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따른혼밥선택속성이만족도에미치는영향

        임소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개인주의 문화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만들어졌다. 이런 사회적 변화로 혼자 밥을 먹거나 혼자 술을 먹는 홀로 즐기는 문화가 유행하면서 혼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혼밥은 단순히 1인가구의 증가뿐만 아니라 개인주의 문화 확산, 사회적 관계에 대한 피로감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려하는 소비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혼밥은 간편하고 합리적인 소비로 미니멀리즘 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혼밥은 단순히 밖에서 먹는 외식뿐만 아니라 내식까지 포괄적인 의미가 되어가고 있으며 혼밥과 혼술을 단순한 유행이 아닌 새로운 소비문화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혼밥이라는 소비 현상에서, 혼밥을 선택할 때의 속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주목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혼밥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향후 혼밥 소비 트렌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연구와 관련하여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집단은 혼밥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8년 5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자기기입법과 SNS를 통한 온라인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집된 유효자료 226부를 SPSS Ver.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는 빈도·요인·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혼밥 선택속성에 대하여 부분채택이 되었다. 외식향유추구형, 건강추구형, 간편성추구형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합리성추구형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혼밥 선택속성은 만족도에 대하여 채택이 되었다. 심리적, 편리성, 메뉴, 가격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만족도에 대하여 부분채택이 되었다. 외식향유추구형, 간편성추구형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추구형과 합리성추구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에 관한 선행연구는 이론적 및 실험 논문이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 논문에 대해서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실증분석을 통하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 선택속성의 각각 요인들을 파악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증분석 결과에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혼밥 선택속성과 소비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좋은 연구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혼밥에 대하여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이지만 연령대나 개인 성향에 따라 만족도는 차이가 있으므로, 혼밥에 대해여 눈치를 보거나 부담감을 갖지 않고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적 연구가 세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표본추출방법과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한계점이다. 혼밥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 추출을 하였기 때문에 식문화 라이프스타일 성향을 일반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령대, 월 평균 소득, 직업, 결혼여부 등에 따른 선택속성과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차후 연구에서는 보다 세밀하고 심도 있는 연구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혼밥의 선택속성에 대해 세밀하고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 new lifestyle has been created by the recent increase of single-family households and the spread of individualism culture. With this social change, solo dining is becoming an issue because the culture to enjoy eating alone or drinking alone is popular. Solo ding is not jus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family households, but also a consumption phenomenon that tries to spend its own time away from the proliferation of individualist culture and the tiredness of social relations. Solo dining can be viewed as a reflection on the pursuit of minimalism with simple and rational consumption. The purpo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of eating habits,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solo dining consumption treads an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study of eating habits. The sample group of this study surveyed consumers who had solo dining experience and conducted online survey through self - entry method and SNS through the questionnaire. 226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SPSS Ver.23.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was regression analyzed for frequency, facto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etary lifestyle was partially adopted for the solo dining optional attribute. The factors of eating out enjoyment type, health pursuit type, simplicity pursuit typ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reasoning type factor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Second, the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 was adopted for satisfaction. Psychological, convenience, menu, and price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eating habits lifestyle was partially adopted for satisfaction. Eating out enjoyment type, simplicity pursuit type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However, health - seeking type and rationality - seeking typ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on eating habits and solo dinners are lacking i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dat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dietary life style and the rice flour are needed for the future research papers. Secon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e found the factors of dietary lifestyle and solo dining choice attribut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ed factors as shown i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research if the study of solo dining choice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style is continued. Third, the most positive response to solo dining, but the satisfaction level varies according to ages and personal preferences. Therefore, various marketing researches that can be enjoyed freely without seeing or feeling pressure on solo dining should be done fine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It is a limitation point according to the sampling method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Because consumers who have solo din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done, there is a limit to general application of the food culture lifestyle t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s, monthly average income,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In the future, I hope that detailed study on dietary life style and solo dining selection attributes will be done.

