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에니어그램역동심리현상에 의한 가슴중심 유형별 질적연구 - 2, 3, 4유형을 중심으로 -
이은하,전원미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5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2 No.1
에니어그램은 타고난 9가지 기질적 욕구의 패턴을 의미한다. 에니어그램은 성찰, 변화, 리더십, 교육, 상담 등 여러 가지 영역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해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에니어그램을 이론적 탐구, 지나친 성찰만을 위한 도구로 이용하며 오히려 에니어그램에서 나타나고 있는 역동적인 심리현상을 그려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 유형이 나타내고 있는 성격형성의 배경 등을 고찰하고 성격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에니어그램 심리역동은 심리적 힘을 얻기, 핵심욕구 이해, 잠재력 찾기, 욕구충족, 좌절의 심리적 상태 등의 의식적 자기이해를 돕는 표면적인 역동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에니어그램은 전의식적 습관 관찰을 통하여 마음의 습관, 생활의 불균형을 깨닫는 내면적인 역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무의식적 자기성찰을 통해 심층적인 역동까지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심리역동을 정의한 에니어그램심리역동체계를 구성하였다. 에니어그램을 역동심리현상에 의해 맥락적 연구방법에 따라 질적으로 연구하였고, 특히 에니어그램심리역동 워크샵에 참여한 참여자 집단을 가슴중심 2, 3, 4유형군을 중심으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종단적으로 연구하였다. 2, 3, 4유형으로 분류된 워크샵 참가자는 총 622명이었다. 맥락적 방법에 의해 이들이 제출한 자기보고서에 나타난 개념들을 핵심단어로 분류하였다. 에니어그램역동전문가 가슴중심 유형 9인이 평정을 진행하였으며, 1차로 2, 3, 4유형을 의미하는 표현문장을 찾았다. 2차는 의미적 단어탐색, 3차는 최종단어선정을 하였다. 그에 따라 가슴중심별 역동심리현상을 재정의 하였다. 또한 조사결과에 의해 나타난 중심별 역동심리현상에 관한 용어 및 현상을 규명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적으로 기초연구, 실증연구로서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에니어그램 성인용 성격검사를 활용한 성인인성 패턴에 관한 연구
이은하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4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1 No.1
성인기는 삶의 위기를 통합하고, 가족,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역할과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형성하고 진정한 자신이 되어야 하는 시기이다. 또한 성인기는 다양한 관계에서의 외적, 사회적 상호작용과 내적, 개인적 만족의 균형을 세워야 하는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기에는 다양한 삶속에서 심리적 문제가 형성되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다. 자기이해, 타인수용, 상황조망의 다양성과 다름의 차이를 인식하게 해주는 에니어그램은 성인기의 과제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인기에 관한 선행연구와 에니어그램과 성인기의 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기질과 사회적 성격 사이의 상호관계를 확인하여 각 유형별 보일 수 있는 패턴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에니어그램 성인용 성격검사에 나타난 기질적 성격과 사회적 성격의 패턴을 489명을 표본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패턴의 대표적인 경향성은 각 유형마다 행동방식 분류에 따른 유형의 전형적인 패턴과 보완패턴, 상충패턴 3가지씩 27패턴을 조사하였다. 향후 역동적, 상호적인 기질과 사회적 성격사이의 패턴을 통해 성인기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2000학년도 재학생들의 성격유형선호도에 관한 연구 : MBTI를 활용한 성격유형선호지표를 중심으로
이은하 선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00 학생생활연구 Vol.4 No.-
본 조사의 목적은 첫째, 자신의 심리적 특성을 알고자하는 학생들에게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자기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며, 둘째, 선문대학교 학생들의 성격특성에 대한 간접적인 정보를 추론해 보고 전체 대학생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선문대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입생들의 성격유형 문제 및 인간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를 올바로 진단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도 객관적인 생활지도, 상담활동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new sound absorbent which is safety, economical and efficient with using recycled materials is tried. The sound absorbent, used in this investigation, was made of used paper and filters of cigarette butts. In this test, two paper sound absorbent which density are 31kg/㎥ and 27kg/㎥ and cigarette filter sound absorbent which density is 22kg/㎥ were used.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ound absorbents were measured by using impedance tube. The measured frequency range was 250Hz to 4KHz in 1/3 octave band .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products and possibilities and problems of this development were grasped.
