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불교적 상상력

        장영우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2

        The serialized fiction A Day of the Novelist, Mr. Gubo written by In-hoon Choi is a parody of the text of the same title written by Tae-won Park . In Choi’s work, he described many contemporary writers and their daily routine realistically along with the main character 'Gubo', which is supposed to be Choi's alter ego. In this regard, the fiction shows some distinguishable changes that are not commonly found in his previous personal novels. In this fiction, there are characters who are deeply interes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al-political issues, and have a critical reflection on art and novel. Gubo, as writing worker (a labor worker who produces fictions), has been living with decency and diligence. Writing worker’s tasks include reading and writing, manuscript review, editing of an entire book, watching film, and visiting art exhibitions. Inspired by the displaced refugee writers like Dante, Chagall, Joong-Seob Lee who explored unfamiliar places and developed unique and creative style to represent the image of their original place, Gubo tired to find a way to develop his writing. Life of Gubo resembles the footsteps of an Ascetic who overcomes the weight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nd his master, and then walks on his own 'road without the road'. Choi explained the multiple tradition with the belief that ancient Western and Korean literature are not alien/different to each other, and narrative concepts from Western and Korean literature cannot be separated. Such an attitude reminds us of the intellectuals who were advocating ‘the Eastern Way-Western Means Theory’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argues that Choi’s parody of traditional novel such as The Cloud Dream of the Nine can be seen as a strategic move to experiment the possibility of rebirth of Korean traditional novel in today’s literary world. In that sense, ‘novelist Mr. Gubo’ can be understood as a literary cornerstone in Choi's serialized and parody novels which seek a new style of modern Korean novel based on ancient narrative style without imitating Western literary style.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박태원의 동명소설을 패러디하여 연작으로 확장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작가의 분신으로 짐작되는 ‘구보’란 인물 외에도 작가의 동료·선후배 문인들이 다수 등장하여 당시 문인들의 일상 및 문단 풍경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은 신변소설적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 작중인물이 국내외 정치·사회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미술이나 소설에 관한 비평적 성찰이 중심을 이루는 점은 이전의 신변소설과 구별된다. 구보는 소설노동자로서 하루하루를 성실하고 근면하게 살아간다. 책 읽고 글쓰기, 원고심사와 전집 편집 참여는 물론 영화와 미술전 관람 같은 것도 소설가로서의 노동에 포함되는 업무라 할 수 있다. 그는 단테·샤갈·이중섭 등 ‘피난민 예술가’가 외지를 떠돌면서 자신만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기법으로 고향 이미지를 재현한 것에 감명을 받아 자기 문학의 활로를 찾는다. 그것은 부처와 스승의 가르침의 무게를 이겨내고 자기만의 ‘길 없는 길’을 가는 수행승의 행보와 닮아 있다. 최인훈은 서구 문학과 한국의 고대 소설이 서로 이질적인 것 같지만, 광의의 서사 개념으로는 분리될 수 없다는 인식하에 야누스적 전통론을 주장한다. 그러한 태도는 19세기말, 20세기초 서구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주창했던 우리 지식인들의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을 떠올리게 한다. 그가 「구운몽」 등 고전소설 패러디에 집중한 것은, 서구적 소설과 전통서사의 조화를 통해 한국적 현대소설의 가능성을 실험하려는 의도라 생각된다. 그런 점에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는 한국의 서사 전통을 주춧돌 삼아 서구 소설의 모방이 아닌 한국 소설의 새로운 형식을 모색한 최인훈 연작·패러디 소설의 한 진경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가상현실

