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建窯의 “供御”·“進琖”銘黑釉碗에 대한 기초적 검토

        이희관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6

        이 연구는 두 차례에 걸친 建窯窯址와 그 주변 遺址에 대한 조사 결과를 주요 토대로 하여 “供御”·“進琖”銘黑釉碗과 관련된 몇 가지 기초적인 문제를 검토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도달한 대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공어”·“진잔”명 실물자료에는 두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흑유완이고, 또 다른 하나는 墊餠이다. 건요에서는 흑유완을 소성할 때 그것을 匣鉢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물렁한 점병을 사용하였는데, 이 때문에 “공어”나 “진잔”명흑유완을 받친 점병의경우는 반드시 反文의 “공어”나 “진잔”명이 남게 마련이었다. 건요에서 제작된 供御用 의 흑유완에는 기본적으로 그것이 공어용임을 의미하는 “공어”나 “진잔”의 명문이 표시되었다. “공어”·“진잔”명은 건요에서 제작한 다양한 器形의 흑유완에서 확인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가운데 특정한 기형의 束口碗과 撇口碗에서만 확인되는데, 이는 “공어”·“진잔”명흑유완을 제작할 때 궁정에서 제공한 見樣에 의거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방식이 製樣須索이다. 그리고 “공어”·“진잔”명흑유완은 건요요지에서는 매우 소량만이 출토된 반면, 요지에 인접한 南浦溪의 선착장이 있던 水尾嵐에서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그곳에는 본래 “공어”·“진잔”명흑유완의 瓷片堆積이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도 그것들이 製樣須索의 방식으로 조달되었다는 점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즉 건요의 여러 요장에서 궁정이 제공한 견양에 의거하여 제작된 “공어”·“진잔”명흑유완은 수미람으로 옮겨져 福建路轉運使의 책임 아래 建州나 甌寧縣의 관리들의 최종 選品을 거쳐 합격품들은 송의 궁정으로 운반되고 낙선품들은 그곳에 폐기되었다. 수미람에 형성된 “공어”·“진잔”명흑유완의 자편퇴적은 그러한 제양수색의 결과물가운데 하나인 셈이다. 송대에 여러 민요에서 제양수색의 방식으로 어용자기를 조달하였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조달 방식이 본격화된 것은 북송말기 무렵부터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 시기에 제양수색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이 연구, 즉 건요에서 제작된 “공어”·“진잔”명흑유완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이 점이 어느 정도 분명해졌으리라 믿는다. 이것이 이 연구의 가장 큰성과이자 의의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a few basic issues related to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供御)” or “Jinzhan(進琖)”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two series of field research on the Jian kiln(建窯) site and its surrounding are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Piece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lack glazed bowls and buttons (墊餠). In the Jian kiln, soft buttons were used to stably fix black glazed bowls to saggars (匣鉢) when firing the bowls, which inevitably left the reversed marks of “Gongyu” or “Jinzhan” on the buttons that were used to support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Black glazed bowls that were produced in the Jian kiln as a present to the palace were basically marked with words of “Gongyu” or “Jinzhan” that mean they are royal wares. Those marks were not always found on every type of black glazed bowls produced in the Jian kiln, but only on certain types of bowls including Shukou-type (束口型) and Piekou-type (撇口型) bowl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standardized sizes and forms (見 樣)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that were provided by the palace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 (製樣須索). In addition, while only a small quantity of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were excavated from the Jian kiln, a large quantity were excavated from Shuiweilan (水尾嵐), a dock on the Nanpuxi River (南浦溪) near the Jian kiln. A pile of ceramic shards of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seemed to be created in the Shuiweilan site,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finding that they were supplied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製樣須索). In other words,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were produced in several kilns according to the standards provided by the palace, were transferred to the Shuiweilan, and were inspected by officials in Jianzhou (建州) or Ouningxian (甌寧縣)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Forwarding Magistrate of Fujianlu (福建 路轉運使). The finally selected bowls were transfered to the palac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rest were discarded in the Shuiweilan site. Therefore, the pile of ceramic shards created in the site is one of the results of preparation in request.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ceramics for royal use were supplied from several private kilns in the manner of preparation in request in the Song Dynasty. The method seems to have started in earnest in the late Northern Song Dynasty, but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specific process of preparation in request that was executed in the peri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black glazed bowls marked with “Gongyu” or “Jinzhan” that were produced in the Jian kiln are expected to have clarified the process to some extent, which can be the most meaningful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기의 越窯風 雙蝶紋ㆍ雙鳳紋靑瓷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越窯의 관점에서 본 고려 초기청자의 새로운 면모 -

