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학생의 식품안전성과 영양표시 인식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

        이종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남·여 122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4주간의 영양표시 교육을 실시하여, 교육 전·후 아동의 식품 안전성 인식과 영양표시 교육에 의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비교육군에서 성별에 따른 군것질 장소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남학생의 경우 ‘학교앞 상점’이 50.0%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의 경우 ‘분식집’이 61.9%로 가장 많아(p<0.001)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교육군에서 성별에 따른 군것질 장소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남학생의 경우 ‘학교앞 상점’이 44.1%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의 경우 ‘분식집’이 60.3%로 가장 많아(p<0.05)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2. 아동들이 가공식품 구매 시 영양표시 확인하는 정도는 비교육군에서는 ‘거의 확인하지 않는 편이다’가 55.7%로 나타났고, 교육군에서는 ‘대체로 확인하는 편이다’가 51.6%로 나타났다.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교육군에서는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아동이 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양표시 내용을 자주 확인하는 이유는 비교육군, 교육군 모두 ‘몸에 해로운 첨가물이 들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라고 답한 아동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자주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비교육군, 교육군 모두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구매’, ‘영양표시 내용이 이해하기 어렵다’, ‘영양표시가 너무 작아서 읽기 힘들다’, ‘확인하지 않고 올바로 선택할 자신이 있다’ 순이었다. 식품별 영양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정도는 ‘탄산, 스포츠음료 구입 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비교육군의 경우 영양표시 내용 확인율은 평균 2.01로 나타났고, 교육군에는 확인율이 평균 2.28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영양표시 교육을 실시한 후에 식품별로 영양표시 내용을 확인하는 정도가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3. 교육 유무에 따른 영양표시 인식의 차이는 남녀학생들 모두 교육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교육군에서 ‘가끔 영양표시를 읽고 선택한다’라고 응답한 아동이 45.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자주 영양표시를 읽고 선택한다’ 28.7%로 나타났다. 교육군에서 ‘가공식품을 먹을 때엔 꼭 영양표시를 읽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가 63.1%로 가장 많았으며, 영양관련 교육의 필요성으로는 ‘그렇다’가 47.5%, ‘보통이다’가 29.5%, ‘매우 그렇다’가 21.3%로 나타나 98.4%의 아동들이 영양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양관련 교육을 실시한다면 적당한 교육 기간으로는 1개월이 43.8%, 2개월이 34.7%, 3-5개월이 15.7%순으로 나타났다. 6개월 이상으로 응답한 아동이 5.8%로 나타났으며, 영양표시교육이 본인의 건강과 식습관 향상에 도움이 된 정도로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와 ‘약간 도움이 되었다’가 모두 41.8%로 나타났고, ‘매우 도움이 되었다’가 10.7%로 나타났다. 앞으로 영양교육에 추가로 포함되면 좋은 항목으로는 요리실습 79.5%, 현장학습 12.3%, 인터넷 활용수업 4.9%, 독서활용 3.3%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을 실시한 결과 식품안전과 영양표시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였으나 인식의 변화와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4주간의 기간이 짧은 기간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영양표시 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이해하려면 각 영양표시에 나오는 영양소들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충분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영양표시 교육을 하기 전에 아동들이 충분히 영양소에 대해 알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셋째, 우리나라에 영양표시제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성인조차도 영양표시를 몰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들이 모두 영양표시제를 알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아동들은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교육을 통해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 치료적 음악활동이 피 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종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 음악활동이 피 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고아원에 거주한 아동 중 학대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18명으로써, 실험집단 9명과 통제집단 9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는 2006년 9월 18일에 자아존중감 척도지와 다면적 형용사 체크리스트를 통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06년 9월 20일부터 11월 5일까지 본 연구자에 의해 일주일에 2회씩 총 13회의 집단음악활동이 시행되었고, 각 세션은 40분 동안 진행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통제집단은 음악을 제외한 자유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모든 치료활동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모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과 동일한 사후검사를 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피 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있어 음악활동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과 피 학대 아동의 정서변화에 있어 음악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도 지지되었다. 즉, 이 같은 결과로 치료적 음악활동이 피 학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how therapeutic musical activities have influence upon the self-esteem and an emotional change of abused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8 elementary senior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abuse and have lived in a orphanage in Seoul. The study experimen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is an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is control group made of 9 members each. On September 18 in 2006, members of both groups were pretested on the self-esteem scale and the 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list. Total of 13 experiments (Biweekly for 4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20 through November 5)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 group. During this experiment period, control group was allowed to have free activities except music activities. After all the treatment activities, post- examination which is exactly the same with the pre-examination was taken on both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supports the first hypothesis which there might b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between experiment group who attend music activities and control group who don't. Further, it also upholds the second hypothesis which there might be considerable difference in emotional change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apeutics musical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emotional change in abused children.

