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河川護岸의 生態的 復元을 위한 植物選定 모델 開發 : 漢江 水系를 中心으로 : 李光雨

        이광우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663

        The concept "Nature-Friendly Watercourses" has been introduced, and was even becoming a trend. Yet, systematic studies that provides us with complete understanding of Korean watercourses which would be the foundation to create the design criteria had not yet been successfully done. Actually, Korea had just simply imported experimental findings found from other countries and assumed them to be applicable to the Korean situations only after only minor changes. As well, it was undeniable that the developmental programmes were limited to low water embank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t. It was to be researched by the watercourse-technological approach and present an index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 L-index and K-index. As well, this research was focussed upon quick recovery and restor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s; 1. Vegetation were collected 284 species, 57 families; 202 species, 51 families at Pyungchang river, 142 species, 33 families at Bokha stream, 175 species, 42 families at Kyungan stream. The distribution of stream vegetation were shrub of 44 species, 21 families, annual-biannual herbs of 102 species, 23 families and perennial herbs of 137 species, 34 families. Total distribution number of vegetation were 2,710 times, among the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be most distribution to 90 times. Vegetation were collected 65 species to K12 point of Kyungan stream, generally to tend to reduce species diversity to the upper stream. The distribution of each and every vegetation distribution zone (Z) were 55 species to low water embankment(Z1), 178 species to floodplain terrace and 239 species to high water embankment. 2. Results of soil inorganic matter analysis were nearly the same altogether streams, but soil acidity of Pyungchang river was pH 6.98, Bokha stream pH 5.18, and Kyungan steam pH 6.61. 3. Classification of soil texture divided to sands(ST3) and Loam(ST2) but fine sands(ST1) was high ratio at Pyungchang river rather than Bokha and Kyungan stream. Bulk density was nearly the same to all stream. 4. The topography of river was analyzed into longitudinal view(LV), longitudinal slope(LS), grain size (GS), biggest gravel(BG) and some other factors as vertical section and into crossing slope(CS), riparian width(RW) and other factors as transverse section.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longitudinal view(LV) was divided into straight reach(LV1), attack point of straight reach(LV2), point bar of straight reach(LV3), attack point of bending reach(LV4) and point bar of bending reach(LV5) and there was each 12, 8 and 10 direct current point in Pyungchang river, Kyungan and Bokha stream. In LV2 and LV3, there were each 11, 6 and 5 point and in LV4 and LV5, there were each 11, 6 and 5 point at the one spot. The each longitudinal slope(LS) arranged from minimum 0.001% to maximum 8.83% in great variety. In comparison with three bounds (below 0.09%, 0.1-0.99%, over 1%) in Pyungchang river, Bokha and Kyungan stream, there were each 5, 4 and 5 points, each 17, 9 and 8 points and each 7, 1 and 1 points in order. This result meant that the vertical inclination in Pyungchang river was comparably steep. Grain size(GS) was calculated by geometric mean diameter (d_g) and the results were from 0% to 56.12%. In comparison with this result as 4 parts (below 9.99%, 10-19.99%, 20-29.99% and over 30%), the first part contained each 7, 11 and 4points, the second part each 6, 3 and 2 points, the third part each 8, 0 and 7 points and the fourth part 8, 0 and 1 points in order of Pyungchang river, Bokha and Kyungan stream. This meant that there was various GS distribution in Pyungchang river and that Bokha stream had comparably slow speed except upper stream so most survey spots were in low GS sides. Biggest gravel(BG) was the biggest particle among stones which was rolled over by water power and stopped by the deline of water speed and it had great variety in weight from 9.02g to 764.655.52g. There were particles only over 10kg in Pyungchang river while Kyungan stream didn't contain any over 100kg particles and Bokha stream contained only particles below 0.9kg in 8 points. The bounds of crossing slope(CS) which indicated transverse features were various from minimum 2。 to maximum 80。. At every same point, in most cases, attack point had steeper inclination than that of point bar. In general, riparian width(RW) got wider as reaching from upper to lower stream. In this survey, it arranged from 2m to 80m in variety and riparian width(RW) had closely related with transverse inclination and vertical inclination. 