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BOOST를 이용한 V형 박용 디젤기관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이균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performance for V-type marine diesel engine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BOOST which is one of a commercial packages. In order to carry out the flow analysis of the intake-exhaust system in V-type marine diesel engine, both practical model reflecting the actual appearance of exhaust receiver and modified practical model that was designed to save the calculation time. In addition both simple model and full model were applied to the turbocharger modeling. Though the practical model and modified practical model show similar results, the modified practical model seems the better one considering the calculation time and the user's convenience. In case of the turbocharger modeling, full model shows the better prediction.

      • 팽이 및 만가닥버섯의 전처리 가공공정 선정 및 β-glucan의 추출

        李均 아주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팽이 및 만가닥버섯의 가공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진 본 연구는 가공 전처리 공정으로서의 blanching 조건과 건조방법 및 건조조건을 확립하였다. 먼저 blanching 조건의 확립을 위해, 두 버섯 peroxidase의 열적 특성 결과를 기초 자료로 삼았다. 효소 활성 측정은 Gorin과 Heidema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고, 생버섯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을 열처리했을 경우 팽이버섯은 70℃, 3분, 만가닥버섯의 경우 80℃, 1분 이상의 온도, 시간 조건에서 peroxidase의 불활성이 유발됨을 알았다. 이 때 팽이 및 만가닥버섯 peroxidase의 활성화에너지 (E_α)는 59.58 kcal/mol, 43.05 kcal/mol이며 z(Thermal resistance constant)값은 9.0℃, 12.4℃였다. 반면 blanching에 의한 두 버섯 peroxidase의 활성화에너지(E_α)와 z값은 각각 7.97 kcal/mol, 6.55 kcal/mol 와 59.8℃, 74.1℃로 나타났다. 이는 peroxidase 자체의 열적 특성과 blanching에 의해 유발된 peroxidase의 열적 특성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blanching시에는 버섯자체와 버섯내의 성분들에 의해 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되어 z값이 높아지는 결과를 유발, 활성화에너지(E_α)가 감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Blanching한 팽이(Flammulina velutipes) 및 만가닥버섯(Lyophyllum ulmarium)을 다양한 건조방법으로 건조할 때 유발되는 갈변도 및 재수화의 변화로 최적 건조방법 및 건조조건을 선정하였다. 두 버섯의 수분함량은 90%정도이며 40, 50, 60, 70℃에서 열풍건조 결과 팽이버섯은 건조 1시간 내외에서 만가닥버섯은 건조 4시간 내외에서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였다. 열풍, 진공,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된 두 버섯의 갈변도는 대체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동결건조시 갈변도는 다른 건조에 비해 30∼50%까지 감소하였다. 한편 재수화는 건조온도 및 갈변도와 상관성을 찾기는 힘들었다. 팽이 및 만가닥버섯의 β-glucan 추출 공정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해 중심 합성설험계획법(Central composite design)을 수립, 반응 표면 분석(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통해 추출 경향을 알아보았다. 시료:용매비(X₁)는 1:20, 1:35, 1:50을 사용하였고, 추출온도(X₂)는 25, 40, 55℃로 추출시간(X₃)은 2, 10, 12 hr로 사용하였다. 이때 온도는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block하였고 실험은 random하게 3회 반복하였다. 반응 표면 분석을 실시한 결과 β-glucan 추출시 요인변수간 상관 계수는; 팽이버섯의 경우 0.90, 만가닥버섯은 0.87로 나타났다. RSREG(response surface analysis by least-square regression) 처리 결과 팽이버섯 β-glucan 추출에 대한 최적점은 시료:용매비 1:32 추출온도 41.96℃, 추출시간 9.21시간으로 만가닥버섯 β-glucan은 용매비 1:34, 추출온도 50.46℃, 추출시간 6.43시간으로 판명되었다. 반응 표면 분석에 의한 β-glucan 추출 경향은 추출 시간의 증가에 따라 추출 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팽이버섯 β-glucan 추출 수율(%, w/w)에 대한 회귀식은 Y=-0.022055+0.000644X₁+0.001311X₂+0.007584X₃-2.2222×10^-5 X²₁+2.2222×10^-5X₁X₂-2.2222×10^-5 X²₂-1.6949×10^-5X₁X₃-1.6949×10^-5 X₂X₃-3.44×10^-4 X²₃로 표현되었다. 만가닥버섯 β-glucan의 추출에 대한 회귀식은 Y=-0.081684+0.000535X₁+0.003871X₂+0.012883X₃-2.2222×10^-5 X²₁+1.1111×10^-5X₁X₂-3.3333×10^-5 X²₂+6.7797×10^-5X₁X₃-1.38×10^-4 X₂X₃-6.41×10^-4 X²₃로 나타났다. 두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β-glucan의 분자량과 점도를 알아본 결과 팽이버섯 β-glucan의 분자량은 5.0×10^5와 1.2×10^5 내외로 나타났으며 만가닥버섯 β -glucan의 분자량은 5.0×10^5와 3.0×10^5 내외가 주된 분자량임을 알 수 있었다. 