하도록 하였다. 비유를 활용하여 참신한 표현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고, 이후 이를 나열하여 시를 쓰도록 하였다. 시적 대상의 재탐색 및 시 창작의 마지막 유형으로 ‘객관적 상관물을 활용한 시 창작’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앞선 활동에서 썼던 체험문을 활용하였다. 체험문에서 주체로 표현된 ‘나’와 같은 1인칭 주어를 시적 대상의 이름으로 모두 바꾸어 써 보게 하였다. 이후 객관적 상관물을 화자 또는 시의 소재로 활용하여 시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흥미롭게 참여하면서도 의미 있는 시 창작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창작시 수정 및 평가’ 과정을 제시하였다. 창작시를 수정할 때에는 ‘또래와 협력하여 수정하기’와 ‘교사와 대화를 통해 수정하기’를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자기평가와 상호평가를 활용하여 시를 평가해 보도록 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로 활용해 볼 있는 평가표를 제시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대구시 모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적 대상을 활용한 시 창작 과정을 모형에 따라 직접 창작하도록 하였다. 이 수업은 교정을 거닐면서 시적 대상을 발견하는 활동으로 수업을 시작하였다. 시적 대상과 대화를 하도록 한 수업에서 처음에는 학습자들이 당혹스러워 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내 집중하며 대화문에 자신의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시적 대상을 이미지화하고 객관화하는 단계를 거치며 학습자들은 정서가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또래 학습자와 협력하여 시를 고쳐 쓰고 평가하는 단계에까지 나아가면서 점차 더 좋은 작품을 바라보는 안목 또한 키울 수 있었다. 처음에는 시 자체에 관심이 없던 학생들이 시 창작에 흥미를 보이며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 沈從文 小說 硏究 : 《邊城》·《長河》·《丈夫》를 中心으로

