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프트웨어 기반 모션 제어기 런타임을 위한 빌드 및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 구현

        이종보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모션 제어 시스템은 산업 자동화, 첨단 의료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산업 자동화 시스템은 기계-IT 융합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다양한 요구사항을 가진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이 대형화되면서 기존의 전용 하드웨어 기반 구현 방식이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게 됨에 따라, 범용 하드웨어와 이더넷 기반 필드버스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기반 모션 제어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 모션 제어 시스템 구성을 위해 개방형 표준을 준수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오픈소스 기반 모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 필드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스택, 통합개발환경의 설치파일 등 각종 소프트웨어를 설정, 빌드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필드의 개발자는 하드웨어 유지보수 및 모션 제어 응용 개발 등 모션 제어 시스템 운용에 관련한 지식 이외에 소프트웨어 관련 지식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또한, 설사 빌드를 직접 수행하더라도 수많은 설정 및 빌드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특성상 유지 보수를 위해 빈번한 수정작업이 일어나게 되며 그 때마다 빌드 및 런타임 과정에서 잠재적인 오류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자는 빌드 과정 뒤 만들어진 생성물을 실제 장비에 설치한 뒤 모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 과정 역시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 모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컴포넌트인 모션 제어 런타임 이미지와 통합개발환경의 설치파일을 자동으로 빌드하고 그 결과물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화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자동화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타겟 플랫폼을 지원하는 모션 제어 런타임 이미지 및 통합개발환경을 빌드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실제 하드웨어가 없다고 하더라도 테스트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Motion Control System(MCS) ar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industrial automation, high-tech medical robot and etc. Especially, as a representative of ICT-convergence technology,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with distributed motion control subsystems are central to many field applications. With ever-increasing complexity of such MCS, traditional hardware-based implementation has a number of limitations. Therefore, software-based MCS equipped with general-purpose hardware platforms and standardized software packages are becoming widespread. Also, studies to use open source software to comply with the open standards in software-based motion control system have been conducted in many literature. But in implementing software-based MCS, it is essential for engineers to have knowledges on software development procedure. However, unfortunately, it is still a big burden for engineers who have not knowledge of software but only domain-specific knowledge to understand complex software development procedure. Also frequent modifications and maintenance needs of software tend to result in potential error in the build process and runtime. In the final stage of system development, in most cases, developers should verify the functional correctness of the system on the real target hardware. In most cases,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too error-prone job. This thesis proposed an automation framework in which developers can easily perform automatic configuration, build, and functionality tests of the core softwar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software-based MCS. Developers using the automation framework can build motion control run-time image and th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that supports a wide range of target platforms with little user intervention. In addition, in the proposed framework, developers can verify the basic functionalities of target components without actual target platform by using automatic test environment on the virtual machine.

      • 한국사회의 `세계화`를 둘러싼 정치적ㆍ사회적 각축과정 연구 : 노동시장 유연화와 공공부문 민영화를 중심으로

        이종보 성공회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주목한다. 탈규제, 공기업의 민영화, 노동시장의 유연화, 개방화 및 자유화 등으로 상징되는 이러한 최근의 변화는 한국에서도 예외없이 관철되고 있다. 그렇다면 "세계화는 거부할 수 없는 불가피한 현상인가? 과연 오늘날의 계급투쟁은 불가능하거나 부적절한 것인가?"라는 질문이 제기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 세계화는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정책이라는 현실 속의 객관적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세계화를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하는 결정론적 사고를 기각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논문에서는 그 동안 좌파진영에서 거론되어 온 반세계화 논리, 즉 세계화를 '자본의 논리'가 관철된 이데올로기로 규정한 입장을 지지한다. 그러나 이 논문은 세계화 정책의 본질에 대한 평가와 비판을 반복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지 않다. 