      • Franz Liszt Ballade No. 2 분석 연구

        이종미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Ballade No.2 in b minor of Franz Liszt was studied in this thesis. The word 'Ballade' is derived from 'ballare' which means 'dance'. The first ballade music was composed in the late 12th century, having a style of a two-part vocal music form. But the music evolved into a three-part form in the late 14th century, which became the origin of a three-part instrumental music form in 19th century. Ballade No.2 in b minor of Liszt was composed in 1853 during the Weimar period (1847 ~1861), when his artistic creativity was at his zenith, acting as a chief of the Court musician. Usually ballade music has its own story of legend or epic. Here, Liszt's Ballade in No. 2 is the masterpiece about the song of 'Hero and Leander' legend in Greek mythology. This music adopted traditional Sonata allegro form, namely, it has an obvious three classified sections in the form of exposition - development - recapitulation. There are two comparative themes, which characterize the ballade music. However, the length of each part loose its balance which gives audience a feeling of romantic freedom. The contrasting 1st and 2nd theme shows different characters and unifying in various way, which is 'Thematic transformation'. Using a lot of kinds of tonalities, dramatic harmonic development, frequent chromatic progress, diverse group of notes and orchestral sound effect by piano, Liszt endeavored to reflect the trend of romantic period. In conclusion, Ballade in b minor of Liszt shows that how his excellent technical passage work can make well-mixed and classified themes. Even though his composing style was influenced by several composers of romanticism, he was able to develop and display his own feature. Various tonalities and harmonies, chromatic scales granted his piano music a grandeur orchestral sound effect. 본 논문은 Franz Liszt의 Ballade No.2 b minor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이 곡은 그의 예술 생애 중 창작 활동이 가장 왕성했던 바이마르 시기 (1847~1861)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1853년에 작곡되었다. Ballade는 ‘춤추다 (ballare)'라는 어원에서 나온 것으로 12세기 후반 최초의 Ballade는 2부분 형식의 성악곡이었으나, 14세기 후반에 3부분 형식으로 발전되었고, 이것은 19세기 3부분 형식의 기악 Ballade의 모체가 되었다. 특히 영웅전설이나 신화와 같은 소재를 가지고 작곡된 것으로써 리스트의 Ballade No. 2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연인 Hero와 Leander를 노래한 전설을 승화한 작품이다. 이 곡은 형식면에서 전통적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 (제시부-발전부-재현부)을 취하나 그 길이에 있어서 불균형을 이루는 낭만적 자유로움을 지니고 있다. 또한 Ballade의 특징으로서 대비되는 제 1, 2주제는 성격적인 대조와 조화를 이루면서 각 부분마다 다양하게 변주되는 주제변형기법을 표현하고 있다. 다양한 조성과 극적인 화성 전개법, 잦은 반음계적 진행, 다양한 잇단음표의 사용, 피아노의 관현악적 음향효과 등은 리스트 피아노곡의 특징이자 낭만주의의 시대적 어법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종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산업화, 공업화와 여성의 고학력화, 가사노동의 기계화 등의 추세로 인하여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가족구조 및 기능의 변화로 어머니뿐만 아닌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요구하고 있으며, 자녀양육과 교육에서도 어머니 혼자만의 문제가 아닌 부부 공동의 관심사로 부모가 함께 참여하고 역할을 분담, 공유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많은 학자들의 의해 제기 되고 있다.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라고 판단하고 개인의 성장과 발달 및 삶의 성공을 구성하는 견고한 토대를 형성하며 성격의 기본 구성요소로써 아동의 인성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가 유아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해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버지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양육참여가 어떠 한지 알아보고, 이러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버지의 학력, 직업, 소득에 따른 양육참여도는 어떠한가? 2.