      • 한국 FDI 쏠림현상에 대한 국가, 산업 및 목적별 실증분석

        임소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industrial agglomeration among the behaviors of Korea's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particular,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agglomeration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by defining and analyzing the herd behavior caused by informational externality, out of ways previously studied. In this study, two types of agglomeration were defined and analyzed. First, it was defined as “efficiency” in which companies can have positive externality by the agglomeration in FDI. Second, it was defined as path dependent “herd behavior” in which companies imitate the prior decisions of other economic agents in an uncertain situation. In the case of the former, “efficiency” was measured by the accumulated FDI amount up to 1 year ago, and the latter, “herd behavior”, was defined and analyzed as the sum of the number of new FDI corporations in the last 3 years. In this study, the agglomeration was analyzed using data on FDI from 141 countries from 1990 to 2020. In particular, in order to derive various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targets were divided into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nd analyzed by the industry, and the analysis targets were divided into market-access type and resource-seeking type and analyzed by the investment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case of total FDI, both efficiency factor and herd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between the two effects, the effect of herd behavior was great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y industry, only herd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under same industries, and the efficiency factor was not. In the cross-analysis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t was found that both herd behavior and efficiency of FDI in the latter service industry were significant when FDI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as invested in advanc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herd behavior under same industries was stronger than that under different industr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investment purpose, in all cases, the herd behavior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herd behavior was greater than the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herd behavior under same purposes was stronger than that under other purposes, and the herd behavior when the market-access type followed the preceding FDI was stronger than that when the resource-seeking FDI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path-dependent herd behavior of Korean companies is occurring in the FDI agglomeration and the effect of herd behavior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efficiency.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effect of herd behavior is strong under same industries and in the latter market-access typ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e herd behavior not only in the financial sector but also in the real sector such as FDI, suggesting the need for a new perspective to analyze the agglomeration phenomenon. 본 연구는 한국의 해외직접투자의 행태 가운데 군집 현상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특히 군집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차별적으로 정보적 외부성에 기인하는 쏠림행태를 정의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시각으로 군집현상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군집현상을 2가지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기업들이 군집함으로써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FDI를 “효율성”으로 인한 군집현상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불확실한 상황에서 타 경제주체의 선행적인 결정을 따라서 발생하는 FDI를 “쏠림”으로 인한 군집현상으로 정의하였다. 전자의 “효율성”의 경우 과거 1년 전까지의 FDI 누적투자금액으로 측정하였고, 후자인 “쏠림”은 최근 3년간의 신규법인수의 합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20년까지 141개국의 FDI 신규투자금액 및 신규법인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쏠림현상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특히 다양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분석 대상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나누어 산업별로 분석하였으며, 시장접근형과 자원추구형으로 나누어 투자목적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 FDI의 경우, 효율성과 쏠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으며, 2개의 효과 중에서는 쏠림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업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동종 산업에서는 쏠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교차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제조업이 선행하여 투자된 경우 후발 서비스업의 FDI는 쏠림과 효율성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비스업이 선행하여 투자된 경우에는 후발 제조업의 FDI는 쏠림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종 산업에서의 쏠림행태가 이종 산업 간의 쏠림행태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투자목적별 분석 결과, 모든 경우에서 쏠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쏠림이 효율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동일한 목적간 쏠림이 다른 목적간 쏠림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으며, 선행 FDI를 시장접근형 FDI이 따라갈 때의 쏠림이 자원추구형 FDI이 따라갈 때의 쏠림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기업들의 FDI 군집현상에 경로의존적인 쏠림행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현상의 정도가 효율성에 의한 군집현상보다 더 강함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동종 산업일 때, 그리고 후발 시장접근형 FDI에서 쏠림행태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금융 부문 뿐 아니라 FDI와 같은 실물 부문에서도 쏠림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군집현상을 분석하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갑상샘 학습의 효과적인 플립러닝을 위한 인터랙티브 웹 교육 콘텐츠 개발