5. The index indicating proper environment which was necessary to plant growth was L-index and the basic formula was as followed, L = i+a_(1)x_(1)+a_(2)x_(2)+a_(3)x_(3)+ - - - + (a_n)(x_n) "i" is intercept, "a" is parameter estimate and each "x" is standard value so use following formula with those values. Standardvalue=((Observationvalue-Meanvalue))/(Stan darddeviation) Vegetation distribution zone(Z) and longitudinal view(LV) were nominal value so if it's appropriate, substitute 1 and if not appropriate substitute 0 for the formula. When there proper meant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value for standardization, 16.98, 14.61 in grain size(GS), 92.183.16, 139.803.28 in biggest gravel(BG), 0.00684, 0.01256 in longitudinal slope(LS), 15.97, 10.10 in crossing slope(CS), 23.94, 29.67 in riparian width(RW), 1.053, 0.224 in bulk density(BD), 9.92, 6.16 in fine sands (ST1) and 66.75, 16.14 in sands(ST3). Refer to appendix II for L-index and proper bound value for the 77 species plants. 6. K-index could be predicted that how many species will be survived within river environment and this method was named "technique of species diversity prediction" K=21.4+(-19.18Z1)+(-1.72CS)+(1.40RW)+(-1.36LS)+(0.96ST1) The standard values of crossing slope(CS), riparian width(RW), longitudinal slope(LS) and fine sands (ST1) should get fir st, then substitute them for the formula. The formula for the standard values was as followed; Standardvalue=((Observationvalue-Meanvalue))/(Standarddeviation) The standard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for the formula were 15.97, 10.10 in CS, 0.00684, 0.01256 in LS and 9.92, 6.16 in ST1. To predict expectable species in low water embankment, substitute 1 for Z1 and to predict species numbers in the other area like flood plain terrace, high water embankment then substitute 0 for Z1.

      • HIV感染과 AIDS의 傳播特性에 관한 數學的 모델화

        이광우 동아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47

        AIDS 전파의 원인 규명을 위하여 HIV구조와 AIDS역학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있으며, 최근에는 HIV전파 모델에 대하여 상당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 논문은 감염가능자중에 감염이 생기는 HIV/AIDS 전파 모델을 연구한 것이데, 동성 남자사회 안에서 그리고 개인의 성행위 변화가 많은 인구집단에서 HIV 감염의 전파특성에 관한 수학적 모델을 나타내었다. AIDS의 원인이 되는 HIV유행특성 모양은 한 개인의 5개 역학적 상태 사이의 생태학적 관계에 따라서 유도된 AIDS의 수학적 모델에 의해서 해석되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실제 데이터를 사용해서 수행되었는데, 아래와 같은 결론이 시뮬레이션의 기초에 의하여 얻어졌다. 1. 이 논문에서 설명된 모델의 기초적인 구조와 이론은 만족하였다. 2. 성 행위가 다른 인구집단에 대한 AIDS의 유행 모델도 잘 만들어졌다. 3. 재생을 R_(0) 가 증가할수록 AIDS의 발생자 수는 증가하고, 심하게 만연되는 시기는 빨라진다. 4. AIDS는 대략 발병후 7~21년에서 감염수가 최대가 되며 10~20년 동안에 심하게 만연된다. 5. 성행위가 많은 사람은 비교적 빨리 감염되고 제거된다. 6. 잠복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AIDS 발생자 최대치는 증가하고 이환율은 작아진다. The AIDS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epidemic has stimulated a large amount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HIV(human immune deficiency virus) and on the epidemiology of AIDS. Recently, a growing effort in modelling the transmission of HIV has emerg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pulation model of the spread of HIV/AIDS which the infection is generated by an infectious individual in a population of susceptibles. A mathematical model is presented for the transmission dymamics of HIV infection within the communities of homosexual males and the population in which sexual activity varies greatly among individuals. The pattern on the epidemic character of HIV, the causative agent of AIDS, was analysed by the mathematical model of AIDS system which is derived according to the ec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five epidemilogic states of individuals. The computer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real data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on the basis of the simulations. 1. The model structure and the algorithm described in the thesis is good. 2. The AIDS model is well develop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group of different sexual activity and the simulation epidemic curves are qualitatively well consistent with the empirical data. 3. In proportion to increase R_(0), the population of AIDS patient increases and the time of its widespread reaches earlier. 4. The AIDS patients will be maximum between 7 and 21 years after an attack of AIDS and widespread between 10 and 20 years. 5. The high sexual activity is easy to infect of AIDS and will dies fast. 6.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incubation periods, the maximum number of infected person is increased, and the attack rate is decreased.