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안산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 국공립어린이집 15곳 에 재원중인 만5세아 205명과 그들의 아버지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영환·이진숙·조복희(1999) 가 개발한 ‘생산적 아버지 역할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는 단현국과 이미숙(2006)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자기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교사 평정 도 구가 신뢰성이 높다는 선행연구(남경숙,2006) 결과에 따라 교사가 평정하 도록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 평균,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다. 양육참여도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량분석 결과 유의미한 결과에 대해서는 scheffe를 통해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소득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요인 중, 함께하는 활동과 자원 제공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활동하는 것에 대해 더 큰 가치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이는 아버지의 직업이 사무직이고 소득이 높을 수 록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설경옥, 2005: 송민선, 2008),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만5세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합리적이고 적극적인 양육태도 및 참여도는 아동의 성격형성, 자아존중감, 성역할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최경순, 1990)고 보고한 연구결과와는 다른 결과이다. 이는 아버지가 양육참여를 단순참여뿐만이 아닌 자녀와의 상호작용이나 양육참여 행동을 알 수 있도록 실제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오뉘힘내기傳說硏究

        이종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뉘라는 말은 손위 오빠를 뜻하는 '오라버니', '오라비'(여자가 타인을 대하면서 자기의 사내동생을 일컫는 말) 또는 '오빠'라는 말과 '누이'라는 말이 합쳐진 합성어이다. 여기에 '힘내기'라는 말을 사용한 것은 오뉘가 목숨을 걸고 누구의 재주가 더 뛰어났는지 힘으로 대결하는 내용이므로 오뉘힘내기전설이라고 부른다. 힘내기라는 말속에는 좁은 의미의 기술비교·힘비교·지혜비교· 재주비교라는 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오뉘힘내기는 한 집안의 오라비와 누이가 목숨을 걸고 힘내기를 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本考는 『韓國口傳說話』『韓國口碑文學大系』『忠南의 傳說』『韓國民間傳說集』『唐津民俗誌』『忠南道誌』『瑞山民俗誌』등 국내의 설화 자료집에서 조사한 오뉘힘내기전설 132편을 대상으로 하여, 오뉘 힘내기의 내용변이를 고찰한 후 그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어서 오뉘힘내기전설의 구조를 5단계로 설명한 후, 이 전설 속에 나타난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오뉘힘내기전설에 대한 槪念을 정리하고 先行硏究를 개관한 다음, 연구목적과 방법 및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조사한 자료를 중심으로 오늬힘내기전설의 分布樣相을 살피고, 그 속에 등장하는 人物과 內容·結果 등, 이 傳說의 原型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검토하고 표와 지도로써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오뉘힘내기전설의 類型을 설정해 보았는데 결과를 중심으로, 등장 인물 중 힘내기의 犧牲 양인 누이만 죽는 경우: 第1類型, 이 힘내기가 불공정하고 부당함을 알고 누이의 뒤를 이어 오라비도 자살하는 경우: 第2類型, 아들· 딸을 모두 잃고 자신의 무능과 그릇된 아들 偏愛가 불행을 가져왔다는 自責感으로 홀어미마저 죽는 경우: 第3類型, 힘내기는 하되 등장인물 누구도 죽지 않는 경우: 第4類型 이렇게 4가지로 類型化 하였다. 제4장에서는 오뉘힘내기전설의 각 類型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基本形을 설정하고 이 기본형을 중심으로 構造分析을 시도하였다. 본 장에서는 이 전설을 發端· 葛藤· 危機· 結末· 證據提示 등 5단계로 나누어 구조를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오뉘힘내기전설의 특징이 男兒選好· 母性本能· 兩雄不立思想 등으로 추출하여 필자의 소견을 피력하였다. 제6장에서 이 오뉘힘내기전설은 現代文學으로 발전할 소지가 많다고 보지만 아직 이렇다할 문학작품으로 형상화된 것이 없어 현대작가들의 이 전설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였다. It seems that there is more "don't do" than "had better or may", because we have experienced many attacks and party strives. The tradition, 'Brothers and Sisters Have Strength. This shows us that taboo motif that a strong brother and a strong sister must not live together in the same house. One of them has to die. This story is as followed: Once upon a time, there lived a wiow with a strong son and a strong daughter in the same hous so They made a bet that the winner would live. The other would die. For the bet, the brother had to go to Seoul with very big iron shoes and return on the same day. And the sister had to build a castle with stones that were carried with only her skirt. Their mother wanted her son to win the bet, so she gave her daughter some