        李喜寬 한국문화유산협회 2017 야외고고학 Vol.0 No.28

        근래 고려청자에서 보이지 않던 월요풍의 쌍접문 또는 쌍봉문이 음각된 청자편들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월요풍의 쌍접문․쌍봉문고려청자의 생산 요장, 소비처, 제작시기 및 이러한 문양이 새겨진 청자의 출현이 고려청자의 전개에서 갖는 의미 등을 검토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의 표본은 모두 19점이다. 이것들은 모두 강진 사당리요장에서 제작되었으며, 그 주요 소비처는 개성의 고려 궁정이었다. 그리고 월요풍 쌍접문과 쌍봉문의 모방 대상이 된 것은 각각 북송초기 월요의 쌍접문과 쌍봉문이었다. 사당리요장에서는 대략 11세기 전반의 어느 때부터 늦어도 12세기 초기까지 이러한 문양을 가진 고려청자를 제작하였다. 말하자면, 월요풍 쌍접문․쌍봉문청자는 고려 초기청자시기의 산물이었다. 고려 초기청자시기에는 문양이 거의 유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월요풍의 쌍접문․쌍봉문청자가 초기청자시기에 제작된 것이라면, 적어도 강진 사당리요장의 경우는, 이제까지의 이해와 달리, 이미 초기청자시기에 어느 정도 문양이 유행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강진에는 초기청자를 생산했던 요장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들 가운데 사당리요지를 제외한 나머지 요지들의 경우, 하나같이 그곳에서 출토된 초기청자 가운데 문양이 있는 것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사실이 우연의 결과가 아니라면, 그것은 강진요의 범위 안에 있던 사당리요장과 그 밖의 요장—非沙堂里窯場—의 경우 문양을 포함한 청자제작의 양상자체가 달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unprecedented pieces of the Goryeo celadon incised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have recently been discovered. This research reviewed the production kiln, consumption place, production period of them and the meaning of the appearance of them in development of Goryeo celadon. The number of the samples of the Goryeo celadon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is 19 in total. They were all produced in the Sadang-ri kiln, Gangjin, and mainly consumed by the royal court of Goryeo in Gaeseong. In addition, the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was modeled after th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of Yue ware in th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Sadang-ri kiln made Goryeo celadon with such designs from anytime in the first harf of the 11thcenturytoatthelatestearly12thcentury.Inotherwords,theGeryeoceladonswiththeYueware-typedesignoftwobutterfliesortwophoenixesweretheproductsoftheeraoftheearlyGoryeoceladon. It is known that decorating with some designs over wares was almost not in trend in the era of the early Goryeo celadon. However, if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were produced in the era of the early Geryeo celadon, it is regarded that the designs were already popular to some extent in the era of the early Goryeo celadon at least in in Sadang-ri kiln, Gangjin, unlike what has been understood. In the meantime, it remains a huge question that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were discovered only in the kiln sites in Sadang-ri among numerous Goryeo celadon kiln sites in Gangjin and have never been discovered in any other kiln sites, including the kiln site of No.9 and No.10 in Yongun-ri. This could be caused by the possibility that the kiln sites in Sadang-ri that produced the Goryeo celadons with the Yue ware-type design of two butterflies or two phoenixes and the other kiln sites in Gangjin had different aspects of celadon produ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