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H.264 디코더에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한 에러복원 방법

        전성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resulted in rapid growth in the mobile communication. With this explosive growth, reliable transmission and error concealment techniqu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offer high quality multimedia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 method using gradient vectors to conceal channel errors in inter-frames of H.264 video images. General BMA method computes the sum of pixel differences of adjacent pixels of the candidate block and its neighbouring blocks, assuming that adjacent pixels have almost the same value. In real images, however, there exist some gradients, which means that the pixel values are increasing or decreasing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is paper, we develop a precise estimation method of errors in candidates blocks using gradient information and try to recover lost blocks with this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improvement of picture quality about 1~3dB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이동 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고품질 영상 서비스가 요구됨에 따라 이동 통신 환경과 같은 에러에 노출된 채널환경 하에서 고품질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러 복원 기법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264 화면간(Inter) 프레임에서의 채널 에러에 대한 보완 방법으로 기울기 벡터를 이용한 강화된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 방법을 제안 한다. 일반적인 BMA 방법은 후보블록과 인접블록에 대해 차분을 계산할 때, 인접한 픽셀들의 차분의 합을 구한다. 이는 인접한 픽셀들이 대체적으로 같다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나 실제 영상에서는 기울기가 존재하게 되고 인접한 픽셀들은 특정한 방향으로 픽셀값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상에서의 기울기를 고려한 정확한 차분방법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영상복원을 시도한다. 채널 에러로 손실된 영상에 제안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에 적용된 방법에 비해 약 1∼ 3dB 정도 향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 서울특별시의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실증연구 : 의원과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전성훈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산결정모형과 서울시 예산결정특징을 결합하여 서울시 예산결정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산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대부분 관리적·기술적 측면만이 고려되어 진행되었으며,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특히 지방정부와 관련된 연구는 중앙정부보다 그 규모와 관심의 정도가 덜하여 그동안 제도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둘째, 2005년 지방재정법의 개정으로 지방정부의 예산결정에 자율성과 독립성이 확보되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모든 지방정부에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향후 다른 지방정부의 예산결정과정을 예측할 수 있는 하나의 기준으로 작용될 수 있다. 셋째, 서울시의 예산결정이 어떠한 기준(경제적·정치적 합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규명은 서울시가 갖고 있는 특징과 문제점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서울시의 합리적 자원배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산결정에 대해 서울시의회 의원과 집행부의 공무원간에 인식차이가 존재한다면 어떻게 달리 보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더불어 중앙정부와는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도 함께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의 요약과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적인 시각에서 서울시의 예산결정과정에서는 정치적·경제적 합리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의 예산결정에서 정책에 대한 결정은 정치적 논리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금액에 대한 결정은 경제적 논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시장의 공약사업이 예산편성 기본방향과 부합되면서, 정책 또는 사업에 대한 우선순위의 결정이 시장의 영향력에 따라 이루어지고, 결정된 정책에 대한 금액의 산정은 재정여건을 감안하고, 사업의 타당성 검토와 B/C분석 등과 같은 결과를 반영하는 노력 등의 경제적 합리성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둘째, 서울시는 강력한 시장의 예산권한을 견제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의 일환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대시행이 요구된다. 서울시 예산결정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자 문제점은 시장의 의지에 따라서 주요 정책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이 되고, 이후 경제적인 합리성에 의해 예산이 편성되며, 서울시의회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다는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독점적인 예산주도권을 견제할 수 있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수적이다. 2005년 개정된 지방재정법이 지방정부로 하여금 자율성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을 통해 의회의 역할 강화와 집행부의 강력한 예산권한을 견제하기 위한 것으로 볼 때, 의회와 집행부 간의 정치적 성격이 유사한 현 시점에서 시장의 예산권한을 견제할 수 있는 가장 큰 대안은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예산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셋째, 서울시 예산심의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서울시의회의 실질적이고 내실 있는 예산심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예결특위를 연중 운영되는 상설특별위원회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예결특위에 속해있는 의원은 다른 상임위원회에 겸직을 금지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더불어 예산관련 연구 분석 및 평가 조직을 서울시의회에 신설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 비상설기구인 예결특위를 상설로 전환하고, 위원회 겸직을 제한하면, 관련 기술의 축적과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전문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울시의회의 맹목적인 집행부에 대한 지원도 견제할 수 있다. 