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컴플라이언트 코팅된 벽면 위의 난류 경계층내 벽면 압력섭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컴플라이언트 코팅된 벽면이 난류 유동장 안에 놓여질 때 벽면 압력 섭동에 대한 관점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벽면 섭동 압력에 대한 측정은 1/8" 마이크로폰 (B&K4138) 헤드에 d^(+)가 약 7.0가량인 핀 홀 캡을 장착하여 전연부에서 730mm 떨어진 곳에서 측정하였다. 다공질의 컴플라이언트 코팅은 5.1mm 두께를 가지며, 유동 교란이 가능한 적도록 부드러운 천덮개를 씌워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판에서 발생하는 경계층에 대한 측정은 열선 유속계를 이용하였으며 표면 마찰 계수값을 얻기 위해 CPM법을 이용하였다. 컴플라이언트 코팅된 벽면에서 천덮개의 거칠기로 인해 일반 강체 평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달된 경계층이 형성되었으며 평균벽 전단 응력도 완전 난류 경계층의 값을 나타났다. 그러나 혼합된 변수 스케일링에 의한 무차원 벽압력 스펙트럼 결과는 k_(c)h가 2.93이상에서 고주파가 3dB이상 감소함을 보여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wall pressure fluctuations when the compliant-coated wall was located in turbulent flow field. Wall pressure fluctuations was measured at 730mm from leading edge by 1/8" microphone(B&K4138) attached with pin hole cap of 7.0 d^(+). Porous compliant coating has 5.1mm thickness and is covered with smooth fabric coating in order to reduce flow disturbance. The boundary layer on flat plate was measured by hot wire probe and CPM method was used to obtain skin friction coefficient. The roughness of fabric coating on compliant coated wall caused more developed boundary layer than that of general rigid flat plate. Mean wall shear stress also shows fully turbulent layer characteristics. However, non-dimensional pressure spectrum about mixed variables scaling shows k_(c)h must be larger than 2.93 for 3 dB or more of attenuation.
제3자물류(TPL)업체와 화주기업 간 전략적 제휴 시 고려해야하는 로지스틱스 서비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In order to survive in the world of significant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like today, the only way is to acquire competitive superiority. Therefore, between-corporate collaboration through strategic alliance is getting increasing by degr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strategic alliance, logistics service items, and types of negotiation strategy between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and shippers. This study performed a case study of the six corporations among which three are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and the rest are shipp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and shippers take into considerations the importance of strategic alliance, individual excellence, compatibility of organization and go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and planing and operation. Second, it's accepted that the five logistics service items such as information management, warehouse management, shipment consolidation and line-haul service, consulting, and administ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offer to shippers are regarded as significant. And the six logistics service items such as warehous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traffic management and fleet operations, administrative performance evaluation, and order management shippers use, provided by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are considered important. Finally,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s mainly took 'collaboration strategy' and shippers tended to stick to 'competition and tit-for-tat strategy' among the types of negotiation strategy.
