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갑상선 장형 유두상 암종의 예후적 의의 : p53, bcl-2 & Leu-M1 단백의 발현

        이원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갑상선 유두상 암종은 매우 예후가 좋은 고분화성 암종이지만, 이 중 키 큰 원주상피로, 세포의 키가 넓이의 두 배 이상이고, 진한 호산성의 세포질을 갖는 장형 유두상 암종은 그 예후가 불량하고, 통상의 유두상 암종과는 다른 면역 표지자의 발현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그 진단기준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저자들은 인체종양에서 예후와 흔히 관련된 면역표지자인 p53, bcl-2, Leu-M1 단백에 대한 면역염색을 25예의 장형 유두상 암종, 26예의 고분화성(통상의) 유두상 암종, 14예의 저분화(고형)성 유두상 암종에 시행하여 임상적 예후지표와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상의 유두상 암종, 장형 유두상 암종 및 고형성 유두상 암종은 발생연령, 성비, 종양의 크기 및 림프절 전이, 갑상선 주위 조직 침윤, 재발등의 임상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p53 및 bcl-2 단백의 발현은 통상의 유두상 암종, 장형 유두상 암종 및 고형성 유두상 암종에서 각각 14/26예(54%), 17/25예(68%), 3/14예(21%) 및 18/26예(69%), 19/25예(76%), 15/14예(36%)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3. Leu-M1의 발현도 각각 18/26예(69%), 21/25예(84%), 4/14예(29%)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4. p53 단백은 모두 세포질에 발현을 보였고 유형에 관계없이 총 65예중 p53과 bcl-2 단백이 동시에 세포질에 발현되거나 모두 발현되지 않은 예는 각각 33예(51%), 22예(34%)로 p53 과 bcl-2 단백의 발현율간에 κ(Kappa) 지수가 0.7로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높았다(p<0.01). Leu-M1은 p53 및 bcl-2 단백과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장형 유두상 암종은 통상의 유두상 암종과 예후적 인자의 비교에 있어서 확연히 구분되지 않았고 장형과 통상의 유두상 암종은 암종 발생중 p53 단백의 세포질 격리라는 기전으로 p53 단백의 불활성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고, 이 기전에 bcl-2가 관여하리라고 생각된다.

      •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 사회성 발달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원미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미디어 중독 포함), 사회성 발달(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 및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중등 영재아동 322명과 울산광역시 강남·강북 교육청 소속의 초·중등 일반아동 344명으로 총 666명이었다. 연구목적에 근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은 집단, 연령 및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에 따라 사회성 발달, 미디어 중독 및 문제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2-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성 발달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중독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2-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제행동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 미디어 중독 및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사회성 발달은 어떠한가? 3-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미디어 중독은 어떠한가? 3-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문제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은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이 영재아동보다 가정에서의 TV 평균 보유수가 높았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비디오와 핸드폰 보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와 신문의 평균 보유수는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신문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미디어 중독, 문제행동 간에는 각각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미디어 중독과 문제행동은 각각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성 발달이 높았으며, 미디어 중독은 일반아동이 영재아동보다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미디어 중독과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아동의 경우, 핸드폰 게임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사회성 발달이 낮고, 미디어 중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V 시청시간과 컴퓨터 게임, MP3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경우, TV 시청시간과 게임을 제외한 컴퓨터 사용, 컴퓨터 게임, 핸드폰 게임, MP3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서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including the media addiction), social development(relationships with peer group and teacher), and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comparing with those in ordinary children. Three hundred and twenty two gifted children who attend either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or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t UOU and 344 ordinary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ge, and gender in the media use of gifted children comparing with that of ordinary children?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development,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2-1. How is the social development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2-2. How is the media addiction i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2-3. How is the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Descriptive and inferential analyses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dia use betwee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Average number of TV at home was higher in ordinary children than that in gifted children. The opposite trend was revealed in the number of computers and newspapers at home and reading time.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video programs and cellular phones: Girls have more video programs and cellular phones than boys. With age children use more newspapers. Second, there were similar patterns of correlation among social development,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 both in the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As expected, social development and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both group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V watching time, computer game, MP3 use and media addiction in the gifted children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 social development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 media addiction. In case of the ordinary childre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V watching time, computer use, computer game use, cellular phone game, MP3 use and media addic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time and media addiction.