        임소영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내분비질환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갑상샘 질환의 진단과정과 관련한 내용으로 웹 기반의 갑상샘 학습의 효과적인 플립러닝용 교육 콘텐츠를 제안한다. 플립러닝은 수동적인 강의 중심의 수업방식과 달리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수업방식으로 의학교육에서 효과적인 수업방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내분비질환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갑상샘 질환의 진단과정과 관련한 학습 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형식으로 시각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플립러닝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2D 이미지, 3D 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3D 모델 등 플립러닝용 웹사이트의 멀티미디어 학습 콘텐츠를 통해 학습자는 인터랙션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web-based educational content for flipped-learning of the human thyroid learning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agnosis process of thyroid disease, which is a common occurrence in endocrine diseases. Flipped learning is a learner-centered active teaching method, unlike the passive lecture-centered teaching method,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medical educatio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reate more effective flipped learning educational content by visualizing it in a content format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multimedia learning content on the website such as 2D images, 3D animations, and interactive 3D models, learners can actively learn through interaction.

      • 키치 특성의 핸드백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상품과 소비의 상징성을 기반으로

        임소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 소비 사회에서 나타나는 욕망, 자아상실, 소외의 문제의 근간을 키치 사회의 속성으로 보고 현대 소비사회에서 타자의 정체성을 모방하여 주체성을 상실한 소비와 상품이 자아와 삶의 방식을 대변하는 인간과 사물의 관계에 대해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오늘날 요구되는 올바른 상품의 가치와 주체적인 소비의 방식에 영향을 주는 디자인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핸드백 디자인을 통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오늘날 상품은 단순한 물적 대상이 아닌 문화와 사회를 읽을 수 있는 담지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품은 개인적 의미와 함께 사회 전체적으로 공유되는 지배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문화적 의미가 부여된 상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소비를 통해서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생활방식이 무엇인지 보여주기를 원하고 동시에 소비자 자신의 가치를 드러낸다. 상품이 문화적 의미를 갖고 그것의 소비가 상징화 되는 것은 특정 문화적 맥락 속에서 행하여지는 행위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것은 디자인과정을 거쳐 상품을 개발 할 때 그것이 속한 사회와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 해준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 예술, 디자인 등 많은 분야에서 담론의 주제와 논제로 화두가 되고 있는 키치를 미학의 관점과 시대사조로 한정하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사회현상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주목하고 이와 맥락을 함께하는 소비사회의 특성과 속성의 근간으로 본다. 키치적 속성에서 비롯되는 소비 사회의 갈등을 키치적인 해석을 통하여 키치적인 방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인은 소비 사회의 갈등을 욕망, 자아상실, 소외로 정리하고 이것을 상품인 핸드백 디자인에 담아 소비자에게 전달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로 기호, 대상체, 해석체라는 기호학의 세 가지 요소를 틀로서 제안한다. 기호는 사회적 문화적 상징이 되고 있는 상품으로 에르메스 버킨 백을 지정하고, 대상체는 디자인의 결과물인 펠트 백으로 앞에서 지정한 기호를 연상할 수 있도록 형태적인 요소를 차용하고 있다. 소재는 플라스틱과 펠트를 사용하여 지정된 기호의 상품과 상반된 이미지를 유도하여 지정된 기호의 이미지에서 탈피한 새로운 주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해석체는 대상체로부터 소비자가 해석 할 수 있는 새로운 기호인데, 기호로 지정된 에르메스 버킨 백과 대상체인 펠트백이 주는 상반된 이미지와 형태적 차용에서 오는 괴리감은 키치의 역설적 성격으로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째, 미학과 시대사조로 한정 짓는 키치 연구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키치를 사회현상의 구체적인 현상으로 주목하여 소비사회의 특성과 속성의 근간으로 보고 사물과 소비의 관계와 함께 연구하였다. 둘 째, 이미 만들어져 있는 대상을 가주고 논하는 키치 패션의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키치의 특성이 들어날 수 있는 디자인을 전개 하였다. 셋 째, 사회, 문화적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패션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상품의 물리적인 설계에 앞서 사회와 문화의 이해를 우선시 하였다는 것이다.

