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외모만족도가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이경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외모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외모만족도가 그들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70명, 일반가정 자녀 7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외모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의 하위영역인 신체만족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얼굴만족과 외모에 대한 타인인식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의 자기존중감과 우울성, 공격성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외모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기존중감이 높은 반면, 유아의 외모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성과 공격성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해 외모에 대해 서로 다름은 인정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본 연구를 기초로 다문화가정자녀의 외모만족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Effects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on Psychological Variables Lee Gyeong-na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oo Hyo-j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looking into effects of the appearanc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after inquiring about differenc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both children. As a result of executing a survey research by objecting 70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74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at the same regions who lived in Jeollabuk-do, Korea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and its results are sam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from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In the physical satisfaction as a subordinate scop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report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urned out to be displayed from others recognitions on the fa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came out between groups in self-respect, depressive symptom, and aggressive symptom of multiple family’s children and racially homogeneous family’s children. Thir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hysical variables. The self-respect was high as much as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was high, but depressive, aggressive symptoms were high as much as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was low. Therefore, the necessity of having to develop various programs by which differences of the appearance could be admitted each other is emphasized for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nd needs on quality researches regard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study.

      • 한국문화콘텐츠를 응용한 패브릭디자인

        이경남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모든 디자인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있다. 온라인 네트워크, 영상압축기술, 데이터 전송 및 저장기술의 발전은 음악, 방송, 게임, 애니메이션, 섬유, 패션 등 다양한 디자인 및 상품에 디지털화를 가능하게 하고,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즉, 디지털 기술은 문화콘텐츠의 제작기술에 있어서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유통구조에도 혁신적인 발전을 유도하고 있다.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은 초기 개발 투자비가 많이 들지만, 디지털화 비용이 없다는 디지털 제품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고수익이 기대되는 산업이다. 그리고 디지털 제품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통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세계 각 국은 이러한 디지털 산업의 경제성을 파악하여,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패브릭 디자인 분야도 이러한 첨단 테크놀로지와 산업의 유통 변화에 대한 이해력 없이는 새로운 디자인이 창조될 수 없으며, 세계적인 시장개척도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와 더불어 이슈가 되고 있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섬유산업의 특징적인 작업공정을 디지털화함으로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근자에 이르러, 우리나라 민화는 그림의 아름다움과 한국적 위상으로 인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민화'라는 어휘의 개념정립이나 사회학적, 민속사적 의의만 타진되고 있을 뿐, 서구의 텍스타일 디자인처럼 디자인적 측면에서 재해석,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다. 민화는 선조들의 생활공간의 장식재, 마감재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화가의 개인적인 미관과 그리는 사람, 주문하는 사람이 만들어 내는 공동의 미의식이 가장 잘 표출된 것이므로 민화에서 문화콘텐츠로서의 디자인적 요소를 도출한다. 그리하여 민화에 담긴 한국적인 정체성과 조형 원리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현대적인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말한 디지털화, 세계화의 시대적 흐름을 조사, 분석하여 문화콘텐츠로서 미의식과 정체성을 민화에서 찾아 디지털화하고 현대적인 감성언어로 재해석, 디지털 문화콘텐츠디자인으로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정보 산업적인 기술로 전환, 재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문화예술의 발전과 체계적인 개념이 없이는 활성화가 될 수 없음을 기존의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외의 사례를 통하여 고품격의 디자인의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지원, 지속적인 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체계 확립과 창조성을 통한 시대성을 반영해야 발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섬유 산업이 문화콘텐츠화 함에 있어서 디자인 방법의 문제가 아닌 취해야 하는 문화콘텐츠 내용의 문제임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만이 지니는 고유한 조형의식의 여러 가지 특징을 고찰하여 풍토적, 사상적 배경을 근간으로 한 자연적 인본주의를 한국적 미학의 특수성으로 보고, '한결같음', '담백함', '절로', '비'를 한국적 조형언어로 전제하였다. 셋째, 한국 고유의 디자인 정체성과 민화의 시각적 특징을 토대로 문화콘텐츠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조형원리로서 주조적 통일, 방사형 균형, 흐르는 리듬, 비대칭의 비례로 정의하였다. 