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축적된 정서로 바라본 풍경

        이초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은 인간삶의 터전이며,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인간의 삶은 자연의 변화 속에서 정신적, 물질적으로 끊임없는 영향을 받고 살아간다. 또한 자연은 인간에게 정신적 안정감과 편안한 휴식의 여유를 주고 정서적 감흥을 유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인간으로 하여금 본능적으로 보고 느낀 것에 대한 감동을 표현하려는 충동을 가지게 만들어 인간의 미의식 및 예술 활동의 토대를 만들었다. 어릴 적 연안(沿岸)에서의 생활은 늘 가족과 함께였고 즐겁고 행복했다. 연안은 본인의 개인적 체험을 통한 정서적 유대감으로 형성된 의미 가득한 애착의 장소이다. 유년시절 생활했던 연안의 장소를 통해 행복했고 아름다웠던 기억은 연안이라는 장소에 각인되어 애착과 그리움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 본인이 애착의 정서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호기심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탐구를 통하여 인간과 장소사이의 본능적인 애착의 정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토포필리아(Topophilia, 장소애)’라는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토포필리아란 인간이 본능적으로 갖고 있는 장소에 대한 애착의 정서이며 인간과 장소사이의 정서적인 유대 및 결속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소애(愛)는 공간과 장소라는 물리적 환경을 기반으로 삶을 살아가는 인간에게 어떻게 체험되는가를 통하여 의미가 추출되기 때문에 그것들의 모든 배경인 자연은 인간에게 있어 토포필리아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인과 연안의 장소에 대한 애착의 정서가 본인에게 내제되어 있는 자연에 대한 사랑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것을 동양인의 산수애(愛)와 연결지어 연구하였다. 동양에서의 자연은 인간과 자연의 합일(合一), 요산요수(樂山樂水)의 도(道)로써 유기론(唯氣論)적 자연관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인식은 동양인들의 기본적 소양(素養)으로서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동양인들의 산수애와 깊은 연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양인의 산수애를 동양적 사고방식과 철학사상을 근거로 탐구하며, 본인이 연안에 대한 정서를 인간과 장소사이에 대한 본능적인 애(愛)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장소애는 예술의 조형적인 창작의 계기를 제공하며, 본인 또한 ‘연안’을 장소애의 대상으로써 작업의 소재로 사용하였고, 연안의 풍경은 본인의 체험된 정서로 재구성되어 회화라는 매체를 통해 표현하였다. 표현 방법 연구에 있어서는 여백(餘白)의 특성을 이용하여 연안풍경의 하늘과 바다의 무한함을 나타내어 하나의 장소로서 표현하였고, 장소를 통해 축적된 정서의 이미지는 미점(米點)의 반복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또한 동양적 소양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풍경의 서정적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해 동양의 미적 색감인 먹을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작품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설명하기 힘들었던 장소애에 대한 경험들이 구체화되고 본인의 정서를 감각적으로 바라보는 시야를 탐구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본인 작품의 회화적 표현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창작활동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과거 연안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은 연안의 풍경으로 회상되어 장소애를 공유한다. 그리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대리적으로 장소를 경험하게 하고 본인이 나타내고자 했던 정서를 향유하기를 희망해본다. Nature that constantly changes is a foundation of human lives which exist as a part of nature. The human lives are continuously affected by the changes of nature in spiritual and physical ways. Moreover, nature does not only provide the relaxation and emotional inspiration to human beings but also makes human beings to intuitionally express the impression of what they see and what they feel, which leads to the frame of aesthetics and art activities of human beings. In the childhood of the author, the days in the seashore were filled with happiness from the family. The seashore was a place of meaningful attachment comprised of emotional bonds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The happy and beautiful memories were embedded into the place called seashore where the young author lived, and the place became the object of affection and reminiscence. This study starts from the curiosity of granting the emotion of attachment to a specific location. During the exploration, the author recognizes that there are instinct emotions of attachment between human beings and places. Such recognition is examined through the concept of ‘Topophilia’, which is the affection of attachment for a space that human beings intuitionally possess. It can be defined as a notion to include the emotional bond and intimacy between human beings and places. Given that the implication of topophilia is deduced from how a human experience a physical environment as space and location, na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background of all experiences, is a typical form of topophilia for human beings. Since the author become aware that the affection of attachment starts from the affection for nature, the affection was investigated by combining it to Sansuae(山水愛) of the oriental society. Nature reflected in the Oriental society is based on the natural perspective of Yugiron(唯氣論) as Do(道) of Yosanyosu(樂山樂水) and the integration of humans and nature. Such perception is deeply rooted as a basic knowledge of the oriental society and associated with Sansuae.