      • 신경증적 경향성이 정서중심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임소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신경증적 경향성이 정서중심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2명(남성 153, 여성 259명)을 대상으로 신경증적 경향성,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중심적 대처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정서중심적 대처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정서인식 명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중심적 대처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서인식 명확성은 신경증적 경향성과 정서중심적 대처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중심적 대처 간의 상관이 나타나지 않은 이유, 정서인식 명확성이 신경증적 경향성과 정서중심적 대처를 매개하지 못하는 이유를 다루었다. 주요어: 신경증적 경향성, 정서인식 명확성, 정서중심적 대처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focused coping. Subjects were 412 (male 153, female 259)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of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composed with NEO-PI-R, Trait Meta-Mood Scale (TMM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WCC).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uroticism had positive effect on emotion-focused coping. Second, neuroticism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Third,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Forth, emotional clarity didn't mediate relations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focused cop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asons why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are not significant, and why clarity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focused coping are discussed. Key words: Neuroticism,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oping

      •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보행환경개선 계획수립 방안 연구

        임소영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ince 2014. After diverse transformations, as of 2022,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guidelines for the 2022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eviously, if it was possible to utilize the budget for the priming project by planning the H/W project and the S/W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the current budget utilization for the priming project has changed due to a change in the vision of recreating urban space through economic hub space and regionally specialized regeneration. S/W projects such as governance operation and resident capacity building were excluded from the priming project in principle. Local governments should use their own funds when necessary. Hence, it became difficult to utilize the S/W project promotion budget in the priming water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ortion of budget utilization for the H/W project augmented.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H/W projects such as the creation of a base space that can utilize the budget for the priming water project,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and support for repairing old houses are issues of urban regeneration. Considering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centered on the H/W project, it is necessary to seek a more active approach to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business plan for urban space composition and the need to improve the local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road diet and open space creation as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H/W project in the form of a planning thesis. As a research method, three cases of advanced cases such as 'Pedestrian-friendly Street' in Gyeongju, 'Pedestrian-friendly Space' in Namyangju, and 'Cheotmajoong-gil' in Jeonju were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Yongbong-ro, Buk-gu, Gwangju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y and finding the implications thereof, this study proposes a plan that can be applied to Yongbong-ro, the project site. In this way,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road diet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as presented. Based on this, an action plan for Yongbong-ro, Buk-gu, Gwangju was established. It can be asser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create and utilize the space created by reducing the local road into a space that can be used by local residents. These task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initial project, and it is judged that an open spac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local environment and limited budget of the site is necessary. In conclusion, as a consequence of inference through comparison of three advanced cases, we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to apply a successful model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Yongbong-ro. First, it is a plan to promote a road diet by reducing the existing four-lane roads to two lanes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preparing an alternative detour road, Yongbong-ro road is reduced to secure pedestrian space. Second, it is a plan to recreate the space secured through road reduction as an open space and utilize the space as a cultural resting place. Currently,Yongbong-ro is located in the middl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and the university. It is also a space that has eliminated the boundary by tearing down the wall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region through the university town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 would like to consider using this space as an open space cultural resting place as a concept of a plaza where residents can gather and utilize. Keywords: Walking Environment, Road Diet, Urban Regeneration, Improvement of Local Environment, Open Space

