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적 요인이 창업의도 및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효식,양동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5 벤처창업연구 Vol.20 No.3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는 환경 속에서 각국은 경제불황 극복과 실업 해소 방안의 일환으로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각종 정책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각종 창업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직장인들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창업활동은 여타 활동에 비해 의도가 행동으로 실현되기 까지의 시간이 길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의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도가 행동으로 이어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예비 창업가를 둘러싼 환경을 특정하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속한 사회체계에 집중하였다. 즉, 개인이 소속된 사회체계 중 가장 작은 단위인 가족을 필두로 직장, 사회 전체 등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체계별 속성으로서 가족건강성, 직무불안정성과 사회불안인식을 환경적 요인으로 규정하였다.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 문화권에서는 개인 보다는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개인주의 보다는 집단주의에 가까운 공동체적 가치체계나 의사결정 구조는 직장인들의 창업의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창업준비행동을 실행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는 개인의 환경적 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창업의도가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아울러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이 창업의도와 창업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대해 일반 직장인 353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로 창업의도가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 151명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환경적 요인 중 직무불안정성 만이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의도는 창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업의도와 창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도가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이 작아지는 조절(대립)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창업의도가 높은 국내 현실에도 불구하고 실제 창업행동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원인 규명을 위해 기존 창업 관련 연구에서는 좀처럼 논의되지 않았던 타 연구 영역의 변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과 함께, 국내의 창업 관련 연구분야에서 도외시 되고 있는 의도와 행동 간의 간극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연구의 지평을 높였다는데 학문적 시사점을 찾을 수 있고, 실무적으로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창업의도와 창업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여 실효성 있는 맞춤형 창업 지원 정책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are accelerating, various countries are striving to overcome economic instability and unemployment by revitalizing entrepreneurship through various policy measures. Korea is also expanding policies to support entrepreneurship, and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entrepreneurs is increasing. Entrepreneurial activities typically require a longer time to realize, being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Thu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a crucial role.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ocial factors that individuals belong to into three levels-family, workplace, and overall social system-and systematically regulate family strength, job insecurity, and social anxiety perception. In Eastern cultures, including Korea, there is a tendency to emphasize family over individuals, and collective structures of decision-making are more prevalent than individualistic ones. This cultural contex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behavior.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how these factors, along with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 regulation ability, influence entrepreneurial behavior. A general survey of 353 individuals and a detailed analysis of 151 office worker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actu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se relationships. The research found, first,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 strength and job insec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self regulation a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behavior, suggesting that the higher the self regulation ability, the stronger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behavior. This study recognizes the reality that although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high in Korea, it often does not translate into actual entrepreneurial activity. To understand the reasons behind this, the study reviews existing research that had previously been limited in addressing these factor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more active exploration in the domestic context. By providing new academic perspectives and insights, it offers theoretical founda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practical and effective entrepreneurship support policies tailored to promot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behavior.

      • KCI등재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따라 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

        장효식,양동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5

        이 논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대표되는 기업가정신이 일반인에 비해 투철한 기업가들의 인지편향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따라 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끊임없이 요구되는 기업활동과 관련한 의사결정 시 기업가들은 자신의 지식과 경험 및 외부 전문가들의 조언을 참고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 및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자신의 인지편향에 따라 휴리스틱(간편 추론법)에 종종 의존하게 된다. 특히, 기업의 성장과 영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계획 중인 신사업 기회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도 휴리스틱에 의한 의사결정을 한 나머지 실패하게 되는 사례를 우리는 많이 접하게 된다. 이 연구는 거듭된 성공 경험으로 형성된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때로는 사업의 실패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신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요구에서 진행하게 되었다. 그동안 대학생이나 창업을 희망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지편향이 창업 및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문은 다수 있지만, 기업가만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기업가들만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중소/중견기업 기업가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모바일 조사와 응답자의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병행 조사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립변수인 기업가의 인지편향 중 과잉자신감과 통제 착각이 사업 기회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 변수인 사회적 네트워크는 과잉자신감이 사업 기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기업가들이 인지편향을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영향력을 알려줌으로써, 기업가들이 신사업 기회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인지편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와 기업가의 인지편향이 신사업 기회 평가와 관련한 구조적 관계를 사회적 네트워크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기업가들뿐만 아니라 기업가 교육 및 정책 결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on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given their strong entrepreneurial spirit, which is characterized by innovation, proactivity, and risk-taking. When making decisions related to business activities, entrepreneurs typically make rational judgments based on their knowledge, experience, and the advice of external experts. However, in situations of extreme stress or when quick decisions are required, they often rely on heuristics based on their cognitive biases. In particular, we often see cases where entrepreneurs fail because they make decisions based on heuristics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select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at are planned to guarantee the growth and sustainability of their compan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need for research to clar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on new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given that the cognitive biases of entrepreneurs, which are formed by repeated successful experiences, can sometimes lead to business failur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effects of cognitive biases on entrepreneurship and opportunity evalu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people who aspire to start a busines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have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biases and social networks among entrepreneurs.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surveys of entrepreneurs only, and also conduc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network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parallel survey method using online mobile survey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50 entrepreneu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verconfidence' and 'illusion of control',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variable, social network, moderates the effect of overconfidence on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play a role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select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and that social networks play a role in moder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cognitive biases and business opportunity evalu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not only to entrepreneurs, but also to entrepreneur education and policy making, by showing how entrepreneurs can use cognitive biases in a positive way and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 KCI등재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가치와 고객 만족,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효식,황선옥,최용석 한국외식경영학회 2024 외식경영연구 Vol.27 No.5

        연구목적:본 연구는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가치, 고객 만족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24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의 방식으로 총 259부의 표본에 대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첫째,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은 고객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은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서비스품질 중 결과품질을 제외한 과정품질과 환경품질은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가치는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가치는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객 만족은 관계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fine dining restaurants and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Methods: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by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March 1 to March 30, 2024, on a total of 259 subjects. Results: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 service quality of fine dining restaurant positively affected customer value.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fine dining restaura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rd, the service quality of the fine dining restaura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Fourth, customer value positively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Fifth, customer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Sixth,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Implications: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fine dining restau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