이 논문은 세계화가 계급투쟁을 매개로 전개되는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좌익적(급진적) 입장이 결정론적으로 가는 경향을 경계하면서 동시에 급진적이면서도 실천적인 분석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정책 가운데 구체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한국의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과 공공부문의 민영화 정책을 선택한다. 이 정책들은 두 가지 의미에서 유용한 사례이다. 첫째, 유연화와 민영화 정책은 세계화 내지는 신자유주의 정책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시장화'와 동시에 '규제 철폐'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이들 정책의 추진 시점이 WTO 출범과 IMF 외환위기로 인해 강제되면서 외국인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개방화 조치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민영화와 유연화는 세계화를 상징하는 거의 모든 특징들을 담고 있는 사례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96-97년에서 98년 상반기까지 노동법 개정 과정을 둘러싸고 진행된 지배블록과 민중블록간의 각축과정을 통해서 노동시장의 유연화가 굴절되고 유보되며 또 이것이 재실현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세계화 정책은 하나의 자본프로젝트로서 이것이 동일한 형태로 국가프로젝트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자본프로젝트가 국가 프로젝트로 되는 과정에는 매개적 과정이 존재하는데 여기에는 민중블록과 외국자본 등이 요구해온 재벌개혁, 부동산실명제 등 경제개혁, 기업의 투명화 등을 포함한다. 또한 김영삼 정부는 복지개혁과 교육개혁을 세계화 구상 속에 배치함으로써 자본프로젝트를 국가프로젝트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관철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노동기본권 보장과 교환하는 전략을 선호했다. 그러나 재벌을 중심으로 한 자본분파, 경제부처 관료들의 적극적인 영향력 행사로 인해 개혁성은 탈각되고 노동시장 유연화가 강조되는 지배프로젝트가 구성되었다. 한편 이러한 지배프로젝트는 여당 단독의 노동법 개정이라는 형식으로 관철되면서 노동운동세력의 저항에 직면하였다. 노동운동세력은 노동조합이라는 조직적 자원을 동원하면서 '협상과 투쟁'의 전술을 구사하였다. 또한 한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정치적 총파업 투쟁이라는 물리적 자원은 여론 둥 사회적 자원의 취약성을 고려하면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노동법은 재개정되었고 노동시장 유연화는 유예되었다. 그러나 IMF 외환위기에 직면하면서 노동시장 유연화는 노사정위원회라는 새로운 변형과정을 거쳐서 재실현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노동기본권은 신장되어 지배블록이 민중블록의 저항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억압정책을 취하지만 민중블록의 요구를 호선(cooptation)하는 방식으로 지배프로젝트를 관철하려고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IMF 외환위기 이후 공공부문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전개된 각축과정을 통해 공공부문의 민영화가 굴절되고 유보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특히 주목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철도산업과 발전부문의 민영화였다. IMF 프로그램에 따른 자본프로젝트는 비록 초유의 경제위기 상황이었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국가 프로젝트가 되는 것이 아니었다. 김대중 정부는 경제위기의 주원인을 제공하였던 재벌에 대한 개혁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자본프로젝트를 국가프로젝트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재벌개혁은 민중블록의 요구이면서 외국 자본의 요구이기도 한 것으로 사회세력들에게 국가 정책의 개혁성을 인식시킴으로써 '실질적 통일성'을 유지하고 시장친화적 정책을 관철시키는 데 필요한 조치였다. 한편 김대중 정부의 금융부문을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은 많은 공적자금의 투입을 필요로 했고 실업률증가와 빈곤충의 확대 둥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킴으로써 실업예산을 확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공공부문의 민영화는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의 일환으로 그 핵심은 경기불황으로 세입이 급감하는 반면 금융부문 구조조정 지원 둥 지출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공기업에 대한 지출 축소와 매각을 통해 부족한 세입을 보충하기 위해서 추진되었다. 그러나 공공부문의 민영화라는 지배프로젝트는 공공 서비스의 요금 부담 증대, 노동자 고용 불안 등의 이유로 민중블록의 저항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었고 민중블록은 국가를 향한 투쟁을 전개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실리주의(경제주의)에 입각한 노동조합의 저항은 무기력했고 이에 반발한 발전노조는 전투적 조합주의 성향을 지니고 있는 민주노총을 조직적 자원으로 삼으면서 저항하였다. 그리고 철도노조 역시 타협과 협상 전략에서 투쟁 전략으로 변화하였다. 이들간의 연대 파업 투쟁은 여론의 지지를 유도해냈고, 공공부문 민영화 반대 투쟁은 결국 민영화 법안을 유보시키고 추진 일정이 늦춰지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매각철회'로 완결된 형태가 아니라 '유보'된 것으로 새로운 변형과정을 거쳐서 재실현될 가능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세계화의 핵심적 정책인 노동시장 유연화와 공공부문 민영화에 대한 반대 투쟁은 개별 기업 수준의 관심사가 아닌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법적 제도적인 문제에 대한 것이었고 단기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장기적인 고용안정에 더 관심을 가졌다. 기본적으로 생존권을 확보하기 위한 집단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임금 인상이라는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한 것이 아니었고 세계화 정책의 추진 자체가 국가에 의한 기획이었으므로 그에 반발한 저항 역시 국가를 향한 정치적 투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세계화가 결코 신비롭고 불가피한 것이 아니라 계급투쟁을 매개로 변형되고 굴절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계화는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도전될 수 있는 것들이며 '다른 대안이 없다'는 것은 결코 사실이 아니다. 주요어 :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노동시장의 유연화, 공공부문의 민영화, 자본프로젝트, 지배프로젝트, 국가프로젝트, 지배블록, 민중블록

      • 농업용 저수지 사면식생 특성