이창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Nowadays people are too apt to regard mission as linked to colonization or as just a kind of charitable work. When the mission is understood only as an observable phenomenon, it is seen from a too narrow point of view and from a distorted perspective. However, mission is the Church’s duty; the mission is sent by, is guided by, and is carried out with the Holy Spirit from Pentecost on (Acts 2, 1-13). God, who has his universal salvific will (1Tm 2, 4), wants to save every human. The Church, which is the symbol and instrument of salvation, fulfills its duty through mission. In order to make clear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Church’s missionary service, this study centered its consideration on the Holy Spirit, who is revealed as the principal actor of the mission. The purpose of the mission is that all men commune with the life of God, so this study looks at the related character of Holy Spirit as ‘Life-giver’ as expressed in the Niceno-Constantinopolitan Creed. It identified the close interaction of the actualization of salvation with the character of Holy Spirit existing in the world. In this case, from the Trinitarian perspective, the Holy Spirit acts together with the other Persons of the trinity, as the Church fathers saw. Therefore, there is no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salvation actualized in relation to the Holy Spirit’s life-giving presence in the world and salvation from the Holy Father or the Son. Also,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Holy Spirit in the Church’s missionary service, this study considered the Holy Spirit’s leading the Church to become the universal sacrament of salvation. The Holy Spirit acts so that life is transferred to everyone through the Christian’s charisma and the catholicity of Salvation in the Church. Accordingly, this study makes clear that in the Holy Spirit’s giving life to the world through the Church, mission is revealed as both evangelization and practice of charity. Hence, the mission has a broad spectrum: from communion with the Church in order to get fullness of life, through to social participation so that the marginalized do not fall into death and despair. This study made clear that, through the Holy Spirit’s sending, mission is the principle of the Church’s every action to communicate life. Though the mission is revealed in diverse forms from evangelization to practice of charity, its purpose and directivity are clear when we understand the Holy Spirit as the Life-giver. The Holy Spirit wants every human to share in giving life, and makes the Church practice communion and service ‘now and here’ in every space and time through everything in the world. 오늘날 선교사명을 식민주의와 결부시키거나 자선 사업으로 이해하는 등 극단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선교사명이 드러나는 현상만을 중심으로 이해할 때에 이와 같이 편협하게 바라보거나 왜곡하기 쉽다. 하지만 선교사명은 성령 강림 사건(사도 2,1-13)에서부터 드러난 것처럼 성령이 파견하고 인도하며 함께 하는 교회의 임무이다. 하느님은 보편적 구원의지(1티모 2,4)에 따라 모든 사람이 구원되기를 바라므로 구원의 표징이자 도구인 교회는 선교사명으로 이를 실천한다. 본 연구는 선교사명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선교의 주역인 성령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선교사명의 목적은 모든 이를 하느님 생명에 참여하게 하는 데에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성령의 특징을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생명을 주는 성령’에서 찾았다. 이는 세상에 현존하는 성령의 특징과 맞물려 구원의 현재화를 확인시킨다. 이때 교부들의 고찰처럼 성령은 삼위일체적 전망 아래 다른 위격들과 함께 활동하므로 성부나 성자로부터 오는 구원과 질적 차이가 없다. 교회에서 나타나는 선교사명에서 성령의 역할을 살피기 위해 성령이 교회를 인도하여 구원의 보편 성사가 되게 한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성령은 그리스도인의 은사와 교회의 구원에 대한 보편성에서 모든 이에게 생명을 전달되도록 활동한다. 이에 따라 성령이 교회를 통하여 세상에 생명을 주므로 선교사명이 복음화와 사랑의 실천까지 드러나는 점을 밝혔다. 그래서 선교사명은 인간이 충만한 생명을 얻기 위해 교회에 일치하는 것부터 소외된 이들이 죽음과 절망에 빠지지 않도록 사회에 참여하는 일까지 넓은 외연을 지닌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회가 성령으로 세상에 파견 받아 생명을 전하는 모든 활동의 원리가 선교사명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선교사명이 복음화부터 사랑의 실천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세상에 드러나더라도 생명을 주는 성령으로부터 선교사명을 이해한다면 그 목적과 방향성이 분명하다. 성령은 모든 이에게 생명을 주고자 하며 모든 시공간에서 세상의 것을 통하여 ‘지금 여기에’ 친교와 봉사를 실천하게 한다.