        장영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4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Humanities and the ways of improving our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I am a digital humanities scholar as well as a literary researcher: I work on the computer most of time while I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Even if most humanities scholars rely on the computer devices and their system when they conduct a research project or write academic papers, they do not realize that their research activities fall into the category of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is not about using digital tools as a means to reconstruct our knowledge, but it is an effort to build new academic communities that transcend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academic fields through the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herefore, Digital Humanities can be defined as a concept that refers to a series of academic activities, such as research activities in Humanities and its education, in the new way by applying the computer (information) technology to the problems of the humanities field,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process is the consilience and collaboration of digital and humanities. The digital environment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sense of immersion and the vicarious experience of the user, but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small room for the reader's imagination. The sense of immersion and joy the users experienc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re not a direct experience of the reality but a vicarious experience (agency) in the virtual reality. It is different from the term substitute behavior because the user is participating in the internet game, and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direct experience because the game is built in the virtual space. The problem that digital game users who are deeply involved in the game that offers the sense of full immersion and vicarious experience (agency) show the anti-social behaviors in the real world should be addressed. Humanities scholars who are doing the creative and productive works must be the main body of consilience and collaboration of Digital Humanities. Human imagination is more valuable than the sensation we experience when we look at the shocking images produced by ever-evolving computer technology. It is hard to disagree that humanities are the crucial academic field that can enhance human imagination.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의 특질과 앞으로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쓴다. 나는 국문학 연구가로서 컴퓨터로 많은 작업을 하는 디지털 인문학자다. 대부분의 인문학자들이 컴퓨터 기기 및 시스템에 의존해 연구하고 글을 쓰면서도 자신의 연구 활동이 디지털 인문학의 범주에 속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디지털인문학은 단순히 디지털 도구를 학문과 지식의 재구성을 위해 동원하는 수단이 아니라 초학제적(transdisciplinary)으로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학문 공동체를 구성하려는 노력이다. 그러므로 디지털인문학은 컴퓨터(정보) 기술을 인문학 분야의 문제에 적용시켜 새로운 방식으로 인문학 연구와 교육 등 일련의 학문적 활동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과 인문학의 융합과 협업이다. 디지털 환경은 체험자의 몰입(immersion)과 대리체험(agency)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독서할 때의 자유로운 상상(imagination)이 방해받는 단점이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몰입과 즐거움은 현실의 직접 체험이 아니라 가상현실에서의 대리체험이며, 그것은 이용자가 인터넷 게임에 참여하는 형식이어서 대리만족(대상행동, substitute behavior)과 구별되는 것 같지만, 게임 공간이 실제 현실이 아니라 가상현실이라는 점에서 직접체험과 다르다. 디지털 게임 이용자가 게임에 깊이 빠져들수록 현실부적응 행태를 보이는 것은 가상체험의 몰입, 대리체험이 해결해야 할 숙제다. 인문학자가 디지털 인문학의 융합․협업의 주체가 되어야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작업이 가능하다. 갈수록 진화하는 컴퓨터 기술이 재현할 시각적 이미지의 화려한 충격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상상력’을 저하시키기 않는 일이다. 인문학이 인간의 상상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력한 학문분야라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KCI등재후보

        A Nationwide multicenter registry and biobank program for deep phenotyping of idiopathic and hereditary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n Korea: the PAH platform for deep phenotyping in Korean subjects (PHOENIKS) cohort

        장영우,김성식,박수정,최한울,오평준,오세연,김경희,김계훈,변경희,정욱진 대한고혈압학회 2019 Clinical Hypertension Vol.25 No.4

        Background: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is a progressive, chronic disease without curative treatment. Large registry data of these patient populations have been published, although, phenotypic variants within each subtype of PAH have not been elucidated. As interest towards personalized medicine grows, the need for a PAH cohort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tient phenotypes through multiomics approaches, called deep phenotyping, is on the rise. The PAH Platform for Deep Phenotyping in Korean Subjects (PHOENIKS) cohort is designed to collect clinical data as well as biological specimens for deep phenotyping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AH (IPAH) and heritable PAH (HPAH) in Korea. Methods: A total of 17 regional hospitals are currently working on enrolling up to 100 consecutive IPAH/HPAH patients for obtaining clinical data and biological specimens across Korea. The diagnosis of PAH is based on right heart catheterization. All clinical data is stored in a government-based online database. Each participating hospitals collect a whole blood sample from each patient, through which DNA, RNA, serum, plasma, an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ill be extracted from the buffy coat layer for further multiomics analysis. Results: Not applicable. Conclusions: The PHOENIKS cohort is enrolling IPAH and HPAH patients across Korea to determine the prognosis and drug response in different phenotypic variant. The data generated by this cohort are expected to open new doors for personalized medicine in PAH patients of South Korea

