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강우의 대표확률분포형 결정을 위한 Jackknife기법의 적용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basic data consist of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at 57 stations that has the precipitation records more than 30years in Korea. The 14 probability distribution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are applied to the basic data. The Method of moments,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and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are used to estimate the parameters. And 4-tests(chi-square test, Kolmogorov-Smirnov test, Cramer von Mises test,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PPCC) test) are used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fit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considering the variability of the estimate of T-year event in hydrologic frequency analysis and proposes a framework for evaluat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The variability(or estimation error) of T-year event is used as a criterion for model evaluation as well as three goodness of fit criteria (SLSC, MLL, and AIC) in the framework. The Jackknife method play important roles in estimating the variability. For the annual maxima of precipitation in Daegu, the two parameter Gamma distribition is regarded as the best one amo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with two or three parameters; in Sokcho and Seoul, the Gumbel distribution was decided; in Daejeon, the three parameter Gamma distribution was decided; in Busan, the three parameter Log-Gumbel distribution was decided.

      • 대리인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제도가 공공기관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재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OVID-19이라는 전대미문의 질병이 세계를 덮친 후, 국가를 가리지 않고 정부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또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은 이미 외환위기와 세계 금융위기 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큰 정부’의 역할을 요구받은 바 있다. 그 역할을 함께하는 공공기관들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함께 높아지며 공공기관은 이제 국민들의 삶과는 뗄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렇듯 공공기관의 비중이 증가함과 동시에 주인(국민)–대리인(공공기관) 구조에서 비롯되는 문제들 또한 함께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의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제도들이 공공기관의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과 국민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의 비대칭을 완화하는 제도들로서, 국정감사와 정보공개라는 두 통제 제도에 집중하였다. 국정감사의 강도 및 정보공개의 활성화도가 공공기관의 성과평가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경영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보 비대칭의 완화가 대리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본 것이다. 국정감사는 국회의원들의 자료요구와 질의를 거쳐 공공기관에 시정조치를 내리고, 정보공개는 국민들이 공공기관에 직접 정보를 청구하는 방식으로 주인인 국민과 대리인인 공공기관 간 정보의 비대칭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주인인 국민과 대리인인 공공기관 간 정보 비대칭을 줄여 대리인인 공공기관의 책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분석을 위해, 공공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과, 공기업과 준정부기관만을 대상으로 구분한 모형들로 나누어 각각 확률효과 패널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두 제도들이 공공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시장형 공기업과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과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등 공공기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각 모형별로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추가로 확인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성과는 공공성과 수익성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는데, 경영평가 계량지표 중 국민의 기대와 사회적 책임 수준에 해당하는 지표들은 공공성 성과로 분류하고, 효율성과 효과성에 해당하는 지표들은 수익성 성과로 분류하여 국정감사 시정조치건수와 정보공개 청구건수가 각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정감사 시정조치건수는 공공기관 전체, 공기업,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한 모든 모형에서 효율성과 효과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기관 전체와 준정부기관만을 대상으로 한 모형에서는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수준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정보공개 청구건수는 공공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과 준정부기관만을 대상으로 한 모형에서만 효과성에 한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일반 국민들이 자료를 직접 청구하는 정보공개 제도가 입법권 등 많은 권한을 가진 국회의원들에 의해 시행되는 국정감사에 비해 실효성이 부족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보완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제도가 미치는 영향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등 공공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국정감사의 강도가 공공기관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준정부기관에 비해 공기업에 더 강화되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세부 유형별 분석에서는 공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사회적 책임 수준과 효과성에 대해 시장형 공기업보다 준시장형 공기업에 국정감사의 강도가 미치는 영향이 더 강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준정부기관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국정감사의 강도가 사회적 책임 수준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보다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에게 더 강화되어 나타났다. 정보공개는 효과성에 대해서만 공공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영향은 공기업보다는 준정부기관에 더 강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세부 공공기관 유형별 분석에서는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에 비해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은 두 통제 제도가 공공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공공기관 유형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하며, 향후 공공기관의 유형에서 비롯되는 차이들을 감안한 정교하고 차별화된 통제 제도들이 새롭게 설계되고 적용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인-대리인 이론에 기반하여, 정보 비대칭 완화를 통해 대리인의 책임성을 확보하고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기 위한 차별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설문조사 등을 활용하였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국정감사와 정보공개와 같은 통제의 강도 및 활성화도가 복대리인의 특성을 갖는 공공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공공기관의 유형에 따라 통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파악하고,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두 통제 제도들의 정책적인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공공기관의 성과를 높여 국민들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정책결정자들에 있어 정책방향을 새롭게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fter the unprecedented pandemic called COVID-19 hit the world, the role of government, regardless of countries, has become bigger and more important. Korea has already suffered from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o Korean government has been asked to play a "big government" role in overcoming these various crises. Public institutions that share the role with government have also increased their importance i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y are now indispensable to people's lives. This study looks into how the systems implemented to secure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institutions affect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t a time when the portion of public institutions is larger and problems arising from the owner(people) - agent(public institutions) structure are also growing.