민화에서 사용된 오방색은 인간과 환경의 유기적 관계를 반영한 색채 원리라는 사실에 근거해 상징체계, 도형체계로서 자연색체계의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민화의 색을 측색하여 서구의 체계화된 대표적인 자연색체계인 헤링(Ewald Hering)의 NCS의 색체계로 이미지 스케일화한 결과 Tone계열의 중명도, 중채도의 부드럽고 편안한 뉘앙스를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 문화콘텐츠로서 4가지 조형원리에 근거하여 주제를 정하고 분석된 색채 뉘앙스를 적용하면 한국적이지만 차별화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으로 민화가 새롭게 개발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전통색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적인 청색과 흰색의 사용으로 보다 단아하고 담백한 이미지와 함께 현대적인 공간감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개발된 디자인을 모듈화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다양한 디자인상품으로 재창출하고 디지털화된 생산공정인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오프 라인 상으로 제시함으로써 디자인의 표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fas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promoting digitization of all designs. On-line network, image compressor technology, data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save technology made digitization possible to music, broadcast, a game, an animation, textile, fashions various design and a commodity and made share of the digital contents which used the internet possible. That is, digital technology is causing a large change in manufacture technology of culture contents and is inducing innovative development in the existing distribution structure at the same time. Because initial development investment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product which digitization cost did not have in settling as for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very much, high yield is prospective industry. Because an again digital product has a lot of cases circulated through on-line, there is advantage that circulation expense is inexpensive. World each nation recognizes an economy of this digital industry and is leaning to a lot of effort in a Upbringing of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A new design cannot be created without understanding about this high-tech technology and culture in fabric design field, and international market reclamation is impossible. In this research, i wish to ready an opportunity that textile industry can develop by frontier industry. by digitalise diagnostic work process of fiber industry with comprehension about culture heritage To arrive in these days, The value of our country Folk painting is revaluated by beauty of picture and Korean value upswing. However, Folk painting reinterprets only the meaning that Concept thesis of vocabulary called 'Folk painting' or Nothing but is taped sociology, ethnic customs' s sense, Folk painting is not analyzed and reconstructed like West Europe textile design, in design vantage point. Because, Folk painting is a decorations of ancestors life space, a finish and is, That is expressed best, a common esthetic sense that a person to order and a person drawing make together. In this research, I wish to present possibility of modern interior fabric design us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in Korean identify and molding principle that appear to Folk painting.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bove-mentioned digitization, times stream of globalization, and I am going to study as follows in order to reinterpret and digitalize Folk painting that appear Korean traditional sense of beauty and molding anger with a best by a modern sensitivity language. The first, Because culture contents must be based on identity of culture, and must reproduced and converted to the technology that is an information-industry know that through an instance of the existing domestic culture contents industry, without the development that culture-art and systematic concept, activation of culture contents can not succeed Also, see an oversea instance, for luxurious design elevation, assistance of national dimension and system establishment, about continuous design identity and reflection age through creativity are necessary. The second, In culture contents of the textile industry, recognized not a problem of design way but a problem of the contents that you must select. Thus, regar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molding consciousness that only our country has and a climate, humanism of naturalism of philosophy background as specificity of Korean a little aesthetics, 'Timelessness', 'Clearness', 'JeolLo', 'Anti-gravity' etc. Can conclude a back by Korean a few molding language. The third, Korean modeling principle that can be utilized culture contents on the basis of Korea unique design identity and modeling language of Minwha, defined as Dominate unity, Radiation balance, Flowing rhythm, Composition of asymmetry. Obangsaek used in Folk painting, can know what carry a characteristic of a nature color system as a symbol system, a diagram system based on the fact called color principle that reflected organic relation of man and environment. As a result that was so done, from the results that image scale anger tried to make a color of Folk painting color system of the Ewald Hering's NCS which was a systematized representative natural color system of Western Europe color system, can know that hold a comfortable nuance of middle brightness and middle chroma in a Tone system. The fourth, If it applies the color nuance that the subject is determined based on four molding principles as Korean culture contents, and was analyzed, Folk painting can newly develop to an interior fabric design with korean style however excellent, be discriminated. also, In spite of several kinds of natural color, can read a grace and a simple image and an effect of space feeling by use of a blue and white more intentionally. Modularization does a developed design, It is done a customer and creates various design commodity again, and then using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 that is a digitalized manufacturing process, with presenting an off line quotient, I can know that I can overcome a restriction of an expression of a design.

