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병락,최문기 한국경영과학회 2001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2
Telecommunication services are distinctive in that their adoptions are influenced by network effect resulting in 'the late take-off phenomenon' and the 'critical mass' problem. In this paper we examined, so called, 'the late take-off phenomenon' in the diffusion process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We compared the parameters of the diffusion process of consumer durables with those of fax services in the US and Korea. By analyzing the parameters of a new diffusion model based on the threshold model proposed by Markus, we found that 'the late take-off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low heterogeneity of the threshold distribution for the potential adopters.
통신서비스의 늦은 수요 확산 현상에 관한 연구 : Fax 서비스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Fax Markets
임병락,최문기,박명철 한국경영과학회 2002 한국경영과학회지 Vol.27 No.2
Telecommunication services are distinctive in that their adoptions are influenced by network effect resulting in 'the late take-off phenomenon' and the 'critical mass' problem. In this paper we examined, so called, 'the late take-off phenomenon' in the diffusion process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We compared the parameters of the diffusion process of consumer durables with those of fax services in the US and Korea. By analyzing the parameters of a new diffusion model based on the threshold model proposed by Markus, we found that 'the late take-off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low heterogeneity of the threshold distribution for the potential adopters. A simulation approach was proposed for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critical mass' problem in the start-up telecommunications services.
임병락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아주법학 Vol.8 No.1
형사사법제도의 변두리에 머물고 있던 범죄피해자의 모습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피해 자관련 입법과 정책을 통해서 급격하게 변화되었다. 1980년 초반에 상징적 의미의 입법 의도도 일부 작용하였으나 배상명령제도의 도입을 시작으로 1990년대 들어서 성폭력피 해자, 가정폭력피해자, 청소년피해자 등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피해자학 연구의 성과들 을 반영한 입법들이 제정되었고, 2000년대 들어서는 범죄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과 관련 한 국가의 피해자 정책들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성과는 형사절차에서 피해자의 지위와 보호를 위한 다른 나라의 입법적·정책 적 사례들도 중요하게 작용하였지만, 우리의 피해자학 연구의 성과와 노력이 중요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해자의 보호를 위한 입법과 국가정책에 의한 가시적인 성과가 범죄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형벌권 행사를 위한 상징적 의미일 뿐이 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만일 그동안 이루어진 피해자보호를 위한 다양한 입법과 구체적인 정책들 중에서 피 해자 보호를 위해서 실질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위의 비판은 나름의 정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피해자를 위한 입법과 정책이 실질적으로 피 해자를 위한 성과로 나타나게 된다면 그러한 비판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피해자보호의 실질화를 위해서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입법된 피해자보호관련 법률들 상호간의 모순과 충돌의 문제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역작용의 문제를 법정책적 관점 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이미 피해자 보호를 위해 정책적으로 제도화되거나 입법적 으로 도입된 내용들이 실질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현행 법률규정의 구체적인 해석과 적용기준에 대해서까지도 피해자보호의 이념이 반영되어 운영되는지를 법적용상의 관점 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의 배상명령관련 규정과 「성폭력범 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24조 규정의 상충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형 사소송법상 피해자 진술권이 증인신문방식으로 규정방식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에 피해 자의 실질적 보호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임병락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법학논고 Vol.0 No.46
It is a clear fact that Criminal code is an important axis of wholelegal order and society is pursuing legal stability through the harmonyof overall legal order.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individual legal area should consider the viewpoint of whole legal orderunification as important. Meanwhile,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thatthe characteristic of normative goal regulating individual legal areaand its function in the whole legal ord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uniformity of legal order and the independence ofindividual legal area have conflict with each other, the solution becomesan important task, which legal hermeneutics should resolve. The civil legal principle ‘nominal trust’ has been acknowledged andsystemized by judicial precedents; while it had not been establishedby the regulation in the Civil Code. Nominal trust has been used for along time in our society as an important transaction method. However,as the harmful effect of transaction through nominal trust as the meansfor tax evasion and law evasion became exposed. Therefore a lawregulating nominal trust was legislated in 1995 and nominal trustbecame the object of criminal punishment. Nevertheless, still thejudicial precedents keep the civil legal principle of nominal trust andtake the position of partial change only