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the two control systems, parliamentary audit system an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o ease asymmetry of information existing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people. Namely, this study figures out that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m is related to agents’(public institutions) performance by analyzing how intensity of the parliamentary audit and ac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can affect management performance scores. Through the parliamentary audit system, law makers can request public institutions to take corrective measures after requesting, inquiring and examining materials related to all management process from public institutions. Also people can request information disclosure directly to public institutions. So these two systems are expected to ease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and secure accountability of agents. This study is based on probability effects panel data analysis. And it divides the type of public institutions into two models. One is intended for all public institutions and the other is intended for only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model, this study analyzes how the two control systems make different effects on public institutions’ performance depending on each type of public institutions such as public enterprise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quasi-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fund-management -type-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commissioned-service-type-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so on. Also public institutions’ performance level is measured in terms of both public concerns and profitability. Measuring indices for management evaluation are divided into two parts, public concerns and profitability. Indices for measuring public concerns include people’s expectations toward public institutions and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Indices for measuring profitability include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By analyzing these measuring indices, this study figures out that the numbers of corrective measures taken by parliamentary audit and information disclosure claimed by people are connected to each performance level. As a result, the higher the number of corrective measures by parliamentary audits is, the more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the number has on the level of both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models intended for all public institutions,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lso in the model intended for all public institution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only(not public enterprises), the number of corrective measure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laims for information disclosure by people has positive(+) effects just on the level of effectiveness in the model intended for all public institution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only. These results means tha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by people’s request can lack effectiveness in comparison to parliamentary audit system executed by powerful and authorized law makers. So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for information disclosure needs to be improved. Additionally, after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ffects of the two control systems depending on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intensity of parliamentary audit has more impact on effectiveness of public enterprises than that of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In analysis for specified each type of public enterprises only, the intensity of parliamentary audit has more impact on quasi-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than 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in terms of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ffectiveness. Also, in analysis intended for just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intensity of parliamentary audit has more impact on commissioned-service-type-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than fund-management-type-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in terms of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Meanwhile, the activation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has impact on just effectiveness(not efficiency) in different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It has more impact on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than public enterprises. Also, in analysis for specified each type, it has more impact on commissioned-service-type-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than fund -management-type-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These analysis results mean that the two control systems has difference in effects depending on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more sophisticated and differentiated control systems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reflecting each type of different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owner-agent theory, this study draws a distinction on how to secure agent accountability and improve performance through information asymmetry mitig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did surveys,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looks through quantitatively the impact of the intensity and activation level of control systems, such as parliamentary audit and information disclosure, on the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ubagent. In addition, it figures out that the impact of control systems on perform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institution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policy improvements to the two control systems which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sessments simultaneous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policy makers to expand the policy direction and then enhance people’s lives by increasing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 육군 기록관리 발전방안 연구 : 기록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재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육군 기록 정보 서비스 개선 방안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서의 정의, 특성, 서비스 유형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해외기관인 미국의 NARA와 영국의 TNA의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육군 기록관리 발전방향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we study ways to improve the Army record information services. To this end,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service types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case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s of NARA in the United States, an overseas institution, and TNA in the United Kingdom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Army record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currently used by the Army was examin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users who are currently using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and collected opinions to improve the service. Various search tools are used to find and utilize records preserved in the archives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However, the