      •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

        이경남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South Korea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cases of female breast cancer every year, with 47.4 people out of 100,000 people being newly diagnosed according to statistics in 2007. Breast cancer is currently the second most common form of female cancer, and the survival rate for patient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rise in survival rate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of a breast cancer survivor after the treatment is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health issue. Sex life is one of the barometers that gauges one's quality of life, and particularly for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go mastectomy, sex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ir sex life comes to a halt due to sexual dysfunctions such as infertility, colpoxerosis, early menopause, hyposexuality and etc. caused by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Only 55% of the patients resume their sex life 5~10 years after surgery and there are serious cases such as divorce due to sexual dissatisfaction. However, due to the medical staffs' apathy and lack of knowledge, and with discussing sex considered as a taboo, breast cancer patients are unable to openly seek help for sexual issues. Since the sex life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is extremely personal, a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n-depth one-to-one talks in order to conduct a more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nature of such personal experiences is requir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nherent in the sex life of a female breast cancer patient and understand the meaning behind it by adopting van Manen's 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which could clarify the universal and essential side of human phenomenon.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10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2 years ago, were married back then, are currently still married, and have completed chemotherapy and radioation therapy; the period of date collection is from March 2010 to September 2010. Through record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participants, meaningful topics were categorized, and essential topic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division method; by consulting etymology, literature and art works, and phenomenological literature, this research has enhanced insight and understanding and referred them for phenomenological writing. There were 4 essential topics of the participants' sex life, 'sex life alert', 'precarious situation of a possible divorce', 'maturity through pleasure after pain', and 'leaving it unsettled'. 'Sex life alert', which appeared as the first essential topic, was a result of rapid sexual changes that were never experienced before being diagnosed with female breast cancer. These changes occur due to the breast being removed due to mastectomy, and change in hormonal balance due to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ory. However, such changes become factors that threaten the pre-diagnosis sex-life. Within the first essential topic, themes such as the loss of sexual pleasure, evasion of sex life, and depression caused by loss of feminity. These are the most common statements regarding the female cancer patient's sex life, and act as factors that destabilize the stable sex life before the diagnosis.'Precarious situation of a potential divorce', the second essential topic, deals with the experience deterioration of sex life by being unable to overcome the first topic, 'sex life alert'. It deals with themes such as shunning the husband by deeming him as a patient, sexual humiliation caused by the husband, and extreme malice between the couple. The third essential topic, 'maturity through pleasure after pain', talks about the experience of discovering a positive solution to overcome the 'sex-life alert', thus leading to a stronger and more mature sexual relationship than before the diagnosis. Themes include positively accepting breast cancer, discovery of alternatives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sex life, stronger marriage due to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discovery of the role as an assistant to sex life. The fourth essential topic, 'leaving it unsettled', is the