      • 무선 센서노드의 전원공급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연구

        이원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것이 센서노드의 전원문제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논문에서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및 렉테나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구성하고 실험하였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을 무선 센서노드에 적용시키기 위해 계절, 각도, 시간, 조도에 따른 태양전지의 출력특성을 측정하였다. 계절에 따른 태양전지의 출력은 여름 20°, 가을 45° 그리고 겨울 60°에서 가장 높은 출력을 나타내었으며, 계절에 관계없이 조도가 110,000lux 이상인 낮 12시에 최대출력을 보였다. 또한 센서노드의 통신주기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시간, 태양전지의 출력전력에 따른 배터리 충전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5W 및 4.2W의 태양전지모듈을 사용하여 무선 센서노드에 적용시켰다. 두 개의 태양전지모듈 모두 무선 센서노드의 통신 단절 없이 배터리의 충․방전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렉테나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을 무선 센서노드에 적용시키기 위해 RFID 리더기, 패치안테나, 다이폴안테나, 렉테나,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충전하였다. 렉테나에서 출력되는 전압, 전류의 양을 측정하였고 이 전력을 사용한 결과 리튬폴리머 배터리 전압을 2.8V에서 4V까지 충전시키는데 70시간이 소요되었다. With the advance in wireless sensor network, the biggest problem is the power source of wireless sensor nodes. To solve the problem, energy harvesting systems using solar cells and rectennas are implemented and experimented in this thesis. Output characteristics of solar cells in the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solar cells are measured in terms of season, angle, time and intensity of illumination to apply for the power source of wireless sensor nodes. Seasonal output power characteristics of solar cells are the highest at 20° angle in summer, 45° angle in autumn, and 60° angle in winter, respectively. The maximum output power is measured at 12 P.M. regardless of season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shows over 110,000 lux in all seasons. In addition, discharging time of the battery for different communication cycles in sensor nodes and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for different output power of solar cells are measured.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1.5W and 4.2W solar cell modules are applied for wireless sensor nodes and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are sucessfully operated without any interruption. Next, a Li-polymer battery is charged by using a rectenna with a dipole antenna and a capacitor when an RFID reader is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using a patch antenna to apply for the power source of wireless sensor nodes. Output voltage and current obtained from the rectenna are measured and the Li-polymer battery is charged from 2.8V to 4V for 70 hours when the RFID reader transmits power wirelessly at the distance of 1 cm away from the rectenna.

      • 축제의 속성 분석을 통한 한국공연예술축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이원미 상명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Korean festivals of 2018 are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e global promotion festival, the major festival, the best Festival, the excellent festival, the promising festival and the promotion festival. Selected as cultural tourism festivals, 85 local festivals have been support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known as a successful festival of local festivals, performing art festivals include Chuncheon Mime Festival, Milyang Arirang Festival, Eumseong Pumba Festival,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Jarasum International Jazz Festival, Anseong Baudeogi Festival, and Jeongseon Arirang Festival. This study aims to analyze 9 performing arts festivals mentioned above and divide them into some types of festivals. Based on these typ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specialize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and considers the situation facing up to each region. First, a study on performing arts festivals can be summarized like this; Beginning as ' Korean Mime Festival', Chuncheon Mime Festival was created for popularization and globalization of Mime art and got recognized as both the trigger of activating domestic performing arts and an international mime festival. Milyang Arirang Festival, based on an Arang story, is the one that begins with the form of Milyang Arang festival and involves Arang festival consisting of religious services of Arang, Arang-related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Eumseong Pumba Festival is characterized by the stage in which people go through mental catharsis through humor and satire by combining the itinerant vendor(Pumba) and saint the beggar ( the elderly named Gwidong Choi),aiming to raising the resentment of the Koreans to the dimension of love. Incheon Pentaport Rock Festival, renowned for the first Korean Rock Music Festival, has implication for succeeding to the Triport Rock Festival. Beginning as Wonju festival with the soldiers,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has been widely known as the longest street performance festival in the world.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with Byeolsingut Mask Dance centered, has been held for upgrading cultural competence of Andong and making use of the religion as tourism resource. Jarasum International Festival is the event which stages several excellent jazz performances in the unknown Jara island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Anseong Baudeogi Festival is referred to as the festival focusing on enhancing the culture of baudeogi and namsada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Jeongseon Arirang Festival is the festival intended to preserve and spread Arirang listed as No.1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do Province, Second, the study has revealed that the properties of the regional festivals are almost identical in terms of topic and subject shown in the festivals. The universal features of the festivals entail the properties of artistry, tourism, culture, economy, sociality, locality, deviation, playfulness, experience, geographical nature, activity amusement, event, uniqueness and distinction. According to 10 professionals' analysis, using Giorgi phenomenal methodology, artistry, tourism, culture, economy, sociality, locality, deviation, playfulness have been selected as the properties of the festival. Finally, four types of performing arts, culture, welfare and industry are drawn. 