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Sansuae of the Oriental society in a basis of the oriental thoughts and philosophies, analyzing the personal affection for seashore under the concept of instinct affection(愛) between humans and nature. Such topophilia offers the motive of formative creation of art. The author also utilized ‘seashore’ as a subject of work and the object of topophilia. The landscape of the seashore was reorganized with the experienced emotions of the author and represented through the medium of painting. In terms of expression method, the infinite sea and sky of seashore landscape were presented as a location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blank. The image of accumulated affections through the space was expressed through the repetition of small dots. Moreover, ink was utilized as the oriental color of aesthetic to represent the lyrical atmosphere of the landscape based on the oriental mood, and the relevant 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helped the author to specify the experiences of topophila which was hardly explained and cultivate the perspective of sensuously examining the personal affections. By identifying the implications internalized in the pictorial expression of the works by the author, it is expected that the foundation of future creation activities is prepared. Furthermore, the emotional bonds to the seashore in the past shared topophilia by being recalled as the landscape of the seashore. It is hoped that it can make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place in indirect ways and enjoy the affections that the author wants to exhibit.

      • 필라테스 신발 구조에 따른 보행 시 압력분포의 차이

        이초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pressure when walking,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Pilates shoes. Subjects were 30 female adults in their 20s living in Seoul. Using RCSP measurement, 15 of such woemn with normal feet were used as subjects in the study. With 12 pairs of feet that walk normally, the difference in pressure distribu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Pilates shoes was analyzed. Normal walking was defined as having a similar pattern in curve of center movement.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pressure between the left foot and the right food. the maximum pressure across different sites of the foot, contact area of different sites of the foot, contact time ration of different sites of the foot and the velocity of the curve of center movement in different sites of the foot. The sites of the foot were divided into three: the front foot, back foot, middle foot and to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bare feet, Pilates shoes, toe Pilates shoes and toe Pilates shoes using arch support ban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2.0 for Windows.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foot and right foot during normal walking. A one-way ANOVA was conudcted to review the difference in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Pilates shoes during normal walking of normal feet. Post-test was done via LSD. Statistica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ximum pressure of the entire foot during walking (t=2.317, p<.05) and the ratio of contact time of the front foot (t=2.875, p<.05)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right foot than in the left foot. Meanwhile, the contact time ration of toes (t=-2.429, p<.05) and the front-back direction velocity (t=-2.316, p<.05)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left foot than in the right foot. This indicates that even when the foot was a normal foot, the pressure on the foot can be asymmetrical,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affecting walking which are interconnected. 