hot red bean soup to make her late. At that time, the brother had returned from Seoul, so the sister was killed.. There still remained a small incomplete part of the castle. The original story was a little changed by the followers of tradition. The second part will show you the variation of the tradition,"Brothers and sisters have strength The characters are ① one sister and one brother ② brothers ③ wife and husband ④ a young man and a loved widow ⑤ a strong man and a general ⑥ a daughter and daughter-in-law ⑦ a strong man and a dragon ⑧ men and women ⑨ a unit of men and women ⑩ a master and a maid ⑪ a wizard ⑫ fairies ⑬ Buddhist saints To make competition, the sister had to build a castle and the brother had to go to Seoul and return home at the same time. As time went on, the sister's job was varied into women's work like cooking rice and making clothes and the brother's was also varied into surrounding the mountain and building castles. Sister's death is not the end of this story. It appears that there are ① the death of the widow, son and daughter ② the death of the son and daughter ③ the defeat of the daughter ④ the defeat of the son ⑤ a tie ⑥ unknown death It seems that this story was adapted by the followers of tradition to reach the climax of a tragic effect. This tradition says the widow lived with her strong son and daughter. But she belived the rumor that her son and daughter could not live in the same house, so one of them would die. For the bet, the son had to go to Seoul and the daughter had to build a castle. She wanted her daughter to die. So, she fed her daughter some hot red bean soup to interrupt her daughter. After all, her daughter was killed. The story was heard frequently and now remains as cultural evidence of Chungnam, Chungbuk Province. There are four types resulting from this story. The first type shows that the strong brother lived otherwise, the weak sister died sadly(75). The second type comprises the death of the brother after the death of sister(3). The third type describes the death of all the characters(6). In the fourth type everyone lives(36). Now, there are five steps to this tradition. In the opening: the widow lived with her odd son and daughter. There is one complication: a person who loses the bet has to die because the son and daughter must not live in the same house. The crisis: the widow wants her son to win. The conclusion: the death of the daughter or the death of the widow and her son. The evidence of this tradition still remain in modern Korean culture. There are three aspects in the fifth chapter. One is the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That is from the idea that the women have to be sacrificed for the men. Another is the problem of the succession of the family. The widow was really afraid that her son might not succeed to her family. So she determined to kill her daughter. It's based on a maternal instinct. The other is about the idea of the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They said that the strong son and the strong daughter must not live together in the same house. It means the survival of the fittest. Until now, we studied the variations, types, analysis, aspects about the tradition, 'Brother and sister have strength.' Now many traditions still succeed as a contemporary literature. But there was only TV drama, 'The son and the daughter' which showed the idea like this tradition. [ writer Pak Jin­Suk, director Jang Su­Young, main actress Hu­nam (Kim Hee Aeh), main actor Gui­nam (Choi Su­ Jong)] I'll try to find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is described like the old tradition.

