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시 전동킥보드 정책 개선 방향 도출

        이설영,조혜림,박순용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8 No.-

        본 연구는 서울시 전동킥보드 정책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킥보드 운영ㆍ이용 현황 및 불법주정차 전동킥보드 견인제도 시행에 따라 시공간적 견인 패턴을 파악하였다. 서울시 불법주정차 공유킥보드 견인제도 시행 후 ’22.07까지 견인 킥보드 건수는 총 60,791대이며, 이에 따른 견인 비용은 약 24억 원으로 확인되었다. 공유킥보드 업체의 견인 피해 발생을 개선하기 위해 견인 유예시간을 부여하는 등 제도를 개선였으나, 월평균 견인료 및 보관료는 시행 전보다 30% 증가한 수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전동킥보드 관련 환경 및 정책에 대한 SWOT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도출결과를 통해 정책 개선의 기본방향을 설계하였다. 견인제도의 강화보다는 공공-민간이 상생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검토하였으며, 지자체 단위에서 시행 가능한 공공 주차공간 설치 위치 선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 자율협력주행 환경에서 군집주행에 따른 효과분석

        이설영,오철,최새로나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7 No.-

        자율주행자동차가 차량 내 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V2X 통신을 이용한 협력주행 기술 역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기술이 발달이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제어에 적용된 군집주행기술은 교통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율차의 군집주행은 도로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교통류 운영효율성, 안전성, 환경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집주행 전용차로 운영시 군집주행 파라미터(군집내간격, 차량군크기)와 교통서비스 수준에 따른 운영효율성 측면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통행시간, 주행속도, 통과교통량을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군집주행 전용차로 도입의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서비스 수준에 따른 적정 군집주행 파라미터를 선정하여 운영효율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교통운영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군집주행 환경에서 비자율차의 차로변경행태 분석

        이설영,오철,LEE, Seol Young,OH, Cheol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4

        자율주행기술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율차와 비자율차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특히 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유용한 서비스 중의 하나인 군집주행은 주변의 비자율 차량의 주행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집주행 환경에서 비자율차의 차로변경행태 분석하는 것이며, 3단계의 실험 및 조사를 수행하였다. 1단계 영상기반 인지특성 분석을 통해 군집주행 환경에서 어떠한 반응행태를 보일 것인지를 조사하였으며, 2단계 주행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비자율차의 차로변경행태를 분석하였다. 차로변경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차로변경시간과 교통류의 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 가속소음을 이용하였으며, 자율차의 시스템 보급률(Market Penetration Rate, MPR)과 피실험자 인적요소에 따른 비자율차의 주행행태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NASA-TLX(NASA Task Load Index)를 통해 비자율차 운전자의 작업부하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군집차량군 주변의 비자율차 운전자는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끼며, MPR이 증가할수록 차로변경시간이 길어지고 30-40대 운전자 또는 여성 운전자의 경우 안전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자율차와 비자율차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보다 현실성 높은 교통시뮬레이션 실험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자율협력주행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교통운영관리전략 수립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tomated vehicles and manual vehicles is very important in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automated cooperative driving environments. In particular, the automated vehicle platooning can affect the driving behavior of adjacent manual veh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e change behavior of the manual vehicles in automated vehicle platonning environment and to conduct the experiment and questionnaire surveys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a video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ive behaviors of manual vehicles were investigated. In second stage, the driving simulat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ane change behaviors of in automated vehicle platonning environments. To analyze the lane change behavior of the manual vehicles, lane change durations and acceleration noise, which are indicators of traffic flow stability, were used. The driving behavior of manual vehicles were compared across different market penetration rates (MPR) of automated vehicles and human factors. Lastly, NASA-TLX (NASA Task Load Index) was used to evaluate the workload of the manual vehicle driv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manual vehicle drivers had psychological burdens while driving in automated vehicle platonning environments. Lane change durations were longer when the MPR of the automated vehicles increased, and acceleration noise were increased in the case of 30-40 years old or female drive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for more realistic traffic simulations reflec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tomated vehicles and manual vehicles. It is also expected to effectivel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valuable transportation management strategy in automated vehicle environments.