for certain type of real estatenominal trust. In order to exercise criminal punishment on the case of real estatenominal trust in the area of Criminal Code interpretation, confirmationof a nominal trust on whether it is a type of nominal trust prohibitedby civil legal principle or not became a prior task. After that, whetherindividual requisite element is satisfied or not should be confirmed byquoting civil legal principle for the application of embezzlement orbreach of trust offense. Consequently, the Criminal Code interpretationof nominal trust goes beyond the requirement of uniformity in legalorder and it results in the dependence of Criminal Code interpretationto civil legal principle. This study examines the criminal responsibility issue area related tonominal trust and analyzes the impact of uniformity requirement oflegal order on the Criminal Code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hecase when the uniformity of legal order and independence cannot be inharmony and the Criminal Code interpretation becomes dependent onthe legal principle or interpretation of other legal area happens in oneof following two situations. The first situation is when the interventionof state punishment right is improper and the second situation iswhen an independent theory of Criminal Code, which can resolve therelated issues, has not been formed yet. 형법은 전체 법질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고 전체 법질서의 조화를 통해 우리 사회가 법적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개별 법영역의 해석과 적용은 전체 법질서의 통일이라는 관점을 중요하게 고려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다른한편으로 고려해야 하는 점은 개별 법영역을 규율하는 규범목적의 특수성과 전체 법질서에서 담당하는 기능이 다르다는 점이다. 따라서 법질서의 통일성과 개별 법영역의 독자성이 충돌한 경우에 그 해결방안은 법해석학이 풀어내야할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명의신탁이라는 민사법리는 민사법의 규정을 통해서 확립된 것이 아니라 판례를 통해서 인정되고 체계화되어 왔으며, 오랫동안 명의신탁은 중요한 거래방식으로 우리 사회에 자리를 잡아왔다. 그러나 명의신탁을 통한 거래방식이 탈세와 탈법의 수단으로 그폐해가 드러나자 이를 규제하는 법률이 1995년에 제정되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례는 명의신탁의 민사법리를 그대로 유지하되 부동산 명의신탁의일부유형의 경우에만 일부 변경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형법해석의 영역에서 부동산 명의신탁과 관련된 문제를 형사처벌하기 위해서는 민사법리에 의하여 금지되는 명의신탁 유형인지를 확인해야 하는 것이 선결과제가 되었다. 그리고 난 후에도 횡령죄나 배임죄의 적용을 위해서는 다시금 민사법리를 원용하여 개별구성요건 요소를 충족하는지를 확인해야만 한다. 결국 명의신탁의 형법해석은 법질서의통일성이라는 요청을 넘어서서 형법해석이 민사법리에 종속되는 결과에 이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명의신탁에 관련된 형사책임문제영역을 검토하고 법질서의 통일성이라는 요청이 형법해석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법질서의 통일성과 형법의 독자성이 조화되지 못하고 형법해석이 다른 법영역의 법리나해석에 종속되는 경우는 두 가지 중 하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국가형벌권의개입이 부적절한 경우이거나 관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형법의 독자적 이론이 형성되지 못한 경우이다.
임병락(Lim Byoung-Rak)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0 No.-
형별의 정당성은 형별의 개념과 범주가 포함되어 있는 형벌의 의미와 유익한 효과를 고려하는 형벌의 목적에 의해 어느 정도 실현될 수 있다. 형별과 형법의 정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 형벌이론인데, 여기에는 형별의 사회적 목적을 도외시하고 정의 그 자체만을 위한 절대적 형벌이론과 범죄 예방이라는 현실적인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된 상대적 형벌이론이 있다. 후자에는 다시 사회일반인에 대한 규범의식의 강화 또는 형별위하를 수단으로 범죄를 예방하려는 일반예방이론과 그 대상에 따라 범죄인 개개인에 중점을 두 어 범죄를 예방하려는 특별예방이론이 있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은 다른 형벌이론의 결함을 배경으로 하여 등장하였으며, 다양한 이론의 전개로 인해서 통일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이론적 근거를 분석적으로 파악하면 응보론에서 강조되어 온 정당한 형벌이라는 정의의 관점과 책임원칙과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은 나름대로 정당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정점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은 현대형법을 정당화의 논 증도구로 사용되기도 하며, 형법 도그마틱 분야에서도 응용되어 이론전개를 하기도 한다. 특히 양형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은 경험적인 실증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지만, 더욱 중요한 문제점은 이 이론이 응보론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은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임병락 ( Byung Lak L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8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6 No.3
Aloe vera extract was fermented by Lactobacillus casei. The ability of fermented Aloe vera (FAV) as an antioxidant to protect against CCl4-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in rats was investigated. The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various doses of FAV with 50, 100 mg/kg for 14 consecutive days. For this study, we not only tested activity of various plasma enzymes (AST, ALT), which are used as indicators of liver disease, but also checked thse change of liver component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activity. Pretreatment of FAV for two weeks significantly reduced the elevated plasma enzyme activities induced by CCl4. Pretreatment of FAV also restored the hepatic enzyme, malonedialdehyde (MDA) 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FAV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cute hepatotoxicity induced by the administration of CCl4 in rats, and that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AV may be due to both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increase of antioxidant activity.