팽이버섯의 intrinsic viscosity는 0.925 ㎥/kg으로 나타났으며 만가닥버섯은 0.255㎥/kg으로 나타났다. 1 kg/㎥의 stock solution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는 감소하였으며 산성과 염기성일 때 점도가 증가하였고 중성의 pH일때는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값이 0.04로 나타난 팽이버섯이 만가닥버섯(0.024)보다 염농도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단단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Peroxidase was used as a standard enzyme to determine optimum blanching conditions of Flarnmulirna uelutipes and Lyophyllum ulrnarium. Crude peroxidase extracted from the raw mushrooms had its maximum activity at 10-151C and pH 5.5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using substrates of H202 and p-Phenylendiamine. Thermal inactivation of the crude peroxidase followed the first order kinetics. The activation energy and z value of the crude peroxidase driven from Flammulina uelutipes were found to be 59.58 kcal/mol and 9.01C while corresponding values were 43.05 kcal/mol and 12.41C for Lyophyllum ulrnarium. On the basis of the thermal kinetics parameters obtained, the optimum blanching conditions for Flarrunulina velutipes and Lyophyllum uhriarium were determined to be 1 min at 70C and 5 min at 80C, respectively. Thermal kinetics parameters for peroxidase extracted from heat-treated mushrooms were also evaluated activation energy of 7.97 kcal/mol, 6.55 kcal/mol and z value of 59.8 C, 74.10 for Flammulirux uelutipes and Lyophyllurn ulmarium. Flaunmulina uelutipes and Lyophyllum ulmarzum are extremely perishable and have a relatively short shelf life. To establish optimum drying methods for mushrooms, Flavrunulina uelutipes and Lyophyllum ulmarium were dried by hot air, vacuum and freeze drying method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ried products were measured and subsequently blanching was done. Except Lyophyllum ulmarium dried by freeze drying, the degree of browning increased with drying temperature. The freeze drying led to the best product quality in terms of rehydration ratio and moisture gain. Thus the quality of mushrooms dried by freeze drying was found to be superior to other drying methods. Extrac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for R -glucan extracted from Flammulina velutipes and Lyophyllum ulmarium. The parameters considered in the optimezation included the ratio of dried mushrooms to distilled water(Xl), extraction temperature(X2) and extraction time(X3). A model equation obtained from the RSM could be used to predict yield of 3 -glucan from Flammulina velutipes as follows: Y=-0.022055+0.000644X1+0.001311X2+0.007584X3-2.2222 x 10 5X12+2.2222 x 10 SXlX2 -2.2222 x 10$X22-1.6949 x 10-SXIX3-1.6949 x 10 SX2X3-3.44 x 10-4X32. A corresponding equation for Lyophyllum ulmarium was also developed as follows: Y=-0.081684+0.000535X1+0.003871X2+0.012883X3-2.2222 x 105X12+1.1111 x 10-5-X IX2-3 .3333 x 10-$X22+6.7797 x 10'X,X3-1.38 x 10--4X2X3-6.41 x 10-4X 32. Their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 were 0.90 and 0.87, respectively.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6 -glucan from Flammulina velutipes and Lyophyllum ulmarium were 1:32(X1), 41.96 C (X2) and 9.21 hr(X3), and 1:34(X1), 50.46 C (X2) and 6.43 hr(X3). The major molecular weights for R -glucan extracted from mushrooms were evaluated approximately 5.0 X 105, 1.2 x 105 and 5.0 x 105, 3.0 x 105 for Flarrunulina velutipes and Lyophyllum ulrnarium. The intrinsic viscosity of R -glucan extracted from Flvnmulina velutipes was found to be 0.925 m3/kg while corresponding value was 0.255 m3/kg for Lyophyllum ulmarium. The viscosity decreased with increased in temperature and viscosity at both alkali and acid conditions were higher than those at a neutral condition. As for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ranging from 0 to 0.3 M, the viscosity of R -glucan solution from Flarrumulina uelutipes was decreased to 0.1 M then increased to 0.15 M whereas the one from Lyophyllum ulrnarium was increased to 0.1 M then decreased to 0.3 M.