        전윤정 명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沈從文의 문학은 非政治的 文學觀으로 문학자체의 예술성과 함께 인간의 아름다운 본성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沈從文 작품의 핵심은 중국사회사 봉건적인 제도와 세습, 현대 자본주의 문명의 영향으로 인성이 왜곡되어 국내외적으로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작품을 통해 인간 본연의 건강한 인성 회복을 추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邊城》《長河》《丈夫》의 세 작품 분석을 통해 작자가 다루고자 했던 작품의 주제와 인물의 성격을 살펴보고 그의 문학세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沈從文은 《邊城》에서 암울한 현실에서 민족정신의 재건을 위해 이상화된 完美한 인간성을 창조하는데 목표를 두고 아름답고, 건강하며, 자연스럽고, 또 인간 본성에 어긋나지 않는 人生形式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長河》에서는 《邊城》에서 보여주는 人生形式이 사회적 현실 속에서 파괴당하는 실상을 표현하면서 현실에 절망하지 않고 湘西人에 의한 自治와 公平社會의 건설을 주장하였다. 《丈夫》는 외부환경에 의한 문화변이, 즉 賣淫制로 체현된 금전을 핵심으로 하는 현대 인생관념의 향촌생명에 대한 강제와 충격을 서사하는 한편 인물주체의 외부환경의 변이에 대한 응대와 선택방식을 설득력있게 드러내고, 문학을 통해 민족의 품덕을 새롭게 건립하고자 노력했던 沈從文의 이상과 정신이 짙게 배어 있었다. 그는 작품을 통해 현대자본주의 문명에 의해 人性이 왜곡되고 생명이 훼손당하는데 대하여 강렬한 불만을 표출하는 한편 어떠한 상황 아래서도 여전히 향촌의 순박한 기질을 잘 보유하고 있는 시골사람들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이를 그의 작품 속 인물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농촌의 순박한 인성을 찬미하고자 하였고, 인성미를 훼멸하는 사회의 모순을 제시하면서도 그 해결책을 강구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 갈등은 도시와 농촌을 대비시키는 정도이지 계급적 갈등이 심각하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또한 소설의 인물성격은 인간의 자연적 본성만을 표현하며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사회적 속성을 결여되어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품속의 인물들이 추상적이고 고립적인 존재로 표현되어 지고 있었지만 작가가 보여주고자 하는 인간 자연의 본성으로 돌아가 현대문명에 휩싸여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기를 바라는 자세는 21세기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었다. SHEN Cong-Wen's(沈從文) works through its non-political literary view, wanted to explore artistry of literature itself along with mankind's inner beauty. Accordingly, the essence of his literature aims at restoration of healthy human nature from the distorted human nature - caus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risis - due to influences from the feudal system in the Chinese history and heredity, and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Hence, by the examination of his 3 works, namely "Bian Cheng" 《邊城》, "Chang He"《長河》and "Chang Fu"《丈夫》, this paper will investigate his literary world by finding the themes of his works and the attributes of the appearing characters. In Chen Cong-Wen's "Bian Cheng" , the purpose was to create idealized perfect beauty in order to reconstruct the Chinese national spirit in the gloomy reality and wanted to express beautiful, healthy, natural life form and not contrary to human nature. In Chang He , the life form shown in "Bian Cheng" is destroyed in the social reality setting, expressed as a real image. Through the person from Xiang Xi (湘西人) who does not lose hope, Chang He presents self control and the construction of fair and upright society. "Chang Fu", describes the cultural transition due to its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enforcement and shocking effect of modern life ideals - which prioritize money as the essence impersonated as Maiyinzhi(賣淫制) - on the country life. And on the other hand, it presents responses of the character subject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selection method in a persuasive manner. It contains his ideal and spirit in wanting to reconstruct the attributes of the nation through his works. Through his works, he expresses strong dissatisfaction about how modern capitalist civilization distorting and damaging life. On the other hand, he describes the rural people who maintain their simple and honest nature and how they do not let go of hopes irrespective of the environment. Although he praised the simple and honest human nature of rural people and conveyed the contradictory nature of the society destroying human nature, he does not suggest any solutions. Hence, his works describe conflicts in terms of comparison between the city and the rural life but does not reveal the conflicts between different classes. In addition,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in his works presents natural human nature but it has limitation of lacking in social factors as a member of a society. Therefore, although the characters in his works are somewhat abstract and presented as isolated beings, the attitude of not losing one's own true character wrapped up in the modern civilization expressed by the writer has many implications for us who are living in the 21st century modern civilization.

      • 혼합연령 방과후 과정반의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에 관한 실행연구

        전윤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설유치원 만 4, 5세 혼합연령 방과후 과정반 학급인 하늘반 신체표현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실행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연령 하늘반 신체표현활동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실행하여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혼합연령 하늘반 신체표현활동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2. 혼합연령 하늘반 신체표현활동의 개선과정은 어떠한가? 3. 신체표현활동 개선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D구에 위치한 H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4, 5세 혼합연령 학급인 하늘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하늘반 유아 20명과 교사인 본 연구자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이며,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동안 하늘반에서 이루어진 연간 교육계획안, 주간교육계획안, 일일교육계획안을 분석하고, 2회의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하여 관찰, 유아면담, 동영상 촬영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과정은 문제 인식과 개선 방안 모색, 계획의 실천과 변화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관찰, 과정과 결과에 대한 반성, 수정된 계획에 의한 실천과 관찰 및 이에 대한 반성의 반복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 사진과 비디오 촬영, 저널쓰기, 유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를 유형별로 나누어 범주를 만들고 그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 하늘반의 신체표현활동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는 매체 및 자료의 부족, 대집단 또는 자발적 소수유아의 참여, 불명확한 공간 설정의 혼란으로 인해 신체표현활동이 효과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혼합연령 하늘반의 신체표현활동 1차 개선과정에서는 흥미를 끌 수 있는 그림책 활용 및 자료의 제작, 소집단으로 하는 신체표현활동, 개방적이고 명확한 공간을 설정하여 신체표현활동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동화를 감상하고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하다보니 수업 시간이 지연이 되었고, 시간의 부족으로 수업의 계획에서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사가 주도하는 신체표현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유아들의 모방 동작과 반복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따라서 2차 개선 과정에서는 사전 활동으로 충분한 시간을 갖고 동화 감상하기, 팀과 역할 정하기, 역할에 따른 소품 만들기를 하였으며, 유아의 생각과 의견을 많이 반영하여 계획,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유아가 주도하는 신체표현활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창의적인 표현을 위한 자료와 발문을 제시하여 유아들의 생각을 확장하고 다양한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혼합연령 하늘반의 신체표현활동 개선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변화는 신체표현활동의 능동적인 참여가 증진되었고, 유아의 협동 행동이 증진되었으며 창의적인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유아들은 다른 유아들의 다양한 표현에 대해 감상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또래와 언어적인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 한·영 번역에 있어 문화고유표현의 비등가 해결 전략 : Kevin O'Rourke의 Ten Korean Short Stories를 중심으로