2. In terms of walking in different Pilates shoes of different structures, for toe Pilates shoes with an inner arch suppor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maximum pressure in the middle foot (F=6.107, P<.01) and toe area (F=3.998, P<.05). For toe Pilates shoes and toe Pilates shoes using inner arch support band, the front-back velocity of the front foot was significantly faster (F=2.875, P>.05). Meanwhile, for Pilates shoes, maximum pressure in the toes (F=3.955, P<.05) and contact area of the back foot (F=6.889, P<.01) were significantly grea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even in normal feet, there could be asymmetrical walk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feet. This indicates there are various factors affecting walking. Pilates shoes have a larger contact area in the back feet and greater maximum pressure in the toes, leading to less dorsiflexion while encouraging stronger use of the toes. Meanwhile, toe Pilates shoes or toe Pilates shoes using an inner arch suport band have greater maximum pressure in the middle foot, greater contact area in the toes and greater front-back velocity of the front foot. As a result, compared to bare feet or regular Pilates shoes, they encourage the use of second or third rocker mechanism. (Heechol Kwak, Dongjun Ha, 2017). This resul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ilates shoes, as it shows that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inner arch and spreads the toes help with the development of rocker mechanism. However, as normal feet were used as subjects in this study,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review the difference across different foot types (flat feet, cavovarus feet).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신발 구조에 따른 보행 시 압력분포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거주 30명의 2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RCSP측정을 통해 발유형을 분류하여 15명의 정상족을 가진 자이다. 이 중 정상 보행을 실시한 12개의 발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신발 구조에 따른 압력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정상 보행의 판정은 압력 중심이동 곡선이 정상 보행과 비슷한 패턴으로 하였다. 종속변인은 왼발과 오른발의 압력분포 차이, 발 부위별 최대압력, 발 부위별 접촉면적, 발 부위별 접촉시간 비율, 발 부위별 압력 중심이동 곡선의 속도이다. 발 부위는 후족, 중족, 전족, 발가락 4부위로 구분하였다. 독립변인은 맨발, 필라테스 신발,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 내측 족궁 지지 밴드를 사용한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이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보행 시 정상족의 왼발과 오른발의 차이 검정을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상족의 정상 보행 시, 필라테스 신발 구조에 따른 압력분포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LSD로 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맨발 보행 시 발전체 최대 압력(t=2.317, p<.05), 전족의 접촉시간 비율(t=2.875, p<.05)은 오른발이 왼발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반면 발가락의 접촉 시간 비율(t=-2.429, p<.05), 전후방향 속도(t=-2.316, p<.05)는 오른발보다 왼발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발이 정상족이라 하더라도 오른발과 왼발의 족저압력은 비대칭일 수 있어,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양하고,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2. 필라테스 신발 구조에 따른 보행 시, 내측 족궁 지지 밴드를 사용한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은 중족에서 최대 압력(F=6.107, P<.01), 발가락 면적(F=3.998, P<.05)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과 내측 족궁 지지 밴드를 사용한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은 전족의 전후방향 속도가 유의하게 빠르게 나타났다(F=2.875, P>.05). 반면 필라테스 신발은 발가락에서 최대 압력(F=3.955, P<.05)과 후족의 접촉면적(F=6.889, P<.01)이 유의하게 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정상족이라 하더라도 오른발, 왼발 비대칭 보행을 할 수 있어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함을 알 수 있다. 필라테스 신발은 후족의 접촉면적이 크고, 발가락의 최대압력이 커서, 후족의 족배굴곡이 덜 되게 하며, 발가락을 강하게 사용하게 한다. 반면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이나 내측 족궁 지지 밴드를 사용한 발가락 필라테스 신발은 중족에서 최대 압력과 발가락 접촉 면적이 크고, 전족의 전후방향 속도가 크게 나타나 맨발이나 필라테스 신발보다 두 번째, 세 번째 호상기전(rocker mechanism)을 사용하게 하여 발의 호상기전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곽희철, 하동준, 2017). 이러한 결과는 내측족궁을 지지해주며 발가락을 벌려주는 구조가 발의 호상기전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필라테스 신발 구조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상족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발유형(편평족, 요족)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한다.