experience of not having any questions answered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aid after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hus ignoring the challenges faced. Themes include, lack of sexual knowledge regarding cure for breast cancer and demand for education, sexual difficulties with solutions yet to be discovered. Thus, by discovering the various meanings and structure of a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sex life,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investigated and reveal the essential truth. This study is meaningful by the fact that the abov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sexual experience of female cancer patients, an issue which the medical staffs are not concerned with, have discovered the problems with caring for this patients and provided knowledge that could aid to develop and provide an appropriate measure to care for these patients. 우리나라 여성 유방암은 해마다 급격한 증가를 보여, 2007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47.4명이 새롭게 진단을 받았고, 현재 여성암 중에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여성 유방암환자의 생존율 증가로 치료종료 후 유방암 생존자의 삶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한 건강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개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가 성생활인데, 특히 여성성의 상징인 유방을 절제하는 치료를 받는 유방암 여성들에게 성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유방암 여성들의 경우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후 불임, 질건조증, 조기폐경, 성욕감소 등의 성기능 장애로 성생활을 중단하여, 수술 후 5~10년이 경과되면 55% 정도만이 다시 성관계를 재개하고 있으며 성적 불만족으로 인해 이혼을 하는 심각한 상황도 초래된다. 그러나 의료진의 무관심과 지식 부족, 성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것을 불편해 함으로 인해 유방암 환자들은 공개적으로 성 관련 문제의 해결을 위한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방암 여성들의 성생활은 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이기에, 개인적인 경험의 본질을 더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현상의 보편적, 본질적인 측면을 밝힐 수 있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통하여,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에 내재되어 있는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고, 진단 당시 결혼 상태에 있었고, 현재에도 결혼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서, 유방절제술과 항암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가 완료된 10명의 여성 유방암 환자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였다. 참여자와 면담내용을 녹취하여 세분법에 따라 의미 있는 주제를 분류하고 본질적 주제를 범주화하였으며, 어원, 문학 및 예술 작품과 현상학적 문헌을 참조하여 통찰력과 이해를 높여 현상학적 글쓰기에 참조하였다. 참여자의 성생활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성생활의 파랑주의보’, ‘이혼위기의 풍전등화’, ‘고진감래로 성숙함’, ‘미결로 덮어둠’ 등 4개로 나타났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로 나타난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는 여성 유방암 환자가 유방암 진단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급격한 성적 변화들이 가져온 결과이다. 유방암 진단 후 수술로 유방을 상실함으로 인해,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와 경구약물을 복용하면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새롭게 나타나는 것들인데, 이러한 성적인 변화들은 유방암 진단 전의 성생활을 위협하는 요소들로 작용을 하게 된다. 첫 번째 본질적 주제 안에는 성적 즐거움의 상실, 성생활 기피, 여성성의 상실로 인한 우울과 같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 중 가장 많이 진술된 부분으로, 진단 전 안정적이었던 성생활을 흔들어 놓는 인자들로 작용한다. 두 번째 본질적 주제인 ‘이혼위기의 풍전등화’는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를 적절하게 극복하지 못함으로 인해, 성생활이 더 악화되어 나타난 경험으로 남편을 병인으로 여기고 밀어냄, 남편에게 받은 성적 수치심, 극으로 치달은 부부간 상처주기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세 번째 본질적 주제 ‘고진감래로 성숙함’은 첫 번째 본질적 주제인 성생활의 파랑주의보를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대안을 발견하여, 부부 성생활이 유방암 진단 이전보다 더 돈독해지고 성숙해진 경험으로, 유방암을 긍정적으로 수용함, 성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 발견, 지지와 배려로 부부관계가 더 돈독해짐, 성생활의 조력자 역할 발견 등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네 번째 본질적 주제로 나타난 ‘미결로 덮어둠’은 유방암을 진단받고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해 궁금증도 해결하지 못하고, 닥친 어려움도 그대로 덮어두며 살고 있는 경험으로,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성지식 부족과 교육요구, 해결책을 찾지 못한 성적 어려움 등의 주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 유방암환자의 성생활 경험의 다양한 의미와 구조를 발견함으로써 본질적 실체를 규명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관심밖에 있었던 여성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경험에서 도출된 위의 내용들은 간호 문제를 발견하고,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는 지식체 제공에 기여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기독청년의 내적치유를 위한 영화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이경남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advanced Cinematherapy program for inner healing in order to promote access to Christian youths. The program aims to research its participants’ experience, and ultimately to validate its effectiveness. The inner healing of Christian youths in different stages of emotional development represents an important issue in the unique context of Korean society. Development of cinematherapy in this research is buil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research on inner healing, as well as an examination into cases of previous researchers who have utilized a cinematherapy program, as well as complementary modifications designed in consultation with a psychoanalyst and cinematherapist. For this research, the cinematherapy program for inner healing was conducted in eight sessions of two hours a piece, once a week. The sessions included oral examinations and regular journal entries of its participants, in accordance with the phenomenal research methods of Colaizzi as a procedure of analyzing the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Six young Christian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reported difficulty in relations with their original families as well as 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egative self-image due to a college admission rejection, and problems concerning their faith in God. Since they have completed this program, most of them have had a better understanding not only of themselves, but also of others, and expressed a positive anticipation for their future and the growth of their faith in God. Therefore, cinematherapy for inner healing can positively improve the destructive sentiments of Christian youths who have a negative self-image, low self-esteem,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ifficulty in their faith in God. It breaks the cycle of wounds produced by relationships with others or negative circumstances. The program testifies to the positive effects that it has, and it helps the participants to live a better life.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eventeen topics of experiential phenomena of cinematherapy were investigated and six therapeutic factors were discovered. The therapeutic factors are: 1.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catharsis through cinema and biblical storytelling. 2. Realizing what the cause and effect of inner wounds are. 3. Exploration of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of feeling. 4.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others. 5. A restoration and growth of faith in God. 6. Positive anticipation of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what is changed is an understanding of God and the expression of positive sentiments and feelings through the cinematherapy program. These developments represent a significant sign of inner healing. Of course, the participants’ emotional injuries, accumulated over the course of their lives, cannot be totally healed through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As they confront mental anguish and injury, they realize the cause of emotional injuries which have been generated in the past, and then discern ways that they can improve the dysfunctional roles in the present. When they learn to identify the unconscious dysfunctions that have caused emotional injuries in the past, they can begin to change both themselves and the circumstances that have caused them trouble in the past. This research proves the potential of cinematherapy. Finally, while the traditional inner healing program of the Korean church is not easily applied to Christian youths in Korea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wounds, the cinematherapy program for inner healing can be readily applicable to them because of its easy accessibility and high therapeutic effects.

      • 표면 플라즈마 처리가 RGP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남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즈마 표면처리가 RGP 콘택트렌즈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재질이 다른 불화규소 아크릴레이트 RGP 렌즈(Satafocon A, Hexafocon A, Hexafocon B)를 플라즈마로 처리하여 성분과 형태, 표면의 습윤성, 산소침투성을 관찰하였다. RGP 렌즈 표면의 플라즈마 처리는 공기 중 상온에서 200W로 수행하였으며, 처리시간은 0∼250초로 하였다. 습윤성을 평가하기 위해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렌즈 bulk의 성분과 구조를 적외선분광분석기(FTIR)로 분석하였다. 표면 성분을 X-선광전자분광분석기(XPS)로 관찰하고,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실리케이트의 형성을 분석하였으며, 표면의 형상과 거칠기는 원자현미경(AFM)으로 관찰하였다. 산소침투성(oxygen permeability)의 변화는 전기분해 분석법으로 얻은 렌즈의 투과 전류값과 중심두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플라즈마로 처리되면 표면처리 초기에 접촉각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처리되지 않은 표면에 비해 30%까지 감소하였다. 