        이종보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논농업 중심의 농경문화가 발달되어 농업용수의 확보를 위해 전국에 걸쳐 많은 저수지를 축조하였다. 저수지는 국토의 약 70%가 산지이기에 지형이 비교적 험한 우리나라의 경우 유출이 빨라 토지의 보수력이 낮기 때문에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하는 수단이었다.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댐과 저수지는 2012년 기준 17,596개소이며 이중 필댐이 99%를 차지하고 있다. 필댐의 경우 제체의 대부분이 흙, 자갈, 암괴 등 자연재료로 만든 댐으로 제체의 구성재료에 따라 흙댐, 사력댐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제체 하류 사면은 록필 댐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반투수성 또는 투수성 재료로 축제되어 있기 때문에 세립토나 점토분이 빈약하여 우수에 의하여 침식되기 쉽다. 흙댐의 하류사면은 강우, 동해 기타에 의해 침식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요의 보호공을 설치해야 하며, 보호공으로서의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떼붙임공(줄떼, 평떼), 종자 뿌리기 등을 한다(농림부, 2002). 식물의 서식처는 태양광도, 토양수분조건, 입지적조건, 기후조건 등 자연적인 서식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생태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표준시방서에 따라 저수지 축조 후 사면 안정화를 위해 무분별하게 식재한 잔디는 주위의 자연식생에 맞게 천천히 야초지로 바뀌고 나중에는 양질의 초지와는 완전히 다른 식물군락으로 천이되어 사면에서 전무한 실정이며, 지역 우점식생으로 자연천이 된 모습을 보였다(Glavac, 1996). 저수지 사면의 식생상태 평가 기준은 한국농어촌공사(2011)의 ‘농업생산기반시설 정밀안전진단실무 세부요령’에서 국부결함으로 평가유형을 정하고 식생이 없는 최상의 상태, 사면에 일년생 식물이 있는 상태, 사면에 다년생 식물이 있는 상태, 사면에 관목류가 있는 상태, 사면에 다년생 식물 및 관목류가 있는 상태로 평가내용을 구분하여 평가점수와 영향계수를 정하였다. 저수지 사면 식생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나 저수지 사면과 식생여건이 유사한 초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수행되었다. 박근제와 Spatz(1986)는 초지의 생육환경조건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지표수나 지하수 등 토양수분의 급속한 변화는 식물군락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또 박근제와 Spatz(2004)는 초지의 환경조건(기후, 토양, 관리방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초지식물군락간의 유사성을 검정 하였다. 환경지표생물은 특정지역의 환경상태를 측정하는 척도로 이용되는 생물(주로 미생물이나 식물)로 그 지역의 환경조건이나 오염정도를 알 수 있는 생물종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인 서식환경에 따라 식물의 서식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을 고려하는 공학적 기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농어촌공사(2011)은 제체하류사면에 갈대, 쇠뜨기, 머위, 이끼류 등의 습지식물의 자생이나 지렁이나 두더지의 흙무덤의 유무를 보고 제체가 습윤 포화된 상태를 파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공학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적인 서식환경에 따라 식물의 서식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저수지 사면에 서식하는 지표습생식물종의 서식특성을 파악하여 누수구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충남 예산군 광시면 신흥저수지에서 방형구법을 이용하여 사면식생을 조사하고 상대빈도와 상대피도 등을 활용한 중요치 분석을 수행하려 한다. 또한 이 결과를 예산지역에 대한 산림식생의 중요치 분석을 수행한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안정기 이후의 저수지 사면식생이 지역의 식생과 유사해짐을 보여 향후 저수지 사면녹화 시 지역의 생태계를 고려해야 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흥저수지 사면의 50개 방형구에 출현한 식물 총 종수는 589종이고 1997년 준공당시 사면에 식재한 잔디는 발견되지 않았다. 신흥저수지의 방형구 조사 결과는 1개 방형구당 6~17종이 출현하였다. 조사 방형구별 대표 우점종은 계절상과 위치적 특성을 반영하여 칡, 땅비싸리, 쇠뜨기, 달뿌리풀, 쑥, 토끼풀, 고삼, 개망초, 사초, 처녀고사리, 메자기, 골풀, 쉽싸리, 억새, 왕대로 비교적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2. 주요 식물 종의 출현수는 쇠뜨기 48, 쑥 46, 마 37, 개망초 36, 칡 31, 돌콩 24, 억새 24, 닭의장풀 20, 달뿌리풀 17이다. 누수지표종인 골풀, 처녀고사리, 눈 갯버들의 출현 방형구는 각각 7개소, 9개소, 4개소이며, 출현빈도는 각각 14%, 18%, 5%이다. 3. 신흥저수지를 구성하고 있는 식물종의 생태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대빈도와 상대피도를 조합한 중요치를 표 5와 같이 산출하였다. 신흥저수지 구성종의 전체 중요치 비율은 쇠뜨기가 13.6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칡(12.38%), 쑥(11.43%), 달뿌리풀(5.48%), 개망초(5.18%), 마(4.77%), 억새(4.3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이를 예산군 산림지의 자연식생의 중요치를 조사한 기존연구와 비교한 결과 산림지 자연식생에서 우점종인 참나무과 맹아 등을 제외하면 저수지 사면식생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산불발생지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고, 인공림이나 계곡림과는 반대의 추세를 나타내었다. 이는 저수지 사면은 매년 1회 이상 예초작업을 실시하고 정밀안전진단에 저수지 사면식생이 평가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관계로 교목, 다년생 식물 등의 생장이 제한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저수지 사면식생은 지역의 산림식생에서 나타나는 지표종들과 유사하여 사면녹화시 이를 고려하여 녹화종을 선정할 필요가 있었다. 중요치 분석의 결과 매년 실시하는 애초작업 등으로 교목, 다년생 식물의 생장에 제한을 받아 산불발생지의 식생과 유사하는 출현측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땅비싸리, 싸리 등은 이와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향후 보다 많은 자료구축을 통해 지역별로 저수지 사면에 적합한 중요치표를 만들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a long time ago, people have constructed many reservoirs across the country to secure agricultural water as paddy farming-oriented agricultural culture developed. A reservoir was the only means of stably securing agricultural water because land capacity to retain water is low due to fast outflow, especially in case of Korea where about 70% of the national territory is covered with mountain areas, together with comparatively rough topography. The number of dams and reservoirs which are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is 17,596 as of 2012, among which a fill dam accounts for 99%. In case of a fill dam, most of the dam body is made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earth, gravels, and rock blocks, etc., and the fill dam is also divided into an earth dam and a rock fill dam, etc. according to component materials of a dam body. The downstream slope of a dam body, excluding a rock fill dam, has been constructed generally with the materials of semi-permeability, or permeability, so the slope is liable to be eroded by