임병락(Byoung-Rak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13 No.3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base in criminal law for engineers in the viewpoint of jurists to encourage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cyber crimes. Apart from seriousness of discussion on torrent cyber crimes, a good effect of the internet networks such as sharing of information has bee emphasized while the evil influence of its side effect has been neglect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consider reinforcement of cyber ethics, and legal mind of IT technicians, strict security by managers, active efforts to develop legitimate contents by managers of web hardware and P2P, and reinforcement of punishments against crimes by internet users. And this study approaches new norms on computer and cyber crimes in interpretational sense of criminal law, and provides the theoretical base of the criminal law focusing on traditional theories, assumptions, and precedents involved in regulations against computer virus distribution.
임병락(Lim, Byoung-Rak) 한국피해자학회 2008 被害者學硏究 Vol.16 No.1
Zur Begründung von strafrechtlichen Reformen ist es gebräuchlich, auf Interessen von Tatopfern Bezug zu nehmen. Auch in der Strafrechtsauslegung spielen die Verbrechensopfern eine wichtige Rolle. Auf dem Gebiet des materielle Strafrechts finden sich die am weitesten ausdifferenzierten Modelle einer Opferberücksichtigung, die sich zudem auf die Tradition der überkommenen Rechtsgutslehre und verbrechenslehre berufen können. In der Viktimo-Dogmatik soll aus der Strafbarkeit diejenigen Verhaltensweisen zu eliminieren sein, gegenüber denen sich das Opfer in einfacher und zumutbarer Weise hätte selbst schützen können. Man hat indes nicht den Eindruck, dass es sich bei der Viktimo-Dogmatik um einen theoritischen Ansatz von gründsätzlicher Bedeutung handelt. Inzwischen läßt sich auch eine Entwicklung feststellen, die nicht nur auf die strafbare Handlung des Täter, sondern auch das Verhalten des Opfers kriminogisch und strafrechtsdogmatisch berücksichtigen will. Es soll auch ein weiterer Versuch sein, dem Opfer zu einer stärkeren dogmatischen Berücksichtigung zu verhelfen, d.h. es soll die Tendenzwende mit der verstärkten Blickwendung vom Täter zum Opfer im Bereich der Strafrechtsauslegung. Aber die gegenwärtige Situation zeigt sich es, dass die ins Verbrechenopfer orientierten Strarechtsauslegungen wie Viktimo-Dogmatik noch nicht erfolgt haben..
피의자신문시 피의자 권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임병락(Lim Byoung-Rak),오태곤(Oh Tae-Kon)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6 No.-
고문이나 가혹행위 등 수사기관의 위법한 수사로 얻어진 자백에 근거하여 무고한 사람을 처벌하는 것은 국가권력에 의한 회복할 수 없는 범죄행위이다. 특히 피의자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인권이 침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법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이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피의자신문과 관련하여 보면, 우리 헌법은 형사절차의 지도 원리로 적법절차 원칙 등을 천명하고 있으며, 형사소송법은 이러한 헌법의 취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수사단계에서의 체포ㆍ구속에 일정한 시간적 제약을 가하는 한편 피의자신문의 주체ㆍ절차 그리고 조서작성 등에 관하여 상세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볼 때 신문 과정에서 피의자의 권리는 충실하게 보호되고 있는가, 현행 검사 주도형 수사구조가 피의자를 신문할 때 피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수사기관의 위법행위를 근절하기에 적합한 구조인가,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현행법 규정은 물증확보 중심의 수사체제를 유도하고 공판주의나 직접심리주의를 실현하는데 적합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피의자 신문에서 나타나는 피의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본다. Punishing innocent persons based on confession obtained through illegal investigation of investig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orture or physical assaults is an irrevocable crime by the governing power.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human rights from being infringed in the process of interrogation, we are developing various plans legally and in administration. As far as interrogation of suspects is concerned, Korean Constitution declares the principle of legal procedure as a leadership principle of criminal procedure, and the Korean code of Criminal Procedure provides all the regulations on it by accepting this intent of our constitution more actively. At the same time, it has detailed codes on subjects and procedures of suspect interrogation and how to report and gives limitation in time respect to arrest and restraint in interrogation. However, practically, the following problems are presented : whether suspect interrogation is restrictively used within the necessary range, whether all the rights of suspects are faithfully protected, whether present detective-dominating interrogation has a suitable structure to protect human rights of suspects and eradicate illegal behaviors of investigative institutes, and whether the present law on evidence ability of suspect interrogation report is suitable to induce investigation centering on physical evidence and realize the principle of direct examination. So this study speculates how to deal with the problems and develops improvement plans.
임병락(Byoung-Rak L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지역사회교정은 기존의 시설내처우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형사절차 전반에 지역사회가 개입하여 사회내처우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는 시설내처우가 지닌 과밀 수용, 교정 프로그램의 효율성, 범죄의 학습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범죄자들의 진정한 사회복귀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사회교정 또한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인해서 지역사회교정의 개념과 문제점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교정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담당기관 및 인력의 확충 및 담당 직원의 세심한 채용 및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전문화를 유도하며, 전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민간봉사자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지역기관, 지자체, 관계 당국 간의 이해와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교정의 실천단계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