'Performing Art' type has the elements of artistry and culture.'Culture' type is characterized by sociality and locality. 'Welfare' type has playfulness & deviation, ‘Industry' type includes tourism and economy. Looking into the performing art festivals in the modern times, a number of contents and types of festivals look similar though they are not entirely the same in genre division. It is recommended that each festival aim to distinguish itself from one another by specializing in performing arts. keyword : Culture tourism festival, Performing arts festival, Local festival, Type of festival, Property of festival 2018년 한국의 축제는 글로벌육성축제, 대표축제, 최우수축제, 우수축제, 유망축제, 육성축제로 나뉘어져 총85개의 지역축제가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지원을 받게 되었다. 문화관광축제의 경우 지역축제 중에서도 성공한 축제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중 공연예술에 속하는 축제는 춘천마임축제, 밀양아리랑 축제, 음성품바축제, 인천펜타포트음악축제, 원주다이나믹댄싱카니발, 안동국제탈춤축제, 자라섬재즈페스티벌, 안성맞춤 남사당바우덕이축제, 정선아리랑축제 등 9개이다. 본 연구는 위 9개의 공연예술축제를 분석하여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보고자 한 것으로, 이 유형을 바탕으로 각 지역의 공연예술축제를 어떻게 특화시킬 것인지 점검해보고 각 지역의 여건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축제에 대한 연구이다. 춘천마임축제는 ‘한국마임 페스티벌’이라는 명칭으로 출발하여 마임예술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국내공연예술 활성화 및 국제적인 마임축제로도 명성을 얻고 있다. 밀양아리랑축제는 아랑이야기에 근거를 둔 축제로 밀양아랑제로 시작하여, 아랑제향과 아랑을 소재로 한 공연 및 전시가 주를 이루는 아랑축제로 이원화되어 진행되는 축제이다. 음성품바축제는 장돌뱅이의 품바와 거지성자인 최귀동 할아버지의 박애정신을 접목시켜 해학과 풍자로 정신적 카타르시스를 체험하고 민족의 한을 사랑으로 승화시키고자 만들어지게 된 축제이고, 인천펜타포트음악축제는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 록음악축제인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의 역사를 계승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축제이다. 원주다이내믹댄싱카니발은 ‘군과 함께하는 다이내믹 원주 페스티벌’로 시작한 축제로 그 후 ‘군과 함께하는 원주다이내믹댄싱카니발’로 바뀌었는데, 다른 축제에 비해 지상최대 최장의 거리공연형 축제이다. 안동국제탈춤축제는 하회 별신굿 탈놀이를 중심으로 안동이라는 지역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최된 축제며,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은 가평 내에 알려지지 않은 자라섬에서 이루어지는 축제로 재즈라는 음악 장르를 축제 주요 프로그램으로 하고 있다. 안성맞춤남사당바우덕이축제는 조선 최초의 여자 꼭두쇠였던 ‘바우덕이’와 ‘남사당’ 문화를 세계적인 대표문화로 발전시키고자 개최된 축제이고, 정선아리랑축제는 아리랑 중 유일하게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아리랑을 전승 보전하고, 널리 퍼트려 발전시키고자 개최된 축제이다. 둘째, 속성에 대한 연구로 지역축제에 대한 속성은 축제의 주제와 소재, 종류에 따라 혹은 축제의 어떤 특성을 강조하느냐 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비슷하였다. 축제의 보편적인 속성은 예술성, 관광성,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 지역성, 일탈성, 놀이성, 체험성, 지형 자연성, 활동 재미성, 이벤트성, 고유성, 차별성 등 다양하게 들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장에서 9개의 공연예술축제의 속성을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10명의 축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해 분석한 결과 예술성, 관광성,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 지역성, 일탈성, 놀이성 등을 축제의 속성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위의 속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4가지의 유형(공연예술형, 문화형, 복지형, 산업형)으로 분석되었다. ‘공연예술형’이라 함은 무대 위에서 실연을 목적으로 구성된 공연예술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축제로, 공연예술형’ 유형은 ‘예술성’과 ‘문화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특성 지울 수 있었다. ‘문화형’ 유형은 ‘사회성’과 ‘지역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특성 지웠으며, ‘복지형’은 ‘놀이성’과 ‘일탈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로, 그리고 ‘산업형’ 유형은 ‘관광성’과 ‘경제성’이라는 두 개의 요소를 주요 특성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현행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축제를 살펴보면 장르의 특성만 다를 뿐 콘텐츠의 내용이나 축제의 유형에서도 별다른 차별성이 없이 대동소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분류해 놓은 유형에 따라 그 유형에 따른 특징적인 속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축제가 특성화함으로써 축제의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문화관광축제, 공연예술축제, 지역축제, 축제유형, 축제속성

      •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무지개어린이집의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이원미 부경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ory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of Rainbow Child Care Cente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this study,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implemented to introduce a play-centered curriculum at Rainbow child care center, and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was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and to present a plan for implemen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and for educating teachers through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First, how was the process of runn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o introduce a play-centered curriculum at Rainbow child care center? Second, what has changed in the practice of the teachers' play-centered curriculum at Rainbow child care center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ird, what dose it mean for the Rainbow child care cente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the director of a child care center who determine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led this study with six teachers who implement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the study, Rainbow child care center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institution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members of the institution had shared awareness and emotional bon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nd the in-hous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operated in a total of 23 sessions from March 26 to November 6, 2020. Data including the transcripts of recording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s' reflection journals, transcripts of individual teachers' interview recordings, research journals, social media posts, and the childcare journals and weekly childcare journals of each cla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operat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had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building period when fellow teachers met each other for the first time, the period of creating values to find common values, the growth period to practice the common values, and the activation period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sharing practice. Sharing their individual and implicit practical knowledge with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s were able to grow by meeting other teachers with different practical principles and reconstructing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They were able to achieve such growth by reflecting on their own practice and trying to put their plans into practice.