넷째, 현재 서울시의 예산결정과정은 재정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핵심 원칙인 ‘견제와 균형’과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울시 예산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의원과 공무원의 인식이 전환되어야 한다. 서울시의회의 저조한 예산조정률과 무수정 통과는 서울시 예산심의가 정치적 합의에 의해 집행부와 의회 모두 승리하는 방향, 즉 공무원은 자신들의 예산을 지키고, 의원은 자신의 정치적 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또는 소속 정당으로부터의 인정을 받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Diesing의 주장과 같이 정치적 논리에 의한 예산결정기준이 협상과 타협을 통한 힘의 균형으로 본다면, 현 서울시의 예산결정과정은 두 집단 간의 정치적 담합의 결과물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따라서 서울시의 합리적인 예산결정과 재정민주주의 구현을 위해서는 관리적·제도적 보완과 함께 인식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예산심의과정에서 요구되는 자료요청에 대해서 공무원들은 의원들의 중복적인 자료요청과 불필요한 자료까지 요청하는 사례가 많아 일반 업무를 추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여·야간 또는 상임위원회 내의 의원들 간의 협조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 상임위원회에 회부되기 전에 각 상임위 의장은 의원들이 요구하는 자료를 취합하여 집행부로 하여금 일괄적으로 자료를 준비토록 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개인별 자료요청에서 상임위원회별 자료요청으로 개선시켜야 집행부는 중복적 자료준비에서 해방될 수 있고, 자료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반면, 의원들은 자신이 요청한 자료의 내용이 불충분하여 추가 자료를 요청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들도 보다 긍정적 입장에서 심의에 적합한 자료제공을 할 필요가 있다. 자료요청 이전에 공개가 가능한 자료와 비공개인 자료에 대한 목록을 상임위별로 구분하여 의회에 제출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공개·비공개의 기준은 현행 법률에 의거하여야 하며, 서울시 내의 자체 내규로 인한 정보제공의 제한은 주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며, 밀실행정에 대한 주민의 의심을 키우는 것으로 집행부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도 간과해서 안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의 예산과정에 성과관리제도를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피드백(feedback)이 필요하며, 예산편성뿐만 아니라 심의, 집행, 회계·감사의 모든 과정에 본 제도가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앞서 살펴본 조사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현 성과관리제도의 도입상황은 예산편성 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제도는 사업과 예산을 연계시키고, 과거 동일 사업의 성과결과를 통해 사업의 유지와 폐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단기 목표를 세워 집행에 있어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를 부여하고, 성과평가를 통해 정확한 성과물 측정과 차년도 예산편성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이다. 따라서 성과관리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편성뿐만 아니라 심의, 집행, 회계 및 결산까지 유기적으로 도입·실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will look into connecting between budget-making model and Seoul city of budget-making keynote. There are the detailed research purposes. First, most of established research about budget was just considered the administrative or technical side, there is a few researches which was linked a theory and practice. In particular, the research about local government was considered institutional section all the while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is bigger and more interesting. Second, for revised the Local Finance Act of 2005, budget-making of local government is ensured autonomy and independence but the research about this was unsatisfied. The research which make Seoul city an object of study place a limit upon generalizing on all of local government. But from now on, that will be one standards for making estimate of the process budget-making of other local government. Third, a searching which about being how to carry out budget-making of Seoul seize the features and problems, and present political proposal about rational resources-distribution of Seoul. The last, if there is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a municipal assemblyman of Seoul and a public servant of executives for budget-making, ascertain how to differ their standpoint and look into how to differ with central government also.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uggest that: first, for comprehensive approach, the way budget-making of Seoul exposes political and economical rationality compositely. The decision about policy of Seoul budget-making is formed by political logic and the decision about amount is made up of economical logic. In addition, as a public pledge is coincide with a guideline of budget preparation, the decision of priority about policy or business is formed by the market influence power. The computation of amount about decided policy pay due regard to given financial condition and there is made up of economical rationality of cost-benefit analysis for business. Second, Seoul city is required citizen participation budget system by extension as a part of political means for restraining strength budget power of mayor. The problems as well as with all the feature of budget-making in Seoul city determine priority about main policy by purpose of mayor and after that the budget is composed by economical rationality and be given full support from council of Seoul city.