      •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효익이 브랜드 이미지,브랜드 신뢰,구매 행동에미치는영향 : TV드라마 PPL광고를 중심으로

        이초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TV드라마 커피전문점 PPL광고의 브랜드 효익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TV드라마 PPL광고을 활용하고 있는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표본은 브랜드 커피전문점이 다수 입점해 있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의 성인남녀로 TV드라마 커피전문점 PPL광고를 접해 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5년 7월 15일부터 8월 14일까지 약 한달간 실시하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하여 유효 설문지 381부를 실증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TV드라마 커피전문점 PPL광고의 브랜드 효익이 커피전문점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의 분석결과 브랜드 효익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기능적 효익, 상징적 효익, 경험적 효익은 커피전문점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V드라마 커피전문점 PPL광고의 브랜드 효익이 커피전문점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의 분석 결과 브랜드 효익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기능적 효익, 상징적 효익, 경험적 효익은 커피전문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V드라마 커피전문점 PPL광고의 브랜드 효익이 커피전문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의 분석 결과 브랜드 효익의 세 가지 하위 요인인 기능적 효익, 경험적 효익은 소비자의 구매 행동의 하위 요인인 행동적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상징적 효익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효익의 세 가지 하위 요인 모두 구매 행동의 하위 요인인 지속적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V드라마 PPL광고를 활용하고 있는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의 상호영향관계에 관한 가설 4의 결과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는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5의 분석 결과 TV드라마 PPL광고를 활용하고 있는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 행동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구매와 지속적 구매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TV드라마 PPL광고를 활용하고 있는 커피전문점 브랜드 신뢰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6의 분석 결과 브랜드 신뢰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의 하위 요인인 행동적 구매와 지속적 구매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피전문점 브랜드는 TV드라마 PPL광고에서 보여지고 있는 브랜드를 사용하게 되면 얻게 되는 브랜드에 대한 기대감인 브랜드 효익을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신뢰를 높이며, 소비자의 구매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커피전문점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경험에 대한 기대감인 브랜드 효익뿐만아니라 재방문 할 경우에도 다시 그 브랜드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질 수 있도록 소비자들이 갖게되는 커피점문점의 만족 요소들에 대한 직접적인 충족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커피전문점 브랜드의 치열한 경쟁구도에서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이미지와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TV드라마 PPL광고를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감정 유발을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써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도 PPL광고를 활용한 노출도가 증가된다면,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신뢰, 구매 행동에도 영향을 줄것이라 보여진다.

      • 양손 협응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초희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업치료의 치료적 수단이 되는 작업과 활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아동에게 적용할 다양한 활동 중심의 치료 접근과 시지각기능을 검증하는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작업치료 실행체계에 의거한 치료 유형 중 치료적 수단이 되는 작업과 활동이 의미 있음을 제공하고자 하며 팔 과 손 움직임이 결합된 활동 중심의 다양한 양손 협응 활동 치료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시지각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6명의 대상자를 선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8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치료 중재 전․후 시지각기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운동성 시지각 검사(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third edition: MVPT-3)와 시각-운동 통합 발달검사(visual-motor integration: VMI)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양손 협응 활동과 작업치료 중재를 같이 적용한 집단에서 비운동성 및 운동성 시지각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5). 둘째, 양손 협응 활동을 시행한 집단에서 비운동성 시지각기능의 항목 중 시각적 구별, 형태항상성, 시각적 단기 기억력, 공간지남력 항목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p< .05), 시각적 연속성 항목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지 않았다(p> .05).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와 더불어 양손 협응 활동을 적용할 때 시지각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손 협응 활동은 지적장애아동이 흥미와 동기를 가지고 참여 할 수 있었고 지속적인 집중력 향상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치료적 수단이 되는 작업과 활동이 의미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는 지적장애아동의 기능에 맞는 흥미롭고 다양한 양손 협응 활동을 개발하여 그들의 시지각기능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양손 협응 활동이 가정 내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Even though occupations and activities, therapeutic agents of occupational therapy, are important,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therapeutic approaches focused on diverse activities to be applied t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verification of their influence on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children.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that these therapeutic agents among different treatment types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OTPF), would be meaningful and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verse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y treatment interventions on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ixteen subjects were selected and equal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order to compare visual perception between prior to and after the treatment, this study conducted the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third edition and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development test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roup to which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ies an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were applied togethe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non-motor and motor visual perception(p< .05). Second, among the items of non-motor visual perception, visual discrimination, form constancy, visual short-term memory, and spatial orientation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roup which performed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ies (p< .05) except visual closure (p> .05). This stud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erified that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ies together with occupational therapy ameliorated their visual perceptio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ble to take part in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ies with interest and motives. Such activities also affected their improvement in sustain attention. This study result showed that occupations and activities as therapeutic agents were very useful. Therefore, occupational therapists are expected to develop various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function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by affecting improvement in their visual perception, and train them on active use of such bilateral coordination activities at their home.