      • 象牙質 表面處理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結合强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이광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임상에서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상아질과 접합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가지 요인 중 상아질 표면처리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발거된 건전한 60개의 대구치의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distilled water, 5% sodium hypochilorite 용액, Ketac conditioner, 40% polyacrylic acid로 각 군당 15개씩 표면처리 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일종인 Ketac-Fil을 상아질표면에 부착시킨 후 전단강도, 파절형태 및 표면처리에 따른 상아질표면 변화상을 측정,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아질 표면처리에 따른 결합강도는 Ketac conditioner 처리군이 44.44 ± 0.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증류수 처리 군이 28.83 ± 0.8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2. 증류수로 처리한 군과 5% sodium hypochlorite 용액으로 처리한군, 증류수로 처리한 군과 Ketac conditioner로 처리한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3. 증류수로 처리한 군과 40% polyacrylic acid로 처리한 군간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4. 5% sodium hypochlorite용액으로 처리한 군, Ketac conditioner로 처리한 군, 40% polyacrylic acid로 처리한 군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칩면파절 형태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파절과 함께 접합물질(Filler particle)이 치아면에 피막을 이룬 웅집성파절(Cohesive fracture)로 각 군미다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 소견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6. 증류수로 처리한 군은 도말층이 전혀 제거되지 않았으며 5%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의한 도말층 제거 효과는 미약하게 나타났다. 7. Ketac conditioner 처리군과 40% polyacrylic acid 처리군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표층부 도말층은 제거되었으나, 상아세관 입구에 존재하는 smear plug는 잔존되어 있었고, 극히 일부분 상아 세관이 개방된 부위도 관찰되었으나 관주상아질의 용해나 세관의 확장은 보이지 않았다. ing to the following surface conditioning methods. Group 1 : Surface treatment with distilled vrater as control group. Group a l Surface conditioning with 6%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T : Surface conditioning with Ketac conditioner. Group IV : Surface conditioning with 40% polyacry11c acid.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treasured by Autograph( Shimatzu Co. Japan ). The result of the evaluations were then subJected to stati- stical analysis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l. The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the dentln surface condi- tioning conditions was highest in Ketac conditioner group, with measurements of 44.44 ± o.74 (Kg/㎠) and lowest in the distilled water group, with measurements of 28.S4 ± o.S8 (Kg/㎠).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rface conditioning with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or Ketac conditioner group and distilled water group. (P < 0.01). 3.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ur- face conditioning with distilled water group and 40% polyacry1ic acid group. (P < 0.05) 4. Overall differ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was not found. (P < 0.05) 5. Fractured dentin surface treated with conditioning solutions showed cohesive fracture. 6. Distilled water group and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removed the smear layer less effectively . 7. Conditioning dentin V/ith Ketac conditioner and 40% polyacry11c acid resulted in the removal of a significant amount of the smear layer without removing the tubular plugs and dissolving the peritubu1ar dentin.