      • 初期 韓國彫刻의 歐美樣式 導入에 關한 硏究 : 海外留學派의 女人像의 形態와 材料를 中心으로

        이균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oots of European and American sculptures introduced through modern sculptures by international students. This ranges from figurative sculptures by Bok-jin Kim in the 1920s to the abstract sculptures by Jung-sook Kim in the 1960s. This thesis will study the female form specifically, the change from the figurative pattern to the abstract one, and the use of materials such as plaster, woods, stones, bronze, terra-cotta and other metallic material in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sculpture arts and its developing process. Herbert Read wrote that, ?We are immediately struck by the surprising fact that at least ninetenths of all the sculpture ever carved is devoted to one subject ? the human body. As is well known, art began, in prehistoric times, with a different prejudice-with an almost exclusive concern for the depiction of animals-and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is prejudice was connected with prehistoric man?s dependence on animals as his food. The rare examples of human representation in Paleolithic art are of males participating in hunting scenes or of females who, because they are represented as pregnant, may reasonably be associated with fertility rites. The male representations are, with one or two exceptions, all drawings; the female representations all sculptures. It used to be assumed that sculpture was the original art of prehistoric man and that drawing and painting were much later acquisitions. This view was based on the erroneous idea that sculpture involved a much simpler process of reproduction than drawing-the idea that modeling or carving the round was a process of direct imitation, whereas drawing or painting required the translation of three-dimensional experience into two-dimensional abstraction.? First, to make an approach to the aesthetics of sculpture with a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art is perhaps an arbitrary proceeding. However, we shall find the development of the sculptural representation of the human body, considered purely as the representation of that particular subject, plunges us directly into aesthetic problems peculiar to the art of sculpture. The first Korean sculptor, Bok-jin Kim (1901~1940) not only pioneered the foundation of modern sculpture art but was also an outstanding artist. At that time, he greatly influenced many sculptors such as Doo-il Kim, Seung-wook Yoon, Kyung-seong Kim, Jung-soo Kim, Kook-jun Lee, Gyu-bong Cho, Hyo-joong Yoon and Jong-young Kim. Moreover, there were two outstanding sculptors: Jin-gyu Kwon and Jung-sook Kim in the 1960s. During that time, two common ways to create sculptures were molding and carving. The material used to create sculptures was also a decisive factor to express the content of their work. Bok-jin Kim molded his sculpture. Most modern sculptures in Korea had sculptured heads, nude and clothed figures, which were based on realistic depictions. This style was emphasized in the curriculum of Tokyo Art School?s Department of Sculpture. Tokyo Art School was established modeling the academy curriculum in France - the best technique for the work of art is to describe and depict the copy of gypsum figures or the drawing of a human body thoroughly shown in the norms of masterpieces. The early concept of Korean sculptures meant to transplant Western or European style. All kinds of sculpture styles and patterns were mingled together such as traditional carvings, European style sculptures, figurative sculptures, abstract ones from the new world, and patterns of figurative and non-figurative. When Bok-jin Kim studied in Japan, European impressionism was considered as the academism, and Rodin, one of the titans in the history of sculpture, paved the way with increasingly expressionistic