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hat systemic improvement for being able to restraining strength budget power of mayor. Third, there will be taken practical proposal for ensuring specialty of deliberation on the budget in Seoul city. Concretely, it is required diversion to chang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 Accounts into a standing Special Committee on Budget & Accounts for materializing deliberation on the budget which practical and substantial of council of Seoul city and institutional installation to forbidden a committee concurrent office prevent of the council members. Fourth, budget-making of Seoul city at present should divert cognition of council members and public officials for determining budget of Seoul city because there is pretty dissociation with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for achieve the finance democratism.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awareness conversion and administrative or systemic repletion for realizing rational budget-making and the finance democratism of Seoul city. Th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continuous study and feedback for settl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budget-making of Seoul city quietly, also ceaseless efforts for defining this system on all ways to deliberation, execution, financial audit even budget preparation. As antecedent research result, it is truth that introduc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t present is concentrated on budget preparation.

      • 방정식의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에 관한 연구

        전성훈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6년에 발표된 7차 수학과 개정시안의 교수학습활동에서는 1980년대 이후 강조해왔던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욱 확장된 문제해결능력과 창의적 사고로 나아가도록 문제 만들기 활동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Polya의 문제 만들기 전략에 따른 문제 만들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구조 인식과 수학화 과정을 조사하여 그들의 학습과정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로는 첫째, 방정식 단원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문제의 구조 파악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방정식 단원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과정에 나타난 수학화는 무엇인가? 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습과정을 조사하는 것이므로 정성적 사례 연구방법으로써 중학교 방정식 내용을 중심으로 5차시에 걸친 문제 만들기 활동을 구성하여 중학교 2명의 협력학습과정을 관찰 · 면담을 실시하였고, 이 학습과정을 오디오 녹음으로 보존하여 이를 전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 이는 문제의 외적구조를 파악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주어진 것과 구하는 것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세워 알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수학성적이 우수하지 못한 학생들이 자주 하는 질문 중에 똑같은 구조의 문제(상황과 숫자만 바뀐 문제)를 보고 전혀 다른 문제라고 질문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문제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를 보고 바로 식을 세울 수 있을 만큼 쉬운 문제가 아니고 복잡해 보이거나 문제가 길면 수학학습이 부진한 학생들은 문제를 보고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접근할 때 문제를 재구성(구하려는 것과 주어진 것을 정리) 해보고 단순하고 쉬운 문제로 바꾸어 문제를 만드는 것이 학생들에게 문제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들을 먼저 파악해야 하는데 여기서 학생들은 수학화의 접근이 시작되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주어진 것(현상)을 방정식(본질)을 세워서 문제 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수학화과정이 진행되었고 주어진 것과 구하려는 것의 각각의 변인을 바꾸거나 첨가하여 새로운 문제를 구성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풀어 본 문제를 다시 보게 되어서 반성적 사고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발전된 수학화가 이루어졌으며 마지막 단계인 ‘문제 일반화하기’에서 본 문제를 해결한 식(현상)을 일반적인 식(본질)으로 표현하여 확장된 수학화가 이루어졌다. 셋째, 매 문제 마다 ‘문제 일반화하기’단계를 통해서 다시 현상으로 되돌리는 과정을 통해 문제의 구조가 더욱 확실하게 재인지할 수 있는 과정이 되었고 그럼으로써 수학화가 견고해지는 기회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적절한 발문을 통해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문제 만들기를 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주어진 문제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문제를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하는데 이 때 협력학습을 통한 동료의 도움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문제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문제의 구조를 확실하게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제가 만들어지는 요소와 원리를 알게 되는 기회가 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은 점진적인 수학화가 이루어지도록 교사가 이해하고 안내하는 것이 그 과정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교사가 접근할 수 있는 전략으로는 문제의 외적구조를 단순화하고 또 내적구조에 필요한 대수적 사고를 학생의 수준에 따라 파악해서 이를 재인지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정한 수학화는 문제구조를 모르고 이루어질 수 없으며 또한, 문제구조만으로는 진정한 수학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수학화와 문제구조는 문제해결과정에서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을 뿐 서로 보완하는 필요충분조건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수학의 여러 다른 내용에서도 문제 만들기 활동은 꾸준히 연구되어야하며 이 때 수학화와 문제구조를 발전적으로 제시하고 접근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과 학습자료가 제시되어 현장의 교수학습을 도와야 한다. In the revised version of the 7th mathematics national curriculum announced 2006,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school mathematics were recommended so as to exp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even more, not only just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focused since 1980s.