      • 전후 중국잔류 일본인의 귀환에 관한 연구 : 기민정책을 중심으로

        이초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본이 2차 세계대전의 종결로 표현하는 패전에 직면한 지도 올해로 71주년을 맞이했다. 하지만 일본의 ‘과거 청산’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전후 처리’, ‘전후 배상’ 등에 관련된 소송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1년 12월 7일, 일본에서는 ‘중국잔류부인’ 2명, ‘중국잔류고아’ 1명이 도쿄 지방법원에 ‘국가배상청구집단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이 소송은 전국으로 확대되어, 원고 측인 ‘중국 잔류 고아’의 수가 2,000명을 넘게 되는데, 후생성이 파악하고 있는 ‘중국 잔류 고아’의 80% 이상에 달하는 수치였다. 2005년 7월 6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오사카지방법원이 소송에 대한 첫 판결을 내리게 된다.「원고인들의 현실을 간과할 순 없지만, 소송을 기각한다」는 것이 요지였다. ‘중국 잔류 고아’의 패소는 일본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무엇보다 ‘잔류 일본인’ 문제가 새로이 대중의 주목을 모으면서, 일본 내부에서는 ‘끝나지 않은 전후’라는 인식이 강하게 대두되기도 했다. ‘잔류일본인(残留日本人)’은 한자어 뜻 그대로 남아 있는, 남겨진 일본인이라는 의미인데, 패전 후,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타국에 남게 된 일본인들을 일컫는 용어이다. 그러나 ‘중국 잔류 고아’의 형성이 ‘불가항력’에 의한 것만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정부는 ‘잔류 일본인’이라는 자국민 대응에 있어서도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즉 ‘일본정부는 왜 패전 후 위험과 괴로움에 노출되는 것이 뻔했음에도, 해외에 자국민을 그대로 잔류 시켰는가’ 하는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안점이다. 일본 정부가 패전 후 ‘중국 잔류 일본인’ 등의 귀환 과정에서 보여준 일련의 정책은 엄밀히 말해 ‘국민을 버리는’ 것이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해 앞으로 일본이 해결해야 할 산적한 ‘전후 처리’ 문제 가운데, ‘잔류 일본인’이 가지는 본질적인 중요성을 환기하고 싶다.

      • Initiation of mountain : a case study on foreberg under transpressional tectonic regime, Mongolia

        이초희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이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에 있는 지형으로서 포베르그는 그 성인이 주로 트러스트(thrust)에 의한 지표의 변형에 기원하며, 그를 둘러싸는 선상지 혹은 범람원 위에 낮고 길게 늘어선 능선 혹은 언덕을 말한다. 몽골 고비-알타이에 있는 포베르그들은 동-서 주향의 좌수주향이동단층인 보그드 단층(Bogd Fault)을 따라 형성된 restraining bend의 전면(foreland)에 발달했으며, 몽골 중남부가 여전히 조구조적으로 활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비-알타이와 보그드 단층의 동쪽 끝 부분에는 restraining bends 중 하나인 알츠 보그드(Artz Bogd)라는 산맥이 발달했으며, 해당 산맥의 전면에는 여섯 개의 포베르그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i) 연구지역에 대하여 고지진학적 함의, (ii) 포베르그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는지, (iii) 포베르그의 형성과 수직·수평적 성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iv) 연구지역의 조구조환경에 대하여 경관은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대해 답하고자 두 개의 포베르그에 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여기루미네선스(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를 사용한 연대측정,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중 하나인 베릴륨-10을 사용한 노출연대 측정(exposure age dating)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베릴륨-10을 사용한 유역분지 내의 평균삭박률(catchment-wide denudation rate; CWDR)을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값과 더불어, 수 미터 혹은 그보다 더 작은 규모의 지형적 특징을 인지하기 위하여 고해상도(0.5 m/pixel)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수치표고모델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형인자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관의 변화 및 진화과정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장과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개괄 및 연구지역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있다. 제 3장에서는 보그드 단층의 동쪽 끝을 포함하는 연구지역에 대한 고지진학적 특징과 포베르그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해왔는지(포베르그의 성장에 기여하는 단층의 슬립율)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포베르그 FB6의 서쪽 끝에 드러난 단층노두에 대하여 정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단층노두 상의 퇴적층에 대하여 광여기루미네선스(OSL) 연대측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대측정 결과 및 단층노두에 대한 스케치 및 기재를 바탕으로 단층의 슬립율을 계산하였으며, 단층 혹은 지진 이벤트의 역사 및 재래주기(recurrence interval)를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고지진학적 정보 외에도, 포베르그 면 상에 존재하는 바위(boulder)에 대하여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본 연구에서는 베릴륨-10)를 이용한 노출연대측정을 실시하여 포베르그가 존재하는 지형면의 융기율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포베르그 혹은 초기 단계의 산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와 함께 수직·수평적으로 어떻게 자라왔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유역분지 내의 평균삭박률(CWDR) 및 지형인자들이 포베르그와 평행 혹은 수직한 방향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인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유역분지 내의 평균삭박률(CWDR)과 지형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형경관이 조구조환경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해석하였다. 