플라즈마 처리로 표면 성분 C, F 등은 70% 이하로 크게 감소했으나, O, Si 등은 150% 이상 증가하였다. 표면에서 탄소가 감소하는 형태는 접촉각의 변화와 유사하였다.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의 탄소와 불소는 휘발하고, 유리된 실리콘이 산소와 결합하여 표면에 친수성 실리케이트(SiOx, x=1.5∼2.0)가 형성되며, 실리케이트는 50%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에서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융기부가 관찰되었으며, 거칠기(RMS)가 40% 이상 증가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초기에는 실리케이트의 증가와 함께 접촉각이 감소하였으며, 실리케이트가 50% 이상 형성되어 친수성으로 개질된 표면에서는 거칠기 증가에 따른 접촉각의 감소가 크지 않았다. 렌즈의 투과 전류값과 중심 두께로부터 얻은 상대적인 산소침투성은 플라즈마 처리시간에 따라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RGP 콘택트렌즈를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 처리하면 표면에 친수성인 실리케이트가 형성되어 습윤성은 개선되지만 산소침투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습윤성의 증가는 표면형상의 변화보다는 실리케이트의 형성이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에 국한되어 형성된 실리케이트가 열린 구조를 갖고 있어 산소침투성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졸겔법에 의한 규산염 형광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

        이경남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규산염 화합물은 지구의 대부분을 이루는 구성 성분일뿐더러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디스플레이 외 여러 영역에서 응용 가능한 형광체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CaMgSi₂O_(6)은 지구맨틀을 구성하는 광물로서 diopside라 불리는데 CaMgSi₂O_(6)에 Eu^(2+) 이온이 도핑이 되어 블루형광체로 사용되고 있다. CaMgSi₂O_(6):Eu^(2+) 형광체는 Eu^(2+) 이온이 Ca에 치환되면서 구조적인 특성상 강하게 결합하고 있어 강한 열적 안정성을 가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음극선 자극과 빛에 의한 자극에 의한 광학적 특성이 좋아 PDP(Plasma display panel)과 FED(Field emission diode)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1-4] 최근에는 널리 응용되고 있는 파우더 형광체뿐만 아니라 박막 형광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박막 형광체는 파우더 형광체에 비하여 열적 안정성이 좋으며, 기판과의 우수한 접착력, 수명과 해상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5-7] 이러한 장점을 가지지만 CaMgSi₂O_(6):Eu^(2+)형광체를 박막 형광체로 합성하기 위한 분위기가 까다로워 단일 상을 가지는 박막 형광체를 합성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박막 형광체가 위와 같은 여러 장점을 가지지만 외부 발광 양자효율이 매우 적다는 단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응용이 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외부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Sol-gel 방법은 재료를 합성에 있어 광범위 하게 사용되는 화학적 합성법이다. Sol-gel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이 가지는 단점에 반하여 낮은 온도에서의 결정화가 가능하고 고순 도의 물질 합성이 가능하여 입자 조절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합성 과정에 의하여 최종 생성물의 형태를 변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 파우더뿐만 아니라 박막 형광체를 합성하는 데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8]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Sol-gel방법을 통하여 단일상을 가지는 파우더 및 박막 형광체를 제조 하였다. Silicate materials can be applied to various techniques such as display and so on. Silicate phosphor is one of the important thing among the rest. CaMgSi₂O_(6) is a mineral that is found in mantle and apply to blue phosphor with doped Eu. CaMgSi₂O_(6):Eu^(2+) blue-emitting phosphor has known for good thermal stability because of structural property and good photoluminescence(PL) and cathodoluminescence(CL) properties. For that reason CaMgSi₂O_(6):Eu^(2+) blue-emitting phosphor is applied to PDP(Plasma display pane), FED(Field emission diode). Recently, increases in concern about thin-film phosphors because they have good thermal stability, good adhesion to substrate, reduced out gassing. Sol-gel method is popular chemical process to prepare ceramics. And that can be obtained variety of formation through different processing routes. Therefore, we selected sol-gel process for making silicate phosphors. In sol-gel synthesis, powder and thin-film phosphors were obtained metal alkoxide and metal nitrate precursors. Metal alkoxide is usually used as precursor in general sol-gel process and metal nitrate precursor is usually used as precursor in Pechini-type sol-gel process. We used hybrid type sol-gel method, so we studied that mechanism. TGA-DTA, TF-IR and element analysis are discussed. CaMgSi₂O_(6):Eu^(2+) blue-emitting powder and thin-film phosphors were prepared by hybrid type sol-gel method. CaMgSi₂O_(6):Eu^(2+) powder phosphors were sintered at various temperatures with 5%H₂+95%N₂reduction atmosphere. The optical properties, crystallinity and morphology of CaMgSi₂O_(6):Eu^(2+) phosphors are characterized and discussed. Thin-film phosphors have many advantages, but there is disadvantage that is bad external efficiency. So we fabricated 2D photonic crystal layer inserted thin-film phosphors in order to improve external efficiency. The optical property is characterized and discussed.