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ers,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t Rainbow child care center had changed to children’s understanding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becom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for children, and crea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with children. It transformed from questioning a voluntary play to respecting the value of an immersive play and from a play planned by the teacher to a play made by children themselves, to “children’s understanding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had changed from teacher-induced interest to interest expressed by children, from recording activity results to recording the play process, to “becom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for children.” The teachers had changed from play leaders to play facilitators,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one created by the teacher to by both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to “crea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with children.”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s had improved their ability to restructure and implement the play-centered curriculum at Rainbow child care center. Children’s play-centered curriculum restructured and implemented by the teachers means that the teachers and children became co-designers and practitioners of the curriculum. Third, by participat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s encouraged and cheered each other while finding the way. They reflected on themselves, communicated, shared, and practiced changes.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own teaching activities and to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as a teacher, increasing their pride in their professi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produced positive results of joint learning by having the teachers interact each other in a collaborative manner within the community based on initiative and spontaneity. This study aimed to help understand the process of operating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child care center, to give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o promot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daycare center. By presenting specific examples of teachers' concerns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and resolving these concer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eacher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preading the culture of community daycare centers where the institutions operat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implement a meaningful play-centered curriculum, suppor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원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융통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독창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U시에 소재하고 있는 D초병설유치원 만 4세 유아 15명를 실험집단으로, 인근의 D초병설유치원 만 4세 유아 15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1주일에 1회씩, 9주 동안 총 9회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활동을 실시하였고, 실험 전 후에 사전, 사후 검사를 함으로써 창의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김영채가 번역하여 사용한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 TTCT)로서 언어검사와 도형검사로 구분되며 본 연구에서는 언어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와,동화를 듣고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의 창의성 향상 점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동화를 듣고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보다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향상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들의 창의성 하위요인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추어 볼 때,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력 신장에 효과를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자료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활동방안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1-1.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fluency? 1-2.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flexibility? 1-3. What ar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origina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of under age of 4 attend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U city,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15 young children attending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D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15 young children attending at a kindergarten near to D elementary school.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story making activities 1 time 1 week, which were 9 times for 9 weeks, and pretest and posttest to measure changes of creativity improvement.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y was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out of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TTCT)’ which was classified into ‘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and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translated and used by Kim, Yung Che. Using SPSS Win 17.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an ANCOV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reativity improvement sco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story making using picture materials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by fairy tales listening and retelling activities. This result means that story making activities a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Second, the improvement score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s sub-factors of the experiment group conducted by story mak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ducted by fairy tales listening and retelling activities. Therefore,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s are effective on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mong sub-factors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tory making activities using picture material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Al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information of various and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by providing concrete activity plan of using picture materials in educational settings.