포베르그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지되는 지형적인 비대칭성 혹은 유역분지 내의 평균삭박률(CWDR)과 지형인자의 비대칭성을 바탕으로 현재 포베르그의 지형적 상태 및 앞으로의 경관 변화 및 진화에 대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위의 결과 및 함의점을 요약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포베르그’를 예로 들어 전달압축 응력장 하에서의 산의 형성 및 성장에 대한 일례를 제시하였다. As a mountain in its early stage, ‘foreberg’ is a low, elongated ridge or hill rising above the surrounding alluvial fans or floodplains and is formed by thrusting. The forebergs in the Gobi-Altay, Mongolia have developed and grown in the foreland of restraining bends along the E-W trending sinistral strike-slip Bogd Fault, supporting that the south-central Mongolia still maintains active tectonics. In the easternmost part of the Gobi-Altay and the Bogd Fault, six forebergs have formed in the foreland of the Artz Bogd, which is one of the restraining bends. I surveyed two of the forebergs to interpret (i) the paleoseismic implication on the local area, (ii) how fast the forebergs have been growing, (iii) how the forebergs were initiated and have been grow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iv) how the landscape responses to the tectonic regime. To carry them out,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dating, exposure age dating using 10Be, and catchment-wide denudation rate (CWDR) from 10Be were used. In addition, high-resolution (0.5 m/pixel)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as generated to detect geomorphic characteristics whose magnitudes reach only several meters or less. Various geomorphic paramet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M to interpret the change and evolution of the landscape. This thesis includes five chapters. Chapter 1 and chapter 2 are about the introduction and background information on this thesis and its study area. Chapter 3 documents the paleoseismic implication on the local area, the eastern tip of the Bogd Fault, and how fast the forebergs have been growing (slip rate along the fault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he foreberg). A faulted outcrop, which has been exposed at the tip of the foreberg FB6, was surveyed, and sedimentary layers in it were dated using OSL method. Then, I calculated the slip rate and deduced a history of the faulting (or earthquake) event and recurrence interval. Rather than the paleoseismic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trenched section, the uplift rate of the foreberg was also constrained by applying exposure age dating from 10Be concentration to the surface of the foreberg. Chapter 4 documents how the forebergs were initiated and have been grow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cluding the growing mechanism of the foreberg or the mountain in its early stage. It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the along- and across-foreberg variation of the CWDRs and geomorphic parameters. In addition, I interpreted how the landscape responses to the tectonic regime by statistically correlating the CWDRs and geomorphic parameters and identifying the asymmetry of the topography, CWDRs, and the parameters in the across-foreberg direction. Lastly, chapter 5 summarizes all results and implications above. This thesis provide one case of the mountain initiation and its growth in the transpressional tectonic regime by giving an example of the ‘forebergs’, which are presumably in its early stage of mountain growing.