M. A.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f Higher Education Chang-Jun L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ang-Sup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n higher education. This trial is to find out the basic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 of modern and post-modern based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Humboldt and Lyotard provided a new paradigm on higher education of each era. They made possible more sophisticated philosophical approaches on this point to the higher education. So I researched directing point of higher education and foundation of educational human character. In this study, first and foremost, I researched into ‘The directing point of Berlin University’ and ‘The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 structure’. Humbolt’s university which became the matrix of these days university has an universal and total educational directing point. Such Humboldt’s position is based on the universal cognition on the knowledges and human beings. And in accordance with such Humboldt’s ideas, university has to be a field of purely academic research, namely ‘a field of Bildung’ which can build up a character. Finally, modern university has a directing point to complete a fundamental(universal) human character by education. Directing point and structure of modern university, in postmodern, is more and more loosing attraction. For justification of basic discussions on the universality of knowledges and human beings became more difficult in postmodern. In this point, Lyotard try to expla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game. Lyotard alleged that performance as the way of justification of education and knowledge at postmodern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Lyotard’s idea, postmodern university is trying to make outstanding person equipped with maximal performance. Namely, Lyotard make a capacity obtained by language game the purpose of education. Humboldt and Lyotard have a different cognitive foundation on higher edu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Humboldt and Lyotard manifest ‘differences on the structure of education’. Because contents which Humboldt and Lyotard trying to convey by higher education commonly pursuing universality. To conclude, although Humboldt and Lyotard started from a different cognition, higher education has a possibility of universal cognition.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대학교육관을 비교하는 것에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근대와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의 근본적인 토대를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각 시대의 대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학자이다. 이점에서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철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본 연구자는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각각의 대학교육의 지향점과 교육적 인간상에 대한 토대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먼저 ‘베를린대학의 지향점’과 ‘대학교육 구조의 토대’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대학교육의 모태가 된 훔볼트의 대학은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교육적 지향점을 가진다. 이러한 훔볼트의 입장은 지식과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은 인격도야를 가능하게 하는 순수학문 탐구의 장, 즉 ‘빌둥(Bildung)의 장’이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근대적 대학은 근원적인(보편적인) 인간성을 교육을 통해 완성하려는 지향점을 가진다. 포스트모던에 와서 근대적 대학의 지향점과 구조는 매력을 잃어간다. 지식과 인간에 보편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의 정당화가 포스트모던에서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리오타르는 언어게임을 통해서 대학교육을 설명하고자 한다.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던의 대학에서 교육과 지식의 정당화 방식을 ‘수행성’으로 본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포스트모던의 대학은 최대의 수행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리오타르는 언어게임에서 획득되는 역량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대학교육에 다른 인식적 토대를 가진다. 하지만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인식적 차이가 ‘교육의 구조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하기는 어렵다. 즉,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전체성과 언어게임이라는 형태로 학문을 규정하고 있지만, ‘지식의 보편성’을 전달하고자 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가 대학교육을 통해 전달하는 내용 속에는 동일하게 보편성을 추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서로 다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은 보편적인 인식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EMI 개선을 위한 분산스펙트럼 파라미터 선정에 관한 연구 : 차량용 제어기의 SMPS에서 발생하는 EMI 개선
최근 자동차의 전자화가 가속되면서 차량에 내장되는 전자장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전자파 성능 관리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완성 차 회사에서는 초기 개발 단계에서부터 전자파를 고려한 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MI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spread spectrum의 parameter 선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spread spectrum generator 또는 DC-DC converter IC에서는 주요 spread spectrum parameter를 고정시켜 놓거나, 소수의 parameter만 제한된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EMI noise 개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적절한 parameter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Spread spectrum의 주요 parameter는 크게 4가지가 있다. Modulation profile, rate, depth 그리고 type이 대표적인 parameter이다. 본 논문에서는 각 parameter를 변화시키면서 출력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EMI noise를 줄이기 위한 최적의 parameter 설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차량용 제어기에 사용 중인 dc-dc converter의 spread spectrum parameter를 확인하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parameter를 적용했을 때의 SMPS의 FFT 결과를 비교하여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향후 SMPS에서 발생하는 noise 및 EMI 개선에 관한 연구와 spread spectrum parameter들에 대한 연구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as the digitization of automobiles accelerates, electronic devices embedded in vehicl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electromagnetic performance management is also increasing, and automobile companies are demanding designs that consider EMC management from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This paper researched the selection of parameters of the spread spectrum to improve the EMI performance. In the existing spread spectrum generator or DC-DC converter IC, the main spread spectrum parameters are fixed or only a few parameters can be set within a limited range. To achieve EMI noise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parameter. There are four main parameters of the spread spectrum. Modulation profile, rate, depth, and type are representative parameters.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n the power spectrum while changing each parameter and suggests an optimal parameter setting method to reduce EMI noise. In addition, we intend to prove its effectiveness by comparing the spread spectrum parameter of the dc-dc converter used in the controller unit for automotive with the proposed parameter. This paper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noise and EMI improvement in SMPS and for research on spread spectrum parameters.