rain water because of poor fine-grained soil, or clay flour. Therefore, in case of the downstream slope of an earth dam, it’s necessary to install the required protection to prevent it from being eroded and damaged by precipitation, freezing injury and others, and to do sod-pitching work(lined sod, block-sod), and to sow seeds, etc. in the light of weather conditions suited for protection work(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2). The plant habitat is determined by natural habitats, such as solar luminosity, soil moisture condition, locational condition, and climatic condition, etc. However, the turf, which was indiscriminately planted only for slope stabilization after constructing a reservoir according to standard specification without regard to ecolog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slowly change into the native grassland in line with neighboring natural vegetation, and later it made a transition to a plant community entirely different from good quality grassland, and actually became non-existent on the slope, showing an appearance of natural succession to regional dominant vegetation(Glavac, 1996). As for 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vegetation state of a reservoir slope, this study decided the evaluation type by local defects specified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Precision Safety Diagnosis Business Detail Sub-procedures’ by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also decided evaluation scores and influence coefficient by dividing the evaluation contents into the best condition free of vegetation, a condition where there exists an annual plant on the slope, a condition where there exists a perennial plant on the slope, a condition where there exists shrub class on the slope , and a condition where there exist a perennial plant and shrub class on the slope. The researches on the vegetation on a reservoir slope is almost non-existent, whereas the researches on grassland, whose vegetation conditions are similar to those of a reservoir slope, have been carried out in comparatively many areas. Park, Keun-je and Spatz(1986) presented that there are many sorts of grow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grassland, among which the rapid change of soil moisture, such as surface water, or underground water, etc. is a major factor in changing a plant community. Also, Park, Keun-je and Spatz(2004) tested the similarity between different grassland plant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grassland (climate, soil, management method, etc.). An environment indicator organism is the one (mostly microbes, or plants) which is used as a scale of measur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of a specific region, and it is applied as a speci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know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r a pollution level of the region; therefore, there might be in need of engineering technique development which takes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 that the habitat characteristic of a plant appears differently according to natural inhabiting environment.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presented a plan for grasping a humidity-saturated condition of a dam body by confirming autogeny of wetland plants, such as reed, joint grass, butterbur, and Sphaerocarpus, etc., or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n earthworm, or mole’s earth mound, but actually, this plan is deficient in engineering, objective judgment.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with the aim of developing the method of judging the leakage zone by grasping the habitat characteristic of surface marsh plant species, which inhabit the slope of a reservoir,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 that inhabiting characteristic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natural inhabit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is intending to investigate slope vegetation using a quadrat technique at Sinheung reservoir located at Gwangsi-myeon, Yesan-gun, Chungnam, and to perform the analysis of importance value using relative frequency and relative coverage, etc. Also,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having to consider the eco-system of the relevant region in time of a reservoir slope afforestation for the time to come by suggesting that the reservoir slope vegetation after a stable period becomes similar to the regional vegetation by comparing this study result with the existing research which carried out the analysis of importance value of forest vegetation for Yesan Region.