      • 한국 근대 섬유공예 연구 : 자수미술을 중심으로

        임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fabric craft, and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embroidery through the art pieces exhibited in Joseon Art Exhibition. First of a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fabric craft, this article reviewed the modern concept of fabric craft. The word ‘handicraft’ wa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collective work of handcraft and hand technique using thread and textile to decorate everyday living space. However, the meaning of the word ‘handicraft’ narrowed down to stand for female embroidery. It is now generally accepted that ‘handicraft’ is gender specific term for ‘craft’. While ‘craft’ was an art form, ‘handicraft’ was considered a domestic form of ‘craft’ entirely for women. This is more evident in the education system. Unlike men’s education, women were taught in ‘handicraft’ to open the venue for a possible financial independence at the same time develop a motherly virtue. Korean embroidery art is very much affected by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Meiji age a delicate but brilliant Lin-pa style flourished. Later in Daisho age, it became more abstract and simple. In Showa age, wall-hangings, folding screens, partition walls were embroidered with exotic subjects such as bird, flowers and artifacts. This article also looked into how Japanese-colonized Joseon has accepted and developed fabric craft. Modern Korea emphasized women’s virtue as a crucial part of the education. Women developed their handcraft skills to art. Such foundation was suggested by Lim Sook-Jae’s “Gongyeron”. He considered ‘craft’ a form of art and placed it somewhere between pure art and industrial production,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contemporary concept of ‘craft’. Also, it contributed to extension of boundary of fabric craft into art. It becomes more clear with Joseon Art Exhibition. In 1920, artists studying in foreign schools, such as Tokyo Art School and Tokyo Women’s Art School, started to return to Joseon, and in 1932, as Joseon Art Exhibition was established, expressive ‘handicraft’ became part of the mainstream craft art. They were able to become teachers and cultivate their skills to pass on fabric craft to the general public. Finally, this article also examined around embroidery art to understand the style of Korean fabric craft. Embroidery was used for folding screens and garments in the early Joseon Art Exhibitions. Later, embroidery began to be used in more practical artifacts such as cushions. This was previously never seen even in Japanese embroidery, and the experts emphasized that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 craft in which art and daily lives meet. Most importantly, since 1935, Japan’s Linpa style drawings were beginning to be embroidered. Stitch techniques that can show contrast and perspectives allowed realistic presentation. As twisted threads changed to floss threads, it was possible to create shades and colors between different primary colors, which enabled picturesque expressions, and Korea received both European and Japanese traditional stitch techniques resulting in unlimited variety of techniques were possibl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fabric craft, and study the style of fabric craft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 본 논문은 한국 근대시기의 섬유공예를 대상으로 특징과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조선미술전람회의 작품을 중심으로 자수미술의 양식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근대 섬유공예의 실체를 명백히 규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근대 섬유공예의 성립과 전개를 알아보기 위해, 섬유공예의 근대적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당시 섬유공예는 ‘수예’라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손 일, 손끝의 기술 및 그것에 의한 제작활동을 말하고 주로 실, 천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을 아름답고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실용품을 만드는 일의 총칭으로 정의되었다. 당시 수예는 손기술을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점차 여성의 기예, 자수로 의미가 대표되었고 또 축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수예는 공예와 젠더(Gender)로 구분되는 말로 공예가 미술영역인 것에 대해 수예는 가정영역이고 전적으로 여성만이 배우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이것은 교육에서 더 명확히 구분된다. 남자들의 교육과 달리 여성에게만 수예라는 과목을 가르치고, 미술기예를 습득하고 여자의 자립의 길을 열며 부덕품성의 함양을 기하는 것을 목표로 설치되었다. 한국의 섬유공예 중 자수미술을 분명히 알기 위해 일본의 자수미술에 대해 분석해 보았을 때, 명치시기의 일본 자수미술은 린파양식을 가지고 화려하고 섬세하게 자수되어 왔다. 시기가 지나면서 대정시기가 되면 추상적이고 디자인적으로 된다. 소화시기는 벽걸이, 병풍, 칸막이 등으로 화조화나 공예기물을 주제로 이국적인 소재를 다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 섬유공예를 수용한 식민지 조선은 섬유공예를 어떻게 정착시키고 발전시켰는지를 알아보았다. 근대시기 우리는 여성 교육의 핵심으로 여성의 부덕을 강조함으로 방법적으로는 예절교육과 기예실습이 필수적이었다. 여성들은 자신의 기예를 가지고 섬유공예를 단순 수공예가 아닌 미술공예로 발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기반은 임숙재의 공예론에 의해 제시되었다. 그는 공예를 예술의 범주에 넣어 생각했고, 이를 미술계 전체의 좌표로 볼 때 순수미술과 공업생산 시스템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시킨 것은 오늘날의 공예 개념과 문맥을 같이 하는 근대적인 공예관의 출발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당시의 국외의 박람회를 통해서도 섬유공예가 미술공예로 영역이 확장되는데 기여했다. 미술공예로의 가능성은 조선미술전람회에 이르면 공예가 미술 문화적 성격이 더욱 선명해진다. 1920년대말부터 동경미술학교와 동경여자미술학교 등에서 유학한 공예가들이 귀국하기 시작했고, 1932년 조선미전이 신설되어 수공예의 주류가 미술의 한 분야로 편입되면서 표현 중심의 미술공예가 공예계의 흐름을 주도했다. 그들은 교사가 될 수 있었고 자신의 직업을 전문적으로 발전시키면서 섬유공예는 일반인들에게 확산되고 재생산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근대시기의 섬유공예의 양식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조선미전을 바탕으로 자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자수는 조선미전 초창기에는 박람회나 공진회에서 출품되었던 일반적인 양식인 자수병풍과 의복류를 중심으로 출품되었다. 하지만 횟수가 거듭될수록 실용성을 가미한 작품으로 쿠션에 자수하는 방식이 등장한다. 이는 일본 관전에서는 한 점도 볼 수 없는 것으로 심사원들은 이것이 한국만의 독특한 ‘조선의 공예’로 바라보며 생활과 결합한 예술이라는 것을 강조하게 된다. 1935년 이후 일본의 린파 양식의 회화가 자수로 표현되기 시작한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소재가 일본의 린파양식 뿐만 아니라 서양 도안들도 대거 유입되기 시작했다. 더불어 사실적인 표현인 원근감과 명암을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자수기법이 자수미술에 변화를 주었다. 꼰사가 푼사로 바뀌면서 원색과 원색사이의 중간색을 부드럽게 이어주면서 회화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서양자수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스티치들에 일본전통자수가 결합되어, 우리에게 전해지면서 새로운 자수기법들이 쓰여 짐으로써 그 다양성이 무제한으로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로써 근대 한국 섬유공예의 특징과 양상에 대해 조명해보고, 조선미전을 통해 섬유공예의 양식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 대학생들의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 학업적 지연행동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임소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과 학업적 지연행동,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 지연행동을 일으키는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의 연결성을 찾아내어 대학생들이 비합리적 신념의 내용들을 탐색 하도록 하여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은 성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학업적 지연행동은 성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학업적 지연행동은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의 상․하위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주관적 안녕감은 성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주관적 안녕감은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의 상․하위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남, 전남, 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6곳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총 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은 Jones(1969)의 비합리적 신념검사 척도(Irrational Beliefs Test; IBT)를 사용하였고, 학업적 지연행동은 Aitken(1982)의 지연행동 척도(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PI)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은 이현희, 김은정과 이민규(2003)이 수정하여 타당화한 척도인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와, 조명한과 차경호(1998)가 번안한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별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과 학업적 지연행동, 주관적 안녕감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1학년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지연행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업적 지연행동은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을 상위(매우 그렇다), 하위(매우 그렇지 않다) 집단으로 구분하여 학업적 지연행동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의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에 비해 학업적 지연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소인 정적 정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1학년이 삶만족과 정적 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을 상위(매우 그렇다), 하위(매우 그렇지 않다) 집단으로 구분하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소인 삶만족은 낮고 부적정서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1학년 학생들의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이 높고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소인 삶만족과 정적 정서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완벽주의적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학업적 지연행동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1학년을 주요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을 주제로 하여 비합리적 신념들을 탐색하고 인지적 왜곡들을 바로 잡아갈 수 있도록 집단 상담이나 워크샵, 대학생활에 빠른 적응을 위한 대학 내 선후배 멘토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통한 주관적 안녕감의 상승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핵융합 발전용 저방사강에서 Ti 첨가에 따른 MX 석출물과 고온 기계적 특성에 대한 연구

