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建窯의 “供御”·“進琖”銘黑釉碗에 대한 기초적 검토

        이희관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6

        이 연구는 두 차례에 걸친 建窯窯址와 그 주변 遺址에 대한 조사 결과를 주요 토대로 하여 “供御”·“進琖”銘黑釉碗과 관련된 몇 가지 기초적인 문제를 검토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달한 대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공어”·“진잔”명 실물자료에는 두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흑유완이고, 또 다른 하나는 墊餠이다. 건요에서는 흑유완을 소성할 때 그것을 匣鉢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물렁한 점병을 사용하였는데, 이 때문에 “공어”나 “진잔”명흑유완을 받친 점병의경우는 반드시 反文의 “공어”나 “진잔”명이 남게 마련이었다. 건요에서 제작된 供御用 의 흑유완에는 기본적으로 그것이 공어용임을 의미하는 “공어”나 “진잔”의 명문이 표시되었다. “공어”·“진잔”명은 건요에서 제작한 다양한 器形의 흑유완에서 확인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가운데 특정한 기형의 束口碗과 撇口碗에서만 확인되는데, 이는 “공어”·“진잔”명흑유완을 제작할 때 궁정에서 제공한 見樣에 의거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방식이 製樣須索이다. 그리고 “공어”·“진잔”명흑유완은 건요요지에서는 매우 소량만이 출토된 반면, 요지에 인접한 南浦溪의 선착장이 있던 水尾嵐에서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그곳에는 본래 “공어”·“진잔”명흑유완의 瓷片堆積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도 그것들이 製樣須索의 방식으로 조달되었다는 점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즉 건요의 여러 요장에서 궁정이 제공한 견양에 의거하여 제작된 “공어”·“진잔”명흑유완은 수미람으로 옮겨져 福建路轉運使의 책임 아래 建州나 甌寧縣의 관리들의 최종 選品을 거쳐 합격품들은 송의 궁정으로 운반되고 낙선품들은 그곳에 폐기되었다. 수미람에 형성된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자편퇴적은 그러한 제양수색의 결과물가운데 하나인 셈이다. 송대에 여러 민요에서 제양수색의 방식으로 어용자기를 조달하였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조달 방식이 본격화된 것은 북송말기 무렵부터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 시기에 제양수색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이 연구, 즉 건요에서 제작된 “공어”·“진잔”명흑유완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이 점이 어느 정도 분명해졌으리라 믿는다. 이것이 이 연구의 가장 큰성과이자 의의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a few basic issues related to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供御)” or “Jinzhan(進琖)”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two series of field research on the Jian kiln(建窯) site and its surrounding are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Piece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lack glazed bowls and buttons (墊餠). In the Jian kiln, soft buttons were used to stably fix black glazed bowls to saggars (匣鉢) when firing the bowls, which inevitably left the reversed marks of “Gongyu” or “Jinzhan” on the buttons that were used to support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Black glazed bowls that were produced in the Jian kiln as a present to the palace were basically marked with words of “Gongyu” or “Jinzhan” that mean they are royal wares. Those marks were not always found on every type of black glazed bowls produced in the Jian kiln, but only on certain types of bowls including Shukou-type (束口型) and Piekou-type (撇口型) bowl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tandardized sizes and forms (見 樣)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that were provided by the palace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 (製樣須索). In addition, while only a small quantity of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were excavated from the Jian kiln, a large quantity were excavated from Shuiweilan (水尾嵐), a dock on the Nanpuxi River (南浦溪) near the Jian kiln. A pile of ceramic shards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seemed to be created in the Shuiweilan site,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finding that they were supplied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製樣須索). In other words,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were produced in several kilns according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palace, were transferred to the Shuiweilan, and were inspected by officials in Jianzhou (建州) or Ouningxian (甌寧縣)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Forwarding Magistrate of Fujianlu (福建 路轉運使). The finally selected bowls were transfered to the palac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rest were discarded in the Shuiweilan site. Therefore, the pile of ceramic shards created in the site is one of the results of preparation in request.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ceramics for royal use were supplied from several private kilns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 in the Song Dynasty. The method seems to have started in earnest in the late Northern Song Dynasty, but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specific process of preparation in request that was executed in the peri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that were produced in the Jian kiln are expected to have clarified the process to some extent, which can be the most meaningful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汝窯와 이른바 汝官窯 - 여요의 성격과 관련된 논의의 역정