      • KCI등재

        민족 갈등에서 계급 투쟁으로의 전화(轉化) - 이휘영, 『만보산(萬寶山)』론 -

        장영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1

        The novel Manbosan(萬寶山, Wanbaosan) is a kind of reportage that backcasts the real facts of the ‘Wanbaosan Incident’. The fact that the novel is based on the ‘Wanbaosan Incident’ by Korea․China and Japan novelists and the contents separates their ways is evidence which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is incident. This novel describes the progress of conflict between Chinese landowner and Korean peasants. That is a reflection of the features of reportage literature. An advantage of this novel is the description of a scene accepting bribe verisimilarly. But the weak point of this novel as a piece of realism literature are the excessive interventions or abstract statements of an omniscient narrator. A virtue of this novel changes from the national conflict between Chinese landowners and Korean peasants to the class strife, which is switched over problem of an anti-Imperialism․anti-Japanese sentiment. So as to do something, this novel’s writing composes a narrative strategy which unified the Chinese landowners and Korean peasants. But these creations are so excessive, and may receive criticism from other readers that disclose fundamental limits of literature related to class. 『만보산』은 ‘만보산 사건’을 사실에 거의 근사하게 재구한 일종의 보고문학이다. 만보산 사건을 제재로 한 소설이 한중일 삼국에서 쓰여지고 그 내용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은 이 사건의 중요성을 암시하는 증좌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 만보산 일대의 관황둔 개간과 관련한 중국 지주와 조선농민 대표, 그리고 실존인물이 그대로 등장하여 갈등이 심화되는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서술한 것은 보고문학적 특질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학영덕-마현장의 뇌물 수수 장면은 핍진하게 묘사하면서 중국과 일본경찰의 폭력적 행위 등은 소문으로 처리하거나 전지적 서술자의 요약적 진술이나 개입이 많은 것은 리얼리즘 소설로서의 취약점이다. 이 작품의 특징은 황무지 개간에 필요한 수로 건설 문제로 조선농민/중국농민 사이에 빚어진 갈등을 계급의식으로 전화하여 반제․항일의 문제로 전환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작가는 이경평에게 ‘완벽한 인물’의 성격을 부여하고, 조선인 김복을 망명객으로 묘사하여 개간사업에 참여했던 조선농민을 중국농민과 연합하게 하는 서사 전략을 구사한다. 하지만 소설의 결말부분에서 조중농민 연합세력이 수로를 붕괴시키는 장면을 삽입함으로써 조선농민들이 두 달여 동안 피땀 흘려 건설한 수로사업을 무화하는 모순을 초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복의 말 한 마디에 수로건설을 포기하고 중국농민과 함께 제국주의에 저항한다는 설정은 특정한 이념이나 목적에 종속된 계급문학의 본질적 한계를 드러내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무정』의 맥락화와 문학사적 의의

        장영우 춘원연구학회 2017 춘원연구학보 Vol.0 No.10

        이 논문은 이광수의 『무정』과 논설, 일제말 작품을 ‘맥락화’의 관점에서 새롭게 검토하고자 한 글이다. 이런 관점에 따르면 『무정』은 고대소설적 양식을 계승, 전복하면서 근대소설의 특질을 차용하여 새롭게 발전시킨 소설이다. 이 과정에서 이광수는 애초 구상했던 『영채전』을 『무정』으로 개작했는데, 『영채전』에서 『무정』으로의 전환은 작품의 서사와 주제의 전면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영채가 ‘선(善)’과 ‘의리(義理)’의 도덕적 세계의 과거형 인물이라면, 형식은 개인적 욕망을 추구하는 감정적 세계의 근대인이다. 민족주의의 특질을 자민족의 타민족에 대한 우월성에서 찾는 가장 일반적인 논리에 따르면,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을 민족주의 논설로 이해해온 지금까지의 관점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그는 우리 민족이 처한 곤궁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교육과 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도 정작 우리 민족의 우월한 능력을 발굴하고 용기를 북돋우는 일에는 인색했다. 「민족개조론」 전반에 걸친 그의 논조와 태도는 우리 민족의 열패감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이광수의 의도와 상관없이 일제의 조선(인) 비하 정책과 논리의 주요한 전거로 전유되었던 것이다. 이광수는 1930년대 말 이후 진화론ㆍ민족주의에서 벗어나 불교의 연기론에 깊이 빠져든다. 그는 현재의 신심과 행동에 따라 내세의 신분이 완전히 뒤바뀔 수 있다는 윤회연기론을 받아들이면서 현재의 치욕적인 삶을 인정하는 한편, 내세에는 강대국의 지배계층으로 태어나려는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이처럼 이광수는 진화론에 대한 신념과 강대국 국민이 되고자 하는 열망을 평생 포기하지 않았다. 이광수가 일제말에 보였던 이해하기 어려운 태도는 중의적 맥락에서 접근할 때 올바른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 후 재미동포소설 연구 - 재미동포문단의 형성과 현황