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plant species appearing at 50 quadrats of the Sinheung reservoir slope was found to be 589, and this study couldn’t discover the turf planted on the slope at the time of reservoir completion in 1997.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quadrat at Sinheung reservoir, it was found that 6~17 species per quadrat appeared. The representative dominant species by investigated quadrat were found to appear comparatively diversely including kudzu vine, indigo plant, joint grass, Runner reed, mugwort, clover, Shrubby sophora, sod, Daisy Fleabane, Sparganiil Rhizoma, rush, Flame grass, thick-stemmed bamboo while reflecting a seasonal appearance and a positional characteristic. 2. The number of appearances of major plant species was found to be 48 for joint grass , 46 for mugwort, 37 for Chinese yam, 36 for Daisy Fleabane, 31 for kudzu vine, 24 for wild soybean, 24 for Flame grass, 20 for Spiderwort, and 17 for Runner reed. The quadrat where water leak surface species including a rush, Eastern marsh fern, and Creeping rose-gold pussy willow appeared was found to be 7 spots, 9 spots and 4 sports respectively, and appearance frequence was found to be 14%, 18% and 5% respectively. 3. This study calculated the importance value blending relative frequency and relative coverage as shown in <Table 5> in a bid to grasp the ecological influence of plant species forming Sinheung reservoir. As for the overall importance value ratio of the composition species of Sinheung reservoir. joint grass was found to be 13.64% marking the highest, followed by kudzu vine (12.38%), mugwort(11.43%), Runner reed(5.48%), Daisy Fleabane(5.18%), Chinese yam(4.77%), and Flame grass(4.38%). 4.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bove importance value ratio with the existing research which investigated the importance value of natural vegetation at the forest in Yesan-gun, the natural vegetation at the forest was found to show a characteristic similar to the slope vegetation at the reservoir, except for dominant species-Fagaceae coppice, etc. To be concrete, the natural vegetation at the forest was found to show a characteristic similar to that of the birthplace of a forest fire while showing a trend contrary to an artificial forest, or a valley forest. Such an aspect is judged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growth & development of forest trees and perennial plants, etc. are restricted as brush-cutting work has been done on the reservoir slope more than once a year, and reservoir slope vegetation is set as an evaluation standard in precision safety diagnosis. The reservoir slope vegetation is similar to the indicator species which appear in the regional forest vegetation, so there was a need to select afforestation species in the light of this in time of slope afforest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value, this study grasped that there was an emergence characteristic similar to the vegetation at a birthplace of a forest fires because growth and development of forest trees, and perennial plants were restricted by annually implemented brush-cutting work, etc.; however, indigo plant and bush clover , etc. were found to show the characteristic differing from this. Consequently,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is the necessity of having to create the Importance Value Table suited for reservoir slopes by region through a lot more data construction in the near future.

      • 민주주의 체제 하 '자본의 국가 지배'에 관한 연구 : 삼성그룹을 중심으로

        이종보 성공회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이 논문은 민주정부의 수립과 자본의 권력화 현상에 주목한다. 자본의 권력화 현상은 민주화 운동 세력이 기대하고 의도했던 것과는 상치되는 역설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역설’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이 연구는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간의 모순된 접합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했다. 이 글은 자본주의 사회에 존재하는 정치적 계급지배의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대자본은 어떻게 국가를 통제하고 계급지배를 유지하는가?”라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인 문제의식이다. 이 논문은 계급 지배를 경제환원론적으로 파악하는 단선적 접근법을 넘어서기 위해 사회적 관계로서 국가를 파악하는 관점을 지지한다. 민주화는 민주적인 형식이 제도적으로 정립되어 가는 과정이다.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체제는 형식적으로 정립된 민주주의의 계급적 혹은 사회경제적 성격을 둘러싼 긴장과 각축이 상존하는 공간 체계이다.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체제가 저항블록 측에서는 민주주의의 실질화와 개혁을 완결시키려는 정치의 근거지로 활용되지만, 역으로 자본권력 측에서는 지배의 지속성과 공고화를 도모하는 지배의 기제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여기에 민주화 이후 제도정치권의 다양한 분파들과 행정 사법 관료 분파들이 파워블록내부를 더욱 복잡하게 구성하여 향후 민주화 이후의 체제의 체제론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복합관계론적 입장에서 접근한 본 논문에서는 민주주의 이행 이후의 한국의 민주주의 체제의 역설적 변화 양상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 하나는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체제에서 민주화 세력의 민주적 기획에 맞서는 자본 권력의 지배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본의 전략적 정치가 저항블록의 저항과 어떤 관련을 맺으며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계급지배의 실재와 관련지을 때, 전자에서의 강조점은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체제를 구성하는 제도정치권, 국가기구, 시민사회에서의 민주적 진전을 저지하기 위한 자본의 지배 전략이 상존한다는 점이다. 