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udents' learning process by examining their perception process of problem structure and mathematization, and further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by provid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 according to Polya's problem-posing strategy. For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two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o find students' processes in problem posing; firstly, how were the problem structure presented in students' problem-posing activities for the equation dealt in the middle school?; secondly, how was mathematization taking place in students' problem-posing activities for the equation?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ollaborative learning of two middle school students by providing problem-posing activities of five lessons and interviewed the students during their performance. Also students' learning processes were recorded in audio tapes and transcribed into Korean written form.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through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mathematical facts given in a problem and the mathematical results to be found should be examined, which consisted of the part of problem structure and were a foundation to solve the problem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knowledge they already knew by making mathematical formula out of the given facts. It was often found that students with a lower achievement(slow learners) considered two problems even when they were in the same structure (where only situations and numbers of the problem changed) totally different ones, because they did not see the problem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problem. The slow learners didn't find the problem as easy as they could make formulas immediately and instead perceived it complicated or very difficult.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structure (things given and things to be found) modified by arranging and transforming them into simple and easy ones like giving a simpler number onto a known variable was helpful for students to proceed in solving the problem, getting them over their difficulty when encountering complicated and difficult problems. Secondly, mathematization was conducted by making equations(noumenon) out of given facts (phenomena) in the first place while the things given and the things to be found should be analyzed first in order to solve problems: students generated new problems by changing variables or adding new variables for something given and something to be found, and here the advanced mathematization took place with eliciting reflective thinking by having them seeing problems they have previously solved; and the expanded mathematization was performed by building a formula using the problems (phenomena) as the generalized formula (noumenon) in ‘generalizing the problem’ at the final stage. Thirdly, the problem structure has been recognized even firmly and mathematization has become more solid through revisiting the phenomena for ‘generalizing the problem’ for each problem. Lastly, for the problem-posing, getting students to be a active participant was an important factor to make it effective. In result,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is necessary so that students can make creative problems through teacher's appropriate questioning.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make new problems beyond given problems, and also, it was found that peer teaching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was very helpful in process of problem posing.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the process of problem posing required accurate understanding of problem structures and this becam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elements and principles of the problem to find the relation of the problem. So, the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experience the gradual mathematization in process of the problem posing. At this time, teachers may use a strategy of simplifying external structure of the problem and analyzing algebraical thinking necessary to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students' level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e problem. In the current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uthentic mathematization can neither be performed without understanding the problem structure nor only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structure guaranteed the authentic mathematization. Accordingly, mathematization and structure of problems are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topic of problem posing should steadily be studied in various areas of mathematics, to guide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schools where the mathematization and the problem structure are weaved to make their math class meaningful.