Army's archives and special archives show a lot of differences in functionality compared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arch for accurate keywords or related words to find them. In the case of the Army's search tool, only the integrated website search tool and the search tool in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are available, and this is also available only for records with index lists, so there are some records that cannot be found as the Army's search tool. This is a waste of milit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assets and records left unattended, and I think new performance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Army's search tools that make it easy to find records preserved in the current archives. In addition, measures to expand the availability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Army record management field should be prepar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llect opinions from various user classes in the county and actively develop record information services using records currently being preserved. Accordingly, the researcher sought a way to improve the current Army's record information service.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record information services, dictionary definitions were derived, and definitions as meaning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s were examined. It was defined that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means all activities and results that occur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record information services by type should be provided to users properly. In addi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 by the National Archives Commission, a domestic institution, the case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 case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 by NARA and TNA in the UK. Chapter 1 examines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and prior research on record information services conducted in the pa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lains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based on this.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servic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s us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nalyzes cases of record information services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National Archives (TNA) of the United Kingdom. Chapter 3 analyzes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Army record information services currently used by researchers, and divides them into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search tools, record management systems,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Chapter 4, as a way to improve the Army record information service, Section 1 propose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users using information services by improving the Army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 system. Section 2 proposed a system that allows users to temporarily disclose private records only for non-profit and academic research purpos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temporary use reading system (tentative name)" for users who want to view Army search tools and private records. Section 3 examined the current Yukgyu 153 record management and printing regulations to lay a new foundation for Army record management, proposed the necessity and revision of the independent record-related Army regulations, and suggested adding a military record management process to independent records. Section 4 proposes a metho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offline record information service users by expanding the reading space of the record hall and expand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user class who wants to use the record information service in an offline environment. In the conclusion of Chapter 5, Chapter 4 presented the contents claimed by the researcher, the importance of the Army's record management work,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my's record management field should move forward.

      • 경찰 과학수사요원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이재준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직업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켜주는 수단임과 동시에 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고 자신의 존재가치에 대한 자부심을 형성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충족시켜 주며, 역할수행에 따른 보상을 받음으로서 경제적인 삶의 보람을 가질 수 있어, 직무에 만족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일할 수 있는 직원은 고객 서비스 질 향상으로 이어져 업무 효율성 증대되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경찰 과학수사부서에 근무하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징, 직무만족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검토 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경찰 과학수사 업무 전문성 필요하다. 경찰 과학수사 업무는 전문성이 요구 되고 있으나 경찰서의 전담팀 부재, 적은인원, 업무구분 불명확 하나 업무의 전문화 이루어 질 때 직무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 질 것이다. 둘째, 자기 개발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경찰 과학수사 근무자들이 전문인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자기개발의 기회를 제공하여 전문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 발표회, 세미나, 훈련,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업무관련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셋째, 경찰 과학수사 근무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이고, 불만족 요인의 원인 및 개선방안에 세부적인 조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업무특성에 맞는 연구 도구의 개발이다. 기존의 직무만족 척도는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사회․문화적으로 한국적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후속 연구에서는 경찰 과학수사 근무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명료화하기 위한 작업과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정밀한 측정도구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독성가스 누출 리스크 평가를 통한 처리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이재준 한국교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의 특성 상 독성 및 부식성 가스를 많이 사용하면서, 국내 특수가스업체에서도 많이 취급/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독성 가스 취급 업체들은 정상 공정 상태에서의 최소한의 법적 준수 수준만을 고려한 가스 처리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비정상 운전, 비상상황 시의 독성가스 다량 누출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처리 방안 마련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상운전 상태, 비정상운전, 비상상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독성가스 누출의 각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즉, 독성가스 취급 시 계획대로 안전하게 운전되어 독성가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때, 공정 이상으로 인한 계획 이상의 독성물질이 처리시설로 전달될 때, 그리고 최악의 상황으로 공정 밸브 이상 및 용기 밸브의 이상 등으로 처리시설에서 처리할 수 없는 수준의 독성가스가 누출되었을 때 스크러버에서 처리되어 나온 독성가스의 공기 중 농도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위험거리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독성가스 누출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 당해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Hazard)을 최소화하여 독성가스 취급/저장 업체 종사자의 작업환경을 향상시키며, 또한 처리시설의 설계검토 및 설비 보완을 통하여 취급/저장 업체의 안정적인 조업을 이끌고 인근 지역사회에 피해를 최소화하고 상호정보교류 및 활동을 통해 위험한 사업장이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해당 업체의 이미지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