      • 환경노출에 따른 GFRP 보강근과 BFRP 보강근의 역학적 거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종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은 부동태 피막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지 않지만 콘크리트 균열에 의한 수분 침투 및 염화물로 인해 부동태 피막이 손상되면 철근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부식 시 생성되는 철 산화물은 콘크리트 균열이나 박리현상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성능 및 수명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철근부식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저하에 대한 문제 해결책으로 FRP 보강근이 있다. FRP 보강근은 철근과 달리 구조성능이 우수하며 중량이 작아 취급이 용이하다. 특히 내식성이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RP 보강근 중 절연성이 뛰어난 GFRP 및 BFRP 보강근의 환경조건하에서의 역학적 성능을 평가하고자 인장실험과 미세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변수는 보강근의 직경 및 노출환경(알칼리-온도, 동결융해)으로 설정하였으며, 미세구조분석의 경우 동결융해 실험결과 인장강도 및 FRP 육안평가 했을 때 FRP의 상태변화가 미미하여 알칼리-온도 환경에 노출한 FRP 보강근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준 환경에서 GFRP 보강근에 비해 BFRP 보강근의 인장강도가 약 150MPa 높았으나 알칼리 60℃에 50일 노출된 경우 오히려 BFRP 보강근이 GFRP 보강근에 비해 100MPa 낮게 나왔다. 알칼리 환경에서 대부분의 시험체가 온도 및 노출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알칼리 20℃에 100일 노출된 GFRP D16와 BFRP D13의 경우 기준환경 보다 오히려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동결융해 환경에서 50일 노출한 경우 기준환경에서 보다 전체적으로 인장강도가 4~7%정도 감소한 반면에 100일의 경우 BFRP D13을 제외하고 인장강도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결융해 환경은 FRP 보강근 인장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세구조분석에서 FRP 단면과 측면의 부분을 분석한 결과 섬유과 레진사이의 부착면을 보면 GFRP 보강근 보다 BFRP 보강근이 알칼리- 온도 환경에서 섬유와 레진의 계면이 열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았을 때 GFRP 보강근이 알칼리 환경에서의 인장강도 감소율이 적으며 미세구조분석 결과 BFRP 보강근에 비해 레진 손상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알칼리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BFRP 보강근 보다는 GFRP 보강근을 적용 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bar does not corrode owing to passive film. However, rebar corrodes as passive film is damaged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ron oxides produced in corrosion cause concrete crack or delamination. So, the performance and life of structure decreases. There is FRP rebar as resolution to problem of decrease in the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rebar corrosion. FRP rebar has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at of rebar, and is easy to handle because of light weight. In particular, corrosion resistance is excellent. So, FRP rebar can be used in corrosive environments without restraint. Accordingly, crack in structure is not caused by corrosion. This study selected GFRP and BFRP rebar having excellent insulating capability among FRP rebars, and carried out a tensile test and Analysis of Micro-structure in order to evalu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rebar. The diameter of rebar and environment to which rebar was exposed (alkali-temperature, freeze-thaw)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variable. And in case of Analysis of Micro-structure, a change in tensile strength and visual appearance was in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reeze-thaw experiment. Therefore, only FRP rebar exposed to alkali-temperature environment was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ese experiment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nsile strength of BFRP rebar was higher by approximately 150MPa than that of GFRP rebar in reference environment. However, in case of being exposed to alkali 60℃ for 50 days, the tensile strength of BFRP rebar turned out to be lower by 100MPa than that of GFRP rebar instead. In most of specimens, the tensile strength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s temperature and exposure duration increased in alkaline environment. However, in case of GFRP D16 and BFRP D13 exposed to alkali 20℃ for 100 days,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tensile strength increased, as compared with reference environment. In case of being exposed to freeze-thaw environment for 50 days, tensile strength decreased by about 4~7% on the whole than that of reference environment. However, in case of 100 day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ensile strength increased except for BFRP D13.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freeze-thaw environment did not have large effect on the tensile strength of FRP reb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ection and side of FRP in Analysis of Micro-structure,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BFRP rebar had inferior interface between fiber and resin in alkali-temperature environmen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GFRP rebar showed less reduction rate of tensile strength under alkaline environment and Analysis of Micro-structure showed less resin damage than the BFRP rebar. Therefore, it is evaluated that application of GFRP rebar is better than application of BFRP rebar in case of concrete structure liable to be exposed to alkaline environment.

