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수강과 관절면을 침범한 족무지 건막 거대 세포종 : 증례보고

        이호승,성노현,이신노,허윤무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忠北醫大學術誌 Vol.10 No.2

        16세 남자 환자가 우측 족무지 동통과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상 제1 족지 근위지골 골간에 낭포성 병변이 관찰되어 낭포성 골종양 의심하에 소파술 및 골이식술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상 단 족무지 굴근에서 기원한 연한 쵸콜렛 색깔의 소엽성 연부종양이 제1 족지 근위지골 피질골을 침식하여 골수강을 통해 관절면을 천공해 있었고, 조직 소견상 건막 거대 세포종에 일치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저자들은 제1 족지 근위지골을 침식하여 원위 관절면을 천공한 공격적 양태를 보이는, 족무지 굴근에서 기원한 건막 거대 세포종을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16-year-old man admitted with painful swelling of right big toe. plain radiographic examination demonstrated a cystic bony lesion at the metaphysis of proximal phalangeal bone toe. On operative findings, The medullary cavity was filled with multilobulated soft tissue mass and distal articular surface of the proximal phalangeal bone perforated by mass invasion. The mass was orginated from the sheath of the flexor hallucis brevis tendon. After curettage the mass, cancellous bone graft was done. Histologically, it was compatible with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We report a case of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that invaded medullary cavity and articular surface of phalangeal bone

      • KCI등재

        후벽 골절을 포함한 비구골절의 치료 결과

        김용민,박경진,원중희,정경일,이신노 대한골절학회 1999 대한골절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treatment of posterior wall fracture of acetabulum, which were treated at our hospital from September 1994 to December 1996. Among 24 posterior wall fractures, 15 cases were confirmed as isolated posterior wall fractures and nine fractrues were associated with other acetabular fracture(4 transverse fracture, 3 both column fracture, and 2 posterior column fracture). Clinical follow-up was performed for a minimum of 2 years. The posterior wall fractu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fracture size(type 1:$lt;25%, type 2: 25-50%, type3:50-75%, type4:$gt;75%) and comminution (A: without comminution, B:with comminution, C: impacted) on standard roentgenogram and CT scan. Fourteen among 24 posterior wall fractures were followed for a minimum of 2 years, and the mean Harris hip score was 91.2 Dislocation of hip occurred in 12 hips(50%).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of Harris hip score in regard to fracture size and comminution of posterior wall. Fractures with posterior hip dislocation. Anatomical reduction showed better clinical result than imperfect and poor reductions.

      • 만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반흔 형성

        최의성,원중희,김용민,서중배,이호승,이신노,Choi Eui-Seong,Won Choong-Hee,Kim Yong-Min,Seo Joong-Bae,Lee Ho-Seung,Lee Sin-Ro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1

        목적 : 관절경 검사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만성 파열에서 파열된 전방 십자 인대가 슬관절 내에서 반흔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전방 전위 감소 여부, 자기 공명 영상 및 동반손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2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의 만성 파열이 있었던 19예를 대상으로, 관절 계측기의 환측과 건측의 도수 전방 최대 전위차, 자기 공명 영상 및 동반손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만성 파열이 있었던 19예 중 7예$(37\%)$의 KT-2000관절계측기 검사 중 환측과 건측의 도수 최대 전방 전위차는 평균 $2.78{\pm}2.41mm$$(0\~6.5)$로, 반흔 형성이 없었던 12예의 평균 $5.75{\pm}2.52mm(3\~10)$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반월상 연골의 손상은 반흔을 형성하고 있던 7예 중 2예$(28\%)$, 반흔 형성이 없었던 12예 중 8예$(67\%)$에서 동반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은 파열된 전방 십자 인대의 원위 조각이 비교적 직선주행으로 대퇴 기시부를 향하는 경우가5예, 연속성을 유지하며 국소적인 각형성이 있는 경우가 2예였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만성 손상의 관절계측기 검사에서 유의한 전방 전위가 없고, 자기 공명 영상에서 파열된 원위 조각이 비교적 직선 주행으로 대퇴 기시부를 향하거나 연속성을 유지하며 국소적인 각 형성을 이루는 소견들을 보이는 예에서는 파열된 전방 십자 인대의 반흔 형성을 고려해야될 것으로 사료되며, 반흔을 형성하고 있는 예에서 반월상 연골의 손상 빈도가 낮은 소견은 전방 십자 인대 완전 파열의 자연경과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Purpose : To analyze changes of the anterior translation, MRI findings and associated injuries at scarring of the torn ACL in the chronic ACL rupture. Materials & Method : From Dec. 1996 to May 2000, 1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the chronic ACL rupture were studied. We analyzed KT-2000 side to side difference of maximal manual anterior displacement(MMAD), MRI findings and associated injuries. Results :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MMAD between the 7 cases$(37\%)$ with scar formation$(2.78{\pm}2.41mm)$ and the 12 cases without scarring$(5.75{\pm}2.52mm)$. The chronic ACL rupture without scarring had more meniscal injuries$(67\%)$ than with scarring$(28\%)$. MRI showed that relatively straight bands toward expected insertion site with single large fragment(5 cases) and continuous band with focal angulation(2 cases). Conclusion : If relatively straight bands toward expected insertion site with single large fragment or continuous band with focal angulation on MR imaging is showed in the patient without significant anterior translation at arthrometer, the possibility of the scar formation of the torn ACL should be considered. We think that the chronic ACL rupture with scarring had less meniscal injuries than without scarring will giv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natural history of ACL inj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