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정신지체학생의 지역사회 체육시설 이용실태와 부모의 만족도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이종윤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ed at finding out the usage pattern for community athletic faciliti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and the satisfaction of parents. To present the conclusion based on the data of 312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in special-education schools in Busan which are installed with elementary , middle, high and major courses, is as follows; Firstly, 68 subjects of 312 subjects were using athletic facilities in local community, and about whether they were suing athletic facilities or not, students who were using cared about the location and the distance when they choose the facilities. Besides the trainer, facilities, fee, and programs of the athletic facilties followed in this order. Average number of use of athletic facilities were the highest for the users who use 2~3times a week, and 4~5times a week, 1 time or less a week, 6 times or more a week followed this order and 79.41% of users taking part in athletic activities regularly 2~5 times a week. The period of using facilities was over 7 months for 85.3% of students who were steady. When going to use athletic facilities, most students took a shuttle bus or a private car. Secondly, in the satisfaction of facilities using fee for parents, 'satisfied' and 'very satisfied' appeared 66.17%. About the program and its interest, most parents chose 'so-so' or 'not satisfied', and about the diversity, many parents chose 'so-so' therefore factors related to the program didn't seem to satisfy parents. About the trainer, the training itself and training method were appeared to be 'so-so' and then 'satisfied'. About the manner, knowledge and technique of the trainer many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m, an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r and their children, over 72.64% of parents chose 'satisfied' or more.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about the trainer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manner or relationship with children but were not satisfied with training method or training itself because of trainers' lack of understanding for handicapped students. Considering the program, training of trainers, training method,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right program and training method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rather than the non-disabled students. About the facilities, 50% of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of participating programs and the rest 50% of parents chose 'so-so' and 'not satisfied'. Among the facilities, shower room, fitting room, and the rest areas appeared to be 'so-so' but over 72.06% of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toilet. About the satisfaction for kindness of athletic facilities employees, they were satisfied with both of the trainers and general employees.

      •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연구

        이종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학생·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하여 봄으로써 수행평가를 전통적인 평가 체제의 대안으로 학교 교육 현장에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문헌 고찰을 병행하여 조사 연구를 하였다. 조사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6개 공립 중학교의 교사·학생·학부모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교사·학생·학부모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 분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에 대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에 비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인지도는 낮았다. 특히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이유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들은 '학습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기 위하여'라는 응답이 많았으나, 학부모들은 '학생 개개인의 변화·발달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라는 응답이 많아 세 집단간에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학생과 학부모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수행평가가 사교육비의 지출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평가 도구에 대하여 교사들은 공정하고 객관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부모들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 기준의 타당도에 대하여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학생과 학부모들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았다. 넷째, 수행평가의 적용에 있어 교사들은 '평가 결과를 교수·학습과정에 재투입’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과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특기 신장의 근거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행평가로 부여된 점수에 대한 학생들의 동의 정도에 대하여 교사들은 학생들이 동의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학생과 학부모들은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행평가의 실시 회수 및 소요 시간에 대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한 학기에 2회 정도의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나의 수행평가 과제를 수행하는 데 적절한 시간으로는 교사와 학생들은 2∼3시간, 학부모들은 1∼2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국어 교과와 수학 교과에서는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를, 도덕 교과와 사회 교과에서는 연구 보고서법을,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에서는 실험·실습법을, 체육 교과에서는 실기법과 관찰법을, 음악 교과에서는 실기법을 미술 교과에서는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를, 영어 교과에서는 구술 시험을 가장 효과적인 수행평가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데 있어 가장 존중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들은 '주당 수업시수를 줄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풍토 조성’을, 학생과 학부모들은 '교내 자율 연수의 강화’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에 대한 인지도에 있어, 교사들에 비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인지도는 매우 낮다. 특히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이유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들은 '학습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기 위하여’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부모들은 '학생 개개인의 변화·발달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라고 인식하고 있어 세 집단간에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다. 