        이희관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8 야외고고학 Vol.0 No.32

        The Ru ware is a representative and renowned Chinese porcelain. Some people call this Ru ware Ruguan ware. The Ruguan ware probably means the official ware made in Ruzhou (汝州). It was Percival David who originally presented the view that Ru ware had the nature of an official ware. His assertion was suggested in his thesis, “A Commentary on Ju Ware” published in 1937. What he presented as core base material was a roundshaped test piece (輪形火照) with the letters “Da Guan Yuan Nian (大觀元年).” However, he did not call the Ru ware Ruguan ware. It wan was Koyama Fujio (小山富士夫) who made the name of Ruguan ware. Koyama Fujio perceived Northern celadon as Ru ware, but he admitted that he was wrong after he read the thesis of Percival David. Nonetheless, instead of discarding his view, he gave the new name of “Ruguan ware” to the ware which Percival David had designated as Ru ware. However, the name of Ruguan ware lost the ground for its existence, as the roundshaped test piece with the letters “Da Guan Yuan Nian” was revealed as an imitation. And thus, the name of Ruguan ware used until Ru kiln site at Qingliangsi was discovered was just nominal. As Ru kiln site at Qingliangsi was found in 1986, the theory of the official ware emerged again, centered on the view that the Ru kiln is Northern Song official kiln.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granting objective validity to the name of Ruguan ware. The reason is that many researchers hold an opposition to the theory of official ware. My basic view is that the emergence of the name of Ruguan ware rather have caused just some confusion to the research of Ru ware. Since the Ru kiln was established at the end of Northern Song, the name of the kiln site was Ru kiln. After the name of Ruguan ware appeared with a doubtful reason in the 20th century, confusion surrounding the concept and name of the Ru ware began. I think there is a need to return the name of Ru ware, which is the original name, abolishing the name of Ruguan ware whose objective validity was not secured. 汝窯는 중국의 대표적인 名窯이다. 적지 않은 사람들은 이 여요를 가리켜汝官窯로 칭한다. 여관요는 汝州에 위치한 官窯라는 의미일 것이다. 여요가 관요의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견해를 처음 제출한 사람은 Percival David이다. 그의 주장은1937년에 발표된 논문 “A Commentary on Ju Ware”에 담겨 있다. 그가 핵심적인근거 자료로 제시한 것은 “大觀元年”銘輪形火照였다. 그렇지만 그는 여요를 여관요로칭하지 않았다. 여관요라는 명칭을 만들어낸 사람은 小山富士夫였다. 당시 그는 이른바北方靑瓷를 여요자기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Percival David의 논문을 접한 후 사실상자신의 견해가 틀렸음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견해를 폐기하는 대신 Percival David가 여요자기로 지목한 자기에 여관요자기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이다. 그러나 그 후 “大觀元年”銘輪形火照가 위조품으로 밝혀짐으로써 사실상 “여관요”라는명칭은 그 존재 이유를 상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때부터 淸凉寺汝窯址가 발견될무렵까지 사용된 “여관요”라는 명칭은 사실상 形骸化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86년에청량사여요지가 발견되면서 여요가 곧 北宋官窯라는 견해를 중심으로 官窯說이다시 부상하였지만, 그것이 “여관요”라는 명칭에 객관적 타당성을 부여해 주었다고보기는 힘들다. 많은 연구자들이 관요설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관요”라는 명칭의 출현이 오히려 여요 연구상에 혼란을 야기했을 뿐이라는 것이 필자의기본적인 생각이다. 북송말기에 여요가 성립되고부터 줄곧 이 窯場의 명칭은 “여요”였다. 20세기에접어들어 석연치 않은 계기로 “여관요”라는 명칭이 출현한 이후 여요의 개념과 명칭을둘러싼 혼란이 시작되었다. 이제 객관적 타당성이 담보되지 않은 “여관요”라는 명칭을버리고, 아울러 여요에게 본래의 명칭, 즉 “여요”라는 명칭을 되돌려줄 필요가 있다고생각한다.