      • 움직임 예측 및 고속 탐색 패턴을 이용한 고속 부화소 움직임 추정 기법

        이광우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n H.264/AVC video encoder, the motion estimation at fractional pixel accuracy improves a coding efficiency and image quality. However, it requires additional computation overheads for fractional search and interpolation, and thus, reducing the computation complexity of fractional search becomes more important. This thesis proposes fast fractional search algorithms by combining the Simplified Adaptive Search Range (SASR) and the Mixed Small Diamond Search Pattern (MSDSP) with the predicted fractional motion vector. Compared with the full search and the prediction-based directional fractional pixel search, the proposed algorithms can reduce up to 93% and 60% of fractional search points, respectively with the maximum PSNR lost less than 0.06dB. Therefore, the proposed fast search algorithms are quite suitable for mobile applications requiring low complexity. H.264/AVC는 2003년도에 ISO와 ITU-T에서 공동으로 개발 및 제정한 멀티미디어 압축 표준으로, 좋은 영상 화질과 높은 압축률을 가지고 있어 주목 받고 있는 멀티미디어 압축 표준이다. 특히 에러 내성 및 네트워크에 특화된 기능 등 여러 다양한 기술들로 인해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DMB 동영상 압축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확장하여 HDTV급 고화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도 불구하고 H.264/AVC는 고화질 및 고압축률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과 복잡한 연산으로 인해 실시간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하드웨어 구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기는 전체 부호화기 연산의 60% 이상을 차지하여 부호화기의 실시간 구현에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다. 움직임 추정 연산은 정화소 움직임 추정 및 부화소 움직임 추정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정화소 움직임 추정 후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정화소 움직임 추정이 넓은 탐색영역으로 인해 부화소 움직임 추정보다 연산량이 수십에서 수백 배 가량 많아 움직임 추정기의 병목현상은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의 연산량 감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고속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의 개발로 인해 역으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량이 정화소 연산량보다 많아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제안한 고속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은 몇 가지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의 탐색 특성에 기반하고 있다. 첫째, 영상 내 모든 블록에 대해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수행 할 필요가 없다. 모든 블록에 대해서 정화소 및 부화소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에서 얻은 정화소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불필요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이 발생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효과적으로 예측 할 수 있다면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주변 블록과 유사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초기 움직임 탐색 지점을 예측하고 제안한 부화소 탐색 패턴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부화소 탐색 지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부화소 탐색 특성을 이용하여 블록 움직임 예측을 기반으로 한 고속 부화소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전역 부화소 탐색에 비해 연산량은 평균 93%가 감소하였으며, PSNR은 감소는 최대 0.06dB로 성능 저하는 매우 미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성능 열하 없이 효과적으로 부화소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H.264/AVC는 2003년도에 ISO와 ITU-T에서 공동으로 개발 및 제정한 멀티미디어 압축 표준으로, 좋은 영상 화질과 높은 압축률을 가지고 있어 주목 받고 있는 멀티미디어 압축 표준이다. 특히 에러 내성 및 네트워크에 특화된 기능 등 여러 다양한 기술들로 인해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DMB 동영상 압축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확장하여 HDTV급 고화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도 불구하고 H.264/AVC는 고화질 및 고압축률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과 복잡한 연산으로 인해 실시간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하드웨어 구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기는 전체 부호화기 연산의 60% 이상을 차지하여 부호화기의 실시간 구현에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다. 움직임 추정 연산은 정화소 움직임 추정 및 부화소 움직임 추정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정화소 움직임 추정 후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정화소 움직임 추정이 넓은 탐색영역으로 인해 부화소 움직임 추정보다 연산량이 수십에서 수백 배 가량 많아 움직임 추정기의 병목현상은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따라서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의 연산량 감소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고속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의 개발로 인해 역으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량이 정화소 연산량보다 많아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제안한 고속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은 몇 가지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의 탐색 특성에 기반하고 있다. 첫째, 영상 내 모든 블록에 대해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수행 할 필요가 없다. 모든 블록에 대해서 정화소 및 부화소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정화소 움직임 추정기에서 얻은 정화소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불필요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이 발생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효과적으로 예측 할 수 있다면 부화소 움직임 추정 연산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는 주변 블록과 유사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초기 움직임 탐색 지점을 예측하고 제안한 부화소 탐색 패턴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부화소 탐색 지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부화소 탐색 특성을 이용하여 블록 움직임 예측을 기반으로 한 고속 부화소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전역 부화소 탐색에 비해 연산량은 평균 93%가 감소하였으며, PSNR은 감소는 최대 0.06dB로 성능 저하는 매우 미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성능 열하 없이 효과적으로 부화소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假想現實 技術을 活用한 海洋工學 可視化 基幹 技術硏究