      • 서울시 전동킥보드 견인 현황 및 특성 분석

        이설영,조혜림,박순용,이우섭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7 No.-

        단거리 이동을 위한 편리한 수단으로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하는 수요가 최근 5년 사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1년 6월 기준 서울지역 내 공유 전동킥보드 운영대수는 약 5만 5천여 대로 뉴욕보다 18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공유 전동킥보드 킥보드 확대에 따라 이용자의 이동성은 증대되었으나, 무분별한 주차 문제로 보행환경은 저하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21년 7월 전국 최초로 불법 주정차 전동킥보드 견인제도를 시행하였으며, 즉시 견인구역을 명확화, 견인 시간 유예 등 계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전동킥보드 주정차 위반 신고 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고 및 견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간적 견인 유형별 패턴 분석을 통하여 견인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고속도로 유입연결로 구간 화물차 군집운영전략 수립 방안 연구

        이설영,오철,LEE, Seolyoung,OH, Cheol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36 No.2

        차량의 자율주행기술과 차량간 무선통신을 통한 정보공유 군집주행 서비스가 실현되고 있다. 군집주행이란 여러대의 차량이 최소한의 안전거리만 유지한 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군집주행은 도로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연료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교통류 운영효율성, 안전성, 환경성 문제를 해결할 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군집주행차량과 주변의 일반차량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가능할 때 교통류의 성능은 최적화 될 수 있다. 특히 교통운영 관리자는 화물차가 군집주행을 할 경우 유입연결로에서 비자율차가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군집간간격과 군집크기와 같은 군집주행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안전성과 운영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유입연결로 구간에서 교통류 퍼포먼스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화물차 군집 운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주행속도로 설정하였으며,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비자율차의 차량추종 관계 대비 상충상황에 노출되는 빈도를 나타내는 비자율차 상충률의 개념을 정의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최적 군집운영 조건을 판단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군집간간격이 50m이고 군집크기가 6대인 운영시나리오가 최적의 성능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운영전략 수립 방안에 따라 운영효율성과 안전성을 고려한 교통상황별 적정 군집주행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군집운영 전략을 지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ehicle platooning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utomated driving technology has become realized. Platooning is a technique in which several vehicles travel at regular intervals while maintaining a minimum safety distance. Truck platooning is of keen interest because it contributes to preventing truck crashes and reducing vehicle emissions,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ruck flow capacit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teractions between vehicle platoons and adjacent manually-driven vehicles (MV) significantly give an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raffic flow. In particular, when vehicles entering from on-ramp attempt to merge into the mainstream of freeway, proper interactions by adjusting platoon size and inter-platoon spacing are required to maximize traffic performance.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operational strategies for truck platoonings on freeway on-ramp areas. Average speed and conflict rate were used as measure of effectiveness (MOE) to evaluate operational efficiency and safety.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experiments using VISSIM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platooning scenarios. A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electing better platoon operations to satisfy operations and safety requirements was proposed. It was revealed that a platoon operating scenario with 50m inter-platoon spacing and the platoon consisting of 6 vehicles outperformed other scenarios. The proposed methodology would effectively support the realization of novel traffic management concepts in the era of automated driving environments.

      • 차량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이설영,오철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오늘날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발과 발전에 따라 자율주행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율협력주행환경에서 차량의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자율협력주행환경에서 자율차시스템 보급률(MPR, Market Penetration Rate)이 하루만에 100%가 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시간에 흐름에 따라 MPR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자율차와 비자율차가 혼재되어있는 상황에서 자율차의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율주행차량의 비율과 서비스수준(LOS, Level of Service)에 따라 군집제어 파라미터를 조정하였으며, 군집제어 파라미터로는 차량군크기(Platoon Size), 군집내간격(Intra-platooning spacing), 군집간 간격(Inter-platooning spacing)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도구로는 미시교통류시뮬레이션인 VISSIM을 이용하였으며, VISSIM COM Interface를 이용하여 군집주행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자율협력주행환경에서 교통운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