        장영우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8 No.-

        Korean-American Literature is greatly divided into English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however, that means Literature created in English mainly. In other words, Korean-American Literature might be considered ‘Diaspora Literature’ that is hardly referred in Korea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being estranged. Korean immigrant 1st generation in America have not only had traditional culture and custom but kept close relationship with motherlan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ince they emigrated after 1970s. They have mostly formed their own society, Korea-Town in the metropolis and use the Korean language, but got along to adapt and assimilate into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In fact, it can be verified easily that Korean emigrant 1st generation keep the strong identity of motherland and nationality while Korean emigrant 2nd generation show duplex identity amalgamated with motherland’s culture and dwelling country’s culture or hybridity state. At this point, duplex identity is appeared the boundary or marginal man’s conscious wondered just as being cannot belonged to either society. And also it can be appeared a bridge role for connecting two societies or a creative leader who is beyond both of two societies. Korean-American writer’s novel in Korean has been the diaspora theme of gold mine relevant to Korean-American’s emigration, discrimination, adaptation, assimilation, hybridity, national culture, national identity and etc. since liberation. 재미동포문학은 크게 영어문학과 한국어문학으로 나뉜다. 그러나 현재 주로 논의되는 재미동포문학은 영어로 창작된 문학만을 뜻한다. 다시 말해 재미동포 한국어문학은 미국은 물론이거니와 한국에서도 소외된 채 거의 언급되지 않는 '디아스포라 문학'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재미동포 1세들은 1970년대 이후 이민을 간 사람들이어서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관습을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문화적으로 조국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한다. 그들은 대부분 대도시에서 코리아타운을 형성하고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미국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고 동화하게 된다. 이것은 이민1세대가 모국과 민족에 대한 강한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이민 2세대 이후에는 모국과 거주국의 문화와 정체성이 융합된 이중정체성, 혹은 혼종 상태를 보이는 사실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중정체성은 어느 사회에서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계인 의식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양쪽 사회를 매개하는 교량 역할을 하거나 양쪽 뛰어넘는 창조적 리더쉽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해방 후 재미동포 한국어 소설은 재미동포들의 이주, 차별, 적응, 동화, 혼종, 민족문화와 민족정체성 등과 관련한 '디아스포라'적 주제들의 금광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장호(章湖) 연작시 연구