      • 일반형 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PID 제어기의 튜닝

        이경남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Simplified GPC (Generalized Predictive Control) 제어 법칙을 이용한 새로운 예측 PID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tuning 방법을 제안하였다. 예측 PID 제어기의 매개변수는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 1차 공정과 2차 공정에 대하여 시간 지연이 sampling time의 정수배인 경우와 정수배가 아닌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의 Simplified GPC 제어 법칙을 구한 후 이산형 PID 제어 법칙과 비교함으로써 표현되었다. 대상 공정의 시간 지연 부분을 보상하기 위하여 internal model, GMP가 사용되었다. 예측 PID는 대상 공정이 1차인 경우 PI 제어기의 형태를 가졌으며, 2차인 경우에는 PID 제어기의 형태를 가졌다. 예측 PID 제어기의 성능은 simulation을 통하여 확인되어졌으며, Simplified GPC와 대등한 제어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work a new Predictive PID (Proportional-Integral- Derivative) tuning method is proposed based upon a Simplified GPC (Generalized Predictive Control) control law. Values of the tuning parameters of a Predictive PID controller are obtained from the Simplified GPC control law for the 1st-order and 2nd-order processes with time delays of integer and non-integer multiples of the sampling time. The internal model technique is employed to compensate the effect of time delay of the target process. The Predictive PID controller is equivalent to the PI controller when the target process is 1st-order and to the PID controller when the target process is an integrating proces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edictive PID controller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Simplified GPC. The main advantage of the proposed control scheme over other control methods is the ease of tuning and operation.

      • 교통사고로 인한 사별가족의 경험

        이경남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통사고로 가족을 잃은 사별 가족의 경험을 알아보고, 간호 요구를 사정함으로 이들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최근 3년 이내에 교통사고로 가족을 잃은 사별 가족으로, 고인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배우자 2명 , 자녀 4명 , 부모 2명 , 형제 2명 총 10명의 사별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으로 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면담 자료의 누락 및 오기를 방지하기 위해 면담자의 허락하에 녹음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Van Kaam이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의미간의 타당도는 간호학 박사 2인에 의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사별 가족의 경험은 의미 있는 진술 274개와 부주제(theme cluster) 64개, 주제(theme) 10개, 그리고 2개의 범주(category)로 나타났으며, 두 범주는 죽음에 대한 경험과 삶에 대한 경험이다. 1. 죽음에 대한 경험의 범주에는 죽음의 인식, 정서적 반응, 고인의 회상, 가해자에 대한 반응, 장례의 의미 5개의 주제와 30개의 부주제 그리고 132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나타났으며, 주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정(8), 확인(6), 의미 부여(5), 충격(4) , 수용함(4)등의 < 죽음의 인식>과, 무기력감(14), 슬픔(6), 상실감(6) ,마음이 아픔(5), 감정폭발(5), 안절부절함(4) ,황당함(2), 공허함(2), 의식잃음(2), 현실인식(2), 침착함(1), 억울함(1)등의 < 정서적 반응>과 그리움(10), 안타까움(6), 불쌍함(4), 잊으려고 노력함(4), 세상에 있는 듯한 착각(4), 죄책감(3), 고인의 내세에 대한 확신(3), 등의 <고인의 회상>과 분노(5), 서운함(2), 용서(5), 안타까움(2)등의 <가해자에 대한 반응>및,무감각(5), 수용(2)등의 <장례의 의미>이다 가족의 사고 소식을 듣고 충격과 죽음을 부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죽음을 확인하고 죽음에 대한 의미를 부여 하면서 죽음을 수용하며, 무기력감, 슬픔, 감정폭발 등의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다. 