      • J.C. 바흐의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 연구

        이원미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한 크리스찬 바흐 (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는 요한 세바스 찬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막내아들로 여러 형제 가 운데 연주가로서, 작곡가로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754년에 이탈리아로 가 서 공부하고 1762년에는 런던으로 가서 그가 세상을 떠난 1782년까지 그곳 에서 활동했다. J.C. 바흐를 일명 ‘런던 바흐’라고도 부르는 것은 그가 런던에 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기 때문이다. 그는 1764년 이후로 볼프강 아마데우 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azrt, 1756-1791)와 우호적으로 교류했 으며 모차르트에게 작곡가로서 많은 영향을 미쳤다. J.C. 바흐가 기여했던 시기는 18세기 중엽 전고전 시대로 바로크에서 성숙 기 고전음악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였다. 이 당시 음악은 가볍고 우아하며 재치가 있는 갈랑 양식이 특징을 보이는데, 그는 갈랑 양식의 대가로 그의 음 악은 밝고 경쾌하며 쉼 없이 변화하는 아름다운 선율이 나타난다. J.C. 바흐는 건반악기를 위하여 30곡에 가까운 독주곡을 작곡하였는데 이들 가운데 특히 Op. 5의 여섯 곡과 Op. 17의 여섯 곡이 중요하다. 그는 건반악 기 2중주를 위한 작품은 소수의 곡만을 남긴 것에 반하여 건반악기를 사용하 는 실내악곡은 50곡 가량을 남겼다. 건반악기가 포함된 그의 모든 작품들은 1768년 이후로는 하프시코드나 피아노에 모두 적합하다고 홍보되었다. J.C. 바흐는 사상적으로는 고전주의에 가까우나 형식면에서는 과거에서 완 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그의 건반 소나타에서도 잘 나타난다. 단 적인 예로, 1766년에 출판된 Op.5 소나타와 그로부터 13년 후인 1779년에 출판된 Op.17 소나타를 비교해 볼 때 악장들은 형식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바로크 기악곡에서 많이 사용된 순환2부형식(rounded binary form) 또는 2부형식의 잔재 속에서 제 1주제와 제 2주제가 대부분 I-V의 관계를 형 성한다. 또한 발전부-재현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 제 2부분에서 발전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V를 강조하며 재현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I로 돌아가고, 이러 한 2부 형식에서 제 1부와 제 2부는 각각 반복된다. 그의 소나타는 발전부에 큰 비중을 두지 않지만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에 상당히 근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J.C. 바흐의 건반음악에서 선율은 3도와 6도의 중복이 많고, 도약진행보다 는 순차진행을 하고 있으며, 전위되지 않은 기본화음을 사용하고, 단순한 3화 음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리듬도 단순한 편으로 대부분이 16분음표 나 셋잇단음표를 사용하였으나 때때로 부점리듬 등 다양한 리듬을 시도하였 다. 건반악기 주법에서는 양손의 스케일과 아르페지오, 알베르티 베이스와 펼 침화음의 사용, 트릴, 돈꾸밈음 등의 다양한 장식음 사용이 두드러진다.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 본 Op.17은 J.C. 바흐의 건반음악 전반에 걸 친 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대변하고 있다. Johann Christian Bach(1735-1782), the youngest son of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was the most talented composer among his brothers. He studied in Italy from 1754, then went to London in 1762 and spent the rest of his life in London until he died in 1782. It was his active career in London that gave him the name "London Bach." Bach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zart, whom he had influence on as a composer. J. C. Bach lived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a transitional period from Baroque to mature Classic, namely pre-classic period. The music of this era was a light, elegant, and witty galant style, and Bach was a master of the style. His music was full of beautiful melody which is bright, cheerful, and constantly changing. Among Bach's 20 some keyboard solos, Op.5(T338) and Op.17(T345) are the most important works showing various styles. Bach composed a few keyboard duets and about 50 chamber works. Since the early 1768, Bach mentioned that all of his works for keyboard were suitable for both harpsichord and piano. As to the conception, J. C. Bach is closer to the classicism. However, as to the form, he is attached to the past and that is shown in his keyboard sonatas. In the 1st and 2nd movements, no great innovation is found in the forms; the first and second themes emphasize a tonic-dominant relationship, development starts with dominant key, recapitulation returns to tonic, and each of the two parts(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have repeat mark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a clear development section in Bach's sonatas, his sonatas are very close to the sonata allegro form of classical period. In his keyboard works, Bach uses double melodies in parallel thirds or sixths, prefers gradually ascending or descending lines rather than leaps, uses root positions (not many inversion) in simple triads. The rhythm and structure are also extremely simple. Sixteenth notes or triplets are common, but various rhythms as dotted notes are also present. Bach uses many keyboard techniques, such as scale and arpeggio patterns in both hands, Alberti bass, broken chords, and ornamental notes using trills and turns. In this thesis, the type and character of J. C. Bach's keyboard works, especially keyboard sonatas were examined, and through analysing Sonata Op.17, it was studied that J. C. Bach's keyboard sonatas were quite close to the keyboard sonatas of Classical period. J. C. Bach is an important pre-classic composer and a master of galant style. However, some of his works are not yet proven to be his original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year of many works are still unknown. Therefore, further studies about this issues are very interesting also.