forms. Japanese sculptors flew to Franceto meet Rodin, and introduced his impressive worksof art to their country. The aspirations for modern sculptures were the pick when Bok-jin Kim entered Tokyo Art School. I will explain the features of Korean sculptures by comparing the Western European art which Japanese sculptors have achieved with the Japanese art which Korean sculptors have acquired. First, in recent studies of the human figure in Western European art, art history has focused on questions of gender and sexuality in representations of the body, especially the female body. Traditionally, art historians have considered the female nude as an object, usually an object of beauty, and discussion has centered around formal issues and questions of artistic sources for the depiction of the nude. In Renaissance art, the male nude was much more frequently portrayed than the female nude. But by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is situation had changed. Artists more often depicted the female nude in finished works despite the continuing dominance of male models in academic training. Although the balance was redressed in lat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Neoclassical art, which focused much more heavily on the erotic aspects of the male nude, the female nude continued its overall historical dominance in Western depictions of the naked figure, as it does even today. Many depictions of the female nude, both traditional and avant-garde, focus on a display of the nude as a sexual object. In much twentieth century avant-garde art, the body, especially the female body, is further objectified. In Cubism, the body is geometrically fragmented. Compared with Western European art, the Japanese sculptors have two mainstreams kept balancing Japanese and Western European art in traditional and modern art. One is the Vincenzo Ragusa family of Industrial Art School. This focuses the reproductive description of Italian academic figures. The other is the Auguste Rodin family introduced by Hagiwara who came back to Japan in 1907 and roused his enthusiasm 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early exhibitions. Tokyo Art School is based on academism, so it affected the idiom of many Japanese and Korean sculptors at that time. Even though the mainstream in early 1960s in Korea was to erect memorial statues and figurative sculptures, interest in abstract sculptures increased during the late 1950s. The curiosity about abstract sculptures had an effect on the material change from wood, stone, bronze to metal. Jin-kyu Kwon is one of the symbolic artists in the 1960s when modern sculptures were experimentally created. His sculptures usually made of terracotta are animals, busts, and female nudes. On the other hand, Jung-sook Kim was at the center of early abstract sculptors. She was the first Korean sculptor who studied abroad and learned the technique, materials and concept of the modern sculptures in America. Returning to Korea in 1957, she created many sculpture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bronze, marble, wood and metal. This thesis will describe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ferred to in the bibliography of art works to study the patterns and materials of early Korean sculptures following these steps. This essay will explorethe history of Korean sculptures, the features of significant sculptors and their works of art, and I will explain my assessment and suggestion about Korean sculptures. 이 논문은 한국의 초기 조각을 1920년대의 김복진의 구상조각으로부터 시작하여 1960년대의 김정숙의 추상조각에 이르기까지의 해외유학파의 초기 구미 근현대 조각양식의 도입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조각예술의 도입과 발전과정에 있어서 여인상(女人像)의 형태와 재료를 중심으로 양식의 변화(구상에서 추상으로)와 재료(석고, 나무, 돌, 청동, 테라코타, 금속)의 사용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리드(Herbert Read)는 "조각 작품 가운데 90%가 인체를 소재로 하고 있다."라고 하였다. 