        장영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0

        The early poetry of Jang-Ho pursued newness with an interest in modernism and poetic drama, but after his forties, he developed unique mountain poetry, the imagination on shoes, and the Non-dual thought of missing persons. He also expressed his thoughts on society as a poet through the ‘crow serial poetry’. the crow serial poetry is based on his personal experience in Tokyo. In this regard, ‘mountain, shoes, crows, missing persons’ in his serial poetry are valuable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Jang-Ho's literary work. Jang-Ho's ‘Mountain serial poetry’ shows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a timid self and it is different from usual nature poetry which contains friendly and ecological themes. In that sense, the Jang-Ho's mountain poetry can be regarded as a work that has developed a unique place that only the poet can create. The mountaineer, Jang-Ho, has great pride in his legs and feet. He washed his feet first in the bath, and cleansing his hiking boots after every mountain climbing. His deep connection for his feet and hiking boots is evolved into a unique imagination of ‘shoes’,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creation of ‘shoes serial poetry’. The ‘crow serial poetry’ is satirical poetry on Japanese that came out of his personal experience in Tokyo. These poems are valuable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Jang-Ho because the poetry presents the historial events and facts he directly experienced while he was in Tokyo. The ‘missing persons serial poetry’ is a result of the fusion of Jang-Ho's climbing experience and imagination on shoes. Those whom he loves are those who are lost in mountain. For the poet, those missing persons are living in his mind forever, and ‘life/death’ and ‘mountain/see’ are not separate worlds. 초기 장호시는 모더니즘과 시극(詩劇)에 관심을 보이며 새로움을 추구했지만, 40대 이후에는 독특한 산시(山詩) 영역을 개척하는 한편, 신발 상상력과 실종자의 불이적 사상을 발전시킨다. 또 그는 동경 체험을 바탕으로 한 ‘까마귀 연작시’를 통해던 시인으로서의 사회적 발언을 토로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산․신발․까마귀․실종자 연작시’는 장호시세계의 특질을 이해하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된다. 장호의 ‘산 연작시’는 일반적 산수시의 자연친화적이고 생태학적 주제의식과 달리 높이를 지향하며 소심한 자아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장호의 산시(山詩)는 오직 그만이 쓸 수 있는 독특한 경지를 개발한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산악인 장호는 강인한 자신의 다리와 발에 큰 자부심을 느끼며 목욕탕에 가서도 발부터 씻고, 하산후에는 등산화를 깨끗이 소제하는 등 정성을 쏟는다. 그의 발과 등산화 사랑은 ‘신(발)’에 대한 독특한 상상력으로 진화하여 ‘신발 연작시’ 창작의 원동력이 된다. ‘까마귀 연작시’는 장호의 동경 체험에서 우러나온 일본(인) 풍자시다. 이들 시편은 그가 동경에서 직접 보고 들은 사건이나 역사적 사실을 제재로 한 것이어서 장호의 역사인식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실종자 연작시’는 장호의 등반체험과 신발 상상력이 융합된 결과의 산물이다. 그가 사랑했던 이들은 실종자로 시인의 마음 속에 영원히 살아 있는 존재이며, 그런 장호에게 산과 바다, 삶과 죽음은 분리되는 세계가 아니다.

      • KCI등재

        정지용과 ‘구인회’ -『시와 소설』의 의의와 「유선애상」의 재해석

        장영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9

        『시와 소설』은 구인회의 유일한 동인지로, 이 책에 실린 작품은 각자의 문학세계에서 매우 독특한 위상을 차지한다. 그 가운데 가장 이색적인 작품은 박태원의 「방란장주인」과 정지용의 「유선애상」이다. 「방란장주인」은 5,558자의 긴 문장을 하나의 마침표로 처리한 작품으로 그의 문체에 대한 실험의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유선애상」 또한 정지용의 시세계에서 이질적인 유형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지금까지 이 시의 소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 「유선애상」의 소재에 대한 해석적 관점은 다양하지만, 이 시는 전체 구조가 일관된 하나의 서사를 형성한다. 필자는 이 시의 소재를 ‘유선형 자동차’로 보고 선행연구가가 해명하지 못했던 구절을 일관된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시의 어조가 냉소적이라는 사실과 시 제목이 “애상”이라는 점에 착목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즉, 이 시의 대략적인 서사는 유선형 자동차를 하루 전세 내어 근교로 행락을 떠났던 화자가 경박한 유행풍조에 부화뇌동하는 자신을 반성하고 장거리 여행을 포기하고 중간에서 멈췄다는 내용으로 이해한 것이다. 그러나 여러 논자가 다양하게 해석했던 구절의 의미가 분명히 밝혀진 것은 아니다. Si wa Soseol(Poetry and Novel) is the sole literary coterie magazine of the ‘Guinhoei(九人會)’. The works in this magazine takes very unique status in Guinhoe's members literary world. Park, TaeWon's Banglanjang Jooin(The Landlord of Motel Banglanjang) and Jung, Jiyong's Yooseonaesang(streamlined grief) are very unusual works. Banglanjang Jooin has the only period with 5,888 words. It just prove his experimental consciousness for the style. Yooseonaesang is a different work in Jung's literary world. This poem generate various interpretation so far. Even though there are very various explicate perspective of the theme of Yooseonaesang, this poem makes a consistent narrative in the total structure. I thought this poems' theme to the streamlined car, and I was trying to interpret with the poem with consistent point of view. And I noticed that this poem's tone is a cynical features and title is a ‘Yooseon(streamline)’, so I explained the poem's means as follows : The outline of this poems's narrative is that narrator reflected on himself following the latest frivolous trend blindly on the way to long-distance trip with rent car and stopped the trip. But phrase which interpreted variously by lots of researcher, was not interpreted perf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