      • 미환입의 거문고 선율 변화 연구

        이종미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고는 미환입(尾還入)에 나타난 거문고의 선율 변화에 관하여 고악보를 중심으로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미환입은 黃. 太. 仲. 林. 南의 5음으로 구성된 황종평조(黃鍾平調)의 악곡인데, 단 현행 거문고 제 6장에 나타난 無로 인해 상기 5음에서 예외적으로 6음 구성을 이루고 있다. 미환입은 보허자에서 파생한 곡으로 거문고보로 기보된 금합자보 외에 여러 고악보에 무의 출현음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미환입 중 거문고에 출현하는 無가 전통적인 맥락을 이어 그 원형을 지켜온 것인지 아니면 가야금. 대금. 피리에 출현하는 南이 원형을 지켜온 것인지의 변화유무를 밝혀내는 것이 주 목적이다. 또한 거문고 전공자로서 현재 연주되고 있는 미환입의 합주 시 발생하는 불협화음의 불완전한 조화를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을지 제시했다. 연구 방법은 그 중 가장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는, 시대별로 구분한 고악보 및 현행악보에 이르기까지 출현음의 출처를 밝혀내는 것과 기타 다른 악기와의 악보 비교, 옛 명인 및 현행 연주가의 음반 비교, 구음에 의한 음의 변화유무 등을 참고하였다. 논의된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악보 중 금합자보(琴合字譜;1572년)는 명종 16년에 안상(安상)에 의해 편찬되고 선조 5년에 개판한 악보이며, 미환입이 파생된 곡인 보허자 제 5· 6· 7장에 출현음 무는 각각 1회· 4회· 1회에 걸쳐 나타났다. 둘째, 속악원보(俗樂原譜)는 약 1850년 경 조선 후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악보로, 관악 보허자와 현악 보허자로 분리되어 있는데, 관악 보허자 제 5· 6· 7장에 출현음 무는 각각 2회· 4회· 4회로 나타나고, 현악 보허자 제 6· 7장에 각각 4회· 4회로 나타나 그 당시에는 관·현 보허자 모두 무가 출현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삼죽금보(三竹琴譜)의 연대별 추정 시기는 약 19c 전기로 보여진다. 보허자 제 4·6장에 출현음 무는 각각 2회· 4회로 나타나며, 본환입(本還入) 제 6장에 6회로 나타나고 있어, 각 고악보의 연구조사 결과 출현음 무는 시대별로 내려오면서 점차 소멸되고 남으로 대치되며, 현행 미환입에 이르러 제 6장에 4회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넷째, 이왕직 아악부(1930년)의 가야금. 대금. 피리의 아악부 악보로 표기된 악보를 비교한 결과, 미환입 제 6장에 나타난 음 중 거문고는 무로 되어 있으나 각 악기 모두 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관악기의 구음법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며, 그 이유는 종묘제례악의 연주와 같이 남과 무가 같은 구음법인 ‘느’와 ‘르’로 구음되다가 후에 한 음으로 통일시킨 것이라 추측한다. 다섯째, 명인 및 현행 연주가의 음반에 나타난 거문고의 음은 남이 아닌모두 무로 연주되었다. 결론적으로 현행 미환입의 출현음 무는 역사적인 배경으로 볼 때 그 원형을 보존하여 거문고보에 무가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시대적 변화로 인해 점차 음의 소실(消失)도 있었다. 따라서 전공자로서 고악보에 나타난 거문고보의 무의 가치 보존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바이나, 현시대의 여건에서 미환입의 무는 거문고의 독주 시에는 음의 불협화음이 발생친 않지만, 합주 시 거문고와 다른 악기들과의 불협화음을 이루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조심스레 제시하였다. 거문고 독주로는 고악보에 이어져 내려온 원형을 지키고 전통성을 따르기 위해 무의 음으로 연주되어야 함은 마땅한 것이다. 그러나 미환입 합주 시 가야금이나 대금, 피리 등의 모든 악기가 다 남으로 소리내어 연주하는 실정에서 거문고만 무를 고집하여 소리를 내어 음악의 부조화를 이룸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의 개선책으로 거문고도 합주 시 조화로운 연주를 위해서는 다른 악기와 마찬가지로 ?의 음으로 소리 내어야 되지 않을까 제언하는 바이다. 또한 고악보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검증이 차후 세대를 통해 더욱 개선되고 발전된 형태로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is a study that comparatively researched a change in melody of Geomungo (Korean harp), which was represented in Mihwanip (Mittoduri). Mihwanip is a musical piece of Hwangjong and Pyeongjo, which comprised 5 tones such as Hwang, Tae, Jung, Im, and Nam, and, still, it is exceptionally forming the composition of 6 tones from the above 5 tones, due to Mu that was shown in Chapter 6 of the current Geomungo. As Mihwanip is a tune that was derived from Boheoja, the appearing tone of Mu is indicating in many old notes, except Geumhapjabo that was previously reported as Geomungobo.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xistence of a change in whether Mu appearing in Geomungo is what has succeeded to a traditional context and kept its prototype, or Nam appearing in Gayageum, Daegeum, and a flute, has kept the prototype, among the current Mihwanips. Also, as a person majoring in Geomungo, it was presented which way will be good in solving the imperfect accord in disharmony that occurs in case of playing in concert of Mihwanip.