      • 운동하는 몸, 굶는 몸: 여성의 몸매 만들기를 위한 운동 선택과 지속의 장벽

        이원미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여성의 몸매 만들기를 위한 운동 선택과 지속의 과정에서 어떠한 장벽을 경험하며, 이러한 장벽은 사회구조(자본)에 의해 기인하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30대 여성 중 몸매 만들기를 위해 6개월 이상 운동에 참여한 여성 4명, 다이어트 식품을 섭취하는 여성 4명을 선정하였다. 비참여관찰, 심층면담, 문헌자료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Rennie의 해석적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한 후 Bourdieu의 개념을 활용하여 해석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몸매 만들기를 위한 운동 선택의 장벽은 경험적 장벽, 환경적 장벽, 인식적 장벽으로 나타났다. 경험적 장벽은 다이어트 경험의 성공과 실패, 운동 경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환경적 장벽은 사회문화적 여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적 장벽은 운동에 대한 인식적 괴리, 몸매관리 인식, 이상적인 몸매의 내면화 등으로 인해 나타났다. 이러한 세 가지 측면의 장벽 중 경험적 장벽과 환경적 장벽은 인식적 장벽을 견고하게 만드는 것으로 운동에 대한 경험 부족과 운동에 대한 사회문화여건은 몸매 만들기의 방법으로서 운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몸매 만들기를 위한 운동 지속의 장벽은 경제적 장벽, 환경적 장벽, 운동내면화 장벽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장벽은 운동비용에 대한 인식으로 절대적 기준의 경제력의 부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에 지출되는 비용을 어느 정도 부담을 느끼는지와 관련된 상대적인 장벽이다. 즉, 많은 비용이 지출되어도 몸매 만들기에서 운동에 대한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경우 지출비용을 적게 인식하게 된다. 환경적 장벽은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주변인 및 환경, 생활패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났다. 운동내면화 장벽은 운동 방법, 지도자, 운동 적응 과정과 같이 운동을 지속하면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변화에 기인한다. 셋째, 여성의 몸매 만들기의 장(field)에서 운동 선택 장벽과 운동 지속 장벽은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의 양과 비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운동 선택 장벽의 세 가지 장벽 중 경험적 장벽은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적은 경우, 환경적 장벽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적은 경우 운동 선택의 장벽을 높게 인식한다. 즉, 경험적 장벽과 환경적 장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식적 장벽을 견고하게 하며, 이는 운동에 대한 부정적인 아비투스를 형성하게 된다. 운동 지속 장벽의 세 가지 장벽 중 경제적 장벽은 운동비용에 부담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 경제자본이 적은 경우, 환경적 장벽은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적은 경우 운동 지속의 장벽을 높게 인식한다. 즉, 경제적 장벽과 환경적 장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운동내면화 장벽을 높게 인식하게 되며, 운동에 대한 부정적인 아비투스를 형성하게 된다.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 현황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원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sources for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in child education institute by examining and analysing situations of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The focus of the study is three-folds: 1. How are the situations of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in child education institute? 2. What are the problems teachers perceive in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3. What are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teachers perceive in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For this study, 190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n Seoul and Anyang participated for survey research to examine the situations of child education institute. And the survey results were tested the diffreences between groups acco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 verified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situations of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1)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bout the evaluation content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prgram that are privately privately funded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privately funded teachers were higher than publicly funded teachers in evaluation contents and methods. 2)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bout the evaluation table and domains according to the program kind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were better use in free choice activity evaluation, the basic life habits, portfolio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On the other hands,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better use anecdotal records, intreview with parents, the observation method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in evaluation domains day-care center teachers perceived more important heath in daily lif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more important social in daily life , inquiry in daily life , language in daily life. 3)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bout the description of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career leve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High career teachers reflected learning goals and objectives, learners traits in evaluation activities better than low career teachers. 