      • 무동력 트레드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성훈 한국체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보행에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무동력 트레드밀, 일반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한 후, 무동력 트레드밀, 일반 트레드밀 훈련과 보행능력 간에 연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하여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로 발병 후 6개월 이상인 환자, 보장구의 착용유무에 관계없이 10분 이상 보행 가능한 환자, 한글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점수 24점 이상으로 지시를 따를 수 있는 환자, 정형 외과적 질환으로 보행에 문제가 없는 자로, 연구에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히고 실험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무동력 트레드밀 훈련그릅(n=15)과 일반 트레드밀 훈련그룹(n=15)으로 선별하여, 주 5회 4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운동 전·후 2분 걷기검사, 10m 보행 속도 검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를 통해 보행능력을 분석하였다.

      •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과 요구도 분석

        전성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이다. 구체적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조사에 앞서, 참조집단에 의해서 45개(5개 영역: '개인적 특성', '지식', '교수설계 및 개발', '교수실행', '평가')의 교수역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나서 4개의 고등학교에서 조사가 실시되었다. 교사경력에 따른 표본수는 31명(0~5년차), 46명(6~20년차), 42명(21년차 이상)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그룹간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4개('학생에 대한 애정 및 존중', '교과지식', '평가에 대한 지식', '적절한 과제 제시')의 교수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5개의 교수역량 영역으로 비교하였을 때, 3개의 영역('개인저거 특성', '지식', '교수실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세 집단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0~5년차는 16개의 교수역량을 다른 교수량들 보다 높게 요구했고, 6~20년차는 15개 역량을 높게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21년차 이상은 13개 역량을 높게 요구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몇몇 후속연구와 제언을 제안한다. 첫째, 교사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연구가 교사의 다양한 측면('예를 들어, 학위, 성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교사와 학생 양쪽의 입장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in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ing. 1. What is perception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2. What are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Prior to survey, 48 teaching competencies(five areas: ‘personal characteristic’, ‘knowledge’, ‘instructional design & development’, ‘instructional practice’, ‘assessment’) were drawn by referent group. An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4 high school. Sample sizes in accordance with career are 31(0~5 years’ career), 46(6~20 years’ career), 42(over 21 years’ career).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teaching competenci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competencies(‘Affection and respect for the students’, ‘subject knowledge’, ‘knowledge for assessment’, ‘appropriate problem presenting’). And when compared to the five teaching competency a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areas(‘personal characteristic’, ‘knowledge’, ‘instructional practi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the three group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0~5 years’ teachers high needed 16 competencies more than the other competencies. And 6~20 years’ teachers high needed 15 competencies. Finally, over 21 years’ teachers high needed 13 competenc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 some further studies and suggestions. First,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y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hat teacher empowerment programs are operated effectively. Second, research for finding out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done on teacher’ various aspects(e.g., degree, gender). Third,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과 대인매체 이용과의 관계

        전성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begun in worry about collapse of family function by the increase of new media in home. Appearance of computers or mobile phones that has better interactivity than other medias have permitted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outside even if they do not go out of the room. Communication with the age group can be increased by children's media use at home but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is thought to be reduced. Therefore, Interpersonal media such as computers or mobile phones have been misunderstood as the main factor of home breakdown by various news press.Appearance of new media at home may alternate use time of existing media or alternate other activity of sleeping, eating, conversation etc, according to existing discussion about media use at home. Or it is going to reset time that spare in each activity through whole reassignment.These time reassignment might happen in leisure time at home and is expected therefore to give change in conversation time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leading factor for family relation preservation.As the result of th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question mentioned above, media use time has not influenced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that is the measure of family health and function, and has not exerted any effect in conversation