신생아에서 여과지를 이용한 소변의 유기산분석 : 선천성 대사이상질환의 신생아 선별검사법 개발
이은하,한시훈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3 No.10
목 적 : 신생아 유전대사질환 선별검사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질병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고, 조기에 유전상담의 기회를 제공하여 준다. 현재의 신생아 선별검사는 주로 아미노산 대사이상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으며, 유기산 질환에 대하여는 검사방법의 어려움과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시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여과지를 이용한 유기산 분석 방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유기산, 지방산 대사질환 및 신경아세포종의 선별검사에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단풍당뇨증, 메칠말로닌산혈증, 글루타릭산뇨증, medium-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MCAD), vitamin responsive disorders(B12, biotin, B2) 등과 같은 유기산 대사질환 및 신경아세포종을 선별하기 위한 standard marker를 선정하여 여과지에 묻힌 후 소변에서의 유기산을 분석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추출, 분석하였고, 이들의 extraction efficiency와 안정성을 비교하여 유기산 질환의 선별 marker로서의 적합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상 신생아와 유기산대사질환 환자의 소변을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분석, 비교하여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결 과 : Standard marker마다 차이는 있으나 건조된 여과지로부터의 유기산 추출 efficiency는 43.2- 136.5%로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며, 환자군에서의 유기산 분석은 여과지에서 추출된 유기산분석으로도 특징적인 이상소견을 보여 충분히 진단이 가능하였다. Purpose : Neonatal screening for inherited metabolic disease is aimed at identifying affected infants early, thus permitting medical intervention to prevent or minimize the effect of the disease. However, organic aciduria, most of which causes severe disease and mental retardation, is not yet screened routinel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tests, sample collection, and expenditure of time and financial resourc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screening method for the detection of multiple organic aciduria and neuroblastoma, using dried urine filter paper. Methods : The standard markers used for screening of organic aciduria were placed on the filter paper and analysed with the modified organic acid analysis method.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stability of standard markers were tested for the purpose of adequacy as screening markers, and the method described herein was evaluated by analyzing filter paper samples obtained from both normal newborns and patients with known organic aciduria. Results : The standard markers in the filter paper left in the room temperature over a period of 5 days were still stable without significant degradation. The level of specific organic acids obtained from known organic aciduria patients were easily detectable-enough to make the diagnosis. Conclusion : The filter papers soaked with urines obtained from newborns or patients with suspicious metabolic diseases are adequate for screening of organic acidurias and neuroblastoma. Sample delivery to the laboratory can be handled more easily with this method and even newborn screening c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부모양육태도요인개발 및 부모교육에의 활용
이은하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4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1 No.1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부모-자녀간의 양육적 상호작용은 자녀의 삶의 기초적 관계도식을 만들게 된다. 이에 따라 건강한 대상관계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녀가 원하고 만족하는 양육태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에니어그램은 각 기질에 따른 건강한 반응양식을 안내함으로써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부모양육태도요소를 개발하고 활용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양육태도의 4가지요소인 양육태도, 양육동기, 양육행동, 양육대화를 요약, 정의한다. 부모양육태도의 상호작용은 정의된 요소를 활용하여 내부동기와 외부표현의 2가지 영역으로 상호작용 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에니어그램기질에 따라 각 요소별 9가지 반응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니어그램의 9가지 기질적 반응과 양육적 요소를 연결한 부모양육태도 요소를 정의하였다. 부모양육태도 4요소별 9가지 기질적 반응을 통해 36가지의 부모양육태도에 관한 요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정된 부모양육태도요소와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중초 여교사의 체육교과 실천적 지식 형성과 원천에 관한 자서전적 생애사 연구
이은하,배명훈,김영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1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 중초 여교사의 체육교과 실천적 지식 형성과 그 형성에 영향을 준 원천을 분석하는 데 있었 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inar(1975)의 자서전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역방향 면담, 생애 이력, 일기, 수업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내용별 범주화 및 주제 생성, 주제 성분에 대한 설명의 과정을 거 쳤으며, 그 결과는 McCutcheon(1995)이 제시한 개인적인 삶, 교수적 맥락, 교수경험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개인적 삶과 관련하여 성장과정의 신체활동 경험은 실천적 지식의 밑바탕이 되었다. 둘째, 교수적 맥락에서 실천적 지식의 성격은 학교체육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 과정에 따라 변화하였다. 셋째, 교수경험 측면에서 학교체육 에서 발현된 실천적 지식의 원천은 연구자의 삶 전체, 즉 교직 입문 이전과 이후의 경험 모두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적으로 내용 지식 및 기능의 실천적 지식은 연구자 유년시절 개인 경험과 가치관에서 비롯되어 개인적 삶, 교수 맥락, 교수 경험과 같은 학교 및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발전, 성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ysical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the growth of a co-licens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process of form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school sports, and the source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utobiographical research methods by Pinar(1975).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rsonal diary, life history table, and auxiliary data, and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categorization by content, creation of themes, and explanation of the subject components. The results were described by dividing into ‘personal life’, ‘teaching context’, and ‘teaching experience’ by McCutcheon (1995).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growth became the foundation of practical knowledge. Second, the nature of practical knowledge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orm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school sports. Third, the source of practical knowledge that appeared in school sports was found in the entire lif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it was meaningful both before and after the initi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conclusi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contents and skills of school sports formed by the researcher was influenced by personal experiences and values in childhood. At the same time, it has grown and changed amid changes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society such as personal life, teaching context, and teaching experience.