후자의 강조점은 국가가 민주주의의 실질화와 형식화를 둘러싸고 지배와 저항의 실천이 전개되는 복잡화된 장인 동시에 세력 관계가 최종적으로 국가의 물질적 장치에 응축된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은 세력 간 각축이 민주주의 체제의 제도화된 형식에 투영되는 과정의 복잡성을 주목한다. 본 논문은 민주주의가 시민권의 보장, 주기적인 선거, 견제와 균형 원리의 국가권력체제(삼권분립) 등을 구성요소로 한다는 최소주의적 접근에 착안점을 두고 시작하였다. 따라서 민주화, 즉 민주주의의 이행을 의회 및 정당 정치의 제도화, 국가권력기구의 분산․이완화, 시민사회의 활성화 측면으로 이해한다. 구체적으로 민주주의 체제의 공간적 범위는 정당과 의회를 매개로 구성되는 제도정치권, 행정기구와 사법기구가 중심인 국가기구, 그리고 언론, 학교 등이 중요한 매개가 되는 시민사회 영역으로 구분된다. 본 논문은 자본권력이 민주주의 체제를 구성하는 각 영역에 전략적으로 접속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각 영역별 삼성의 계급지배 전략의 특징적 양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민주화 이후 의회 및 정당체제는 선거 국면에 따라 유동적으로 나타난다. 민주화 운동에 힘입어 반독재 정치 분파가 제도정치권에 진입한 이래 제도정치권 영역은 역동적인 정치적 투쟁의 장이 되어 왔다. 동시에 주기적인 선거를 통해 형성되는 제도적 장치로서 제도정치권은 자본의 정치자금 공세에 취약한 영역이기도 했다. 이런 맥락에서 제도정치권은 외부에 취약한 체제라고 볼 수 있다. 자본은 선거자금의 제공과 이와 연계된 자본가의 메니페스토 운동을 통해 민주화 세력의 정치를 압도하고 제도정치권의 다양한 분파들을 포획함으로써 민주화 운동의 담론적 동력이었던 ‘민주 대 반민주’라는 정당체제의 균열선을 점차 희석시켰다. 자본은 선거라는 민주적 제도장치를 지극히 형식적인 수준으로 전락시키는 전략을 구사해왔다. 국가 기구 영역에서는 복잡한 파워블록 내부의 구조를 보여준다. 행정 관료와 사법 관료는 정권의 부침과 달리 정치적 현재성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반독재 정치 분파가 집권하면서 모순된 대립 양상을 보이며 파워블록의 내부 구조는 더욱 복잡화되어 갔다. 이들 세력 간의 각축과정에서 반독재 정치 분파들은 주변화 되어 갔고 나아가 자본 세력에 동조하면서 민중블록과 파워블록 간의 모순은 더욱 심화되어 갔다. 파워블록 내부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행정 사법 관료들은 자본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자임하며 민주적 행정 사법으로의 변화는 침심되어 갔다. 자본은 민주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기업 조직을 재편하였고 정치적 전략도 정교화 하였다. 삼성은 주요 행정 관료와 사법 관료에 대한 포획전략을 통해 반독재 정치 분파와 행정·사법관료 간의 각축과정에 우회적으로 접합하면서 파워블록 내부에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였다. 이는 곧 자본권력이 국가 기구를 주요한 권력의 거점지로 만들어 가는 정치적 과정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시민사회 영역은 민주화 투쟁을 이끈 저항의 본거지로서 민주화 이후 더욱 자율화된 영역이었다. 시민사회의 저항에 따른 응전으로써 삼성은 헤게모니 전략을 구사하였다. 삼성을 비롯한 자본권력은 시민사회 영역을 시장주의적으로 변용시킴으로써 시민사회의 저항성을 탈각시켜 왔다. 그리고 저항블록의 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형성하였다. 삼성은 집단적 정체성을 갖는 주요 인물의 영향력을 개별화 시키는 포획전략을 통해 새로운 진지를 구축해 갔다. 자본권력은 시민사회의 저항 세력이 강조해 온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요구를 전략적으로 흡입하면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저항을 무디게 만들어 나갔다. 그리고 삼성은 친기업 이데올로기의 생산과 유통을 통합시키며 헤게모니적 지위를 강화하는 접합제로 활용하였다. 삼성의 시민사회에 대한 지배 전략은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의 활성화를 지극히 형식적인 수준으로 전락시키는 전략이었다. 이 글은 민주주의 체제에서 자본의 정치적 지배를 보증하는 방식이 이전의 체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필자가 특별히 주목한 것은 세력 간 적대가 입법부를 넘어 행정부와 사법부로 확산되게 되면서 자본의 민주화 세력에 대한 지배력이 더욱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삼성의 전략이 국가 관료들과 광범하고 구체적인 정치적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로써 필자가 제기했던 질문, 즉 민주주의의 역설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해답이 구해진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자본의 계급지배가 유지되는 방식은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 오히려 그것에 대한 전략적 접속이며, 자본 세력의 정치적 전략은 정당과 의회를 중심으로 한 제도정치권이나 행정부의 전문적 관료들 그리고 사법부에 포진한 대리자들, 나아가 교수, 언론인과 같은 일종의 ‘유기적 지식인’들에 의해 대의되도록 하는 시도이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자본의 국가 지배 전략이 민주주의 체제에서는 일방적으로 통용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민주주의 체제는 자본이 저항블록의 응전을 대면하며 내적 긴장이 동반되는 체제이다. 재벌 개혁 논의도 시민운동 세력과 자본 세력이 마주 앉은 테이블에서 시작되었다. 이 글은 재벌개혁 프로그램이 저항블록의 정당성 요구로부터 시작된 ‘강요된 개혁’이었으나 그것이 실제로 민주적 제도화 장치 속에 투영될 때, 파워블록 내부에서 각축을 벌이면서 자본의 축적 요구에 편향되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여기서부터 민주주의의 역설이 존재한다. 민주주의를 기계적 형식의 수준에서 이해하는 ‘테이블 민주주의’로는 민주주의의 실질화에 이르지 못했다. 이는 민주정부가 구축한 민주적 시스템의 한계를 노정시킨다. 테이블상의 민주적 개혁 논의는 결국 자본의 논리에 따른 것으로 귀결되는데 그러한 논리를 제공한 것 역시 자본의 정치였다. 저항블록의 이해가 파워블록 내 정부, 의회 및 정당 정치 체제에서 굴절되면서 시민운동세력과 파워블록간의 모순은 더욱 심화되었다. 결국 이러한 모순이 시민사회세력의 지속적인 저항을 야기하면서 세력 간 정치적 사회적 갈등은 의회의 외부, 즉 사법적 영역에서 재 쟁점화 되어 사법전쟁으로 본격화된다. 의회 및 행정기구에서 사법기구로의 전장의 확전은 시민운동세력의 ‘진보적 사법 적극주의’와 자본 세력의 ‘보수적 사법 적극주의’가 접합된 결과이다. 이들 세력 간의 모순은 특정한 우연적 사건을 계기로 재분출되면서 자본의 지배는 항존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 왔다. 민주주의 체제 내외의 세력 간 동학에 의해 조성된 위기 국면에서 자본의 지배 전략도 복잡하고 다양하게 전개된다. 삼성은 저항블록에 대한 분산파편화 전략, 정치적 맥락에서의 사법화 전략, ‘능동적 동의’로의 유인 전략 등을 통해 정치적 사회적 위기 국면을 벗어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세력관계가 도구적 기능적 합리성을 갖춘 국가 기구에 응축된 결과 대자본 헤게모니와 공존하는 형식적 민주주의 체제가 형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이상의 분석을 종합하여 도출해낸 결론은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체제 구성의 복합성 및 지배전략의 모순성과 관련된다. 