        李廣雨 忠南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al design and manufacturing always impose certain constraints upon engineers. There are many activities in ship design. In which the specifications to meet owner's requirements are determined, and modeling and performance analysis to support the design decisions are performed repeatedly. It also requires that the product be fully defined or designed before it can be built. Recent and dramatic advances in computer simulation technologies hold forth the promise of revolutionizing design and acquisition strategies by providing the means to validate end users' requireme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product such as navy ships. By designing and operationally testing virtual prototypes in a virtual environment, these technologies will soon offer engineers the ability to build and launch marine engineering structures in computer-based cyberspace in stead of the traditional builders' ways. This thesis provides the base for these developments and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ramifications of these technologies to the current process of ship and system design as follows ; (1)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technical information for High Performance Visual Simulation and the kernel technologies for Virtual Prototyping. (2) A Study on the effective development environments for visualization and development of kemel S/W module for Real-Time Visualization using VR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3) Preparation of a Plan for Virtual Prototyping for marine engineering according to the reference research results. It can be noticed that accurate representations of the product as a VP can be possible in the future through the use of a well-defined Product Model and SBD(Simulation Based Design). The SBD Model confirms the information that shows how the system operates and how it is made. SBD expands beyond the traditional basic geometric description of a system to include system configurations, behavioral attributes, and performance descriptions needed to simulate functionality. Nowadays, the challenges that the Virtual Prototyping and Simulation Based Design must meet are both technological and cultural. Herein, as noted, such VP activities are shown to provide the new era in computer aided cyber-design world.

      • 가변댐퍼 조합형 저주파 유압 액추에이터 기반 고효율 능동현가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광우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동차의 승차감과 주행안전성, 핸들링 성능은 상충관계를 가지고 있다. 차량의 주행성능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자제어 현가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가변댐퍼 혹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성능을 모두 향상시킨다. 제어하는 현가 부품에 따라 가변댐퍼를 제어하는 반능동 현가장치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능동 현가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능동현가장치는 스프링과 댐퍼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진동을 억제하는 기존의 현가장치에 비해 액추에이터를 노면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하지만 능동 현가장치는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현가장치를 구동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반능동 현가장치는 외부 동력 사용하지 않고 현가상하질량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댐퍼로서 작동하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반능동 현가장치의 제어 가능 영역은 제한되어있다. 감쇠력(damping force)-속도(relative velocity) 관계도에서 1, 3 사분면 안에서만 감쇠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2, 4 사분면의 요구 감쇠력에 대해서는 제어를 할 수가 없고, 1, 3 사분면 안에서도 댐퍼의 특성에 따라 제어 가능 영역이 한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반능동 현가장치와 능동 현가장치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행 상황에 따라 연속 가변 댐퍼만 사용하는 반능동 주행모드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능동 주행모드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변댐퍼와 저주파 액추에이터가 조합된 능동 현가장치(CVD-AS, Continuously Variable Damper based Active Suspension)에 활용했다. 최종적으로 이 알고리즘에 적합한 능동 현가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선정하였고, 전 차량 모델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2자유도 현가 수직모델 단계에서 현가장치의 반능동 모드와 능동 모드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모델링했다. 요구 감쇠력을 계산하고, F-v 관계도에서 요구 감쇠력의 위치에 따라 현가장치의 제어 모드를 판단한다. 두 번째는 현가장치의 기계적 배열에 따른 다양한 2자유도 현가 수직모델과 능동 – 반능동 모드 제어기를 조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성과 주행성능이 높은 현가장치 배열을 선정했다. 세 번째는 승차감 모드와 자세제어 모드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모델링했다. 