        임소영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duced activation ferritic/martensitic (RAFM) steels have been the candidate structural materials for test blanket module in fusion power plants because of their good high temperature mechanical properties, low activation capability and long period experience for nuclear applications. In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i addition on microstructure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AFM steel. Ti addition of 0.01 wt% and 0.05 wt%, respectively, to conventional Eurofer97 steel was intended to promote fine MX precipitation in order to enhance microstructure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Ti-added RAFM (Ti-RAFM) steel exhibited a higher yield strength at 600℃ than Eurofer97 steel due to precipitation hardening by Ti-rich and W-rich MX particles. After thermal exposure at 600℃ for 1000hr, the yield strength dropped significantly in exposed Eurofer97 steel (304→284 MPa). On the contrary, a lower yield strength reduction was observed in exposed Ti-RAFM steel (316→313 MPa). It is evident that the Ti-RAFM steel have the higher degradation resistant resulted from thermal exposure than Eurofer97. The MX area fraction of the Ti-RAFM steel is observed to be highest, while its particle size was quite similar to those of Eurofer97 steels. The presence of very fine MX particles would prevent the migration of lath interface during long term exposure, which leads to good microstructure stability. This Ti-RAFM steel exhibited excellent high temperature tensile and creep properties. Eurofer97 and the Ti-RAFM showed 592hr and 1823hr of creep life, respectively, after creep test at 500℃/200MPa. From these results, excellent fatigue properties were also expected for the Ti-RAFM steel. Low cycle fatigue tests were therefore conducted under 550℃/0.0024s-1 with total strain amplitudes of 0.4%, 0.8% and 1.2%, respectively. As a results, Ti-RAFM steel surprisingly showed poor fatigue life of 2888, 720, 374 cycles in correspondence to each strain amplitude respectively, compared to Eurofer97 steel with 3504, 1375, 502 cyc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fatigue properties were inferior due to the high softening rate of Ti-RAFM steel. The initial dislocation density in particular contributed greatly to the high softening rate. Low cycle fatigue tests after raising the tempering temperature in order to lower the initial dislocation density resulted in superior fatigue life than Eurofer97. Finally, Creep-Fatigue Interaction(CFI) resembling the actual plasma on/off & operation condition of the fusion reactor was conducted under 550℃, 0.0024s-1, △εt=0.8%, tensile hold time=600sec. Eurofer97 steel and Ti-RAFM steel showed 397 cycles and 578 cycles of life, respectively. Ti-RAFM steel therefore showed excellent properties in CFI compared to Eurofer97 steel, indicating that creep is more effective in CFI. In conclusion, Ti addition effectively increases microstructure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AFM steels.