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it clarified the source of the appearing tones up to the old notes and the current notes that were divided by perio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material among them, and referred to the comparison of note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the comparison of phonograph records between an old master and a current performer, and the existence of tones by Guum (oral sound). Given summing up the discussed main points, those are as follows. First, among old notes, Geumhapjabo (year of 1572) is a musical note that was compiled by Ansang in Myeongjong's 16th-year reign, and was revised in Seonjo's 5th-year reign, and Mu, the appearing tone in Chapters 5, 6, and 7 of Boheoja, which is a tune derived from Mihwanip, was indicated over once, four times, and one time, respectively. Second, as Sogak Wonbo is the old note that is presumed to have been compiled in the late Joseon around the year of 1850, it is divided into the wind Boheoja and the string Boheoja, and Mu, the appearing tone, was represented twice, four times, and four times, respectively, in Chapters 5, 6, and 7 of the wind Boheoja, and four times and four times, respectively, in Chapters 6 and 7 of the string Boheoja, thus it can be seen that Mu appeared in all the wind and string Boheoja at that time. Third, the presumed time by period in SamjukGeumbo seems to be about the first term in the 19th century. The appearing tone Mu is indicated twice and four times, respectively, in Chapters 4 and 6 of Boheoja, and 6 times in Chapter 6 of Bonhwanip, thus it can be seen that,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surveying each of old notes, the appearing tone Mu is gradually disappeared while coming down by period, and reaches the current Mihwanip while being replaced with Nam, thereby appearing only four times in Chapter 6. Fourth, in consequence of comparing musical notes, which were marked with a musical note of Aakbu in Gayageum, Daegeum, and a flute by Lee Wang-jik's Aakbu (1930), among tones that appeared in Chapter 6 of Mihwanip, Geomungo was formed with Mu, but each of all musical instruments was indicated with Nam. This phenomenon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oral-sound technique in a wind instrument, and the reason is supposed to be attributable to that Nam and Mu were formed oral sounds with 'Neu' and 'Reu,' which are the same oral-sound technique, like a musical performance in Jongmyo Jeryeak (the Royal Ancestral Shrine Music). Fifth, all the tones in Geomungo, which appeared in the phonograph records of a master and a current performer, were played with Mu. In conclusion, given seeing from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could be known that the appearing tone Mu in the current Mihwanip preserves its prototype, thus Mu remains in Geomungobo, and in addition, there was even gradual disappearance of a tone due to a historical change. Accordingly, as a major, it is recognized that the preservation of Mu's value in Geomungobo, which appeared in old notes, is very important, but under the situation of present times, Mu in Mihwanip is not occurred the disharmony of tones in case of playing the Geomungo alone, but is formed disharmony between Geomungo and other musical instruments, in case of playing in concert, thus it was carefully presented a plan for solving according to it. In terms of playing the Geomungo alone, it is natural to be played with a tone of Mu aiming to keep the prototype, which was handed down to old notes, and to follow the traditional. However, in a real situation that all the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Daegeum, or flute are performed while sounding with Nam in case of playing in concert of Mihwanip, it is considered to be not desirable for only Geomungo to form disharmony of music by persisting in and sounding with Mu.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Geomungo will also need to be sounded with a tone of Nam, same as other musical instruments, aiming at the harmonious performance in case of playing in concert. Also, it is tried to expect that more studies and verifications on old notes will appear in the form of being further improved and developed through next generation.