또 그는 "선사시대인의 미술의 출발은 조각이었으나, 그림과 채색화는 훨씬 뒤에 시작되었다는 것이 이제까지의 통념이다."라고 하면서, 신석기시대의 미술의 주제는 예외 없이 동물이었으나, 구석기 시대에는 대부분 남성은 회화로, 여성은 조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우리나라 조각분야에서 최초의 조각예술가인 김복진(1901-1940)은 근대적 조각예술의 기틀을 다진 선각자일 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문예활동에서도 뛰어난 면모를 보여 준 예술가이다. 당시 대부분의 조각가들이 김복진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김복진에 이어 등장한 조각가로는 김두일, 윤승욱, 김경승, 김정수, 이국전, 조규봉, 윤효중, 김종영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1960년대에는 권진규와 미국에 유학하여 현대조각을 배운 김정숙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근대조각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사실적 묘사에 바탕을 둔 ①두상, ②나상, 또는 ③착의의 인물상 등으로 이것은 근대조각의 선구자들이 대부분 수학하였던 동경미술학교의 조각과의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것이었다. 동경미술학교는 프랑스의 아카데미 교육제도를 모델로 하였는데, 그것은 가장 훌륭한 미술이란 고대와 르네상스 대가들의 작품에서 보이는 규범에 따른 믿음 속에서 테크닉 습득을 위한 석고조각의 모사나 인체 데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었다. 전통조각과 새로운 유럽식 기법의 조각, 이에서 파생되어 확고히 구축된 구상조각과 새로운 세계에서 도입된 추상조각, 구상과 비구상이라는 양식의 문제 또한 역사의 발전과 함께함을 한국의 초기 조각사에서 볼 수 있다. 김복진이 일본에 유학하였던 당시 일본 화단은 바야흐로 유럽에서 도입된 인상파 미술이 아카데미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인상파시대 조각의 거장이었던 로댕의 예술이 뜨겁게 수용되고 있을 시기에 해당된다. 일본조각가들은 직접 프랑스에 건너가 로댕 등을 만나고 그들에게 깊은 감명을 받으며, 로댕의 예술을 일본 조각계에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서, 김복진이 동경미술학교 조각과에 입학하던 무렵은 근대조각에의 열망이 가장 높아 있었던 시기에 해당된다. 한국조각가들이 배운 일본의 미술학교와 일본조각가들이 배운 프랑스의 미술학교의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의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의 조각은 초기 공업부 부설 미술학교에서 그리고 동경미술학교에서 일본, 서유럽, 신·구의 입장에서 조화시키면서 다음 두 가지의 특색 있는 흐름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였다. 서유럽의 조각에는 분명히 두 가지의 원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로, 공업부 부설 미술학교의 라구사(Vincenzo Ragusa,1841-1927)의 계통으로, 아카데믹한 이태리조각의 재현적인 형체묘사를 주안으로 하고 있다. 둘째로, 1907년에 귀국하여 초기 문전에 크게 기세를 세운 하기와라(萩原守衛) 등이 도입한 로댕의 계통이다. 로댕(Auguste Rodin, 1840- 1917)은 형체묘사의 조각에 생명의 숨을 불어넣는 것이다. 그것은 정말 근대조각의 문을 연 것이라고 하여도 좋다. 동경미술학교는 이른바 아카데미즘을 근간으로 한 풍조가 지배적인 미술학교로서 당시 일본 화단은 물론 한국 화단에 있어서도 미술의 기조를 이루고 있었다. 다음으로. 일본의 근대조각은 위와 같이 서유럽으로부터 습득하였으며 서유럽의 아카데미는 다음과 같다. 미술에서 보는 인물상의 최근의 연구에서는 미술사는 인체, 특히 여인상의 표현에 있어서 나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왔다. 미술사가들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나체를 하나의 아름다움의 대상으로서 고려하여 왔다. 그리스·로마 고전시대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사상, 인간상은 가장 빈번히 취급되었던 테마이다. 예술작품이 태어나는데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사실이다. 르네상스미술에 있어서는 남성의 나체가 여성의 그것보다도 더욱 빈번히 조각화되었다. 그러나 17세기의 끝까지에는 이와 같은 상황이 변화하여, 조각가들은 완성작품으로 가끔 여성의 나체를 제작하게 되었다. 이 균형은 18세기의 말엽에서부터 19세기 초두의 신고전주의의 미술에 있어서 회복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남성의 나상(裸像)의 관능적 측면에 한층 중점을 두게 되었지만, 여성의 나상은 서유럽의 나체표현에 있어서는 통사적으로 보면 우위를 지속하여, 오늘날에 있어서도 또한 그대로이다. 1950년대 후반기에는 조각계에도 추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추상조각에 대한 관심은 재료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이제까지의 나무, 돌, 청동이 주가 되었던 조각의 재료에 철조를 비롯한 금속이 새로운 재료로 등장하였다. 1960년대 현대조각의 분기점에 있는 길목에서 권진규(1922-1973)는 독특한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새로운 현대조각의 실험이 한참일 때 보수적으로 볼 수 있는 구상조각을 계속하면서 자신의 작품세계는 주로 테라코타 상으로 ①흉상, ②나상, ③동물상 등이 주가 된다. 현대조각의 초기에 추상조각의 중심에는 김정숙(1917-1991)이 있다. 김정숙은 우리나라 최초로 미국에 유학하여 현대조각의 기법이나 재료 및 개념에 대하여 배워, 1957년도 귀국 뒤, 청동, 대리석, 나무,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작품제작으로 발전시켰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초기 조각 연구의 양식이나 재료에 관하여 작품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다음의 목차에 따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다. 이 논문은 연구의 체계에 따라 ①서론, ②본론 그리고 ③결론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며, 본론에서는 첫째, 한국 조각예술의 전개과정, 둘째, 각 조각예술가들의 예술세계와 작품 특징을 해설한다. 결론으로 종합평가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작품을 중심으로 문헌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초기 조각사에 나타난 양식과 표현재료의 특성을 중심으로 서술적으로 기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