스티어링 휠 각도(steering wheel angle), 횡가속도(lateral acceleration), 바퀴 미끄럼율(slip ratio)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 의지를 판단하며, 운전자가 선회하거나 급격한 가감속을 한다고 판단을 하면 자세제어 모드로 현가장치를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2가지 모드 판단 알고리즘과 선정된 현가장치 모델을 전 차량 단계의 차량 모델로 구축했고, 개발된 현가장치의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전 차량 모델의 능동 현가장치 성능을 검증하였다. 차량의 동적 성능(급가감속, 승차감, 조종안정성)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했고, 반능동 현가장치와 완전능동 현가장치를 적용한 차량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함께 성능을 비교했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개발한 CVD-AS의 성능을 Slow 능동 현가장치와 비교했을 때, 고주파 노면 입력에서의 반응속도와 에너지 소모가 적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본 논문에서 개발하고 제안한 능동현가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차량 주행 성능을 향상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e ride comfort, driving safety and handling performance of vehicle have a tradeoff. In order to satisfy all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suspension system is used, and this suspension system improves all driv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variable dampers or actuators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controlling suspension part it can be classified into a semi-active suspension that controls a variable damper and an active suspension that controls an actuator. The active suspension device effectively suppresses the vibration by actively controlling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mpared to the existing suspension device that passively suppresses the vibra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and the damper. However, active suspensions require a lot of energy to drive the suspension because they operate with external power to improve driving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 semi-active suspension can save energy because it operates using the movement of the suspension masses without using external power. In addition, since it basically operates as a damper, the reaction speed is fast and it can be driven stably. However, the controllable region of the semi-active suspension is limited. In the damping force-velocity relationship diagram,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required damping force in the 2nd and 4th quadrants because the damping force can only be generated within the 1st and 3rd quadrants. The controllable region is limited. In this paper, in order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and the active suspension system, and algorithm for a semi-active driving mode using only a continuously variable damper and an active driving mode using actuator was developed. It was used in an active suspension system (CVD-AS, Continuously Variable Damper based Active Suspension) in which a low-frequency actuator was combined. Finally,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active suspension system suitable for this algorithm was selected ad compared and verified through simulation in all vehicle models. The main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2 DOF quarter-car model level, an algorithm to determine the semiactive mode and active mode of the suspension was modeled. The required damping force is calculated, and the control mode of the suspens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quired damping force in the F-v relationship diagram. Second, simulations were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2 DOF quartercar models and active – semi-active mod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mechanical arrangement of the suspens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select a suspension mechanical arrangement with high efficiency and driving performance. Third, the algorithm to determine the ride comfort mode and stability control mode is modeled. The driver’s willingness to drive is determined using the steering wheel angle, lateral acceleration, and slip ratio,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driver turns, accelerates or decelerates rapidly, the suspension is controlled in the stability control mode. Finally, the two mode determination algorithms and a selected suspension model were constructed as full vehicle model. In addition,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uspension system, the active suspension performance of full vehicle model was verified. Simulation of the vehicle model’s dynamic performance (acceleration, deceleration,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as perform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model to which the semi-active suspension and active suspension were applied was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As the result, when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CVD-AS developed in this paper with the slow active suspen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ction speed and energy consumption at high frequency road surface input were reduced. This result is expected that the active suspension system developed and proposed in this paper will effectively improve vehicle driv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