      • 평가염려 완벽주의 및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고통제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소영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및 사후반추사고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고통제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적응적인 사고통제방략을 사용하는 것이 발표불안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에는 한국판 발표불안 척도(SAS),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사후반추사고 척도(PERS), 사고 통제 질문지 척도(TCQ)가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에는 SPSS 22.0와 Hayes(2013)가 제안한 SP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사후반추사고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사후반추사고를 투입하였을 때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가 정반대의 부호를 나타내 사후반추사고의 억제효과가 시사되었다. 둘째, 사후반추사고가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사후반추사고의 수준이 낮을수록 사고통제방략의 조절효과는 증가하였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후반추사고를 통해서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고통제방략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후반추사고를 통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사후반추사고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발표불안의 수준을 낮출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사후반추사고 등의 개인내적인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으며, 발표불안을 낮추기 위한 인지적 방략의 역할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상담 장면에서 발표불안과 관련된 대학생 상담개입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ought control strategy on the relations amo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post-event rumination and speech anxiety. A total of 389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its Macro. Because moderated mediation model is the integrative model containing both moderation and mediation effect, models were tested in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seq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ed: First, a mediating model showed that an associ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t-event rumination. And the link between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were suppressed by post-event rumination.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 thought control strategy moderated the effect of post-event rumination on speech anxiety. Further analyzing the moderation model, the moderated effect of thought control strategy was increased at low level of post-event rumination, compared to high level of post-event rumination. Third, a thought control strategy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n speech anxiety through post-event rumin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confirmed a psychological factors lead to speech anxiety such as evaluative concern perfectionism and post-event rumination, as well as cognitive strategies to reduce speech anxiety.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be a significant foundation on undergraduates with speech anxiety in counseling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