민주주의 체제하 지배 권력 블록은 경제적으로 이미 결정된 단일한 통일체가 아니다. 그것은 의회권력, 행정 권력과 사법 권력에 대해 자본권력이 상호 제휴·갈등하는 복수적 구성물이다. 따라서 민주주의 체제하에 자본권력의 지배전략은 파워블록 내부에서 끊임없이 동요하였다. 이러한 동요는 근본적으로 파워블록과 저항블록 간의 모순에 기인하는 것으로 시민사회의 재벌에 대한 비판적 여론으로 인한 자본권력의 헤게모니적 역량의 불완전성을 드러낸다. 자본의 국가 요원에 대한 구체적인 포획전략과 이데올로기적 전략은 오히려 시민사회세력들의 잠재적인 적대의식을 증폭시켰다. 그리고 특정한 사건적 국면을 계기로 재벌체제에 대한 시민사회 세력의 지속적이고 확장된 저항을 야기했다. 하지만 시민운동세력의 저항은 도구적 기능적 합리성을 갖춘 물적 장치로서의 국가 기구를 넘어설 수 없는 내재적 한계를 갖고 있다. 자본 세력 역시 법치 체계의 민주적 절차와 제도에 접속하는 형태로써만 지배하는 데 그것은 민주주의 체제의 형식화로 나타난다. 민주주의 체제하 계급지배는 세력 관계가 모순적으로 국가 기구에 투영되는 ‘강제된 화해’의 형태로 ‘불완전한 정당성’을 획득하기에 이른다. 자본은 민주주의의 형식을 전멸시킬 수 없고 민주주의의 형식만으로는 자본을 해체시킬 수 없다. 주요어 : 민주주의 체제 하 계급지배, 민주주의의 역설, 복합관계적 계급지배, 민주주의의 형식화, 민주주의의 실질화, 자본의 국가 지배 전략

      • 위해도 의사소통과 환경갈등해소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토양정화사업을 중심으로

        이종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토양위해성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토양정화를 수행한 송림숲 토양정화사업(대안공법)에서 위해도 의사소통이 환경갈등해소에 기여하는 영향과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업에 참여했던 공공기관 직원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심층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투입(Inputs) - 활동(Activities) - 산출(Outputs) - 성과(Outcomes)의 단계로 분류하여 각 단계별 논리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성과분석 도구로 활용되는 프로그램 논리모형(Program Logic Model)에 따라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 유사연구와의 연구결과 대조를 통해 분석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결과 투입(Inputs)의 단계에 해당하는 위해관리자(공공기관)의 역량 수준이 위해도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왔고 기존 연구사례와 비교시에도 주민들의 긍정적인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위해관리자의 전문성이 본 연구지역에서 주민들의 긍정적인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Activities)과 산출(Outputs)에 해당하는 위해관리자의 전략적인 접근과 참여방식의 적절성 보장, 메시지 구성의 적절성, 전달매체와 전달방식의 적절성, 환류 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며, 기존 유사 연구사례와 비교시에도 질적인 면과 정량적인 비교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초창기와 비교해서 전략적인 접근에 대한 평가는 향상하였으며, 참여방식의 적절성 보장에 있어서는 주민들이 원하는 간담회 등의 시간과 횟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시지의 적절성의 경우 위해관리자는 명확성에 긍정적인 평가가 높았으나 지역주민은 메시지 개발을 위한 전문가 협의에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높아 두 집단간 메시지 적절성에 대한 인식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달매체와 전달방식의 적절성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하였다. 환류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나 갈등해소를 위한 조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제일 높았다. 성과(Outcomes) 단계에 해당하는 위해도 의사소통의 인식 정도와 위해도 의사소통의 유용성이 환경갈등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평가에서 소통방식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를 제외하고는 정보 전달의 신속성, 투명성, 참여자 구성의 적절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하였으며, 위해도 의사소통의 문제해결에 대한 유용성, 메시지의 충분성·명확성,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 변화, 실제 위해정보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하였으며, 특히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와 실제 위해정보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아 위해도 의사소통의 역할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그것이 환경갈등해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he first in Korea to perform soil remedi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oil risk assessment, and in the Songrim Forest Soil Remediation Project (Alternative Method), the public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to understand the impact and outcomes of risk communication contribute to resolving environmental conflicts. An in-depth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aff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local residents, and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inputs-activities-outputs-outcomes, and the logical causal relationship for each stage was identified. It wa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ogram Logic Model, which is used as a tool for performance analysis.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by comparing research results with previous similar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mpetency of risk managers (public institutions) corresponding to the inputs stage had a positive effect on risk communication, and the positive evaluation of residents was high even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earch cas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expertise of risk manage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sitive judgments of residents in this study area. There were more than usual positive evaluations on the adequacy of the risk manager's strategic approach and participation method for activities and outputs