time between family members that strongly affect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Preferably, family's conversation time tends to increase gradually as the increase of media use time in home.The concept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in 'system theory'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interpersonal medium utilization form between family members. Family cohesion is divided by 4 steps that are the disengaged, the separated, the connected and the enmeshed step. Family adaptability is divided by 4 steps that are the rigid, structured, flexible and very flexible step according to degree. By this classification, the use behavior of mobile phone voice, mobile phone SMS, wire telephone and E-mail which are typical interactive interpersonal media were examined.According to the result, as family cohesion is higher, family members more often communicated eash other through mobile phone voice, mobile phone SMS, wire telephone. As family adaptability is higher, they communicated each other through mobile phone voice and mobile phone SMS.Also, as family cohesion is higher, they preferred using wire telephone when they ask their family's regards, get information and make an appointment. Using mobile phone voice was preferred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Similarly, mobile phone SMS and E-mail were preferred for the purpose of sending regard and entertainment. Mobile phone voice, E-mail, mobile phone SMS were preferred for the purpose of getting information.The important point is that wire telephone was the preferred media in every situation between family members. mobile phone voice is secondly preferred. E-mail is not considered to use in most situations between family members. E-mail coul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at are divided by family cohesion and its use frequency was lower than other interpersonal media. As family adaptability level is closer to the enmeshed group, the use frequency of mobile phone voice and mobile phone SMS tends to rise.Finally, it is hard to see that interpersonal media which is having powerful interactivity disturbs the family conversation at home and causes harm to family function. Preferably, it is confirmed that family members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interpersonal media in various situation as the function of family works well.A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the group are higher, family members communicated each other more frequently through wire telephone, mobile phone SMS, mobile phone voice and E-mail in motive of regard, appointment, information, entertainment. 본 논문은 가정 내 새로운 미디어 이용 증가에 따른 가족 기능의 붕괴에 대한 우려에서 시작되었다. 컴퓨터나 휴대폰 같이 상호작용성이 뛰어난 매체의 등장은 가정에서 자녀들이 굳이 방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외부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가정 내에서 자녀들의 이러한 매체 이용 행태는 또래 집단과의 커뮤니케이션은 증가시킬 수 있으나 가족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감소시킬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따라서 각종 뉴스매체를 비롯한 사회 통념상 컴퓨터나 휴대폰 같이 상호작용성이 뛰어난 대인매체는 가정 파괴의 주범으로 오해받았다.가정 내 미디어 이용에 대한 기존 논의에 따르면 가정 내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기존 미디어의 이용시간을 대체하거나 아니면 취침, 식사, 대화 등의 여타 활동을 대체할 것이다. 또는 생활시간 전반의 재할당을 통해 각 활동에 할애하는 시간을 재조정할 것이다. 이러한 시간의 재할당은 가정에서의 여가시간 내에서도 이루어질 것이고 따라서 가족관계 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되는 가족 간의 대화 시간에도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대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정 내 미디어 이용시간은 가족 건강과 기능의 척도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족 간의 대화시간에도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오히려 미디어 이용시간 증가에 따라 가족 내 대화시간이 조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가족 간 대인매체 이용 행태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체계이론에서의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에 대한 개념을 가져왔다. 가족응집성은 그 응집력의 정도에 따라 이탈, 분리, 연결, 밀착의 4단계로 나누어지며, 가족적응성은 그 정도에 따라 경직, 구조, 융통, 매우융통의 4단계로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구분을 기준으로 하여, 대표적 상호작용 대인매체인 휴대폰 음성, 휴대폰 문자, 유선전화, 이메일의 가족 간 이용행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족응집력이 높을수록 가족 간 휴대폰 음성, 휴대폰 문자, 유선전화를 더 자주 주고받았으며, 가족적응성이 높을수록 가족 간 휴대폰 음성과 휴대폰 문자를 더 자주 주고받았다. 또한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안부, 정보, 약속의 상황에서 유선전화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오락적 상황에서는 휴대폰 음성을 가장 선호하였다. 마찬가지로 가족적응성이 높을수록 안부, 오락적 상황에서 휴대폰 문자와 이메일을 선호했으며, 정보적 상황에서 휴대폰 음성, 이메일, 휴대폰 문자를 선호했다. 주목할 점은 가족관계에서는 안부, 정보, 약속, 오락의 모든 상황에서 유선전화를 가장 적합하게 여기고 다음으로 휴대폰 음성을 적합하게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이메일은 가족관계에서는 모든 상황에서 적합하게 여겨지지 않고 있다. 가족응집성 수준이 높은 밀착 집단일수록 유선전화와 휴대폰음성, 휴대폰문자를 가족 간에 더 자주 이용하고 있었다. 이메일은 그 이용 빈도도 다른 대인매체에 비해 낮았을 뿐 아니라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그리고 가족적응성 수준이 높은 매우 융통집단에 가까울수록 가족 간 휴대폰음성과 휴대폰문자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상호작용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새로운 미디어가 가정의 대화시간을 방해하거나 가정의 기능을 저해하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오히려 가족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되고 있는 가정일수록 다양한 상황에서 가족구성원간 대인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족응집력과 적응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더 빈번하게 안부, 약속, 정보, 오락 등의 동기에서 가족구성원간 유선전화, 휴대폰문자, 휴대폰음성을 주고받고 있었다.