4)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bout the evaluation style and domain results according to the child age leve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 evaluation style, early childhood teachers utilized anecdotal records more usefully and kindergarten teachers utilized free activity evaluation, portfolio more usefully. Second, there were examined that the problems in practicing the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were too high children ratio per teacher and too weighted teacher job. Third, there were examined that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practicing the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were an de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per classroom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about childhood evaluation. The fundamental concern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tuations and problem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which make it possible to activate the child developmental evaluation. The conclusions based up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eed to develop the teacher professionalism in children evaluation by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he evaluation guide book and enlarging the opportunity of teacher training. Second, there are need to obtain the various evaluation informations by establishing and practicing the annual educational activity plan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발달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의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의 현황은 어떠한가? 2.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발달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3.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발달평가의 개선방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안양시에 위치한 공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는 배경변인간의 상관관계 규명하기 위해 x2검증을 하였고, 집단간 인식의 정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발달평가 현황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른 평가내용과 방법 및 활용에의 차이가 있었다. 사립시설이 국·공립시설보다 다양한 평가양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유아발달평가에 대해 사전에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의 시기도 유아별로 적절하게 안배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기관유형에 따라 유아발달평가의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는 평가의 양식과 교사가 평가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평가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 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 평가표, 기본생활습관표등의 체크리스트 양식과 포트폴리오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반면, 어린이집 교사는 일화기록, 교사,부모 면담자료, 유아관찰일지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는 건강생활영역을 유치원교사는 사회,탐구,언어생활영역을 평가시 중요한 영역이라고 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평가 결과를 기술하는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발달평가가 시행된 학습의 목적이나 목표를 반영하고 평가를 통해 유아의 기질이나 성향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담당학급연령에 따라 평가양식과 평가영역에서 유아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영아의 경우, 일화기록을 유아, 유치반의 경우는 자유선택활동 평가표와 포트폴리오를 많이 활용하고 영아의 경우 건강생활영역을 평가시 중요한 영역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만4.5세는 탐구, 언어생활영역이 중요한 평가 영역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행 유아발달평가 시행상의 문제점은 높은 교사대 아동 비율과 교사의 과다한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유아발달평가 시행상 개선해야 할 점은 학급당 원아수 감소와 교사들의 유아평가에 대한 연수교육의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발달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조사·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발달평가의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일차적으로 높은 교사대 아동의 비율을 개선하는 것이 유아발달평가를 활성화하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선안이라고 할 수 있으나 쉽게 개선될 수 없는 사항이라면, 다음과 같은 점들이 우선적으로 시행 가능한 개선 방안이 될 수 있다. 첫째, 유아발달평가의 진행방법과 활용에 관한 지침서를 개발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보급하고, 평가에 관한 교사연수의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부모면담 위주로만 평가 정보나 자료를 수집하기보다는 연간교육계획을 평가의 시기, 방법, 활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실시함으로써 유아발달평가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려는 의지와 자세가 필요하다할 것이다.