        전윤정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Solution Strategies for Non-Equivalence of Culture-Specific Expressions in Korean-English Translation: Focusing on Kevin O'Rourke's Ten Korean Short Stories Jeon, Yun Jeong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Ulsan Translation is a work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culture of people who have unique traditions, customs, characteristics, and so 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translate a literary work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other unique cultures and national spirits as well. Thus, to spread out the Korean culture and spirit around the world, one of English majors' duties is not only to translate Korean literary text into English, but also to develop appropriate strategies for Korean-English translation.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ategorize culture-specific expressions of modern Korean fictions. The second is to analyze, through the examples of modern fictions in Korean, what strategies the translator used to solve the non-equivalence of the cultural-specific expressions. The final objective is to buil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of these translation strategies. Thus, this can be a helpful guide to professional Korean-English translators. To analyze culture-specific expressions, this thesis categorizes their scopes which have cultural elements except borrowed words. The probability of seven culture specific categorization is presented such as 'proper nouns', 'food, clothing and shelter', 'units(administrative, measurement, and monetary units)’, 'swearwords', 'fixed expressions', 'fables and phrases', and 'proverbs'. The source text comes from Ten Korean Short Stories -- the book translated by Kevin O'Rourke. From the book I have chosen six short stories -- "The Rock", "Record of a Journey to Mujin", "Potatoes", "Cranes", "A Lucky Day", and "Another Man's Room". For this study I have take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rom Mona Baker's theory. Her theory includes translation strategies for non-equivalence of words and phrases. Baker writes of solution strategies for non-equivalence at word level used by professional translators -- translations by a more general word(superordinate), by a more neutral/less expressive word, by cultural substitution, by using a loan word or loan word plus explanation, by paraphrase using a related word, by paraphrase using unrelated words, by omission, and by illustration. She also suggests solution strategies for non-equivalence of phrases -- using an idiom of similar meaning and form, using an idiom of similar meaning but dissimilar form, translation by paraphrase, and translation by ommissi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following. ⅰ) In the case of proper nouns, translation either by using loan words or by loan words plus explanation was used often. ⅱ) Administrative units, measurement units, and monetary units were also mainly translated by using loan words or loan words plus explanation. ⅲ) In the category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ranslation by a more general word(superordinate) and translation by paraphrase using a related word were used frequently. ⅳ) Swearwords were most translated by using loan words. v) In the classification of fixed expressions, the word-for-word translation method was used most. vi) Fables and phrases and proverbs were mainly translated by paraphrases. This study has a limited scope of cultural-specific expressions found in the literary texts of modern Korean fictions. However, it proves to b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is the first trial to explore translation, based on Mona Baker's theory, of the most difficult culture-specific expressions in Kevin O'Rourke's translations. The study's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lation strategies will be helpful particularly for the Korean-English translation experts. Further studies in this field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system of the translation strategies related to culture-specific expressions.