      • 3D 프린팅을 위한 카테콜아민의 계면 필름 형성에 관한 연구

        이초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3D 프린팅은 복잡한 형태의 삼차원 구조체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기술로 건축, 생명공학, 에너지, 의료기기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되는 기술이다. 3D 프린팅의 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는데, 이 중 셀룰로오스는 기후 위기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 3D 프린팅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셀룰로오스 프린팅을 위해서는 플라스틱과 혼합하여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FDM(Fused Depositiono Modeling) 방식과 셀룰로오스를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DIW(Direct ink writing) 방식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 셀룰로오스를 혼합하여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경우 사용된 플라스틱 보다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며, 셀룰로오스 잉크로 제작된 구조체 또한 용매가 증발됨에 따라 형성된 다공성 구조에 의해 약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콜아민 수용액을 활용한 셀룰로오스 페이스트를 3D 프린팅에 적용하여 기존의 셀룰로오스 3D 프린팅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페이스트는 셀룰로오스 파우더와 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한 접착제는 카테콜아민 화학을 모방한 파이로갈롤-폴리에틸렌이민 혼합 수용액으로 산소와의 계면에서 경화반응을 일으켜 접착력을 유발하는 특징을 갖는다. 초기 페이스트는 점탄성 유체의 특성을 가지며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카테콜아민 용액의 경화반응에 의해 서서히 고체화 된다.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 공정을 최적화 하고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페이스트의 경화 반응을 촉진하고자 하였으며 기계적 물성 평가와 화학 조성 분석 등을 활용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압출 기반 프린팅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회전형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과 과산화수소 함량에 따른 페이스트의 유변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1 wt%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시편이 출력 안정성과 최종 출력물의 형태 안정성 모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최적 조건으로 출력한 3D 구조체의 압축 강도 평가 결과 압축 강도는 86.35 MPa(zigzag, 70%)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카테콜아민 용액의 경화 반응을 이용한 3D 프린팅 셀룰로오스 소재 관한 선행 연구로 향후 고강도 3D 프린팅 소재로서 셀룰로오스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약물 운반체로써 EGCG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초희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특정 질병에 과발현 되거나 특이하게 존재하는 생체물질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약물을 운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약물이 특정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생체의 조건에 따라 약물만 세포 안 등 특정부위에 전달되게 된다. 그 중, pH sensitive linker를 이용한 방법으로 hydrazone imine 결합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전립선 질환세포 주변은 과잉 대사로 인한 산성 조건을 가지고 있어 산성에서 불안정한 linker로 연결한 약물은 방출되어 세포 내로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전립선 세포는 67LR이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정상세포에 비해 질환세포는 67LR이 과발현 되어 있는데 이러한 67LR을 표적하기 위해 EGCG를 기질로 사용했다. EGCG에 산조건에서 방출되는 hydrazine linker를 부착하여 그 끝에 형광 dye를 imine으로 연결하여 합성을 진행했다. MTT assay를 통해 최종 화합물이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고, fixed cell imaging을 통해 전립선 세포 주 (PC3, LNCaP)에서 형광이 발현되고 질환세포에서 dye가 방출되어 세포 내로 들어간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EGCG-linker 화합물이 약물 운반체로써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One of the ways to reduce side effects of drugs is to transport drugs by selective recognition of biomaterials that are over expression or exist uniquely in certain diseases. When a drug reaches a specific target, only the drug is delivered to certain areas, such as inside the cell,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organism. Among them, there is a method using hydrazone imine binding of pH sensitive linker. Prostate disease cells have acidic conditions caused by excessive metabolism, allowing drugs connected to the acidic labile linker to be released and enter the cell. Prostate cells also feature 67LR. In particular, compared to normal cells, 67LR of disease cells were over-expression. EGCG has the ability to target 67LR. Therefore, EGCG can be used as a substrate to target 67LR of these cells. the EGCG-linker was attached with fluorescent dye as an imine bond that release in acidic condition. We confirmed through MTT assay that final complex does not affect cells, and through fixed cell imaging we have confirmed fluorescence in prostate cell line (PC3, LNCaP). Thus, the EGCG linker complex proved to be effective as a drug deli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