      • 무용극을 활용한 청소년기 무용교육 지도방안 : 정동극장 <미소-춘향연가>를 중심으로

        이원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용교육은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확립시켜줄 수 있는 예술교과목으로, 학생들의 조화로운 인격완성이 교육의 목표라면 무용교육이야말로 지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조화로운 인간형성을 위한 최적의 교육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무용교육은 춤을 배우고 익히는 것 중심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방법도 필요하지만 학생들이 춤을 익히는 자체가 어렵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음으로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토리가 있는 무용극을 활용한 무용교육 지도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작무용극인 정동극장의 <미소-춘향연가>를 바탕으로 무용극을 활용한 무용교육 지도방안을 제시해 본 것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무용극의 개념과 무용극의 요소에 대해 기술하고, 정동극장의 창작무용극인 <미소-춘향연가>의 스토리와 플롯, 캐릭터, 공간 등을 분석해 본 뒤 이를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을 구성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동극장 <미소-춘향연가>의 스토리는 춘향과 몽룡의 ‘사랑’, ‘이별’, ‘수난’, 재회로 나누어지며, 플롯으로는 그네, 천, 집안의 소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캐릭터는 지조 있는 여성의 모습을 지닌 춘향과, 의협심이 강하고 책임감이 있는 몽룡, 보편적인 탐관오리의 모습인 학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간은 크게 마을 마당, 춘향의 집, 포도청 3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지도안은 정동극장의 <미소-춘향연가>를 활용하여 목표설정, 활동내용, 활동단계로 나누어 작성해 보았다. 본 지도안을 적용한 수업에는 무용극에 나타나는 스토리와 플롯, 캐릭터, 공간 등에 대해 이해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모둠별 무용극을 만들어 보는 과정과 평가로 구성하였다. 본 수업지도안은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춘향전>이라는 친근한 작품의 무용창작극인 <미소-춘향연가>의 감상을 통하여 무용극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와 함께 예술창조의 노력과 예술에 반응하는 경험 등을 이해하고, 인문학적 비판의식의 고양 및 미적 체험 등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Dance education is an art course that can establish healthy body and mind for students in adolescence. If the aim of education is a harmonized completion of students’ personality, danc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is an optimal education of shaping a harmonized human being intellectually, mentally and socially. However, the existing dance education has only focused on learning and practicing dance. This kind of education is necessary, but a more necessary teaching plan for dance education is dance drama-used one that has an easily accessible story, for many students think dance is difficult to lear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esented a dance drama-used teaching plan of dance education on the basis of Chongdong Theater’s creative dance drama, <MISO-Chunhyang Love Poem>. For this, the conception and element of dance drama were describ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Chongdong Theater’s creative dance drama, <MISO-Chunhyang Love Poem>, was examined focusing on its story, plot, characters and space, thus composing of a teaching plan of dance educa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ory of Chongdong Theater’s <MISO-Chunhyang Love Poem> is classified into ‘love’, ‘separation’, ‘ordeal’, and ‘reunion.’ Its plot consists of a swing, cloths and house properties. As for characters, there are Chunhyang who has a typical feminine look of upholding fidelity, Mongryong who is full of chivalry and has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Hakdo who has the look of a common corrupt official. Space is divided into three: a village yard, Chunhyang’s house, and the police bureau. A teaching plan,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above study findings, consisted of such three areas as the establishment of aims, the contents of activity, and the steps of activity, based on Chongdong Theater’s <MISO-Chunhyang Love Poem>. The class in which this study’s teaching plan was applied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story, plot, character and space of dance drama and consisted of the process of creating and assessing a group dance drama. This study’s teaching plan seem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a dance drama, the endeavor for the creation of art, and the experience of responding to art, cultivate humanities-oriented critical mind, and have aesthetical experience, by means of making them appreciate <MISO-Chunhyang Love Poem>, a creative dance drama that is based on a well-known work, <Chunhyangj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