      • KCI등재

        中國 汝州 張公巷窯의 運營時期와 性格 問題

        李喜寬 한국문화유산협회 2012 야외고고학 Vol.0 No.15

        汝州 張公巷窯는 금세기에 접어든 후 연구자들의 가장 큰 관심을 끌어온 窯場 가 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 장공항요의 年代와 性格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고 에서는 장공항요지의 출토유물을 宋·金·元代의 요지, 窖藏 및 무덤 등에서 출토된 다른 요장의 瓷器 및 銀器 등과 비교·검토하여 장공항요의 연대와 성격을 추적하였는 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공항요지의 발굴보고자에 따르면, 이 요지에서 장공항요와 관련된 유물이 가장 다 양하고 많은 유물이 출토된 T4의 경우, 모두 10개의 퇴적층이 확인되었는데, 이 가운 데 장공항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들은 4~6층이다. 제6층이 장공항요지의 가장 이 른 시기에 형성된 것이고 제4층이 가장 늦은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특히 제6층을 파 서 만든 H101은 장공항요 초기의 청자표본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장공항요의 설립시 기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H101에서는 장공항요의 후기 층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여러 기종이 출토되었는 데, 敞口折沿碗·葵口板沿盤·紙槌甁·鵝頸甁·撇口圓壺 등이 그것들이다. 이 기종 들의 기형을 자세히 관찰한 결과, 四川彭州宋金銀器窖藏 출토 銀器들과 가장 흡사하 다. 이 銀器들은 1180~1210년경에 제작되었으므로, 장공항요는 金代後期에 설립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窯址의 가장 늦은 시기의 퇴적층인 제4층과 H88 등에 서 출토된 기종들의 조형적 특징을 통하여 볼 때, 장공항요는 金의 멸망과 함께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장공항요에서 생산한 청자는 汝窯瓷器에 버금갈 정도로 품질이 높다. 그리고 품질 이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한 殘次品은 모두 깨뜨려버렸다. 이러한 현상들은 당시 어 용자기를 생산하던 요장에서 흔히 관찰된다. 이 시기에 어용자기를 생산한 대표적인 요 장으로 북송의 여요와 남송관요를 꼽을 수 있는데, 장공항요의 설립과정 및 어용자기의 제작양상은 여요보다는 남송관요와 훨씬 더 유사하다. 이상의 검토를 통하여 볼 때, 장 공항요는 금대 후기에 설립된 金代官窯라고 판단된다. Zhanggongxiang kiln in Ruzhou is one of the kiln sites that have received serious scholarly attention since the turn of the twenty first century. However, its period and nature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eladon pieces from Zhanggongxiang kiln by comparing them with the porcelains and silverwares from the other kilns, storage pits and tombs of the Song (960-1279), Jin (1115-1234) and Yuan (1272-1368) dynasties. According to the excavators of Zhanggongxiang kiln, T4 where the most numerous and various artifacts from the kiln were unearthed consists of ten sedimentary strata. Of the ten strata, the fourth through sixth laye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kiln, and the sixth and the fourth layers were formed in the earliest and latest phases of the kiln, respectively. H101 in the sixth layer requires special attention since it presents critical evidence in determining when the kiln was established, with its large quantity of celadon samples from the early phase of the kiln. Excavated from H101 were the types of celadon which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later layers of the kiln, such as oblique-belly bowls, dishes of lobbed rim, vases with dish-shaped mouth, goose-neck vases and vases with constricted neck. The shapes of these celadon types closely resemble those of the silverwares from the gold and silver object storage pit of Pengzhou City in Sichuan. Considering that these silverwares were produced between 1180 and 1210, Zhanggongxiang kiln must have been set up during the late Jin period. Furthermore, the kiln ceased to be in use around the fall of the Jin dynasty based on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celadon from the fourth layer and H88 that represent the last phase of the kiln. Zhanggongxiang celadon displays quality as excellent as that of the famous imperial ware of the Song dynasty, Ru celadon. Moreover, all the defective products from the kiln were smashed to maintain the quality. This kind of quality control was often conducted in the kilns that produced imperial wares, of which the Ru kiln of the Northern Song and the Guan kiln of the Southern Song were most representative in 中國 汝州 張公巷窯의 運營時期와 性格 問題301 this period. The way in which Zhanggongxiang kiln was established and produced imperial wares displays a closer affinity with the Guan kiln than with the Ru kiln. Thus Zhanggongxiang kiln must have been the Guan kiln of the Jin dynasty established during the late Jin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