둘째, 수행평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하여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학생과 학부모들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또한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수행평가가 사교육비 지출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수행평가 도구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대하여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학부모들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지 않으며, 학생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수행평가 기준의 타당도에 대하여 교사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반면, 학생과 학부모들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넷째, 수행평가의 적용에 있어, 교사들은 '평가 결과를 교수·학습 과정에 재투입’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학생, 학부모들은 '학생의 특기 신장의 근거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이식하고 있다. 특히 수행평가로 부여된 점수에 대하여 학생과 학부모들은 그다지 동의하지 있지 않다. 다섯째, 수행평가의 실시 회수 및 소요 시간에 대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한 학기에 2회 정도가 적당하다고 인식하며, 하나의 수행 과제를 이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교사와 학생들은 2∼3시간, 학부모들은 1∼2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여섯째, 각 교과에 적합한 수행평가의 유형이 있으며, 국어 교과와 수학 교과에서는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를, 도덕 교과와 사회 교과에서는 연구 보고서법을,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에서는 실험·실습법을, 체육 교과에서는 실기법과 관찰법을, 음악 교과에서는 실기법을, 미술 교과에서는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를, 영어 교과에서는 구술 시험을 가장 효과적인 수행평가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수행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가장 존중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들은 ‘주당 수업 시수를 줄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풍토 조성’이라고 생각하며 학생과 학부모들은 ‘교내 자율 연수의 강화’라고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ay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looked at on going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It's ultimately meant to discuss how performance assessment could properly be put on the right track in school education as a successful alternative to the typical evaluation system. For that purpose, the literature concerned was reviewed fir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six public middle schools in Seoul, against who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implemented to see what the three groups thought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most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vestigated considered themselves to know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well. But the student and parent groups were less aware of that than the teacher group. Second, more teachers and students responded that performance assessment was adopted in a move to place more stock in learning process than outcome, whereas a lot of the parents believed it aimed at mak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over how individual students would change and develop. Thus, the three groups had a different view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the teachers had a high opin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le the students and parents didn't look at it in a positive manner. Fourth, all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didn't think that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ed in lowering private tutoring expenses. Fifth, the teachers had a good opinion about the impartiality and objectiven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but the students and parents took a dim view of the same features of that. Sixth, the teachers considered students to agree to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they got, but the students and parents virtually tended not to agree to the assessment results. Seventh, all the groups didn't think there were sufficient materials for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r activities. Eighth, the best way to fulfill performance assessment appeared to be subjective and essay test in Korean language and math, research paper in ethics and social studies, experiment and practice in science, industrial arts and home economics, practical exam and observation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exam in music, observation and portfolio evaluation in arts, and oral test in English. Ninth, the teachers viewed the top prior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as reducing weekly teaching loads and approving teacher expertise with respect. The students and parents found it most necessary to strengthen in-school autonomous training.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in this study: First, the students and parents were less aware of performance assessment than the teachers. Seco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as thought to be good by the teachers, whereas the students and parents didn't take a positive outlook. Third, all the three groups didn't see performance assessment as having an effect on cutting down private tutoring expenses. Fourth, performance assessment was considered impartial and objective among the teachers, but the students and parents didn't look at it that way. Fifth, the students and parents didn't quite agree to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given to the students. Sixth, school wasn't equipped with sufficient materials for that assessment. Seventh, subjective and essay test were perceived as the best way to implem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and math; research paper in ethics and social studies; experiment and practice in science, industrial arts and home economics; practical test and observation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exam in music; observation and portfolio evaluation in arts; and oral test in English. Eighth, the teachers regarded reducing weekly teaching loads and valuing teacher expertise as most vital for successful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students and parents believed it's most important to reinforce in-school autonomous training.