      • 셰이머스 히니의 시에 나타난 도덕적 리얼리즘

        이종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Moral realism is the view in philosophy that there are objective moral values. Moral realists argue that moral judgments describe moral facts. This combines a cognitivist view about moral judgments, a view about the existence of moral facts, and a view about the nature of moral facts. Some moral realists include David Brink, Peter Railton, Geoffrey Sayre-McCord, and Richard N Boyd. The advantages of such a theory of ethics are numerous: in particular, moral realism allows the ordinary rules of logic to be applied straightforwardly to moral statements. We can say that a moral belief is false or unjustified or contradictory in the same way we would about a factual belief. Another advantage of moral realism is its capacity to resolve moral disagreements. If two moral beliefs contradict one another, realism says that they cannot both be right, and therefore everyone involved ought to be seeking out the right answer to resolve the disagreement. There are moral facts or truth, and these facts or truths are independent of the evidence for them. And the correctness of our moral beliefs appears to be independent not only of our actual justification for holding them but even of ideal justification. Truth and justification appear to be distinct properties of beliefs. Justification does not even provide a guarantee of truth. Knowledge implies truth, but justification does not. Justified beliefs might nonetheless be false. Of course, justification must provide evidence of truth, but it should not guarantee truth. Moral imagination is very important in Heaney's poetry. Moral imagination is public and shared. It has the same public character as do our social relations, practices, and institutions, for all of these are defined by metaphors and other imaginative structures. The requirement of developing our moral imagination, changes our conception of moral development. It sees our primary task as less a matter of learning how to apply moral laws and more a task of refining our perception of character and situations and of developing empathetic imagination to take up the part of others. It requires the ability to imagine ourselves in different situations and conditions at past and future times. Unless we can put ourselves in the place of another, unless we can enlarge our own perspective through an imaginative encounter with the experience of others, unless we can let our own values and ideals be called into ques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we cannot be morally sensitive.

      • 성인의 기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이종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기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인 303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기질,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분석에는 301부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질, 심리적 안녕감,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질 중 의도적 통제, 행동억제, 부정적 정서성, 긍정적 정서성이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ults. For this purpose, 303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a self-report survey study that measures tempera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Data from 301 survey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empera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empera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emperament such as effortful control, behavioral inhibition, negative emotionality, and positive emoti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stress coping strategies. Lastly,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proposals were made for subseque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