      • 시각 매체와 혼용되는 효과음들의 디자인에 따른 인지차이 연구

        전성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다감각 매체들이 발전함에 따라 기술적 발전을 넘어 이들이 인간에게 어떻게 전해지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인지적인 차이가 중요시되고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 중심의 매체 감상에서 몰입형 공간 내에서의 복합적 체험의 장으로, 간접적 경험에서 직접적 경험으로 진화함에 따라 매체는 정보와 시각적인 전달을 넘어 다양한 감각을 수용하고 융합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 과거의 매체에서 상대적으로 경시되었던 여러 감각들이 새로운 관점으로 연구되고 있다. 예전처럼 이론적 법칙을 중심으로 한 제작을 넘어 개인의 주관 판단과 그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체의 감각적 부분 제작에 있어 새로운 방법론이 제시되고 있다. 점점 더 인간의 수용 단계에서 대상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즉, 뇌의 인지판단 과정에 주목을 하기 시작한 것이다. 본 논문은 위의 화두를 바탕으로 시각 매체 및 복합 매체에 혼용되는 효과음들의 디자인에 따른 인간의 인지적 차이를 연구분석한 것이다. 첫 번째, 소리와 효과음, 믹싱에 쓰이는 청각적 효과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사례들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했다. 이 과정을 통해 효과음 제작의 전반적인 방법과 함께 선행 연구에는 어떤 관점으로 이를 관찰했는지 파악했다. 두 번째, 선행 연구에서 부족했던 연구적인 관점과 방법을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감상적인 부분 및 화성적인 부분을 제외한 인지적 차원의 청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그에 따라 매체에 자주 쓰이는 비화성적이고 비음악적인, 사물의 물성과 공간을 묘사하는 소리들을 연구의 중심 소재로 사용했다. 세 번째, 심화 연구 및 실험을 위한 매체들을 제작했다. 매체에 쓰일 효과음은 사물의 물성을 나타내는 소리, 공간의 특징을 묘사하는 소리 두 가지로 나누었고 배음과 주파수 차이를 중심으로 한 인지 차이를 실험했다. 실험을 할 때 대상자가 즉각적으로 답을 도출하도록 유도하고자 각 항목 별 5초 이내에 10개의 단어 중 2 단어를 선택하도록 했다. 네 번째, 실험 결과 및 응답을 분석했다. 각 실험 항목에 따라 어느 정도로 단어를 선택했는지, 제출 답안의 편향 수치는 어느 정도인지 통계적인 관점으로 실험 결과를 분석했으며 이를 수치화했다. 마지막으로 전체 연구에서 만족했던 점과 부족한 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서 심화적으로 나아가야할 부분에 대해 고찰했다. 인지 중심의 실험을 넘어 인간에 대한 생물학적 및 심리학적 부분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언급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