      • 기공이 중년여성의 비만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팔단금을 중심으로

        이종윤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공이 비만도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않은 15명의 여성을 선정하고 연령별로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I집단은 40대여성 6명과 II집단은 50대여성 9명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은 12주간 H센타에서 기공을 실시하고 기공전과 기공후에 두 집단은 가슴 삼두근 견갑하부 중액와선 대퇴 장골상부 복부등을 스킨폴드 캘리퍼로 비만도와 임피던스로 신체구성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험자의 신체적인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으며 연령대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간 독립 t-test와 집단별 pair t-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a=0.05로 설정하였다. 1. 비만도 가슴 삼두근 견갑하부 복부 상장골 중액와선 대퇴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40(I집단)와 50(II집단)사이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측정 전보다 감소하였다 결국 12주간의 기공운동이 비만도 감소에 효과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2. 신체구성 지방을 %와 체지방량 수분량에서 40대(I집단)와 50대(II집단)에서 모두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감소하였다 그러나 제지방은 40대(I집단)와 50대(II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연구결과를 분석해보면 비만도를 낮추고 신체구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는데 있어 규칙적인 기공 운동이 효과적인 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중년기 여성들에게 운동 적응을 용이하게 하고 운동을 할 수 없는 환자나 특수한 경우에 기공운동을 활용한다면 신체에 큰 무리없이 체중감량과 신체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건강하게 사회생활을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level of fat. For the this study, The subjects are 15 female who are do not exercise regulary. the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ge. Group I was consist of 6 members of females (age=44.66±1.36), group II was consist of 9 members of females(55.22±2.48).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treats Ki exercise during the 12weeks in my H center. Before the treat Ki exercise and After treat Ki exercise, they were measured the chest, triceps, subscapular, midaxillary, suprailiac, abdomen, thigh by skin fold caliper and body composition(fat %, fat kg, fat free mass, water) by impedance. The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managed using Windows Statistical Program SPSS 10.0 The materials from all the measuring items were testified in intragroup, in intergroup, in periods through a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made as the following: 1. Level of fat As a result of 12 weeks of Ki exercise, level of fat variables(chest, triceps, subscapular, midaxillary, suprailiac, abdomen, thigh) showed that th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ntergroup)was no sikinificant differences by independent t-test(P>.05). while intragroup was sikinificant defferences by paired t-test(P<.05). 2. Body composition As a result of 6 months of Ki exercise, body composition(fat %, fat kg, water) showed that th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intergroup)was no sikinificant differences by independent t-test(P>.05). while intragroup was sikinificant defferences by paired t-test(P<.05). but fat free mass was not siki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ra group and intergroup(P>.05). Conslusion attained from the above results was that treat Ki exercise was helpful for a men. and reduced level of fat and body composition. so treat Ki exercise might be able to the recommend to people.

      • Polyamide-imide를 이용한 나노섬유 부직포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의 제조 및 전기화학 특성분석

        이종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리막은 리튬이온배터리의 4대 핵심 소재 중 하나로써, 미세 다공성 고분자 멤브레인으로 구성된다. 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리튬이온배터리가 고 용량화, 고 출력화 되어감에 따라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정성 문제는 필수불가결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올례핀계 분리막의 낮은 열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내열성 분리막의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rimellitic anhydride chloride(TAC) 와 4,4′-Diaminodiphenylmethane(DDM)을 이용하여 대표적 내열성 고분자인 Polyamide-imide를 중합하였다. 중합된 Polyamide-imide를 이용하여 전기방사법을 통해 나노섬유부직포형태의 리튬이온배터리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전기방사를 통해 얻어진 polyamide-imide 나노섬유부직포 형태의 분리막을 추가적인 캘린더링 공정과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polyamide-imide 나노섬유부직포 형태의 분리막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켰다. 물성이 향상된 polyamide-imide 나노섬유부직포 형태의 분리막의 기계적물성, 내열특성, 전해액에 대한 함침성 등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리튬이온배터리용 분리막으로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기존 상용 올레핀계 분리막인 Celgard 2400보다 더 높은 열안정성 및 더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간 이동에 관한 연구