5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소나무재선충과 어리소나무재선충의 특이적 Real-Time PCR 유전자탐침 개발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중요한 소나무 병으로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에 의하여 매개되는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이 병원체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소나무 고사목에서는 어리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mucronatus)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두 선충은 형태적으로 구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나무재선충과 어리소나무재선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 동정하기 위하여 Real-time PCR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경북 포항, 구미, 영덕의 소나무재선충 피해 고사목에서, 어리소나무재선충은 경북 청도, 고령, 경산의 소나무 고사목에서 분리하였다. 그리고 순수 계대배양한 선충에서 DNA를 추출하였고 date base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과 어리소나무재선충의 5s rRNA 지역의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분리된 소나무재선충과 어리소나무재선충은 각각 서로 동일한 5S rRNA염기서열을 보유하였으며, 소나무재선충은 531bp였고 어리소나무재선충은 564bp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종 특이적 primer/probe도 설계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위해서 고안된 유전자 탐침은 각각의 소나무재선충과 어리소나무재선충의 5s rRNA를 특이적으로 증폭시켰다. 이는 고안된 유전자 탐침만으로도 이들 두 종을 특이적으로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게 되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분석은 두 종에 각각 비특이적인 유전자 증폭없이 특이적인 반응만을 유도하는 우수한 유전자 탐침임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설계된 primer와 probe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에서 특이도 및 민감도 확인 결과 0.2ng까지 분석이 가능하였다. The pine wilt disease is one of the most serious and destructive diseases in many pine forests of Korea. The causal agent of this disease is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transmitted mainly by the vector,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lose species B. mucronatus is also frequently detected from dead pine trees. These two species are not easy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cause of similarities i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life cycl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and identify those two species efficiently and accurately using the real-time species-specific PCR analysis. Isolates of B. xylophilus were obtained from the infected dead pine trees from Pohang, Gumi and Youngduk and those of B. mucronatus were from Chungdo, Goryung and Kyungsan in Gyungbuk province, respectively. Extraction of DNA was performed from each species with pure subculture. Then, sequence analysis in the region of 5s rRNA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was conducted and compared to the sequences of data base. In consequence, the isolated nematode species was completely identical sequences in the region of 5s rRNA. The size of 5S rRNA was 531 bp for B. xylophilus and 564 bp for B. mucronatus, respectively. Based on the sequence analysis, the species-specific PCR primer/probe was designed. The primer/probe was used for the specific amplification of 5s rRNA of both species. The species-specific differencds of both species were able to be detected with developed primer/probe in this stud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al-time species-specific PCR analysis was an efficient and potential method to induce the specific reaction of genes without any non-species specific DNA amplification of both species. There was possibility that real-time species-specific PCR analysis might detect limit of species-specificity and sensitivity to 0.2 ng using designed primer/probe in the study.