      • GeoGebra를 활용한 고등학교 1학년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단원 학습지도 방안

        전윤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단원 학습에서 GeoGebra를 활용하여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를 강조하고 이를 응용하여 근의 분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서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І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단원 학습지도를 위한 GeoGebra의 활용방안은 무엇인가? 2. GeoGebra를 활용한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단원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특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지도서를 분석하여 학습목표와 주요 학습 내용을 파악하였고,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학습에서의 오류 및 학습지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학습 지도를 위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GeoGebra 활동지는 학생들이 직접 GeoGebra를 조작하여 그래프를 그려보거나 이차방정식의 근을 구하여 비교하고 탐구하는 활동을 해보면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GeoGebra의 CAS창의 해 또는 복소 해 구하기 기능, 슬라이더 기능, 부등식 영역 나타내기 기능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한 자료를 바탕으로 충청북도 청주시 K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4명을 선정하여 총 4차시에 걸쳐 실험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수업에서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과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GeoGebra를 활용한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에 대한 학습은 지필환경에 비해 다양한 그래프를 그려보고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이차함수의 위치관계에 대해 이해하고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매 수업마다 GeoGebra를 통해 그래프를 나타내는 활동을 반복함으로써 이후에 지필환경에서 문제를 해결할 때 학생들이 좀 더 그래프를 쉽게 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이차함수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때 판별식을 사용하는 정확한 이유를 이해하지 못한 채 무작정 문제 해결의 도구만으로 판별식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eoGebra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판별식과 판별식에 따른 근의 종류 그리고 그때의 이차함수의 위치관계를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때 판별식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셋째, GeoGebra를 통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생들은 직접 GeoGebra를 조작해봄으로써 학습 과정에서 흥미를 가져 평상시 학교 수업에 비해 적극적으로 실험 수업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GeoGebra를 활용한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그래프를 그리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 수술 노인 환자의 가족을 위한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 개발

        전윤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술 노인 환자의 섬망 예방을 위해 가족을 대상으로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연구 절차는 분석, 설계, 개발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석 단계에서는 문헌고찰 및 수술 노인 환자의 가족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 요구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에 포함할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교육 내용 및 동영상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교육 내용 및 동영상 시나리오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를 시행하였으며 동영상 촬영 및 편집을 통해 예비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수술 노인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예비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에 대한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수정, 보완하여 최종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동영상 개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문헌고찰과 교육 요구도 조사를 통한 교육 내용은 크게 섬망에 대한 정보, 섬망 발생 전-예방, 섬망 발생 시-관리의 세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섬망의 정의 및 특징, 섬망의 병리학적 원인 및 위험요인, 섬망의 증상, 섬망과 치매의 차이, 섬망의 치료, 섬망의 부정적인 결과, 섬망 예방의 중요성, 가족이 수행할 수 있는 섬망 예방 활동, 가족이 수행할 수 있는 섬망 증상 대처 방법의 9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교육 내용에 대한 8인의 전문가 타당도는 전체 CVI(Content Validity Index)가 0.99였으며 각 항목의 CVI는 0.88~1.00이었다. 동영상 시나리오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는 전체 CVI가 1.00이었고, 각 항목의 CVI는 모두 1.00으로 모든 항목에서 전문가 합의가 이루어졌다. 3.동영상 제작은 촬영, 애니메이션 제작, 내레이션 녹음, 편집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촬영은 영상 제작 전문가가 하였으며 서울시 소재 S 상급종합병원의 병동 입원실에서 시행되었다. 이후 본 연구자가 구성한 애니메이션과 촬영 장면을 영상 제작 전문가가 편집하였으며 전문 성우의 내레이션을 삽입하여 예비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4.개발된 동영상에 대해 수술 노인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는 동영상의 이해도와 실행도의 평가 항목으로 구성된 Patient Education Materials Assessment Tool-Audiovisual (PEMAT-A/V)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이를 토대로 최종 섬망 예방 교육 동영상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동영상은 수술 노인 환자의 섬망 예방을 위해 가족을 대상으로 섬망에 대한 정보와 함께 가족이 수행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가족의 섬망 예방 활동 참여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이해도와 수행률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동영상을 매체로 하여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시간과 공간적인 측면에서 효율의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개발된 교육 동영상에 대한 환자와 가족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확인하는 연구와 더불어 섬망 발생률 감소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 연구가 시도되기를 제언한다. BACKGROUND: Delirium is one of common health problems in elderly surgical patients, it is known that affects negative health outcomes. Participation of family in delirium preventive interventions is effective to prevent delirium in elderly surgical patient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ducational video of delirium prevention for the family of elderly surgical patients. METHODOLOGY: The education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of family and nurse's educational needs. The contents and the video scenario were verified validity by the clinical experts. Finally, delirium prevention educational video was developed and evaluated a feasibility by the families. RESULTS: Education contents of video were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general information about delirium, prevention of delirium, and management of delirium. Contents were composed of 9 items such a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pathological mechanism and risk factors, symptoms, differences between delirium and dementia, treatment, negative consequence, importance of prevention, preventative interventions, and symptom management. CONCLUSION: A Video is effective for improving understandability and actionability, so that the educational video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encourage family participation in delirium preventive activities. This delirium prevention educational video may be effective on delirium prevention in elderly surgical patients.