        이종윤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기 위해 지역의 자발적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지역균형 개발은 지역인적자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전략은 평생교육체계 그리고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을 추진하고 지역상황에 필요한 인력, 인재를 육성하며, 지방대학이 지역인력 양성과 기술을 창출하는 목적과 지역발전과 연계하여 지방자치단체, 산업체, 연구소, 비정부기구등 혁신주체들이 자율적으로 그리고 공동으로 발굴한 혁신과제를 지원해 지역의 자발적 혁신역량을 배양, 강화하는 것이다. 이처럼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인적자원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이 교육수준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때 학력수준이 높은 고학력 노동자는 지역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국토의 균형발전 전략으로 지역차원에서 인적자원 육성정책을 강조하고 있으나, 인적자원은 지역 간 기회구조의 차이에 따른 지리적 이동 형태와 개인의 효용를 추구하는 사회적 이동 형태로 지역간 이동이 발생 할 수 있다. 지역간 이동은 지역에 따라 고학력 노동자의 유출이 많은 지역에서 지역경쟁력의 약화를 초래 할 수 있으며, 고학력 노동자의 유입이 많은 지역은 지역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 경쟁력에 강화를 위해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간 이동행태를 연구하는 것은 인적자원의 이동 측면이 고려된 현실적인 논의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인재이동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 지역발전 전략 수립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 이동모형을 개발과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고학력자의 지역 간 이동모형에서 설정된 설명변수들을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Model#1, Model#2, Model#3을 구성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Model중 -2LogL 값이 작은 것은 Model#3으로 나타났으며, Model#3의 설명변수로는 1인당 연구개발비, 실업률, 1인당 정보통신산업수, 1인당 교육시설수, 1인당 지방세로 구성되었다. Model#3은 결혼유무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 유의도가 확보되었다. 연구 결과를 해석하면 남성비율이 높은 지역과 고학력 분포가 높은 지역, 1인당 연구개발투자비가 높은 지역, 실업률이 낮은 지역, 교육여건에 해당하는 1인당 교육시설수가 높은 지역, 1인당 지방세가 낮은 지역으로 고학력 노동자가 이동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된 결과의 표준화 계수와 한계효과를 살펴보면, Model#3에서는 1인당 교육시설수의 표준화 계수가 가장 큰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1인당 교육시설수의 변수영향력이 다른 변수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한편, 1인당 연구개발비와 1인당 교육시설변수가 모두 고려되었을 때 한계효과(Marginal Effect)를 계산하면 1인당 연구개발투자비는 0.021로 나타났고 1인당 교육시설수는 0.073로 나타났다. 1인당 교육시설수의 한계효과가 1인당 연구개발비 보다 3.49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학력자의 지역이동의 확률을 높이고 고학력 노동자의 지역유입을 위해서는 교육시설의 투자를 높이는 정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고학력 노동자의 이동 행태는 연령별, 성별, 지역별 조건에 따라 차별적인 이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태적 차이를 감안 할 때 임금수준이 높은 지역과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 연구개발과 교육기회가 많은 지역에 젊은 계층의 고학력 노동자의 인구구성변화를 가져 올 것이다. 따라서 교육시설의 투자와 연구개발투자 정책은 고학력 노동자를 유입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are the core of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which enforces the initiative innovation, to achieve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f the educational standards form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the highly educated labor forces will be in beneficial positions of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Since highly educated labor can move where they want, so that they can influence the regional competitive power. Hence, the research on the interregional migration of the highly educated labor should be done to build up better the regional competitive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urrent understanding for the interregional migration of highly educated labor and to propose strategies and policies of the reg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This thesis applies the logit model. The explanative variables considered are the age, marriage, gender, annual income per capita, R&D expenditure per capita, educational standards, educational facilities per capita, local tax per capita, and the unemployment rat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pecifies the migration-probability of the highly educated labor. also it shows that the migration-probability more highly occurs in the region of higher male population, higher R&D expenditure per capita, more educational facilities per capita and lower local tax per capita. On the other hand, the thesis shows that the migration-probability occurs less in the region of lower annual income per capita. Finally, the thesis suggests that the investment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per capita R&D will be invaluable to induce the inflow of the highly educated labor.