이런 정서적인 반응들은 상실로 인한 급성기 슬픔의 정상적인 반응들이었다. 반면에 침착함의 반응은 많은 정서를 억누르고 있는 비정상적인 반응이라고 보여진다.그리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하는데, 그리움, 안타까움, 불쌍함, 잊으려고 노력함, 세상에 있는 듯한 착각, 죄책감, 고인의 내세에 대한 확신등의 회상을 한다. 또 가해자에 대해서는 분노, 서운함과 용서, 안타까움의 분명한 양가 감정을 나타냈다. 장례의 의미는 무감각과 수용의 반응을 보였다. 2. 삶에 대한 경험의 범주에는 가족 역동, 삶의 태도, 사회적 지지망, 대인관계의 변화, 사고에 대한 경험 5개의 주제와 34개의 부주제 그리고 142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나타났다 삶에 대한 경험에는 연대감 약화(6), 남은 가족 걱정(5), 고인의 역할 대행(5), 연대감 강화(4), 새로운 가족원에게 적응함(3), 새로운 목표 설정(2) 의 <가족 역동>과, 의욕 상실(19), 방황함(5), 자살 충동(1)등 부정적인 삶의 태도와 삶의 대책을 세움(7),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음(7), 성숙함(6), 내세를 생각함(1)의 긍정적인 <삶의 태도>가 있었다. 그리고, 지지 요구(8), 지지 포기(5), 지지 거부(5)등의 지지 결여와, 초월자를 의지함(10), 영적 지지 체계를 바꿈(4), 지지 대상(5), 지지에 대한 고마움(3)등 지지 충족의 < 사회적 지지망>이 나타났고, 사람들을 피함(3), 냉소적임(2), 두려움(1), 주위에서 조심스럽게 대함(1)등 부정적인 대인 관계의 변화와 솔직해짐(2)의 긍정적인 <대인 관계의 변화>를 보였다. 기억 회피(4), 두려움(3), 감정이 둔해짐(3), 잊혀짐(3), 합의 동기(2), 보상금에 대한 억울함(2), 사고 예감(2), 죽음 해석에 대한 분노(2), 보상금과 고인을 동일시함(1), 법에 대해 인식함(1)등의 <사고에 대한 경험>이 나타났다. 가족 역동은 부정적인 경험보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보였으며, 고인의 역할을 대행하고,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새로운 가족원에게 적응해 나가면서 연대감 강화를 느끼기도 하고, 또 연대감 약화를 느끼면서 남은 가족원을 걱정하기도 했다. 삶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가 보여졌는데, 처음의 부정적인 태도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나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사회 지지망에는 지지 요구가 나타났는데 이 지지 요구는 사별 간호의 중재 방안의 중요한 자료가 될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요구된 지지는 거의 채워지지 못했고 이들은 이 지지를 포기하고 스스로 해결하고자 했다. 또 잘못된 지지에는 거부감을 제공된 지지에는 고마움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초월자를 의지 함으로서 어려움을 극복하려 하며, 이러는 가운데 영적 지지 체계를 바꾸기도 하였다. 이들이 지지 받고 싶은 대상자도 있는데 같은 경험을 가진 사람에게 지지 받고 싶어하기도 했다. 이것을 근거로 교통사고 사별 가족으로 구성된 지지 그룹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대인관계의 변화는 부정적인 변화를 더 많이 보였는데 이런 부정적인 변화를 긍정적인 변화로 경험하도록 이 부분에 관심을 갖고 간호 중재를 해야 하겠다. 사고에 대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데 기억 회피, 두려움, 감정이 둔해짐과 같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보상금에 대해서는, 보상금과 고인을 동일시하며, 보상금에 대한 억울한 반응을 보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고가 잊혀지기도 하지만 더 새겨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시간이 기억을 약화 시킨다는 한 가지 생각으로 고정해서는 안되겠다. 또 사고로 인한 죽음을 함부로 해석하여 분노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겠다. 이 상의 결과를 통해 교통사고로 가족을 잃은 사별 가족 의 경험의 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교통사고로 가족을 잃은 사별 가족 간호를 위한 사정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이 중에서도 사회 지지망에서 나타난 지지 요구에 따른 지지가 이들에게 제공되기 희망하며, 이런 지지 제공이 되어질 때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