      • 부추의 전처리 과정 중 세척 횟수에 따른 자연균총의 저감효과 및 화학적 소독제의 병용소독효과

        전윤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추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는 김치나 생채와 같은 비가열처리 음식의 주원료로 단체급식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채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추 내 잔존 자연균총 저감화를 위하여 최적 세척횟수를 알아보고 다양한 화학적 소독제의 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동교육청 관내 29개교를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실시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염소소독 전·후 세척횟수를 파악하였다. 세척 횟수는 염소(Chlorine, CL 100ppm)소독 전·후로 0:3(0회 세척, 염소소독, 3회 세척), 1:3(1회 세척, 염소소독, 3회 세척), 3:1(3회 세척, 염소소독, 1회 세척), 2:3(2회 세척, 염소소독, 3회 세척), 3:2(3회 세척, 염소소독, 2회 세척) 및 3:3(3회 세척, 염소소독, 3회 세척)의 6가지 방법을 선정하여 미생물(총호기성균, 장내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 검사를 하였다. 또한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2004)에 제시된 화학적 소독제인 염소(Chlorine, CL 100ppm)와 그 외 다른 화학적 소독제 Ethanol(ET, 10%)과 Glacial acetic acid(GA, 1%)를 단독처리 또는 조합처리하여 미생물(총호기성균, 장내세균, 대장균군 및 대장균) 검사를 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세척 횟수를 3:3(3회 세척, 염소소독, 3회 세척)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총호기성균은 학교급식 위생 관리 지침서(2004)의 기준 10^6 CFU/g보다 낮았으나 장내세균과 대장균군은 기준 10^2 CFU/g, 10^3 CFU/g 보다 높아 위생적 관리가 필요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급식 시 미생물로부터 안전한 부추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 중 세척 횟수를 3:3(3회 세척, 염소소독, 3회 세척)보다 증가시켜야 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미생물 살균 효과는 단독 소독제 사용보다 여러 가지 화학적 소독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GA 단독처리에 비하여 CL과 병용처리하였을 경우 소독효과가 증대하였다. 따라서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에 명시된 CL 소독제 이외의 다른 화학적 소독제(GA)를 활용하여 CL과 병용함으로써, 생채소 소독에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Leek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 is widely used for food service meals in Korea. Especially, leek is generally utilized to make non-heated foods including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1) to find desirable frequency in various washing method, 0:3(no washing and chlorine(100ppm) and three times rinsing), 1:3(one time washing and chlorine and three times rinsing), 3:1(three times washing and chlorine and one time rinsing), 2:3(two times washing and chlorine and three times rinsing), 3:2(three times washing and chlorine and two times rinsing), 3:3(three times washing and chlorine and three times rinsing), in reducing indigenous microflora on leeks and 2) to evaluate the effects of Chlorine(CL, 100ppm), Ethanol(ET, 10%), and Glacial acetic acid(GA, 1%), alone and in any combination with the chemical sanitizers. Especially 3:3 treatment(three times washing and chlorine and three times rinsing) compare to different washing method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indigenous bacterial microflora on leeks. However, the results notified that the numbers of Enterobactericeae, and coliforms were not safe compared with School Foodservice Hygiene Management's Guide. Therefore, there were the increase of the washing frequency to sanitize on leeks and needed to develop the more experiments. Populations of mesophilic bacteria, Enterobactericeae, and coliforms on leek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ny ET+GA, CL+ET+GA combination compared to CL, ET, or GA alone(p<0.05). Especially, CL+ET+GA combination synergistically brought about significant reduction in indigenous bacterial microflora on leeks. The results suggest that two or three combination treatments may have more potential to reduce numbers of mesophilic bacteria, Enterobactericeae, and coliforms on leeks for efficacy of chemical disinfectant treatments.