      • 온라인 전자상거래 이용동기와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종윤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Ⅴ.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온라인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개인적 특성 및 소비활동 패턴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이용동기 및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표본으로 최종적으로 299매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응답자들의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소비활동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이용동기와 소비자의 구매행동의도, 그리고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요인 등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계수를 이용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리고 조사도구에 포함된 문항들의 내용이 응답자들에게 정확하게 인지되고, 조사하고자 하는 내용이 올바르게 측정되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이용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의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 요인(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경제성, 쾌락성요인)과 서비스 품질 요인(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편리성요인) 별로 전자상거래 이용 전자기기, 성별, 결혼유무, 연령별로 표본을 분류한 뒤,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와 서비스 품질요인이 소비자 구매행동의도(구매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전자상거래 이용동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경제성, 쾌락성 요인 등 4개 요인으로 분류한 뒤 각각의 요인들 중에 가장 영향력이 큰 항목이 무엇인지에 대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보 제공성 요인에서는 제품에 대한 정보 항목, 상호작용성 요인에서는 다른 이용자와의 정보공유 가능 항목, 경제성 요인에서는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 탐색 항목, 쾌락성 요인에서는 전자상거래 이용의 편리성 제공 항목이 각각 1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품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서비스 품질을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편리성 요인 등 5개 요인으로 분류한 뒤 각각의 요인들 중에 가장 영향력이 큰 항목이 무엇인지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에서는 유형성 요인에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어울리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 항목, 신뢰성 요인에서는 전자상거래는 상품구매자와의 약속을 잘 지킨다는 항목, 응답성 요인에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주문과 배송처리 확인 항목, 보안성 요인에서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결제수단 및 지불수단을 안심하게 사용 항목, 편리성 요인에서는 전자상거래는 쇼핑시간을 절약시켜 준다는 항목이 각각 1위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이용동기 및 서비스 품질에 대한 표본을 전자상거래 사용기기, 성별, 결혼유무, 연령별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한 뒤, 각 변수에 대한 평균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전자상거래 사용기기별로 전자상거래 이용동기의 표본을 분류한 분석결과에서는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경제성 요인에서 스마트폰 표본이 PC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나타났으며, 전자상거래 사용기기별로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의 표본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편리성 요인에서 스마트폰 표본이 PC 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의 표본을 분류한 분석결과에서는 정보제공성 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경제성 요인에서 여자가 남자표본에서 보다 더 큰 평균이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의 표본을 분류한 분석결과에서는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 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나타났다. 한편 결혼유무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 표본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요인에서는 기혼표본이 미혼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나타났으나 경제성 요인에서는 미혼표본이 기혼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나타났다. 그리고 결혼유무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 표본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요인에서 기혼 표본이 미혼 표본에서 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평균이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 표본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상호작용성 요인에서는 50대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큰 평균이, 경제성 요인에서는 20대 표본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큰 평균이, 쾌락성 요인에서는 30~40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큰 평균이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별에 따라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 표본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편리성 요인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큰 평균이 나타났고,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요인에서는 50대 이상에서 가장 큰 평균이 나타났으며, 보안성 및 편리성 요인에서는 30~40대에서 가장 큰 평균이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이용동기와 소비자 구매행동의도간에 관계를 설정한 [가설 1]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서비스 이용동기의 회귀계수가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어 [가설 1]은 채택되었으며,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와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쾌락성 요인이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고 있어 [가설 1-1]과 [가설 1-2], [가설 1-4]는 채택되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와 추천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이용동기인 정보제공성, 상호작용성, 경제성, 쾌락성 요인에서 모두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고 있어 [가설 1-5], [가설 1-6], [가설 1-7]과 [가설 1-8]은 모두 채택되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 서비스 이용동기는 구매의도보다는 추천의도에서 더 민감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구매행동의도와의 관계를 설정한 [가설 2]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서비스 품질의 회귀계수가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어 [가설 2]는 채택되었으며,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품질인 유형성, 신뢰성, 편리성변수는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고 있어 [가설 2-1], [가설 2-2], [가설 2-5]는 채택되었다. 그리고 전자상거래 서비스 품질과 추천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보안성, 편리성 요인에서 모두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고 있어 [가설 2-6], [가설 2-7], [가설 2-8], [가설 2-9]와 [가설 2-10]은 모두 채택되었다. 