이은하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6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마음과 몸의 심신치유적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음과 몸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 으며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른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에니어그램기질과 신체자각간의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에니어그램 기질별 Somatic 의 관계, 에니어그램 기질 과 신체자각훈련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에니어그램 기질과 신체이미지가 연관성을 가지며 역동 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에니어그램과 심신치유를 머리중심, 가슴중심, 배중심으로 연결하여 정리했다. 또한 에니어그램심리역동 체계 중 욕구역동을 활용한 심신치유방안에 대해 탐구, 고찰하였다. 이 를 통해 심리적 치유, 신체적 치유를 살펴보고 통합적 이해를 통한 대안을 알아보았다.
이은하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6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3 No.1
청소년기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아정체감을 만들어가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청소년기는 성격, 친구관 계, 진로 및 적성의 심리적 문제로 다양한 혼란과 갈등을 겪어나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에 따라 에니어그 램기질과 청소년상담의 연계성에 관한 이해와 고찰을 하였다. 청소년상담 중에 에니어그램 기질별 인지도 식을 알아보고 각 기질별 부적응도식과 적응도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에니어그램 기질별 미해결된 정서를 이해함으로 에니어그램 기질별 청소년기 주요심리적 문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심리역동체 계를 활용한 청소년단기상담모형, 즉 심리적 네트워크형성단계 , 행동적 접근단계, 공감단계, 문제평가단계, 해결단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에니어그램과 청소년단기상담방안, 즉 욕구역동별 NAKEY, 청소년단기상담사 례를 제시하였다.
17세기 宗親 李建(1614-1662)과 李涵(1633-?)의 花鳥畵 硏究
이은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美術史學 Vol.- No.26
본 연구는 17세기 宗親 李健(1614-1662)과 李涵(1633~?)의 화조화 제작배경과 작품을 통해 조선중기 종친들의 회화활동양상과 문인화풍 수묵화조화의 일면을 고찰한 것이다. 16, 17세기 조선의 화단에서는 문인들의 隱逸정신 추구와 절파화풍의 수용으로 화조화가 주요 문인화목으로 유행하였으며, 그 유행의 중심에는 종친들의 활약이 있었다. 종친들은 왕족으로서의 기본소양교육을 통해 예술분야에 두루 능했는데, 특히 17세기 종친들이 서화의 창작과 수장에 두각을 드러내었다. 그 중 당대 최고 문인화가들과의 교유 및 남인 벌열 가문과의 혼인 등을 통해 사회적 입지를 다졌던 조부, 숙부로부터 회화적 소양과 재능을 물려받은 이건과 이함이 화조화로 명성을 얻었다. 이들의 수묵화조화는 낙관이나 제화시문을 통해 작가와 기년을 알 수 있어 조선중기의 회화 연구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건의 <蓮花白鷺圖>는 채색병풍화조화의 구도와 수묵화조화의 구성을 조합한 개성적 면모를 보이는 족자형태의 그림으로, 세부양식은 15세기 김정과 16세기 김식, 17세기 이징의 화조화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이건이 타계하기 1년 전 아들에게 준 작품인 <雪月鳥夢圖>는 눈 내린 겨울밤의 여치를 소재로 한 것으로, 이징의 화조화 양식과 관련이 깊었다. 이건의 두 작품 모두 절파풍의 농담대비, 烘雲托月의 여백과 선염을 통해 寫意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이함의 《花鳥草蟲畵帖》은 이함의 시, 서, 화를 모두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에, 본고에서는 화첩의 전모소개와 본격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화첩의 그림은 화조화 9점과 초충도 2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조화는 16세기 전 이경윤의 화조화 양식과 연관이 있는 것, 17세기 조속과 이징의 화조화풍과 관련을 보이면서도 이함의 개성적인 특징이 드러나 있는 것, 그리고 조선후기 화조화에 주로 등장하는 새와 전통적인 백로도와 노안도의 배경을 조합한 창의적 구성의 그림들로 나눌 수 있어, 이함의 화조화풍과 함께 조선중기 수묵화조화의 다양한 특징들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초충도는 소재와 구도, 표현기법 등에서 전 신사임당의 초충도와 연관이 있으나, 사임당의 그림에 비해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묘사가 두드러졌다. 11점의 작품 모두 배경을 최소화하고 여백의 효과를 최대한 살려 맑고 시원한 중기 문인화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