고농도 저해 조건에의 단기 노출이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저농도의 암모니아성 질소폐수는 고농도 질소폐수와 달리 아질산 축적의 주요 인자인 free ammonia (FA) 농도가 높지 않다. 따라서 저농도 질소폐수 처리 시 아질산 축적을 통한 단축질소제거 공정이 어렵다. 따라서 저농도 질소폐수에 단축질소제거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저해제를 공급하여 아질산 산화균의 억제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농도 저해제에서의 노출이 이용한 질산화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고농도 FA와 NaClO3의 노출은 농도와 노출시간에 따라 축적률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우선, 질산화 미생물의 질산화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완전질산화는 이루어지지 않는 적절한 범위를 찾고자 하였다. pH에 따른 FA 농도를 고려하며 노출시간을 달리한 노출과 NaClO3 (10 mM)을 노출시간 달리한 회분식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인 아질산 축적이라 할 수 있는 값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도출된 결과를 연속회분식 반응기에서도 적용하여 아질산 축적 효율을 평가하였다. pH 8.0에서 FA 150 mg/L (TA 1600 mg/L)를 3시간 노출을 하면 89.3%의 아질산 축적이 이루어진다. 도출된 범위를 SBR 반응기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노출 실험 후 아질산 축적율이 36%에서 78.9%로 높아졌다. 저온 (20℃)의 환경에서도 특별한 적응기간 없이 고농도 FA 노출을 통하여 아질산 축적률을 보였으며 저농도 질소폐수에서도 아질산 축적을 통한 단축질소공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TSC3.0 LDM-MIMO 방송시스템의 새로운 저복잡도 Core-Layer 복조 기법 연구
현재의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방송 표준인 ATSC3.0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ATSC3.0 표준에는 UHD 방송 서비스 구현을 위한 여러 가지 기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한정된 자원 안에서 전송데이터 효율을 높이기 위해 Multiple Inputs Multiple Outputs(MIMO) 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ATSC3.0에 적용된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LDM)과 다중 송수신 안테나(MIMO) 방송 시스템에서 Core-Layer(CL) 신호 복조 시 기존 Gaussian-Approximation(GA) 기법과 Partial GA(PGA) 기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PGA 기법과 성능은 동일하며 복잡도는 더 작은 새로운 Hybrid PGA(HPGA) 복조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적의 복조 기법인 Optimum Soft Decoding(OSD)는 CL 신호와 Enhanced Layer(EL) 신호의 모든 성상을 이용하여 복조하는 기법으로 현실적으로 복잡도 면에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A 기법은 EL 신호 전부를 잡음으로 취급하여 복조를 진행하므로 EL 신호에 대한 CL 신호의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송신 전력비를 나타내는 Injection Level(IL) 값이 낮아짐에 따라 성능 열화가 심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이 문제는 MIMO 시스템에 적용할시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한 PGA는 성능은 비슷하지만 GA 기법과 비교할시 복잡도면에서 단점이 생긴다. 새로운 복조 기법은 수신단 신호의 IL값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GA 기법과 PGA 기법을 선택하게 하여 성능은 PGA와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나오며 복호 복잡도 면에서 PGA 대비 약 50% 정도 작아짐을 보인다. As the demand for current terrestrial UHD broadcasting services increases, interest in ATSC3.0, the broadcasting standard, is increasing, and the ATSC3.0 standard includes various techniques for implemneting UHD broadcasting services. In addition, a Multiple Inputs Multiple Outputs(MIMO) system will need to be applied to increase transmission data efficiency within limited resources.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a new Hybrid PGA (HPGA) soft decoding technique, which has the same performance of PGA technique and less complexity, using the existing Gaussian-Approximation (GA) technique and Partial GA (PGA) technique selectively in the Core-Layer (CL) signal decoding system applied to ATSC3.0. Optimum Soft Decoding (OSD), an optimal decoding technique, is a technique that uses all the constellations of CL signals and Enhanced Layer (EL) signals, and is practically difficult to apply in complexity. To solve this problem, GA techniques proceed with demodulation by treating all EL signals as noise. The problem with this is that the Injection Level (IL) value, which represents the relatively high average transmission power ratio of the CL signal to the EL signal, is reduced, resulting in a severe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problem creates a bigger problem when applied to the MIMO system. Complementing these shortcomings, the PGA has similar performance, but it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complexity compared to GA techniques. The new decoding technique allows the flexibility to select GA and PGA techniques based on the IL value of the received signal, resulting in the same or similar performance as or about 50 percent less than PGA in terms of the complex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