그러나 소비자 구매행동의도 중에서 구매의도보다는 추천의도에서 더 민감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본 연구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온라인 전자상거래방식과 스마트폰의 고도화된 발달로 인한 모바일로의 시장변화, 그리고 소비자들의 변화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는 시장상황을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둘째,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이용패턴 및 구매행태 그리고 소비자들이 전자상거래 이용시 현실적으로 보다 중요시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심도있게 분석함으로써 향후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연구에 초석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동기파악과 소비자 욕구 및 서비스 품질에 따른 소비자들의 태도분석을 통하여 이미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장에 진출해 있거나 향후 진입을 모색하는 진입을 모색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기업의 온라인 플랫폼 구성시 어떠한 요인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가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온라인 전자상거래 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실행을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자료를 온라인 전자상거래 기업의 입장이 아닌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의미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데 보다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의 공헌도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측정도구에 있어서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분석방법만을 이용하였으나, 설문지의 내용과 응답자들의 반응태도에 따라 조사결과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완벽한 통제에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면접방법, 참여자 관찰방법, 현장연구 등을 병행하여 보다 심도있는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대다수의 논문에서 채택하고 있는 변수들간의 횡단면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변수들간의 시계열적인 관련성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변수들간의 시계열 관련성 규명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변수들간의 횡단면 및 종단적 분석을 모두 실시하여 이론적인 틀과 실질적인 변수들간의 관련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설문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기 때문에 세분화되어 가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설문대상자를 전문가 그룹을 포함하여 세분화된 표본조사를 통한 선행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설문지 설계에서 문항설정과 설문 문항의 표현력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온라인 전자상거래에 대한 이용동기 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잇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와 함께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플랫폼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고속철도 도상자갈 열화도 산정에 따른 도상자갈 상태평가 방안 연구

        이종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the opening of the Gyeongbu Express Railway in 2004, the opening of Honam Express Railway in 2015 and the capital city high-speed railway in 2016, construction and opening of domestic high-speed railways has been increasing. As such, annual transit tonnage of the high-speed railway has rapid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20 million tons to 40 million tons.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of the Gyeongbu high-speed railway, the cumulative transit tonnage as of January 2018 is expected to reach a maximum of 350 million tons, which is expected to exceed the rail transit standard of 600 million tons by July 2024. Currently, the replacement of domestic track components is mostly based on damage, wear and transit tonnage,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railway track condition for replacement of track structure is only at the outset. Noh Kwang Tae et al. propose that rail condition evaluation technique and renewal of rail components for the first section of Gyeongbu high speed railwa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technique by estimation of track ballast condition and the prioritization of the ballast renewal at the first section of Gyeongbu high-speed railway are presented in this paper. First, criteria for track replacement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high-speed railways, the degree of ballast degradation, the evaluation method of track structure condition, the renewal of rail structure, and the selection method of site are investigated. From the maintenance data of rail components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bu high-speed railway, the main factors (parameters) for the calculation of the track surface ballast degradation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correlation of Ballast Deterioration Index (BDI) factors (wear, layer thickness, apparent stiffness), track maintenance capability (extension), rail quality index and transit tonnage factors to Track Condition Index for Ballast, TCI Ballast, the weights of each factor were selected, and the optimal ballast condition index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ballast condition index of Gyeongbu high - speed railway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ballast renewal priority. 국내 고속철도는 2004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된 이래, 2015년 호남고속철도, 2016년 수도권고속철도 등의 개통으로 통행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고속철도 연간 통과톤수가 개통 초기 약 2천만톤에서 최대 4천만톤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경부고속철도 1단계의 경우, 2018년 01월 기준 누적통과톤수가 최대 3.5억톤에 이르게 되어, 2024년 7월에 레일교환기준인 누적통과톤수 6억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궤도구성품 교환은 손상, 마모 및 통과톤수 기준에 의해 교체가 수행되며, 전반적인 궤도구조의 교체를 위한 체계적인 궤도 상태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레일 상태평가 기법 및 이에 따른 고속철도 구간에 대한 레일 갱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자갈도상 궤도의 주요 구성품인 도상자갈에 대한 상태평가기법 개발 및 이에 따른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에 대한 도상자갈 갱신 우선순위 도출 예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고속철도 궤도 교환기준 및 사례와 도상자갈 열화도, 궤도 상태평가 방법, 궤도구조 갱신 및 우선 순위 선정 방안 등을 조사하였으며,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 궤도구성품의 유지관리 자료 등을 통하여 도상자갈 열화도(BDI) 산정을 위한 영향인자(변수)를 도출하고, 도상자갈 열화도 인자(마모도, 층두께, 겉보기 강성)들과 궤도유지보수 강도(연장), 궤도품질지수 및 통과톤수를 인자로 하는 도상자갈 상태지수(Track Condition Index for Ballast, TCI-Ballast)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각 인자의 가중치를 선정하여 최적의 도상자갈 상태지수를 정립하였다. 또한 산정된 도상자갈 상태지수를 적용하여 경부고속철도 1단계 도상자갈 교환 우선순위 적용 예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