      • 천연물로부터의 STAT3 저해제 탐색 및 기전 규명

        전윤정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TAT3(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는 인간의 여러 암에서 활성화 되어있어 항암제 개발의 치료적 타겟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STAT3의 저해제를 찾기 위하여 우리는 천연물 의약품으로부터 얻어진 200여개의 천연물을 스크리닝하여 은행잎(Ginkgo biloba L.)으로부터 STAT3 저해 활성을 갖는 ginkgetin이라는 물질을 얻게 되었다. Ginkgetin은 DU-145 인간의 전립선암 세포에서 본질적으로 존재하거나 혹은 IL-6에 의해 유도되어진 활성화된 STAT3를 억제하고, 이는 p-STAT3의 핵으로의 이동을 막는다. 또한 Ginkgetin은 STAT3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전립선암 세포에 선택적인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Ginkgetin은 타이로신 705잔기의 탈인산화를 유도하여 STAT3의 핵으로의 이동을 억제하고, 전사인자인 STAT3의 표적단백질인 생존관련 유전자(cyclin D1과 survivin)와 세포사멸 억제 유전자(Bcl-2와 Bcl-xL)의 발현을 억제한다. 그리하여, Ginkgetin은 STAT3가 활성화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인간의 전립선 암세포(DU-145)의 마우스로의 이종이식 동물실험에서 Ginkgetin에 의해 종양의 크기와 무게가 감소하였으며 이 때, p-STAT3와 survivin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Ginkgetin이 STAT3를 저해함으로써 항암활성을 갖는 것에 대한 첫 논문이며, 그러므로 Ginkgetin은 훌륭한 STAT3 저해제로서, 앞으로의 STAT3 저해제 개발에 선도 물질로서의 유용성을 지닌 물질이다. Artocarpus altilis (Parkinson) Fosberg는 인도네시아에서 오래전부터 간 경, 고혈압, 그리고 당뇨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식물이다. 여러 나라에서, 말라리아, 황열병, 그리고 뎅기열의 치료제로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Artocarpus altilis의 추출물은 항 아테로마성 동맥경화증과 세포보호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었으나, 암세포에서의 분자적 표적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는 않다. Artocarpus altilis의 추출물과 그로부터 간단히 분리한 분획이 농도 의존적으로 STAT3를 탈인산화시켜 활성을 억제하였다. 활성 물질을 알아내기 위하여, Artocarpus altilis 추출물로부터 CG-901이라는 geranyl chalcone을 분리하였다. 이 CG-901은 p-STAT3의 레벨을 감소시켰으며, STAT3의 표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저해하고, caspase-3와 PARP 조각화를 통해 DU-145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였으며, 마우스로의 이종이식 동물실험에서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rtocarpus altilis가 매우 좋은 천연물 자원이며, 여기서 분리되어진 화합물(CG-901)은 암과 염증을 포함한 STAT3 관련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 선도물질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