stag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ssage composi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livery medium and delivery method,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feedback process However, it was found to be superior in qualitative evaluation and quantitative comparison even when compared with previous similar studies. Compared to the initial period of the project, the evaluation of the strategic approach was improved,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time and frequency of meetings that residents wanted to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articipation method. In the cas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ssage, risk managers had a high positive evaluation of clarity, but local residents had a relatively high positive evaluation of the expert consultation for message development. Positive evaluations were dominant in both groups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and delivery methods. Residents' evaluation of the adequacy of the reflux process was relatively high, and in particular,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measures to resolve the conflict was the highest. Conveying information except for the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evaluation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risk communic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comes level and whether the usefulness of risk commun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solving environmental conflicts. In terms of promptness, transparency, and adequacy of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positive evaluation prevail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positive evaluation was predominant. In particular, the evaluation of changes in trust in public institutions and perception of actual risk information was the highest. It appears to have played a positive role.

      • 제주도 학생들의 형태 발육 및 체력발달의 시대적 변화

        이종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체의 발육발달이 현저한 청소년기의 제주도의 학생들의 발육발달 상태를 30년 간의 후방시적 자료를 통해 발육발달의 시대적 변화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1999까지 10년 단위로 전국의 통계 및 제주도내 초·중·고등학생의 신장 및 체중발육, 체력발달(100m달리기, 공 던지기, 멀리뛰기, 턱걸이 및 매달리기, 윗몸 일으키기)의 평균적 변화 및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주도 학생들의 형태발육의 시대적 변화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2. 1969년∼1999년의 형태발육의 시대적 변화에서 신장 및 체중의 발육량은 일본의 1950년∼1980년 의 그것보다 상회하는 경향이 있었다. 3. 최대발육연령은 남녀 모두 점차적으로 조기화 현상을 보였으며, 발육단계별로 보면 남자 13세∼14세, 여자 10세∼11세, 사춘기에 현저한 시대차 경향을 보였다. 4. 체력발달의 시대적 변화에 있어서 30년 간의 뚜렷한 시대적 변화를 보인 종목은 공던지기, 멀리뛰기, 턱걸이(남자) 및 매달리기(여자), 윗몸 일으키기이고, 시대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은 종목은 100m달리기였다. 5. 1969년∼1999년의 제주도 학생과 전국 학생의 형태발육의 시대적 변화의 비교에서는 신장 및 체중의 시대적 변화량이 제주도 학생이 전국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6. 1969년∼1999년의 제주도 학생과 전국 학생의 체력발달의 시대적 변화의 비교에 있어서 100m달리기, 공 던지기의 시대적 변화량은 큰 차이가 없게 나타났고, 멀리뛰기의 변화량은 남녀 공히 제주도 학생이 상회하고 있으며, 턱걸이(남학생) 및 매달리기(여학생)의 시대적 변화량은 남학생의 경우 제주도 학생이 상회하고, 여학생의 경우는 전국 학생이 약간 상회하는 경향이 있으며, 윗몸 일으키기의 시대적 변화량은 남녀 공히 제주도 학생이 현저하게 상회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cular trend of physical growth and moter development through the retrospective material for last 30 years between 1969 and 1999 in Jeju Do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ean differences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100m run, distance ball throwing, standing broad jump, pull-ups, sit-ups) not only in Jeju Do students' but also in other previnces students'. First, secular trend of physical growth in Jeju do students was universal penomena. Second, the rate of increase of height and weight velocity between 1969 and 1999 was greater than that of students' in Japan between 1959 and 1980. Third, peak velocity age was likely to be earlier by step in case of boys and girls, in regard to physical growth steps, it showed a wide secular difference in adolescent age, boys at 13∼15, girls at 10∼11. Fourth, secular trend of physical fitness was shown change in case of distance ball throwing, standing broad jump, pull-ups(boys), flexed arm hang(girls), sit-ups but it was shown indistinct change in case of 100m run. Fifth, secular trend of physical growth between 1969 and 1999 was greater than that of students' in other provinces. Sixth, secular trend of motor development between 1969 and 1999 was little difference in case of 100m run, distance ball throwing, it was greater than that of students' in other provinces in case of standing broad jump, pull-ups(boys), sit-ups but less than of students' in other provinces in case of flexed arm hang(gir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